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886B1 - 디스플레이 케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886B1
KR100921886B1 KR1020090021130A KR20090021130A KR100921886B1 KR 100921886 B1 KR100921886 B1 KR 100921886B1 KR 1020090021130 A KR1020090021130 A KR 1020090021130A KR 20090021130 A KR20090021130 A KR 20090021130A KR 100921886 B1 KR100921886 B1 KR 100921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body
mounting
mirror
display cas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윤
Original Assignee
민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윤 filed Critical 민병윤
Priority to KR1020090021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84Show stands with clips or slits to attach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5Articles convertible into a stand, e.g. for display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5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shop-windows o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고리, 목걸이, 반지, 팔찌, 발찌 등의 고가의 액세서리를 내부에 고정거치 함과 동시에, 제품을 디스플레이함으로 인해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용이하게 휴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는,
액세서리가 고정 되도록 하는 거치면이 구비된 판 형태의 거치몸체와, 액세서리가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면이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판 형태의 보조몸체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거치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힌지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 상기 거치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거치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액세서리에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로 구성된다.
액세서리, 거치대, 몸체부, 보조몸체, 거치몸체, 수납면, 거치면, 지지체, 조명부, 제1,2절첩면, 거울, 광고부, 제1,2손잡이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케이스{CASE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고리, 목걸이, 반지, 팔찌, 발찌 등의 고가의 액세서리를 내부에 고정거치 함과 동시에, 제품을 디스플레이함으로 인해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용이하게 휴대 및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액세서리는 부대(附帶) 또는 종속(從屬)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면 드레스 액세서리는 모자, 백, 장갑, 구두, 장신구를 말하며, 구미(歐美)의 업계에서는 네글리제, 코르셋, 란제리 등도 여기에 포함시킨다. 또 카메라 액세서리라고 하면, 교환 렌즈, 필터, 어태치먼트, 릴리스 등 각종 카메라 보조물품을 말한다. 최근에는 카액세서리, 룸액세서리 등 액세서리의 개념이 넓어졌는데, 단지 액세서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드레스 액세서리, 즉 복식부속품을 지칭한다.
액세서리를 대별하면 부속품, 장신구, 트리밍(trimming)의 3가지로 분류되며, 협의로는 장신구만을 가리킨다. 부속품에는 머리에 쓰는 모자류, 목에 두르는 목도리 류, 휴대품, 신발류 등이 있고, 장신구에는 머리장식품, 귀고리,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이 있고, 트리밍에는 브레이드, 리본, 단추, 깃털 장식, 모피류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는, 주로 여성들이 자신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신변에 착용하는 것으로 개개인 마다 반지나 목걸이, 귀걸이 등의 다양한 종류와 많은 수의 액세서리를 소유하고 있는바, 이와 같은 액세서리는 대부분 고가이고 크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있어 그 취급 및 보관에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므로 각각 소정의 케이스를 구비하여 그 내부에 상기의 액세서리를 수납 및 보관하여 왔다.
