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427Y1 -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 Google Patents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427Y1
KR200475427Y1 KR2020120011263U KR20120011263U KR200475427Y1 KR 200475427 Y1 KR200475427 Y1 KR 200475427Y1 KR 2020120011263 U KR2020120011263 U KR 2020120011263U KR 20120011263 U KR20120011263 U KR 20120011263U KR 200475427 Y1 KR200475427 Y1 KR 200475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display
display unit
body portion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535U (ko
Inventor
백정란
Original Assignee
백정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정란 filed Critical 백정란
Priority to KR2020120011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42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4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81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 A47F5/0087Show stands or display racks with movable parts movable around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92Suspended show stands, e.g. secured to the ceiling by means of cord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구비된 걸이구에 걸려지는 걸이수단을 가지며, 횡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악세사리 수납공간을 가지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감겨지거나 상기 몸체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펼쳐지는 두루마리 형태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 장착부를 가지는 전시부; 를 포함하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APPARATUS FOR BOTH DISPLAY AND STORAGE ACCESSARY}
본 고안은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에 관한 것으로,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구비된 걸이구에 간편하게 걸어 설치한 후 머리띠, 머리끈, 머리핀, 귀걸이 및 반지 등의 악세사리를 간편하게 장착하여 보기 좋게 전시하거나 필요시 별도의 보관함 없이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두루마리 형상을 가지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리띠, 머리끈, 머리핀, 귀걸이 및 반지 등의 여성용 악세사리는 종이나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전시대에 물품별로 구분하여 진열하게 된다.
이러한 여성용 악세사리들은 전시대에 진열되는 모양 및 정돈 여부에 따라 그 상품성과 구매자의 구매욕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종래의 전시대는 머리띠와 귀걸이 등 진열방법이 다른 각각의 물품별로 전시대를 각각 마련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전시대의 진열 모양 및 상품의 정돈 여부가 통일되지 않아 그 상품성과 구매자의 구매욕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시대는 사용을 중단하고 보관하는 경우 전시대가 그 부피만큼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시되는 상품 이외에 새 제품과 같이 여분의 상품을 보관하거나 별도의 개인 용품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전시대 이외에 별도의 보관함을 더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설치가 용이하며, 하나의 전시대로 진열방법이 다른 여러 악세사리를 동시에 진열하여 전시대의 진열 모양 및 상품의 정돈 여부를 통일시켜 그 상품성과 구매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관이 용이하며, 여분의 상품이나 별도의 개인 용품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는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구비된 걸이구에 걸려지는 걸이수단을 가지며, 횡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기 몸체부의 둘레에 감겨지거나 상기 몸체부에서 하측으로 길게 펼쳐지는 두루마리 형태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 장착부를 가지는 전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단면에는 악세사리에 장착된 고리가 걸려지는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 걸이공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일 단면에 악세사리 수납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세사리 수납공에는 내부의 악세사리 수납공간이 폐쇄되도록 마개가 결합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는 일 단면에 상기 악세사리 수납공에서 외주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개홈을 가지며, 상기 절개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 걸이공이 형성된 악세사리 전시판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는 상기 전시부에 일단이 고정 부착되고 타단은 탈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전시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띠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시부에는 상기 전시부를 상기 몸체부에 감은 상태에서 고정 고무줄을 걸어 상기 전시부가 펼침방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 단추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걸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머리띠, 머리끈, 머리핀, 귀걸이 및 반지 등의 진열방법이 다른 여러 악세사리를 각각의 악세사리 장착부에 동시에 진열하여 전시대의 진열 모양 및 상품의 정돈 여부를 통일시켜 그 상품성과 구매자의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시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몸체부에 전시부를 감아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이 용이할 뿐 아니라, 두루마리 형상으로 되므로 친숙하고도 깔끔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몸체부의 악세사리 수납공간을 이용하여 전시되는 상품 이외에 새 제품과 같은 여분의 상품을 보관하거나 별도의 개인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의 몸체부의 일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의 전시부를 몸체부에 감아 고정시킨 상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의 몸체부에 악세사리 전시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의 몸체부와 악세사리 전시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부가 위치하는 부분을 상부 방향으로, 전시부가 펼쳐지는 방향을 하부 방향으로,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지칭하여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1)는 진열방법이 다른 각각의 악세사리를 하나의 전시대에 간편하고 보기 좋게 장착하여 진열하거나, 전시되는 상품 이외에 새 제품이나 별도의 개인 용품을 내부에 수납하기 위한 도구이다.
