KR100922125B1 - 모니터 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125B1
KR100922125B1 KR1020090022989A KR20090022989A KR100922125B1 KR 100922125 B1 KR100922125 B1 KR 100922125B1 KR 1020090022989 A KR1020090022989 A KR 1020090022989A KR 20090022989 A KR20090022989 A KR 20090022989A KR 100922125 B1 KR100922125 B1 KR 100922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tube
guide
low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09002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모니터 승하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모니터 승하강장치는 : 책상의 상판 하부에 모니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수용부에서 모니터가 출몰되도록 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모니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와, 거치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모니터의 출몰시 수용부의 입구를 커버하는 상부,하부 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플레이트를 다단으로 상승시키는 상승부와, 상승부에 의해 상승되는 하부플레이트를 상측 직선으로 가이드시키는 가이드부 및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가 수용부의 입구에서 고정되어 모니터의 숨김상태 또는 노출상태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모니터, 상승부, 다단관부재, 탄성부재

Description

모니터 승하강장치{Device for elevating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부로 모니터를 상승부에 의해 출몰시킬 수 있어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상승부에 의해 출몰시 안정적으로 안내되게 하고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전력이 필요치 않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모니터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와 같은 사무공간에는 개인마다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책상이 구비되어 있고, 가정집과 같은 생활공간 또는 공부를 하거나 가계부를 쓰는 등의 목적으로 책상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현대와 같은 네트워크시대에는 사무공간의 각각의 책상에 필수적으로 컴퓨터가 구비되며 거의 모든 가정에도 PC(personal computer)가 보급되었다.
컴퓨터는 크게 본체와 모니터 및 키보드와 마우스 같은 입력도구로 나뉘는데 기존의 책상에서 컴퓨터를 설치하여 사용할 때 본체와 모니터 및 키보드와 마우스 전부를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기도 하고 사용중에 사용자의 시선에서 벗어나도 상관없는 본체는 책상의 밑이나 옆으로 내려놓고 사용하였다.
또한, 모니터를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과 키보드 및 마우스를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을 따로 구비하여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놓여있는 상판을 서랍식으로 모니터가 놓여있는 상판 하부로 수납가능하도록 제작된 컴퓨터책상을 사용하였다.
종래에 따르면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때에도 모니터가 책상의 상판에 고정되어 모니터 크기 만큼의 공간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책상의 공간이 좁아져 작업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책상을 넓게 쓰고자 모니터를 옮겨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모니터 이동시 부주의에 의해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수용부에 수용된 모니터를 상승부에 의해 모니터를 승하강시킬 수 있어 작업공간을 넓힐 수 있으며, 작동이 스프링에 의한 수동으로 이루어져 전력손실이 없으며,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스프링의 반발력을 분할하여 모니터를 안정적으로 상승시키는 모니터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는: 책상의 상판 하부에 모니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수용부에서 모니터가 출몰되도록 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모니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와, 거치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모니터의 출몰시 수용부의 입구를 커버하는 상부,하부 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플레이트를 다단으로 상승시키는 상승부와, 상승부에 의해 상승되는 하부플레이트를 상측 직선으로 가이드시키는 가이드부 및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가 수용부의 입구에서 고정되어 모니터의 숨김상태 또는 노출상태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치부재는 모니터를 거치하는 거치브라켓과, 거치브라켓과 모니터 사이에 구비되어 거치브라켓에서 모니터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승부는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복수의 관으로 이루어진 다단관부재와, 다단관부재에 일측이 삽입되어 관통되고, 타측은 하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축 및 다단관부재를 이루는 관과 관 사이 및 관과 지지축 사이에 개재되어 관과 지지축을 탄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다단관부재는 일측 둘레에 걸림편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관통홀에 삽입되어 걸림편이 관통홀의 주변에 고정되는 가이드관 및 가이드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걸림편이 가이드관의 선단에 걸리는 슬라이드관을 포함 한다.
