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217B1 -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217B1
KR100921217B1 KR1020080059218A KR20080059218A KR100921217B1 KR 100921217 B1 KR100921217 B1 KR 100921217B1 KR 1020080059218 A KR1020080059218 A KR 1020080059218A KR 20080059218 A KR20080059218 A KR 20080059218A KR 100921217 B1 KR100921217 B1 KR 100921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de
information
incom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석
Original Assignee
(주)지디에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5722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212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디에스케이 filed Critical (주)지디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080059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입력되는 주소 데이터와 법적으로 혹은 행정적으로 규정된 주소와의 기재 차이를 보상하여 각기 상이한 주소 체계를 모두 커버하여 주소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세정보 및 소득에 관한 실측정보 수집과 제공에 있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수집된 실측정보를 기반으로 주소단위마다 평균정보를 파생하여 추후에 입력되는 주소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주소정보와 완벽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주소데이터의 최하위주소에 대응하는 평균정보를 제시하여, 주소데이터가 포함되는 최하위 주소범위의 평균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소데이터의 시세정보와 거주자 및 근로자의 소득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어 기존에 일부누락이나 오기 또는 데이터베이스와 불일치로 인해 오류로 취급되던 주소데이터의 활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득추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득 추정, 법정동, 행정동

Description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income}
본 발명은 소득추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입력된 주소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이를 근거로 대응하는 시세정보, 거주자의 소득을 포함하는 부가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주소데이터의 거주자에 대한 부가정보를 간접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원 관리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서 각 회원의 소득을 분석하는 것은 체계적인 회원관리와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해 필수적이며, 특히 이러한 소득 분석을 통해 고소득 집단에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전략적으로 홍보하는 회사에서는 이러한 소득분석 과정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불어, 공공기관의 통계조사와 같이 사회 전반의 흐름과 인구 유동성을 추적하기 위해 시세정보와 일반 가구의 소득 또는 근로자의 소득을 분석하는 조사가 해마다 추진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회원관리나 통계조사에 있어서, 보통 주소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세정보나 회원 혹은 주민의 가구소득 혹은 개인 근로소득과 같은 부가정보를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회원을 관리하는 부서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소데이터를 단순 호출하여 관련 부가정보를 취하는 방식의 자동화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한편, 상기 주소데이터의 주소체계는 지역을 편의상 적당하게 분할하여 공식 문서상에 사용되는 법정동을 일반적인 주소로서 사용하고 있지만, 지방자치체계의 발전과 인구 유동성의 증가로 인해 일정 구역에서 유입 또는 유출되는 인구 규모에 따라 행정 업무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역을 다시 세분화하여 행정동으로서 관리하기도 한다. 즉, 특정 법정동의 인구 증가에 따라 관리 체계의 세분화가 요구될 경우 상기 법정동을 복수의 행정동으로 나누어 관리하며, 반대로 특정 법정동의 인구 감소나 법정동의 너비 정도에 대비하여 인구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 복수의 법정동을 하나의 행정동으로 통합하여 관리하기도 한다. 더불어, 규정된 지역명에서 벗어나 특정 지역군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지명이거나, 일반적인 상위 주소에 해당하는 읍·면·리에 비해 특정 유명 건물의 명칭이나 상공업의 발전과 더불어 공단과 같은 하위주소가 각인되어 상위주소를 대체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명인 상용동도 주소체계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화 시스템은 특정 주소체계에 맞추어 단순히 주소데이터를 천편일률적으로 수집하고 이에 대응되는 부가정보를 매칭시켜 설정함으로써, 주소데이터가 완벽히 일치하는 회원의 소득에 한해서만 실측된 부가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불완전한 주소데이터가 입력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주소데이터의 주소체계와 입력되는 주소데이터의 주소체계가 상이하여 표기방식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실제로 같은 주소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주소로 인식하 여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실측된 부가정보조차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더불어, 일반적으로 같은 단지나 건물동에 위치한 사람들의 수준을 대략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자동화 시스템은 주소체계의 혼재와 무질서한 데이터 관리 등으로 인해 지정된 형식을 이탈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되지 않은 회원에 대해서는 시세나 소득에 대한 어떠한 부가정보도 획득할 수 없는 비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실제로 특정지역에서 사용되는 주소체계와의 차이로 인하여 시세정보나 가구정보와 같은 주소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부가정보가 원활하게 수집되지 못할 뿐 아니라, 실제 같은 주소인데 서로 다른 주소데이터로 취급되어 복수로 주소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불필요한 주소데이터의 복수 입력과 이에 매칭되는 부가정보 역시 중복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소체계의 혼재로 인하여 서로 상이한 주소가 동일한 주소로 인식되거나 동일한 주소가 상이한 주소로서 설정되어 추후에 입력되는 주소데이터에 대응되는 부가정보를 