근래에는, 액세서리를 판매 및 홍보의 목적으로 내부에 다양한 액세서리를 거치한 채로, 제품과 아울러 제품이 진열된 케이스도 고급화하여 효과적으로 제품을 노출하기 위해, 소비자가 많이 모이는 장소에 진열하여 그에 따른 제품의 이미지 상승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제품을 진열하는 케이스를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 다양한 주변기기들이 동원되어, 진열대의 휴대 및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양한 주변기기들이 동원된 진열대는 그 설치 및 해체가 번거롭고, 비용이 고가여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사용상의 문제와 경제적 비용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액세서리를 진열하는 진열대는 운반시 수납된 액세서리들이 상호 충돌하여 액세서리가 파손되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할 정도록 뒤엉켜 액세서리의 수명을 단축하고 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액세서리는 그 크기가 각각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케이스 내부에 보관된 액세서리라도 각각 다른 방식으로 보관하거나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심하게 유동 되지 않도록 보관하지 않으면 액세서리가 상호 충돌하거나 심하게 유동되어 파손되고 뒤엉켜 그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시간에 액세서리가 진열된 진열대를 외부에서 사용시, 전력과 전등을 별도로 구비설치 해야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그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는,
내부에 고가의 다양한 액세서리가 수납되어 그 액세서리를 효과적으로 노출하여 홍보 및 광고효과를 얻고, 제품의 이미지 상승을 도모하면서도,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고가의 다양한 액세서리와 그 액세서리를 부각시킬 수 있는 주변기기를 동시에 간편하게 수납하면서도, 주변기기들의 설치 및 해체 사용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를 부각시킬 수 있는 주변기기를 각각 수납하면서도 휴대이동시 상호 충돌하여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세서리의 수명이 단축되지 않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야간시간에 액세서리가 진열된 진열대를 외부에서 사용시, 액세서리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가능하도록 하면서도, 그 설치 및 사용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는,
액세서리가 고정 되도록 하는 거치면이 구비된 판 형태의 거치몸체와, 액세 서리가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면이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판 형태의 보조몸체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거치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힌지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 상기 거치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거치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액세서리에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몸체는, 상기 거치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거치면과 대항 되는 상기 거치몸체의 후면에 형성된 수납면과, 상기 수납면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거치면에 탈착 거치 가능하도록 된 다수개의 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면은, 상기 거치대가 수납되는 수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면은, 상기 거치대가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끼움홈에 끼움 결합 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를 휴대이동할 수 있게 파지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가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 상부에 힌지로 연결된 한 쌍의 상부지지체와, 상기 몸체부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바퀴가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 하부에 힌지로 연결된 하부지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지지체는, 단부에 회동 되도록 돌출형성된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거치몸체와 상호 밀착결합 되도록 상기 체결돌기와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액세서리에 빛을 발산하는 조명등과, 상기 조명등의 조명 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하부에 연장형성된 결합핀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결합핀이 끼움 결합 되 도록 하는 결합공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거치몸체는,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가 절첩 되도록 하는 연질의 제1절첩면과, 상기 거치몸체의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파지하여 휴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손잡이와, 상기 거치몸체가 절첩시 절첩된 상태를 체결 및 해제하는 체결홈 및 체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거치몸체와 상기 거치몸체 양측 수직테두리에 연장형성된 상기 보조몸체를 상호 연결하면서 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와 상기 보조몸체가 상호 절첩 되도록 하는 연질의 제2절첩면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거치몸체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장형성되어, 광고내용을 게시할 수 있는 광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거치몸체에는, 사용자가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이 수납가능하고, 상기 보조몸체는, 상기 거치몸체에서 상기 거울을 인출하여, 그 거울을 상기 보조몸체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거울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울 하부에는, 상기 거울결합홈에 끼움 고정되는 거울결합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고가의 다양한 액세서리를 진열함과 동시에 홍보 및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품의 이미지 상승을 도모하면서도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는, 야간시간에 액세서리를 진열함에 있어, 액세서리를 부각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조명등이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 가능함과 동시에 조명등을 별도의 수납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수납 사용이 가능함에 따른 비용절감의 경제적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는,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액세서리 및 액세서리를 부각시킬 수 있는 조명등과, 사용자가 액세서리를 착용 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거울 등을 간편하게 수납한 후, 인출하여 사용하면서도, 상호 충돌하여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사용이 용이한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이하의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발명인은 고가의 다양한 액세서리를 진열함과 동시에 홍보 및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품의 이미지 상승을 도모하면서도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액세서리와 조명등, 거울, 광고도구 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야간시간에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분리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며, 도 5는 본 발 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6a,b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실시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실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구성을 살펴보면, 직사각형태를 갖는 몸체부(100)는, 직사각 판 형태의 거치몸체(110)와, 상기 거치몸체(110)와 대응된 크기로 일측 테두리가 연결된 채로 절첩 되는 보조몸체(120, 120')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직사각의 판 형태로 된 상기 거치몸체(110)는, 상기 거치몸체(110)가 수직으로 양분되어, 양분된 곳에 제1절첩면(160)을 두어 양분된 상기 거치몸체(110)를 연결하여, 상기 거치몸체(110)가 상호 연결된 채로 절첩 되도록 한다.