또한, 가이드부는 수용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및 하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부플레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위치고정부는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수용부의 입구에 상부플레이트를 고정하여 모니터의 숨김상태를 유지하는 하사점고정부 및 하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수용부 입구에 하부플레이트를 고정하여 모니터의 노출상태를 유지하는 상사점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하사점고정부는 상부플레이트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재 및 조작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여 수용부의 내측면에 걸려지는 로킹바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부재는 상면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회전축을 돌출 형성한 핸들 및 회전축에 결합되어 핸들과 함께 회전되며, 로킹바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축을 형성한 작동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로킹바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사점고정부는 하부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 및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어 수용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편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는 수용부에 수용된 모니터를 상승부에 의해 모니터를 승하강시킬 수 있어 책상의 작업공간을 넓힐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모니터의 상승작동이 탄성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전력이 필요치 않으며, 제작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지닌다.
또한, 다수개의 탄성부재를 직렬로 배열하여 모니터를 상승시키는 구조에 의해 탄성부재의 반발력을 분할하여 모니터를 안정적으로 상승시키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상승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하사점고정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상사점고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100)는 책상(10)의 상판 하부에 모니터(20)가 수용되는 수용부(12)가 구비되고, 수용부(12)에서 모니터(20)가 출몰되도록 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100)에 있어서, 거치부재(110), 상부플레이트(120), 하부플레이트(125), 상승부(130), 가이드부(140), 위치고정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거치부재(110)는 모니터(20)가 거치되는 것으로서, 모니터(20)를 거치하는 거치브라켓(112)과, 거치브라켓(112)과 모니터(20) 사이에 구비되어 거치브라켓(112)에서 모니터(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플레이트(114)로 이루어진다.
힌지플레이트(114)와 모니터(20)는 볼트체결되고, 힌지플레이트(114)와 거치브라켓(112)은 힌지 연결되어 모니터(2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거치브라켓(112)의 상부에는 상부플레이트(120)가 결합되고,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125)가 결합된다.
상부플레이트(120)와 하부플레이트(125)는 상승부(130)에 의한 모니터(20) 승하강시 수용부(12)의 입구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승부(130)는 하부플레이트(125)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플레이트(125)를 다단으로 상승시켜 모니터(20)를 수용부(12)에서 노출시킨다.
상승부(130)는 수용부(12) 내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홀(131a)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31)와, 관통홀(131a)에 삽입되고 일단에 걸림편(133a,134a)이 형성되며, 내부가 중공되어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복수의 관으로 이루어진 다단관부재(132)와, 다단관부재(132)에 일측이 삽입되어 관통되고, 타측은 하부플레이트(125)를 지지하는 지지축(135)과, 다단관부재(132)를 이루는 관과 관 사이 및 관과 지지축(135) 사이에 개재되어 관과 지지축(135)을 탄동시키는 탄성부재(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다단관부재(132)는 일측 둘레에 걸림편(133a,134a)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관통홀(131a)에 삽입되어 걸림편(133a)이 관통홀(131a)의 주변에 고정되는 가이드관(133)과, 가이드관(13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걸림편(134a)이 가이드관(133)의 선단에 걸리는 슬라이드관(134)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관(133)의 걸림편(133a)은 관통홀(131a)의 주변에 볼트조립되어 고정되고, 가이드관(133)의 걸림편(133a)과 슬라이드관(134)의 걸림편(134a) 사이, 슬라이드관(134)의 걸림편(134a)과 하부플레이트(125) 사이에 각각의 탄성부재(137)가 구비되어 슬라이드관(134)과 지지축(135)을 탄성력으로 동작시키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137)는 슬라이드관(134)와 지지축(135)의 둘레에 권취된 코일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40)는 상승부(130)에 의해 상승되는 하부플레이트(125)를 상측 직선으로 가이드시킨다.
