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616A -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 Google Patents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616A
KR20180124616A KR1020170059445A KR20170059445A KR20180124616A KR 20180124616 A KR20180124616 A KR 20180124616A KR 1020170059445 A KR1020170059445 A KR 1020170059445A KR 20170059445 A KR20170059445 A KR 20170059445A KR 20180124616 A KR20180124616 A KR 20180124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lide
monitor
front cov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505B1 (ko
Inventor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티 filed Critical (주)티에스티
Priority to KR102017005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0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작업시 요구되는 모니터, 키보드(90) 및 마우스(100)만을 승하강시켜 스탠딩 워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모니터(80), 키보드(90) 및 마우스(100)에 연결된 본체와의 거리가 연결선에 의해 제약받지 않은 상태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폰(70)과 연동되어 장치의 승하강 구동, 작업시간의 배분, 설정 및 통계가 가능한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ELECTRIC ELEVATING-CONTROL-TYPE MONITOR SUPPORTER}
본 발명은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작업시 요구되는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만을 승하강시켜 스탠딩 워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에 연결된 본체와의 거리가 연결선에 의해 제약받지 않은 상태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장치의 승하강 구동, 작업시간의 배분, 설정 및 통계가 가능한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활용하여 작업하는 사람은 의자에 앉아 책상에 올려진 모니터를 보면서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작업한다. 특히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근무시간의 대부분에 컴퓨터를 활용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모니터가 놓여 있고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의자에 앉아 작업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장시간 앉아서 작업하는 길다 보니, 척추 통증 및 목과 다리의 피로가 발생하는 등 신체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규칙적인 운동 및 스트레칭이 요구되지만, 바쁜 일과에 쫓기는 직장인에게 이러한 운동 및 스트레칭을 일일이 챙기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책상이 이미 개발되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고, 다수의 특허문헌으로도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중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033374호(2016.03.28. 공개, "성인병 예방을 위한 책상 리폼 높낮이 조절장치",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상을 이루는 한 쌍의 다리 양측 내·외부 중 선택된 어느 부분에 나사로써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개의 나사고정부(1a)가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전후 가이드 관(1b) 및 상기 가이드 관의 상측을 연결하는 연결관(1c)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가이드부재(1)와; 상기 가이드 관의 중공 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위치 이동하는 한 쌍의 지주(2a) 및 상기 지주의 저면을 연결하는 지지부재(2b)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2)와; 상기 연결관의 저면과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전선(4)에 의한 전원의 공급과 스위치(5)의 조작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재(2)로부터 상기 상판을 이동시켜 상기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피스톤(3a)을 갖는 공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 및 엑츄레이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높이조절부재(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존 사용하던 책상 또는 테이블을 이용 리폼하여 이에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를 부가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만으로 신속 간편하게 의자에 앉아서 책상을 사용할 수 있는 상판의 높이나, 또는 일어선 채로 책상을 사용할 수 있는 상판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이점과 더불어 책상을 일어선 채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과 같은 종래의 높낮이 책상의 경우에는, 책상의 상판 전체를 승강시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동력의 모터가 요구되고, 모터에 의해 승하강 될 때 상판을 지지하는 4개의 다리에 대한 슬라이드 구조가 요구됨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대중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작업시 요구되는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만을 승하강시켜 스탠딩 워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에 연결된 본체와의 거리가 연결선에 의해 제약받지 않은 상태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하는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장치의 승하강 구동, 작업시간의 배분, 설정 및 통계가 가능한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책상의 상판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한 동력에 의해 상하 구동되는 슬라이드부; 모니터의 후면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모니터 장착부; 및 키보드와 마우스가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거치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바, 및 하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모터와 스크류바를 내장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는 고정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스크류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의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체와, 하단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의 이동시에 상기 고정커버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상단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 장착부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울기조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커버의 전방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커버의 전방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전방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판부는 상기 전방커버에 장착되며, 상기 거치판부 하부의 상기 전방커버에는 상기 키보드 및 마우스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커버와 고정커버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단자로부터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키보드와 마우스의 플러그에 각각 대응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커버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본체 연결선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방커버와 