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294B1 - 리저버 컵 조립체 - Google Patents

리저버 컵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294B1
KR100921294B1 KR1020070105275A KR20070105275A KR100921294B1 KR 100921294 B1 KR100921294 B1 KR 100921294B1 KR 1020070105275 A KR1020070105275 A KR 1020070105275A KR 20070105275 A KR20070105275 A KR 20070105275A KR 100921294 B1 KR100921294 B1 KR 10092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reservoir cup
partition wall
cu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557A (ko
Inventor
김기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2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저버 컵 내측 벽에 형성되는 격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격벽으로 인해서 연료저장공간과 연료공급공간으로 구분되는 리저버 컵, 상기 연료공급공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격벽은 리저버 컵의 외벽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저버 컵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저버 컵에 상기 격벽이 설치된 상기 리저버 컵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리저버 컵, 격벽, 연료공급공간, 연료저장공간

Description

리저버 컵 조립체{Reserver cup assembly}
본 발명은 리저버 컵 내측 벽에 형성되는 격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은 연료를 연소시켜 운전되는 것으로서 차량의 일측에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탱크가 장착되어진다. 그리고 연료탱크 내부에는 저장된 연료를 고압으로 엔진의 딜리버리 파이프로 공급하여 인젝터에서 실린더 내부로 연료가 분사되도록 하는 연료펌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료펌프의 하부에는 연료에 혼합되어 있는 이물질을 여과하여 연료펌프 내부로 이송되지 않게 하여 이물질에 의한 내구성 문제 및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료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료탱크 내에 연료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경사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원활한 연료의 공급을 위해서 리저버 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연료가 안정적으로 공급되기 위해 리저버 컵 안에 항상 연료가 가득 차 있어야 한다. 레귤레이터를 통해 되돌아오는 연료가 노즐을 통과할 때 내경이 작아지므로 압력이 떨어져 외부의 연료가 리저버 컵 안으로 빨려들어 가서 상기 리저버 컵 내부에는 항상 충분한 연료가 차게 된다.
따라서 리저버 컵 내부의 유면 높이는 연료 탱크 내부의 유면 높이보다 높게 된다. 시동 시에는 상기 리저버 컵 내부의 유면 높이가 높아지는 현상이 언제나 유지가 되지만, 시동이 꺼지면 상기 현상은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한다. 상기 시동이 꺼지면 상기 현상 때문에 상기 리저버 컵 내부의 압력이 높아 상기 리저버 컵 안의 연료가 다시 상기 리저버 컵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된다.
이때,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가 충분하다면 상관이 없으나 상기 연료가 충분하지 않다면 상기 리저버 컵 안의 연료가 모자라게 되고, 그로 인해서 엔진 시동 시에 시동이 잘 걸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여 상기 리저버 컵의 용도가 무용지물이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리저버 컵의 내부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였다.
도 1은 리저버 컵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의 위치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체크밸브(20)는 리저버 컵(10) 내부의 유면이 외부보다 낮을 때 열림 동작을 하여 연료의 유입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리저버 컵(10) 내부의 유면이 외부보다 높을 때에는 닫힘 동작을 하여 상기 리저버 컵(10) 내의 연료가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체크밸브는 리저버 컵 바닥에 설치되어 있고, 크기도 매우 작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난해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크밸브가 고장이나 문제가 발생하여 수리를 위해 커버, 펌프모듈을 분리하여 리저버 컵을 다시 분해한 후 바닥에 설치된 작은 밸브를 교체 또는 수리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할 정도로 난해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체크밸브의 열림 동작이나 닫힘 동작을 위해 연결된 힌지부의 강성이 너무 강하면 연료 공급에 원활히 일어나지 않고 너무 약하면 제 기능을 다 못하게 된다는 문제 뿐 아니라, 상기 체크밸브의 개폐가 반복되면 상기 힌지부의 강성이 약해지는 현상도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리저버 컵의 형상을 변경하여 종래에 사용되던 체크밸브를 제거하고 사기 체크밸브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격벽으로 인해서 연료저장공간과 연료공급공간으로 구분되는 리저버 컵, 상기 연료공급공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유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격벽은 리저버 컵의 외벽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저버 컵 조립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격벽 내부에는 유입된 연료가 타고 올라 상기 격벽을 넘을 수 있는 경사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저버 컵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모든 가솔린 차량은 리저버 컵의 연료 