도출할 수 없거나 실제결과와 상이한 결과데이터가 도출되어 부가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입력된 주소데이터와 기설정된 주소데이터가 정확히 일치되는 경우에 한하여 실제로 측정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단순 데이터베이스 기능으로서의 역할만 수행하므로, 사용자가 기설정된 주소데이터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거나 기설정되지 않은 상이한 주소체계의 주소데이터가 입력 되는 경우 어떤 부가정보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서로 다른 주소체계가 혼재하여 도출된 결과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특정 작업에 대하여 단순히 데이터를 수집하여 보존 및 관리하는 것에 그치고, 기설정된 부가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수적인 통계조사나 다른 업무에 활용하기 위한 확장성에 있어서 한계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주소데이터를 근거로 각각의 다양한 주소 체계에 대응하는 주소 데이터로 변환하여 수집한 후 이를 근거로 상기 주소 체계 중 어느 것을 기준으로 검색하더라도 상기 주소데이터에 매칭되는 가구 또는 근로자 소득 및 시세정보로 구성되는 부가정보에 대한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소데이터의 일부누락이나 오류에 따라 실측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벗어나, 오류 주소데이터에 대해서도 기존에 설정된 상기 부가정보를 활용하여 오류 주소데이터의 부가정보를 간접 추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소득추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류 주소데이터로 인해 간접 추정되는 부가정보가 산출된 주소데이터의 주소범위에 대한 결과코드를 제시하여 오류 주소데이터의 오류부분을 판단함과 동시에 획득된 부가정보의 오차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추정소득의 오차를 파악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주소데이터를 일반가구와 직장으로 구분하여 가구소득뿐 아니라 개인소득까지 추정할 수 있도록 하며, 추가적으로 시스템에 설정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더욱 정확한 간접 추정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주소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단위주소로 파싱하고, 상기 단위주소간 상호 종속관계에 따라 상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와 하위주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코드를 생성하는 주소표준화부와, 상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에 매칭되는 시세정보가 기저장된 시세정보 DB부와, 상기 시세정보가 평균 또는 실측정보인지와 평균정보인 경우 상기 평균정보에 대응하는 단위주소의 단위를 나타내는 DE(Data Enrichment) 결과코드를 생성하는 DE 결과코드 생성부와, 상기 주소표준화부로부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범위 내에서 최하위 단위부터 최상위 단위의 주소까지 각 단위주소에 해당하는 단위코드를 근거로 상기 시세정보 DB부를 순차 스캔하고, 최하위 단위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와 매칭되는 시세정보가 있는 경우 실측정보로 획득하며 최하위 단위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와 매칭되는 시세정보가 없는 경우 상위 단위의 주소로 순차 스캔하는 과정에서 각 단위주소에 해당하는 단위코드와 최초 매칭되는 시세정보를 평균정보로 획득하며, 획득된 시세정보를 상기 DE 결과코드 생성부에 제공하여 그로부터 얻은 DE 결과코드를 상기 시세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코드매칭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주소는 법정동, 행정동, 상용동 중 어느 하나의 지역구분 체계에 따라 명칭되는 구역을 의미하며, 상기 단위주소의 단위는 상기 구역의 단위(광역시, 시, 군, 구, 읍, 면, 동, 리, 주번지, 부번지, 건물명, 건물동, 건물호)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위주소는 광역시, 시군구, 읍면동, 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위주소는 주번지와 부번지로 구성되는 일반주택과 건물명, 건물동, 건물호로 구성되는 공동주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코드가 부번지 또는 건물호에 대한 코드일 경우 매칭되는 시세정보는 실측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주소표준화부는 상기 하위주소가 공동주택일 경우 건물명을 건물키워드와 키워드 위치를 근거로 공동주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표준화코드를 상기 공동주택코드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시세정보 DB부는 평형, 시세, 동기본소득, 아파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세정보에 대한 상기 실측정보와 평균정보가 상기 단위코드에 매칭되어 저장된 공동주택 DB부와, 지가, 주택가격,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세정보에 대한 상기 실측정보와 평균정보가 상기 단위코드에 매칭되어 저장된 일반주택 DB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DB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시세, 평형, 동기본소득, 아파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유류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구소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표준화코드가 일반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일반주택 DB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주택가격,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구소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드매칭부는 표준화코드의 자릿수를 근거로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지를 판단하여, 공동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DB부를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매칭부는 공동주택코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공동주택 DB부 또는 일반주택 DB부를 스캔하며, 상기 공동주택 DB부 또는 일반주택 DB부와 상기 단위코드의 매칭시 상기 시세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마다 상기 DE 결과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코드가 시세정보 DB부에 없는 경우 상기 주소표준화부에 상기 표준화코드와 대응하는 다른 주소체계의 표준화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코드가 시세정보 DB부에 없는 경우 상기 표준화코드를 직장에 대한 주소로 판단하여, 표준화코드에 대응하는 평균소득 또는 개인소득 정보가 기설정된 직장 DB부를 호출하여 스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장 DB부는 개인소득 정보를 제공하는 직종 DB부와, 평균소득 정보를 제공하는 