가이드부(140)는 수용부(12)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42) 및 하부플레이트(125)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142)에 연결되어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하부플레이트(125)를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14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용부(12)의 내측면에는 연결브라켓(150)이 결합되고, 연결브라켓(150)의 양측에 가이드레일(142)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42)의 하부는 지지플레이트(131)에 고정되는데, 가이드레일(142)의 하부는 상호 연결되도록 연결편(143)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편(143)은 지지플레이트(131)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는 가이드레일(142)을 상호 연결하고 넓은 면적으로 지지플레이트(131) 상면에 접하여 견고히 지지되게 함으로써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연결브라켓(150)은 절곡 형성되어 절곡턱(155)을 형성하고, 가이드브라켓(144)에는 상승부(130)에 의해 상승하는 모니터(20)가 상사점에서 정지하도록 절곡턱(155)에 걸리게 되는 걸림턱(14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플레이트(120)와 하부플레이트(125) 각각에는 상부플레이트(120) 또는 하부플레이트(125)가 수용부(12)의 입구에서 고정되어 모니터(20)의 숨김상태 또는 노출상태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160)가 구비된다.
위치고정부(160)는 상부플레이트(120)에 구비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수용부(12)의 입구에 상부플레이트(120)를 고정하여 모니터(20)의 숨김상태를 유지하는 하사점고정부(170) 및 하부플레이트(125)에 구비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수용부(12) 입구에 하부플레이트(125)를 고정하여 모니터(20)의 노출상태를 유지하는 상사점고정부(180)로 이루어진다.
하사점고정부(170)는 상부플레이트(120)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재(171) 및 조작부재(171)에 힌지결합되어 조작부재(171)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여 수용부(12)의 내측면에 걸려지는 로킹바(175)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작부재(171)는 상면에 파지부(173)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회전축(172a)을 돌출 형성한 핸들(172) 및 회전축(172a)에 결합되어 핸들(172)과 함께 회전되며, 로킹바(177)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축(176)을 형성한 작동편(175)을 포함한다.
핸들(172)의 중앙 하면에는 다각형의 회전축(172a)이 돌출 형성되고, 작동편(175)의 중앙에는 회전축(172a)이 삽입되도록 다각홀(175a)이 형성되어 조작부재(171)의 회전에 의해 작동편(175)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작동편(175)의 가장자리에는 힌지축(176)이 형성되어 로킹바(177)와 연결됨으로 조작부재(171)의 회전운동에 의해 로킹바(177)는 직선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부플레이트(120) 하면에는 로킹바(177)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브라켓(179)이 구비된다.
또한, 안내브라켓(179)에는 로킹바(177)가 관통되는 통과홀(179a)이 형성되는데, 통과홀(179a)은 로킹바(177)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사점고정부(180)는 하부플레이트(125)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182)와, 회전부재(182)에 결합되어 회전부재(182)와 함께 회전되어 수용부(12)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편(185)으로 이루어진다.
회전부재(182)는 하부플레이트(1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는 파지부(183)이 형성되며, 하면에는 하부방향으로 다각형상의 회전축(18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편(185)에는 다각홀(185a)이 형성되어 회전축(182a)과 결합에 의해 회전부재(182)의 회전시 지지편(185)도 함께 회전되는 구조이다.
이때, 회전축(182a)의 끝단부에는 너트가 결합되어 지지편(185)의 이탈을 방지하며, 지지편(185)은 회전시 연결브라켓(150)의 절곡턱(155)에 걸쳐져 하부플레이트(125)가 상사점에서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182a)의 다각형 부분은 일부분만 형성되어 지지편(185)을 끼운 후 너트 조립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지지편(18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브라켓(144)에는 개구홀(14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브라켓(150)에는 지지편(185)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걸림돌기(157)가 형성되어 지지편(185)이 연결브라켓(150)의 절곡턱(155)에 걸려지면 진행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사용자가 수용부(12)에 수용되어 있는 모니터(2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상부플레이트(120)의 핸들(172)의 파지부(173)를 파지하여 회전시키면, 핸들(172)의 회전에 의해 작동편(175)에 힌지 연결된 로킹바(177)를 잡아당겨 직선운동하게 함으로써 수용부(12) 내측면에서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로킹바(177)의 걸림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승부(130)에 의해 모니터(20)가 수용부(12)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상승부(130)의 작동을 살펴보면 로킹바(177)의 걸림해제와 동시에 탄성부재(137)의 탄성력에 의해 다단관부재(132)가 펼쳐지게 된다. 즉, 지지플레이트(131)의 관통홀(131a)에 삽입된 가이드관(133)에서 슬라이드관(134)을 탄성부재(137)가 상부로 밀어올리고, 슬라이드관(134)에서 지지축(135)을 탄성부재(137)가 상부로 밀어올려 모니터(20)를 수용부(12)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가이드관(133), 슬라이드관(134), 지지축(135)으로 분할하고, 직렬로 배열된 복수의 탄성부재(137)에 의해 모니터(20)를 상승시킴으로써, 탄성계수에 의해 모니터(20)를 급격하게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상승작동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이때, 모니터(20)는 가이드브라켓(144)이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상측으로 정확하게 안내된다.