저장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체크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격벽이 설치된 상기 리저버 컵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체크밸브의 제조비용과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리저버 컵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플라스틱 성형만 변형하면 되기 때문에 조립이 난해한 상기 체크밸브의 조립과정을 제거되어 상기 리저버 컵의 제작과정이 간단해지고, 상기 체크밸브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의 문제로 인한 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리저버 컵의 내부에 격벽이 설치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에는 연료 펌프에서 리저버 컵(100)으로 연료가 유입되는 연료 유입구(115)에 체크밸브(20)가 설치되어 연료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크밸브(20)를 제거하고 그 위치에 격벽(110)구조를 설치한다. 상기 격벽(110)구조로 인하여 상기 리저버 컵(100)은 연료저장공간(117)과 연료공급공간(112)로 나뉜다. 그러므로 시동시 연료가 리저버 컵(100) 안으로 흡입되면 상기 격벽(110)을 통해 상기 리저버 컵(100) 안에 저장되어 시동이 꺼지게 되어도 항상 일정이상의 연료가 상기 리저버 컵(100) 내부에 있게 된다.
즉, 시동이 꺼지면 상기 리저버 컵(100) 내부 연료의 유면이 외부보다 높아지면서 상기 리저버 컵(100) 내부 연료가 연료 유입구(115)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상기 리저버 컵(100) 내부에 격벽(110)이 형성되므로 상기 격벽(110)의 높이보다 위에 있는 상기 연료와 상기 격벽(110) 내부에 있는 상기 연료는 상기 리저버 컵(100) 외부로 빠져나가고 상기 격벽(110)의 높이보다 아래에 있는 상기 연료저장공간(117) 내부의 상기 연료는 상기 격벽(110)으로 인하여 더 이상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리저버 컵(100) 내부에는 격벽(110)의 높이만큼의 일정량의 연료가 언제나 채워지게 되므로 시동 시에 시동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격벽(110)은 상기 리저버 컵(100)과 사출성형에 의해서 동시에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체크밸브(20)를 조립할 때보다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다. 종래에는 체크밸브(20)를 따로 제작하여 상기 리저버 컵(100)의 하단에 조립을 해야 하는데 상기 조립공정이 난해하였다. 그러나 상기 격벽(110)을 형성함에 따라 조립공정 자체가 단순해지고 그에 따른 원가절감의 효과도 발생한다.
도 3은 리저버 컵의 내측면에 설치된 격벽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격벽(110)은 리저버 컵(100)을 연료공급공간(112)과 연료저장공간(117)으로 나누고, 상기 리저버 컵(10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유입구(115)는 상기 연료공급공간(112)에 포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의 압력차로 인하여 상기 리저버 컵(100) 안으로 빨려 들어온 연료는 상기 격벽(110) 내의 경사로(120)에 부딪혀 상기 경사로(120)를 따라 올라가게 된다.
상기 경사로(120)는 상기 격벽(110)의 아래에서부터 위까지 이어져 연료가 지나갈 수 있는 길이 형성되고, 한 쪽 측면은 상기 리저버 컵(100)의 벽면에 붙어있으며 다른 쪽 측면은 얕은 높이의 난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격벽(110) 내부인 상기 연료저장공간(112)으로 들어온 대부분의 상기 연료는 상기 격벽(110)을 넘어 상기 연료저장공간(117)에 저장되고, 미처 상기 격벽(110)을 넘지 못한 상기 연료는 상기 연료공급공간(112)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공간(112)에 경사로(12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저버 컵(100)에 유입된 연료는 상기 연료공급공간(112)를 먼저 채우지 않고, 상기 연료저장공간(117)을 먼저 채우거나 상기 연료공급공간(112)과 동시에 채우기 때문에 초기 엔진 시동시 필요한 연료를 곧바로 공급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의 (a)는 시동이 켜져 있는 경우에 리저버 컵 안의 연료 유면이 격벽보다 높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시동이 꺼진 경우에 리저버 컵 안의 연료 유면이 격벽 높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리저버 컵(10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격벽(110)의 높이는 엔진의 연료 공급량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리저버 컵(100) 안에서 상기 격벽(110) 구조는 분리된 공간이기 때문에 상기 격벽(110) 높이 이상 채워진 연료와 연료공급공간(112) 내부의 상기 연료는 상기 엔진의 시동이 꺼지면 연료 유입로를 통하여 상기 리저버 컵(100)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지만, 상기 격벽(110) 높이보다 아래에 채워져 있는 연료저장공간(117) 내의 연료는 상기 리저버 컵(100)의 내부에 남아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엔진의 시동에 필요한 연료는 언제나 상기 리저버 컵(100)에 일정량 이상 채워져 있게 되어 연료의 양이 부족한 것으로 인해 시동이 걸리지 않는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고, 이때 시동에 필요한 연료의 양은 상기 격벽(110)의 높이가 조절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리저버 컵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체크밸브의 위치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리저버 컵의 내부에 격벽이 설치된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리저버 컵의 내측면에 설치된 격벽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시동이 켜져 있는 경우에 리저버 컵 안의 연료 유면이 격벽보다 높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는 시동이 꺼진 경우에 리저버 컵 안의 연료 유면이 격벽 높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리저버 컵 110: 격벽
112: 연료공급공간 115: 연료 유입구
117: 연료저장공간 120: 경사로