상기의 악세사리는 예컨대 머리띠(110), 머리끈(140), 머리핀(130), 귀걸이(120) 및 반지(미도시) 등이 있으며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악세사리가 상기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의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1)는 일반적으로 악세사리 등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상점에서 외부 상품 전시용으로 활용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향상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 피팅룸과 같은 공간에 설치하여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등 그 사용 범위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1)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악세사리 수납공간(12)을 가지는 몸체부(10)와, 몸체부(10)에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하여 펼쳐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몸체부(10)의 둘레에 감아 보관할 수 있는 전시부(20)를 포함한다.
이때, 전시부(20)는 복수의 악세사리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띠와 2개의 포켓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띠와 포켓의 구조 및 작용에 대해서는 아래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10)는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원기둥 형상의 스티로폼(11)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스티로폼(11)의 표면에 커버시트(15)를 씌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커버시트(15)는 통일감을 가지도록 전시부(20)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색상 및 재질의 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몸체부(10)의 둘레 면에는 필요한 개수만큼의 머리띠(110)를 강제로 끼움 결합시켜 전시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0)의 일 단면에는 귀걸이(120)와 같이 고리가 장착된 복수의 악세사리가 걸려 전시될 수 있도록 복수의 악세사리 걸이공(17)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의 타 단면에는 내부의 악세사리 수납공간(12)에 전시되는 상품 이외에 새 제품으로서 반지나 머리핀(130)과 같은 소형 악세사리나 별도의 개인 용품을 넣어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악세사리 수납공(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악세사리 수납공(13)에는 소형 악세사리를 수납한 후 내부의 악세사리 수납공간(12)을 폐쇄하기 위한 마개(14)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는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구비된 걸이구에 걸려 지지되도록 걸이수단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수단은 몸체부(10)의 후방에 형성되는 걸이홈(미도시)일 수 있다. 상기 걸이홈은 몸체부(10) 및 전시부(20)가 충분히 지지되도록 하나의 걸이홈을 길이방향의 장홈으로 형성하거나, 2개 이상의 걸이홈을 동일 수평선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걸이홈은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구비된 각각의 걸이구에 걸어 몸체부를 지지하게 된다.
몸체부(10)의 하단으로 전시부(20)가 결합되어 있다. 몸체부(10)와 전시부(20)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은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들의 결합 수단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며, 벨크로, 후크, 고무밴드 등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전시부(20)는 여러 개의 악세사리를 장착하거나 수납하여 전시하기 위한 악세사리 장착부로서의 복수의 띠(22) 및 포켓(23, 24)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띠(22) 및 포켓(23, 24)은 전시부(20)에서 몸체부(10)의 둘레면 한바퀴에 해당하는 길이(L)를 기준으로 각각 구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악세사리 장착부의 진열 모양을 보기 좋게 하면서 몸체부(10)에 전시부(20)를 감았을 때 띠(22) 및 포켓(23, 24)이 구겨지는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악세사리 장착부로서의 띠는, 일단(22a)이 전시부(20)에 접착제나 바느질에 의해 고정 부착되고, 타단(22b)은 탈부착수단에 의해 전시부(20)로부터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부착수단은 전시부(20) 및 띠(22)의 타단(22b)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뜯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22c)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 테이프(22c)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전시부(20) 및 띠(22)의 타단(22b)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도트단추(미도시) 등 다른 구조로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띠(22)가 전시부(20)에 대해 수평방향을 따라 부착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시 띠(22)는 전시부(20)에 대해 수직방향이나 대각선 방향 등으로 부착할 수 있는 등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띠(22)는 띠(22)의 타단(22b)을 전시부(20)에서 분리하여 그 둘레에 고무줄이나 머리끈을 끼운 후 다시 탈부착수단을 이용하여 띠(22)의 타단(22b)을 전시부에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동작될 수 있다.