이어서, 직사각의 판 형태로 된 상기 거치몸체(110) 양측 테두리에 연결된 채로 연장형성된 상기 보조몸체(120, 120')는, 상기 거치몸체(110) 양측 테두리를 기준으로 각각 회동 되어 상기 거치몸체(110)에 겹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몸체(110)와 각각의 상기 보조몸체(120, 120') 사이에는, 상기 거치몸체(110)와 양측의 상기 보조몸체(120, 120')가 상호 연결된 채로 절첩 되도록 하는 제2절첩면(170, 170')이 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기 보조몸 체(120, 120')가 용이하게 절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몸체부(100)는, 합성수지 및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2절첩면(160, 170, 170')을 통해 용이하게 절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몸체(110)의 일면에는 액세서리(50)가 고정 되도록 하는 거치면(13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몸체(120, 120')에도 액세서리(50)가 고정 되도록 하는 거치면(1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면(130, 130')에는, 액세서리(50)를 직접 거치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거치대(105)를 구비하여 상기 거치대(105)를 상기 거치면(140, 140')에 먼저 거치한 후, 상기 거치대(105)에 상기 액세서리(50)를 거치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거치면(130, 130')에는, 상기 거치대(105)가 끼움 결합 되도록 하는 끼움홈(115)이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105)는 상기 끼움홈(115)에 끼움 결합 되는 결합돌기(107)를 갖는다.
또한, 상기 거치몸체(110)의 거치면(130)을 상기 거치몸체(110)의 전면이라 볼때, 상기 거치몸체(110)의 거치면(130)과 대항되는 상기 거치몸체(110)의 후면에는, 상기 거치대(105)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면(140)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면(140)에는, 상기 거치대(105)가 수납되는 홈인 다수 개의 수납홈(14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거치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힌지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11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 상기 거치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몸체부(100)를 휴대이동할 수 있게 파지가능하도록 하는 제1손잡이(215, 215')가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110) 상부에 힌지로 연결된 한 쌍의 상부지지체(210, 210')와, 상기 몸체부(100)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바퀴(225, 215')가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110) 하부에 힌지로 연결된 하부지지체(220, 22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는, 단부에 회동 되도록 돌출형성된 체결돌기(222, 222')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몸체(120)는,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호 밀착결합 되도록 상기 체결돌기(222)와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몸체(110)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부지지체(210, 210')와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110)를 지지하는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상기 거치몸체(110)는 상하를 무시하고 세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기 보조몸체(120, 120')를 겹친 후, 휴대 및 이동할 경우, 상기 바퀴(225, 225')가 구비된 하부지지체(220, 220')가 지면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는, 일단에 회동 되도록 돌출형성된 체결돌기(222, 222')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몸체(120)는,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호 밀착결합 되도록 상기 체결돌기(222)와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122)이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몸체(120)와 상기 거치몸체(110)가 견고하게 겹쳐진 채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를 상기 거치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 거치몸체(110)를 세울 경우, 상기 체결돌기(222, 222')를 외부로 회동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돌기(222, 222')가 지면에 닿으면서 상기 거치몸체(110)를 좀더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거치몸체(110)의 중심에는 상기 몸체부(100)를 파지하여 휴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손잡이(19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215, 215')는, 상기 몸체부(100)를 종 방향으로 하여 이동가능한 것이고, 상기 제2손잡이(190)는, 상기 몸체부(100)를 횡 방향으로 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조몸체(120, 120')의 상부에 탈착되고, 상기 거치몸체(110)에 수납되는 조명부(300)는, 야간에 또는 낮 시간에도, 상기 액세서리(50)를 비추어 액세서리(50)를 부각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조명부(300)가 상기 보조몸체(120, 120') 상부에 거치 된 채로 상기 액세서리(50)를 비추게 된다.