그리고, 모니터(20)는 상승부(130)에 의해 상승되다가 가이드브라켓(144)의 걸림턱(145)이 연결브라켓(150)의 절곡턱(155)에 도달함으로써, 상사점에 도달하게 된다.
모니터(20)가 상사점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하부플레이트(125)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부재(182)를 회전시켜 지지편(185)이 절곡턱(155)의 상면에 지지되어 모니터(20)가 수용부(12) 내측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니터(20)의 노출상태가 유지된다.
상기한 상태로 사용자는 모니터(20)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모니터(20)는 힌지플레이트(114)에 의해 거치브라켓(112)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어 모니터(20)를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기울기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후, 모니터(20)의 사용이 끝난 후에 모니터(20)를 수용부(12) 내측으로 숨기고자 할 때에는 하부플레이트(125)의 양측에 구비된 회전부재(182)를 회전시켜 지지편(185)의 지지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부플레이트(120)를 눌러 수용부(12)의 내측으로 모니터(20)를 수용시킨다.
사용자의 누르는 힘에 의해 탄성부재(137)는 수축하게 되고, 지지축(135)은 슬라이드관(134) 내부로 수용되고, 슬라이드관(134)은 가이드관(133) 내측으로 수용되면서 모니터(20)가 하강된다.
이어, 상부플레이트(120)가 수용부(12)의 입구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상부플레이트(120)의 핸들(172)을 회전시켜 로킹바(177)를 수용부(12)의 내측면에 걸리게 하여 모니터(12)의 숨김상태를 유지시킨다.
모니터(20)의 하강시에도 가이드브라켓(144)이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안내 되기 때문에 직선으로 정확하게 하강된다.
가이드레일(142)의 하부는 연결편(143)에 상호 연결되고 지지플레이트(131)에 넓은 면적이 접해 고정됨으로 강성을 보강하여 휨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책상의 상부로 모니터를 선택적으로 출몰시킬 수 있어 책상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에 의한 기구적인 작동에 의해 전력이 필요치 않으므로 경제적인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복수의 탄성부재를 사용하여 모니터의 상승작동이 급격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모니터를 상승시키기 위한 전동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작비용이 저렴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상승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하사점고정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상사점고정부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 승하강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모니터 승하강장치 110 : 거치부재
112 : 거치브라켓 114 : 힌지플레이트
120 : 상부플레이트 125 : 하부플레이트
130 : 상승부 131 : 지지플레이트
131a : 관통홀 132 : 다단관부재
133 : 가이드관 134 : 슬라이드관
135 : 지지축 137 : 탄성부재
140 : 가이드부 142 : 가이드레일
143 : 연결편 144 : 가이드브라켓
145 : 걸림턱 147 : 개구홀
150 : 연결브라켓 155 : 절곡턱
157 : 걸림돌기 160 : 위치고정부
170 : 하사점고정부 171 : 조작부재
172 : 핸들 172a, 182a : 회전축
173, 183 : 파지부 175 : 작동편
175a, 185a : 다각홀 176 : 힌지축
177 : 로킹바 179 : 안내브라켓
179a : 통과홀 180 : 상사점고정부
182 : 회전부재

Claims (10)

  1. 책상의 상판 하부에 모니터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구비되고, 수용부에서 상기 모니터가 출몰되도록 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가 거치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모니터의 출몰시 상기 수용부의 입구를 커버하는 상,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다단으로 상승시키는 상승부;
    상기 상승부에 의해 상승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측 직선으로 가이드시키는 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 또는 하부플레이트가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서 고정되어 상기 모니터의 숨김상태 또는 노출상태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승부는 상기 수용부 내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가 중공되어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복수의 관으로 이루어진 다단관부재;
    상기 다단관부재에 일측이 삽입되어 관통되고, 타측은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축; 및
    상기 다단관부재를 이루는 관과 관 사이 및 관과 상기 지지축 사이에 개재되어 관과 지지축을 탄동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단관부재는 일측 둘레에 걸림편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편이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 고정되는 가이드관; 및