Claims (2)

  1. 리저버 컵(100)으로서,
    상기 리저버 컵(100) 내부를 연료저장공간(117) 및 연료공급공간(112)으로 구분하고, 상기 리저버 컵(100)의 외벽보다 낮게 형성된 격벽(110);
    상기 연료공급공간(112)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유입구(115); 및
    상기 연료공급공간(112)에 공급된 연료가 상기 격벽(110)을 넘어 상기 연료저장공간(117)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사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저버 컵(100).
  2. 삭제
KR1020070105275A 2007-10-18 2007-10-18 리저버 컵 조립체 KR100921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75A KR100921294B1 (ko) 2007-10-18 2007-10-18 리저버 컵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275A KR100921294B1 (ko) 2007-10-18 2007-10-18 리저버 컵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557A KR20090039557A (ko) 2009-04-22
KR100921294B1 true KR100921294B1 (ko) 2009-10-09

Family

ID=4076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275A KR100921294B1 (ko) 2007-10-18 2007-10-18 리저버 컵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2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415B1 (ko) 2010-01-15 2010-10-06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993A (ja) 1999-03-30 2000-10-10 Honda Motor Co Ltd 燃料供給装置のリザーブ構造
KR20030012606A (ko) * 2001-08-02 200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펌프의 연료 필터 구조
KR20050041518A (ko) * 2003-10-31 2005-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
JP2007186119A (ja) 2006-01-13 2007-07-26 Mitsubishi Motors Corp 燃料タンクのリザーバカッ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2993A (ja) 1999-03-30 2000-10-10 Honda Motor Co Ltd 燃料供給装置のリザーブ構造
KR20030012606A (ko) * 2001-08-02 2003-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펌프의 연료 필터 구조
KR20050041518A (ko) * 2003-10-31 2005-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탱크
JP2007186119A (ja) 2006-01-13 2007-07-26 Mitsubishi Motors Corp 燃料タンクのリザーバカップ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415B1 (ko) 2010-01-15 2010-10-06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펌프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557A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71933A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
JP4402110B2 (ja) 燃料噴射機構
KR101454725B1 (ko) 연료 공급 장치
KR101655655B1 (ko) 차량의 요소수 탱크용 충전제한 통기밸브
KR100921294B1 (ko) 리저버 컵 조립체
US20080245423A1 (en) Fuel supply device
JP2000052791A (ja) 燃料フィ―ドモジュ―ル
CN101718240B (zh) 车辆用燃料供给装置
JP3120335B1 (ja) 燃料タンク
JP2007198208A (ja) 燃料供給装置
KR100681283B1 (ko) 차량용 엘피엘아이 연료시스템의 연료탱크
JP4239685B2 (ja) 燃料供給装置
KR200347003Y1 (ko) 차량의 가스연료 공급장치
CN108058936A (zh) 用于储罐的压力释放装置
US11021361B2 (en) Nozzle guide
JP7395859B2 (ja) 液体燃料用タンク
CN111503353B (zh) 燃油关闭阀
KR100357571B1 (ko) 연료 셧 오프 밸브
KR100398521B1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구조
JP2006226223A (ja)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KR20170139252A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오버플로우 방지 장치
JP2004051038A (ja) 過給油防止バルブ
JP2021008212A (ja) ノズルガイド
GB2419585A (en) Correct fuel filling device
KR102585745B1 (ko) 연료의 역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