악세사리 장착부로서의 포켓(23, 24)은 상단면(23a, 24a)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부분인 전시부(20)에 접착 또는 바느질에 의해 단단히 부착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반지, 귀걸이, 머리핀(130) 및 머리끈과 같은 소형 악세사리를 수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 포켓(23, 24)의 개방면이 상단면(23a, 24a)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포켓은 일 단면이 개방될 수 있는 등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각의 포켓(23, 24)의 길이 및 높이는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포켓(23, 24)의 적어도 내측 부분은 내부에 수납된 악세사리가 어떤 제품인지 꺼내지 않고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시트(23b, 24b)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필요시 포켓(23, 24) 전체를 투명시트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전시부(20)에는 머리빗(25')의 손잡이를 걸 수 있는 머리빗걸이(25)가 부착되어 있다. 머리빗걸이(25)는 머리빗의 손잡이 부분만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서, 이는 머리빗(25')의 크기를 고려할 때 최하단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시부(20)에는 전시부(20)를 몸체부(10)에 감은 상태에서 펼침이 방지되도록 전시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 단추(31, 32)가 형성된다. 이 고정 단추(31, 32)에 고정 고무줄(33)을 걸어 전시부(20)가 몸체부(10)게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고정 고무줄(33)을 이용하여 고정을 시킴으로 인하여 내부에 머리띠 등이 수납된 상태에서도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지고 이를 감긴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스티로폼(11)의 일 단면에는 악세사리 수납공(13)에서 상측 외주면까지 연장되게 수직으로 절개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개홈(16)에는 평판 형상으로 된 악세사리 전시판(40)이 결합될 수 있다.
악세사리 전시판(40)은 절개홈(16)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적정한 길이를 절개홈(16)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악세사리 전시판(40)은 그 둘레에 고무줄이나 머리끈(140) 등을 끼워 결합시킬 수 있으며, 표면에는 귀걸이(120)와 같이 고리가 장착된 악세사리가 걸리도록 복수의 악세사리 걸이공(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시부(20)는 악세사리 장착부로서 2개의 띠(22')와 3개의 포켓(23', 24')을 가질 수 있다. 포켓(23' 24') 중 일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띠(22')와 포켓(23', 24')에는 미려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레이스(50)와 같은 장식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때, 띠(22')는 표면 전체에 레이스(50a)를 부착시킬 수 있으나, 포켓(23', 24')의 경우에는 내부에 수납된 악세사리가 밖에서 잘 보이도록 내측 부분의 투명시트를 제외한 둘레 부분에만 레이스(50b, 50c, 50d)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10)의 걸이수단은 몸체부(10)의 스티로폼(11)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지지되는 지지부(51)와, 지지부(51)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길게 연장됨으로써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구비된 걸이구에 걸려 지지되는 고리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리부(52)는 필요시 지지부(51)의 타단과도 연결되어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설치된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의 전시부(20)는 악세사리 장착부로서 3개의 띠(220)와 상측 개방면(231a, 232a, 240a)을 가지는 4개의 포켓(230, 240)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띠(220)와 포켓(230, 240) 중 일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띠(220)는 중앙에 바느질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수직 고정부(223)를 가지며, 이 수직 고정부(223)를 기준으로 좌우 2개의 소형띠(221, 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우 2개의 소형띠(221, 222)는 각각의 단부(221a, 222a)가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 또는 도트단추와 같은 탈부착수단에 의해 전시부(2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포켓(230, 240)은 전시부(20)에서 몸체부(10)의 둘레면 한바퀴에 해당하는 길이(L)에 한 개가 형성되거나 작은 높이로 2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켓(230) 중 일부는 앞선 띠와 같이 중앙에 바느질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된 수직 고정부(233)를 가지며, 이 수직 고정부(233)를 기준으로 각각의 상측 개방면(231a, 232a)을 가지는 좌우 2개의 소형포켓(231, 2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10 ; 몸체부 11 ; 스티로폼
12 ; 악세사리 수납공간 13 ; 악세사리 수납공
14 ; 마개 15 ; 커버시트
16 ; 절개홈 17, 41 ; 악세사리 걸이공
20 ; 전시부 22, 222 ; 띠
23, 24, 230, 240 ; 포켓 31, 32 ; 고정 단추
33 ; 고정 고무줄 40 ; 악세사리 전시판
50 ; 레이스 110 ; 머리띠
120 ; 귀걸이 130 ; 머리핀
140 ; 머리끈

Claims (6)