이어서,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액세서리(50)에 빛을 발산하는 조명등(310)과, 상기 조명등(310)의 조명 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과, 상기 지지프레임(320) 하부에 연장형성된 결합핀(33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몸체(120, 120')는, 상기 결합핀(330)이 끼움 결합 되도록 하는 결합공(125, 125')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300)는, 상황에 따라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류를 인가받거나,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치몸체(110)는,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110)가 절첩 되도록 하는 연질의 제1절첩면(160)과, 상기 거치몸체(110)의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100)를 파지하여 휴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손잡이(190)와, 상기 거치몸체(110)가 절첩시 절첩된 상태를 체결 및 해제하는 체결홈(119) 및 체결돌기(1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기 거치몸체(110) 양측 수직테두리에 연장형성된 상기 보조몸체(120, 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기 보조몸체(120, 120')가 상호 절첩 되도록 하는 연질의 제2절첩면(170, 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1,2절첩면(160, 170, 170')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신축성을 갖기 때문에, 상기 거치몸체(110)와 보조몸체(120, 120')가 상호 간편하게 절첩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거치몸체(110)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장형성되어, 광고내용을 게시할 수 있는 광고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거치몸체(110)에는, 사용자가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180)이 수납가능하고, 상기 보조몸체(120)는, 상기 거치몸체(110)에서 상기 거울(180)을 인출하여, 그 거울(180)을 상기 보조몸체(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거울결합홈(126)을 포함하고, 상기 거울(180) 하부에는, 상기 거울결합홈(126)에 끼움 고정되는 거울결합핀(182)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거치몸체(110)의 수납홈(145)에는, 상기 조명부(300)와, 거치대(105), 광고부(180), 거울(185)을 모두 수납하여 보관 가능하고, 상기 몸체부(100)를 펼쳐서 액세서리(50)를 진열시 상기 수납홈(145)에서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홈(145)에, 상기 조명부(300)와, 거치대(105), 광고부(180), 거울(185)을 보관시에는, 상기 조명부(300)와, 거치대(105), 광고부(180), 거울(185)을 끈이나 고정핀으로 고정하여, 상기 수납홈(145)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사용실시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거치몸체(110)에 구비된 체결돌기(117)와 체결홈(119)에 의해 체결되어 절첩 상태로 고정된 몸체부(100)를, 상기 체결돌기(117)에서 체결홈(119)를 해제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절첩을 해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절첩이 해제되면, 상기 거치몸체(100)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1절첩면(160)에 의해 상기 거치몸체(100)가 평면의 사각 판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거치몸체(100) 양측 테두리에 제2절첩면(170, 170')을 통해 연결되어 연장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거치몸체(100)에 절첩된 상태인 상기 보조몸체(120, 120')를 해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거치몸체(110) 상부에 형성된 상부지지체(210, 210')를 회동하고, 상기 거치몸체(110) 하부에 형성된 하부지지체(220, 220')의 체결돌 기(222, 222')를 상기 보조몸체(120, 120')의 끼움홈(122, 122')에서 체결해제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의 체결돌기(222, 222')가 상기 보조몸체(120, 120')의 끼움홈(122, 122')과 체결해제되면,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는, 상기 체결돌기(222, 222')에 일측 테두리가 힌지로 연결된 채로 회동 된다.
이렇게,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가 상기 보조몸체(120, 120')에서 일측이 연결된 채로 회동 되면, 상기 보조몸체(120, 120')는 상기 거치몸체(110)와 제2절첩면(170, 170')이 연결된 채로 회동 되어 펼쳐지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몸체(110)와 보조몸체(120, 120')가 상호 펼쳐진 채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 상기 상부지지체(210, 210')와 하부지지체(220, 220') 가운데 상기 거치몸체(110) 세워진 상태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부(200)가 상기 거치몸체(110)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가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부(100)를 지지할 경우, 상기 체결돌기(222, 222')가 지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의 몸체부(100) 지지를 도와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지지구조를 갖기 때문에, 어느 쪽이 하부에 놓여도 상관없다.