고정커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전방커버의 후면에는 제1걸림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커버의 전면에는 제2걸림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 연결선은 그 일단이 상기 단자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제1걸림돌기 및 제2걸림돌기를 감아돈 상태에서 상기 고정커버의 배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커버의 후면에는 상하로 제1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제1걸림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 상단에는 일단이 상기 전방커버에 장착된 스프링의 타단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에 따르면, 컴퓨터 작업시 요구되는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만을 승하강시켜 스탠딩 워크(standing work)가 가능하도록 하여 스탠딩 워크의 가능을 위한 장치를 저렴하게 구현가능하고 스탠딩 워크의 대중화에 기여하여 장시간 앉아서 하는 작업에 대한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에 연결된 본체와의 거리가 연결선에 의해 제약받지 않은 상태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하여 연결선의 길이에 제한되어 스탠딩 워크가 방해받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장치의 승하강 구동, 작업시간의 배분, 설정 및 통계가 가능하여 스마트폰을 모니터로서, 그리고 건강관리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 리폼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의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의 상하구동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키보드와 마우스의 코드선을 장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키보드와 마우스의 단자에 연결되는 본체 연결선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의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의 상하구동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6은 키보드와 마우스의 코드선을 장착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키보드와 마우스의 단자에 연결되는 본체 연결선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는 크게 베이스부(10), 구동부(20), 슬라이드부(30), 모니터 장착부(40) 및 거치판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책상(D)의 상판에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부(10)에 대해 전방으로 장착될 다른 구성요소로 인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즉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부(3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동부(2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1모터(21)와, 상기 제1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바(23), 및 하부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어 상기 제1모터(21)와 스크류바(23)를 내장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는 고정커버(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30)는 상기 구동부(20)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20)에 의한 동력에 의해 상하 구동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부(30)는, 상기 스크류바(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23)의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체(31)와, 하단이 상기 이동체(31)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31)의 이동시에 상기 고정커버(25)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슬라이드커버(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부(30)에 장착된 모니터(80)와, 키보드(90) 및 마우스(100)가 동시에 승하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30)는, 상기 슬라이드커버(32)의 상단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2모터(33)와, 상기 제2모터(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 장착부(4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울기조정부(3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부(30)에 장착된 모니터(80)의 기울기가 조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부(30)는, 상기 슬라이드커버(32)의 전방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커버(25)의 전방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전방커버(35)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전방커버(35)는 슬라이드커버(32)와 상단에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커버(32)와 일체로 승하강되고, 슬라이드부(30)에 장착되는 모니터(80) 및 거치판부(50)는 상기 전방커버(35)에 장착된다.
그리고 거치판부(50) 하부에 대응되는 전방커버(35)에는 상기 전원 플러그(61), 모니터 영상단자 플러그(62), 상기 키보드(90) 및 마우스(100)의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는 단자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해당 단자에는 상기 단자로부터 연장되는 본체 연결선(60)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 연결선(60)은 전방커버(35)와 고정커버(25)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고정커버(25)의 배면을 통해 돌출된다.
이러한 본체 연결선(60)의 선단은 전원 플러그(61), 모니터 영상단자 플러그(62), 키보드 플러그(63) 및 마우스 플러그(64)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니터 전원 플러그에 연결되어 연장된 본체 연결선(60)의 선단에는 전원 플러그(61)가 형성되고, 모니터 영상단자 플러그에 연결되어 연장된 본체 연결선(60)의 선단에는 모니터 영상단자 플러그(62)가 형성되며, 키보드 플러그에 연결되어 연장된 본체 연결선(60)의 선단에는 키보드 플러그(63)가 형성되고, 마우스 플러그에 연결되어 연장된 본체 연결선(60)의 선단에는 마우스 플러그(64)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본체 연결선(60)이 장착되는 전방커버(35)와 고정커버(25)에서, 고정커버(25)는 고정된 상태로 있고, 전방커버(35)는 상하 이동됨에 따라 본체 연결선(60)의 신축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본체 연결선(60)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된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커버(35)와 고정커버(25)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전방커버(35)의 후면에는 상기 전방커버(35)와 함께 승하강되게 제1걸림돌기(36)가 설치되며, 상기 고정커버(25)의 전면에는 제2걸림돌기(27)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 연결선(60)은 그 일단이 상기 단자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제1걸림돌기(36) 및 제2걸림돌기(27)를 감아돈 상태에서 상기 고정커버(25)의 배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1걸림돌기(36)가 전방커버(35)와 함께 상승할 때(도 6의 (b) 참조) 본체 연결선(60)의 길이 증감없이 원활히 상승하려면 상기 제1걸림돌기(36)가 전방커버(35)의 상승 길이보다 적게 상승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커버(35)의 후면에는 상하로 제1슬롯(37)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37)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제1걸림돌기(36)가 설치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36) 상단에는 일단이 상기 전방커버(35)에 장착된 스프링(38)의 타단이 장착된다. 따라서 전방커버(35)가 상승할 때 제1걸림돌기(36)도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슬롯(37)을 따라 상승하지만 본체 연결선(60)의 제한된 길이에 의해 상승되는 이동거리가 줄어든다.