  1. 상품진열대 또는 벽면에 구비된 걸이구에 걸려지는 걸이수단을 가지며, 횡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너비만큼의 폭을 가지면서 몸체부로부터 하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두루마리 형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 장착부를 구비하는 전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악세사리 장착부에 악세사리가 장착된 상태로 전시부가 몸체부에 감기면 악세사리가 컴팩트하게 수납 보관될 수 있고,
    악세사리 장착부에 악세사리가 장착된 상태로 전시부가 몸체부로부터 펼쳐지는 즉시 악세사리가 진열 전시될 수 있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 단면에는 악세사리에 장착된 고리가 걸려지는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 단면에 악세사리 수납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세사리 수납공에는 내부의 악세사리 수납공간이 폐쇄되도록 마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 단면에 상기 악세사리 수납공에서 외주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절개홈을 가지며, 상기 절개홈에는 적어도 하나의 악세사리 걸이공이 형성된 악세사리 전시판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겸용 보관 전시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사리 장착부는
    일단은 상기 전시부에 고정 부착되되 타단은 탈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전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띠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부에는 상기 전시부를 상기 몸체부에 감은 상태에서 고정 고무줄을 걸어 상기 전시부가 펼침방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 단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KR2020120011263U 2012-12-04 2012-12-04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KR200475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263U KR200475427Y1 (ko) 2012-12-04 2012-12-04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263U KR200475427Y1 (ko) 2012-12-04 2012-12-04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35U KR20140003535U (ko) 2014-06-12
KR200475427Y1 true KR200475427Y1 (ko) 2014-12-01

Family

ID=5244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263U KR200475427Y1 (ko) 2012-12-04 2012-12-04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42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060A (en) * 1973-06-12 1975-08-19 Antoine Shammas Jewelry bag
US4735246A (en) * 1986-06-02 1988-04-05 Niehaus Susan A Foldable display and storage receptacle
KR19990037117U (ko) * 1999-06-25 1999-10-05 안영섭 안경진열대
KR20010038602A (ko) * 1999-10-26 2001-05-15 박주신 머리띠 및 악세사리 보관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060A (en) * 1973-06-12 1975-08-19 Antoine Shammas Jewelry bag
US4735246A (en) * 1986-06-02 1988-04-05 Niehaus Susan A Foldable display and storage receptacle
KR19990037117U (ko) * 1999-06-25 1999-10-05 안영섭 안경진열대
KR20010038602A (ko) * 1999-10-26 2001-05-15 박주신 머리띠 및 악세사리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35U (ko)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5246A (en) Foldable display and storage receptacle
US20140263116A1 (en) Jewelry organizer for storing and displaying jewelry, accessories and the like
US5261529A (en) Earring storage an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5427230A (en) Jewelry holder and organizer
US8915354B1 (en) Device for arranging and storing jewelry having organizing clasps
US8651344B2 (en) Flip-flop hanger
CA2061651C (en) Accessory holding and displaying device
US850575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80279774A1 (en) Storage organizer
US8607970B2 (en) Jewelry detention system and method
US9307847B2 (en) Jewelry deten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114852A1 (en) Apparatu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zing, transporting, and using earrings, jewelry, and similar objects
US7793793B1 (en) Jewelry display holder
US8668080B1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jewelry
US8047410B2 (en) Compact hanging clothing assembly
KR200475427Y1 (ko) 악세사리 보관 겸용 전시대
US20180008074A1 (en) Display and Storage Unit for Hair Piece
KR200459516Y1 (ko) 다목적 와인캐리어
KR20160057871A (ko) 전신 거울용 걸이장치
JP3522919B2 (ja) 商品の陳列台
KR20170112105A (ko) 악세사리 진열 거치용 포장대
US20110108656A1 (en) Half spool
US20120160788A1 (en) Gift bag display
JP6781970B2 (ja) 伸縮性リング付きストラップの取付け保持方法、掛け部材付き着類、伸縮性リング付きストラップとリング掛け部材との組合せ品、リング掛け部材の陳列方法、リング掛け部材並びに掛け部材付き携行収納体
KR20130001746U (ko) 벽걸이형 액세서리 보관꽂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