이어서, 상기 보조몸체(120, 120') 수납면(140)의 수납홈(145)에서 거치대(105)를 인출하여, 상기 거치면(130, 130')의 끼움홈(115)에 끼워 고정거치한 후 거치대(105)의 종류 및 형태에 맞도록 상기 액세서리(50)를 진열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수납홈(145)에 수납되어 있던 조명부(300)를 인출하여, 상기 조명부(300)의 결합핀(330)을 상기 보조몸체(120, 120')의 결합공(215, 125')에 고정거치한 채로, 상기 거치대(105)에 진열된 액세서리(50)를 비추어 액세서리(50)를 부각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수납홈(145)에 수납되어 있던 거울(185)를 인출하여, 상기 거울(185)의 거울결합편(187)을 상기 보조몸체(120')의 거울결합홈(126)에 고정거치 한 후, 사용자가 진열된 액세서리(50)를 착용시 상기 거울(185)을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납홈(145)에 수납되어 있던 광고부(180)를 인출하여, 상기 거치몸체(110)에 고정거치 하여 광고효과를 창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고부(180)는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그에 맞는 광고를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145)에는 상기 몸체부(100)에 거치 되는 물건 이외에 상기 액세서리(50)를 진열함에 있어, 배터리, 콘센트 등 필요한 다양한 물건을 수납가능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액세서리(50)는, 종류와 형태에 따라, 상기 거치대(105) 없이 상기 거치면(130, 130')에 직접 거치할 수 있다.
이렇게, 진열이 끝나게 되면, 상기 액세서리(50)와 광고부(180), 조명부(300), 거울(185) 등을 상기 몸체부(100)에서 분리하여, 다시 상기 수납면(140)에 수납하고, 이때, 상기 수납홈(145)에는 상기 액세서리(50)와 광고부(180), 조명 부(300), 거울(185) 등을 유동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끈이나 고정핀 등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수납홈(145)에 물건들이 수납되면, 상기 거치몸체(110)와 보조몸체(120, 120')를 상기 제1,2절첩면(160, 170, 170')을 기준을 절첩 한 후, 상기 지지부(200)를 회동하여 상기 몸체부(100)와 상호 체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몸체부(100)가 접첩 된 채로 고정되면, 상기 지지부(200)에 형성된 상기 제1손잡이(215, 215')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몸체부(100)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상기 바퀴(225)를 지면에 닿도록 하여 용이하게 휴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황에 따라 상기 거치몸체(110)에 구비된 상기 제2손잡이(190)를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몸체부(100)를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 들어서 휴대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손잡이(190)는, 손으로 파지시 사용자가 잡기 편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유동 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분리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실시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다른 실시를 나타낸 실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Claims (7)

  1. 액세서리(50)가 고정 되도록 하는 거치면(130)이 구비된 판 형태의 거치몸체(110)와, 액세서리(50)가 고정되도록 하는 거치면(130')이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110) 양측으로 연장형성된 판 형태의 보조몸체(120, 120')를 갖는 몸체부(100)와;
    상기 거치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힌지로 연결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11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면 상기 거치몸체(11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와;
    상기 거치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액세서리(50)에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부(30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몸체부(100)를 휴대이동할 수 있게 파지가능하도록 하는 제1손잡이(215, 215')가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110) 상부에 힌지로 연결된 한 쌍의 상부지지체(210, 210')와, 상기 몸체부(100)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바퀴(225)가 구비되면서, 상기 거치몸체(110) 하부에 힌지로 연결된 하부지지체(220, 22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지지체(220, 220')는, 단부에 회동 되도록 돌출형성된 체결돌기(222, 222')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몸체(120, 120')는,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호 밀착결합 되도록 상기 체결돌기(222, 222')와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122, 1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몸체(110)는,
    상기 거치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거치면(130)과 대항 되는 상기 거치몸체(110)의 후면에 형성된 수납면(140)과, 상기 수납면(140)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거치면(130, 130')에 탈착 거치 가능하도록 된 다수개의 거치대(105)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면(140)은, 상기 거치대(105)가 수납되는 수납홈(145)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면(130, 130')은, 상기 거치대(105)가 끼움 결합 되는 끼움홈(115)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105)는, 상기 끼움홈(115)에 끼움 결합 되는 결합돌기(10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300)는,
    상기 액세서리(50)에 빛을 발산하는 조명등(310)과, 상기 조명등(310)의 조명 각도를 조절함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0)과, 상기 지지프레임(320) 하부에 연장형성된 결합핀(330)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몸체(120, 120')는,
    상기 결합핀(330)이 끼움 결합 되도록 하는 결합공(125, 125')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몸체(110)는,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110)가 절첩 되도록 하는 연질의 제1절첩면(160)과, 상기 거치몸체(110)의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100)를 파지하여 휴대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손잡이(190)와, 상기 거치몸체(110)가 절첩시 절첩된 상태를 체결 및 해제하는 체결홈(119) 및 체결돌기(1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기 거치몸체(110) 양측 수직테두리에 연장형성된 상기 보조몸체(120, 120')를 상호 연결하면서 형성되어, 상기 거치몸체(110)와 상기 보조몸체(120, 120')가 상호 절첩 되도록 하는 연질의 제2절첩면(170, 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거치몸체(110)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장형성되어, 광고내용을 게시할 수 있는 광고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몸체(110)에는,
    사용자가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185)이 수납가능하고,
    상기 보조몸체(120')는,
    상기 거치몸체(110)에서 상기 거울(185)을 인출하여, 그 거울(185)을 상기 보조몸체(120')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거울결합홈(126)을 포함하고,
    상기 거울(185) 하부에는,
    상기 거울결합홈(126)에 끼움 고정되는 거울결합핀(187)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케이스.