한편, 상기 모니터 장착부(40)는 모니터(80)의 후면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30)의 상단에서 돌출되고, 모니터 장착부(40)에 모니터(80)를 장착하는 구성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거치판부(50)는 키보드(90)와 마우스(100)가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슬라이드부(30), 정확하게는 전방커버(35)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거치판부(50)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전방커버(35)에는 지지판(39)이 설치되고, 상기 거치판부(50)에는 저면판(51)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39)과 함께 상기 거치판부(5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저면판(51)의 양측면은 지지판(39)과 함께 거치판부(50)에 고정되고 그 양측면 사이는 상기 거치판부(50)의 저면과 이격되게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이렇게 절곡된 저면판(51)의 중앙부에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는 원호형의 제2슬롯(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슬롯(52)에는 제3걸림돌기(5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에는 제4걸림돌기(54)가 장착된다.
따라서 키보드(90) 및 마우스(100)가 전방커버(35)에 설치된 단자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각 코드선은 상기 제3걸림돌기(53) 및 제4걸림돌기(54)에 감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3걸림돌기(53)와 제4걸림돌기(54)를 순차적으로 감아서 플러그를 단자에 결합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걸림돌기(53)를 상기 제2슬롯(52)을 따라 이동시켜서 제3걸림돌기(53)와 제4걸림돌기(54) 사이에 감겨진 코드선을 팽팽하게 하여 처지지 않게 지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높이조절 모니터 거치대는 스마트폰(70)의 앱을 통해 제어가능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70)을 조작하여 상하 높이 조절을 수행할 수도 있고, 앉아 있는 시간과 서 있는 시간을 체크할 수도 있으며, 설정에 의해 사용자에게 서서 일할 시간을 알려줌과 아울러 서서 일한 시간에 소모된 칼로리를 안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베이스부
20 : 구동부 21 : 제1모터 23 : 스크류바
25 : 고정커버 27 : 제2걸림돌기
30 : 슬라이드부 31 : 이동체 32 : 슬라이드커버
33 : 제2모터 34 : 기울기조정부
35 : 전방커버 36 : 제1걸림돌기
37 : 제1슬롯 38 : 스프링
39 : 지지판
40 : 모니터 장착부
50 : 거치판부 51 : 저면판 52 : 제2슬롯
53 : 제3걸림돌기 54 : 제4걸림돌기
60 : 본체 연결선 61 : 전원 플러그
62 : 모니터 영상단자 플러그
63 : 키보드 플러그 64 : 마우스 플러그
70 : 스마트폰
D : 책상
80 : 모니터
90 : 키보드
100 : 마우스

Claims (5)

  1. 책상(D)의 상판에 안착되는 베이스부(10);
    상기 베이스부(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부(20);
    상기 구동부(20)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20)에 의한 동력에 의해 상하 구동되는 슬라이드부(30);
    모니터(80)의 후면이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부(30)의 상단에서 돌출되는 모니터 장착부(40); 및
    키보드(90)와 마우스(100)가 안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30)의 하단에 장착되는 거치판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2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1모터(21)와, 상기 제1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류바(23), 및 하부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어 상기 제1모터(21)와 스크류바(23)를 내장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는 고정커버(25)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30)는,
    상기 스크류바(2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바(23)의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체(31)와, 하단이 상기 이동체(31)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체(31)의 이동시에 상기 고정커버(25)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슬라이드커버(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30)는,
    상기 슬라이드커버(32)의 상단에 배치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제2모터(33)와, 상기 제2모터(3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니터 장착부(40)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기울기조정부(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30)는,
    상기 슬라이드커버(32)의 전방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커버(25)의 전방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전방커버(3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치판부(50)는 상기 전방커버(35)에 장착되며,