    상기 가이드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걸림편이 상기 가이드관의 선단에 걸리는 슬라이드관을 포함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모니터를 거치하는 거치브라켓; 및
    상기 거치브라켓과 상기 모니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거치브라켓에서 상기 모니터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힌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 상부플레이트를 고정하여 상기 모니터의 숨김상태를 유지하는 하사점고정부;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외부조작에 의해 상기 수용부 입구에 하부플레이트를 고정하여 상기 모니터의 노출상태를 유지하는 상사점고정부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사점고정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재; 및
    상기 조작부재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조작부재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 걸려지는 로킹바를 포함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상면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회전축을 돌출 형성한 핸들;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로킹바와 힌지 연결되도록 힌지축을 형성한 작동편을 포함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로킹바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사점고정부는 하부플레이트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 측면에 지지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20090022989A 2009-03-18 2009-03-18 모니터 승하강장치 KR100922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989A KR100922125B1 (ko) 2009-03-18 2009-03-18 모니터 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989A KR100922125B1 (ko) 2009-03-18 2009-03-18 모니터 승하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125B1 true KR100922125B1 (ko) 2009-10-16

Family

ID=4156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989A KR100922125B1 (ko) 2009-03-18 2009-03-18 모니터 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616A (ko) * 2017-05-12 2018-11-21 (주)티에스티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297Y1 (ko) * 2004-01-09 2004-04-14 허준호 모니터 승강장치가 설치된 책상
KR20050074697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0937B1 (ko) * 2005-08-3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장치
KR20080052520A (ko) * 2008-04-17 2008-06-11 권양섭 전동식 컴퓨터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297Y1 (ko) * 2004-01-09 2004-04-14 허준호 모니터 승강장치가 설치된 책상
KR20050074697A (ko) * 2004-01-14 2005-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0937B1 (ko) * 2005-08-31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장치
KR20080052520A (ko) * 2008-04-17 2008-06-11 권양섭 전동식 컴퓨터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616A (ko) * 2017-05-12 2018-11-21 (주)티에스티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KR101943505B1 (ko) 2017-05-12 2019-01-29 (주)티에스티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35898A1 (en) Motorized, height-adjustable desktop system
JP6059582B2 (ja) リンク式昇降機構
US20120160793A1 (en) Storage rack
JP2013063270A (ja) パソコンデスクの開閉装置
JP2016086914A (ja) 天板昇降式デスク
KR100922125B1 (ko) 모니터 승하강장치
JP6504690B2 (ja) 天板昇降式デスク
KR101761519B1 (ko) 밀고 당기는 건조대
KR20110018576A (ko) 컴퓨터 책상
EP1832368A1 (en) An easy-handling compound saw
KR101687161B1 (ko) 접이식 우산 거치대
KR101153157B1 (ko) 모니터 승강장치
CN115313267A (zh) 一种建筑机电管线装配施工用支架
CA2631962C (en) Article of furniture with tambour modesty panel
EP3521228A1 (en) Cable reel
KR100914248B1 (ko) 컴퓨터 책상
KR200360525Y1 (ko) 싱크대의 회전 선반용 가이드장치
KR101777081B1 (ko) 요통 예방 건조대
CN107044499B (zh) 刹车线释放机构
CN101176817B (zh) 一种折叠式跑步机
JP2016030058A (ja) 電気掃除機
KR102240045B1 (ko) 책상용 전선 브라켓 및 이를 갖는 책상
CN210897925U (zh) 一种网线连接辅助连接件
KR100939235B1 (ko) 모니터 승하강장치
CN217547524U (zh) 一种具有拼接结构的资料存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