KR1020090021130A 2009-03-12 2009-03-12 디스플레이 케이스 KR100921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130A KR100921886B1 (ko) 2009-03-12 2009-03-12 디스플레이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130A KR100921886B1 (ko) 2009-03-12 2009-03-12 디스플레이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886B1 true KR100921886B1 (ko) 2009-10-13

Family

ID=4157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130A KR100921886B1 (ko) 2009-03-12 2009-03-12 디스플레이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974A (ko) *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프럼어스 물품 전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982U (ja) * 1998-09-25 1999-06-08 株式会社プラスエージェンシー ピアススタンド
KR20060033693A (ko) * 2004-10-15 2006-04-19 서경종 장식물 케이스
KR200418506Y1 (ko) * 2006-03-14 2006-06-14 이승한 악세사리 보관대
KR100791593B1 (ko) * 2006-08-31 2008-01-03 신명글로빅스 주식회사 라이터용 진열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7982U (ja) * 1998-09-25 1999-06-08 株式会社プラスエージェンシー ピアススタンド
KR20060033693A (ko) * 2004-10-15 2006-04-19 서경종 장식물 케이스
KR200418506Y1 (ko) * 2006-03-14 2006-06-14 이승한 악세사리 보관대
KR100791593B1 (ko) * 2006-08-31 2008-01-03 신명글로빅스 주식회사 라이터용 진열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974A (ko) *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프럼어스 물품 전시장치
KR102577222B1 (ko) * 2021-03-02 2023-09-11 주식회사 프럼어스 물품 전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5586A1 (en) Reconfigurable magnetic display fixture and system
USD643724S1 (en) Perfume container
US850575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80279774A1 (en) Storage organizer
US20130334271A1 (en) System and article for displaying removable decorative articles on back pack straps
KR100921886B1 (ko) 디스플레이 케이스
US8622204B2 (en) Jewelry display stand
CN207653933U (zh) 一种珠宝首饰陈列展示托盘
KR101041360B1 (ko) 접이식 화환
US7306096B2 (en) Storage and display case for wristwatch and accessories
WO2005110165A1 (en) Merchandising tray
KR101719449B1 (ko) 액세서리용 케이스
KR200475427Y1 (ko)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CN202537031U (zh) 衣饰架
CN216962003U (zh) 一种多功能珠宝首饰陈列保管盒
KR20130090617A (ko) 가방 걸이장치
KR20130134068A (ko) 족자형 쌀 화환
JP6757358B2 (ja) 伸縮性リング付きストラップの取付け保持方法、掛け部材付き着類、掛け部材付き携行収納体、包装体、リング掛け部材の陳列方法並びにリング掛け部材
KR20110024735A (ko) 조립식 화환
CN210095262U (zh) 一种发声发光便携可移动展示销售柜
CN208550756U (zh) 一种装饰手表用展示柜
JP2023029169A (ja) イベント用発光具の展示用具
TWD198184S (zh) 飾品
CN206506571U (zh) 一种简易的手机架
CN203682043U (zh) 一种蓝牙耳机展示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