    상기 거치판부(50) 하부의 상기 전방커버(35)에는 상기 키보드(90) 및 마우스(100)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전방커버(35)와 고정커버(25)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단자로부터 연장되고 선단에 상기 키보드(90)와 마우스(100)의 플러그에 각각 대응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커버(25)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본체 연결선(6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35)와 고정커버(25)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전방커버(35)의 후면에는 제1걸림돌기(36)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커버(25)의 전면에는 제2걸림돌기(27)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 연결선(60)은 그 일단이 상기 단자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제1걸림돌기(36) 및 제2걸림돌기(27)를 감아돈 상태에서 상기 고정커버(25)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35)의 후면에는 상하로 제1슬롯(37)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37)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상기 제1걸림돌기(36)가 설치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36) 상단에는 일단이 상기 전방커버(35)에 장착된 스프링(38)의 타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KR1020170059445A 2017-05-12 2017-05-12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KR10194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45A KR101943505B1 (ko) 2017-05-12 2017-05-12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45A KR101943505B1 (ko) 2017-05-12 2017-05-12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616A true KR20180124616A (ko) 2018-11-21
KR101943505B1 KR101943505B1 (ko) 2019-01-29

Family

ID=6460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445A KR101943505B1 (ko) 2017-05-12 2017-05-12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264A (ko) 2021-02-18 2022-08-25 드로얀워크스테이션 유한책임회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지지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833B1 (ko) * 2022-04-25 2023-03-20 주식회사 자몽컴퍼니 물품 수납 트레이를 구비한 모니터 거치 장치
KR102514052B1 (ko) 2022-11-29 2023-03-24 (주)이미지솔루션 프라이버시 모니터 거치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76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와이드 자동 승하강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장치
KR100922125B1 (ko) * 2009-03-18 2009-10-16 장근대 모니터 승하강장치
KR20090012965U (ko) * 2008-06-16 2009-12-24 디비코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결합형 모니터 스탠드
US20130092805A1 (en) * 2011-10-14 2013-04-18 Joe Funk Tablet Mounting Arm Systems and Methods
KR20170007493A (ko) * 2017-01-03 2017-01-1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76Y1 (ko) * 2001-07-10 2001-11-17 주식회사 와이드 자동 승하강 및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의 스탠드장치
KR20090012965U (ko) * 2008-06-16 2009-12-24 디비코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결합형 모니터 스탠드
KR100922125B1 (ko) * 2009-03-18 2009-10-16 장근대 모니터 승하강장치
US20130092805A1 (en) * 2011-10-14 2013-04-18 Joe Funk Tablet Mounting Arm Systems and Methods
KR20170007493A (ko) * 2017-01-03 2017-01-18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264A (ko) 2021-02-18 2022-08-25 드로얀워크스테이션 유한책임회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505B1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505B1 (ko) 전동식 높이조절형 모니터 거치대
US10463147B2 (en) Sit-stand workstation with adjustable keyboard tray
US20070035164A1 (en) Adjustable chair station and method of use
US20190191890A1 (en) Electric Bed with Independent Adjusting Device for Waist Rest
US10973723B2 (en) Dental treatment machine with a retractable backrest for children
KR101941887B1 (ko) 상하 슬라이드 운용 제어를 기반으로 한 가구용 높이조절장치
CN204273812U (zh) 一种伸缩躺椅
KR10191372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사무용 책상
KR101703230B1 (ko) 스탠딩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US20180317664A1 (en) Height-adjustable bed
KR200459289Y1 (ko) 컴퓨터용 콘솔
KR101446462B1 (ko) 의자의 제어장치
KR10229630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파티션 일체형 책상
CN209883497U (zh) 一种多功能连体桌椅
KR20100004108U (ko) 의자 팔걸이의 높이조절장치
KR20170019300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침대
GB2572558A (en) Electric bed with independent adjusting device for waist rest
CA2991732C (en) Electric bed with independent adjusting device for waist rest
KR101767574B1 (ko)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된 테이블용 승하강장치
CN205353866U (zh) 多功能计算机显示器
CN204647766U (zh) 高度可调的升降支架
KR102321996B1 (ko) 좌판모듈 틸팅이 가능한 의자
KR101547424B1 (ko)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 장치
KR101397613B1 (ko) 분리형 베드유닛을 구비한 리클라이닝 샤워캐리어
CN209463688U (zh) 一种高度可调整沙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