업종 DB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드매칭부는 하위주소 중 최하위 단위주소의 단위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직종 DB부로부터 개인소득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개인소득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최하위 단위주소의 단위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업종 DB부를 호출하고 단위코드에서 표준화코드 순서로 상기 업종 DB부를 스캔하여 평균소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소표준화부는 업종, 성, 나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직장 DB부는 업종분류, 성별 및 기설정된 연령대에 대응하는 평균소득 정보를 포함하며, 업종, 성에 따른 소득추세선 데이터를 근거로 방정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평균소득에 대한 보정소득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소득과 보정소득을 근거로 기설정된 개인소득 추정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연령별 개인소득 데이터에 대한 개인소득 추정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개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소득 추정 테이블을 매칭하여 개인소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인소득 추정 알고리즘은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연령대의 보정소득과 상기 연령대에 가장 근접한 상위 연령대에 대한 보정소득과의 차이값을 연령대 구분 기준년수로 나눈 연령대 보정소득 차이값에 상기 개인정보의 연령과 기설정된 기준연령과의 차이값을 곱하여 생성된 결과값을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연령대 보정소득에서 감하여 상기 연령별 개인소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주소데이터로부터 소득을 추정하는 소득추정 시스템의 소득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소데이터를 법정동, 행정동 또는 상용동 중 어느 하나의 지역구분 체계에 따라 단위주소로 분할하고, 상기 단위주소간 상호 종속관계에 따라 상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와 하위주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코드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에 대응되는 시세정보가 기설정된 시세정보 DB를 상기 표준화코드의 범위 내에서 상기 지역구분 체계에 따른 최하위단위의 주소부터 최상위단위의 주소까지 순차적으로 각 단위에 대응하는 단위코드를 스캔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시세정보 DB부로부터 최초 매칭되는 단위코드에 대응하는 시세정보를 획득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단위코드가 최하위단위의 주소이며 시세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시세정보가 실측정보라는 것을 표시하는 코드인 실측 DE 결과코드를 생성하며, 시세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위코드보다 상위단위의 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를 순차 스캔하여 시세정보가 존재하는 단위코드의 주소단위와 평균정보라는 것을 표시하는 코드인 평균 DE 결과코드를 생성하는 제 4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코드매칭부는 표준화코드의 자릿수를 근거로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공동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DB부를 스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공동주택 DB부 또는 일반주택 DB부와 상기 단위코드의 매칭시 생성되는 시세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마다 상기 실측 DE 결과코드 또는 평균 DE 결과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DB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시세, 평형, 동기본소득, 아파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유류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변수로 회귀분석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구소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표준화코드가 일반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일반주택 DB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주택가격,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회귀분석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구소득 데이터 생성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시세정보 DB에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화코드에 대응되는 다른 지역구분 체계의 표준화코드를 획득하여 스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시세정보 DB에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화코드를 직장에 대한 주소로 판단하여 상기 시세정보 DB를 직장정보 DB로 대체하여 스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장정보 DB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시세정보는 소득정보로 대체되며, 상기 소득정보는 최하위단위의 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와 매칭될 경우 개인 소득정보이며, 상기 표준화코드 또는 단위코드와 매칭될 경우 평균 소득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업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소득을 추정하는 소득추정 시스템의 소득추정 방법에 있어서, 업종, 성, 나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개인정보를 근거로 업종, 성별 및 기설정된 연령대에 대응하는 평균소득 정보가 저장된 직장 DB부를 스캔하여 평균소득 정보를 획득하는 제 2단계와, 업종, 성에 따른 소득추세선 데이터를 근거로 방정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평균소득에 대한 보정소득을 산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평균소득과 보정소득을 근거로 기설정된 개인소득 추정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연령별 개인소득 데이터에 대한 개인소득 추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 4단계와, 상기 개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소득 추정 테이블을 매칭하여 개인소득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 5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인소득 추정 알고리즘은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연령대의 보정소득과 상기 연령대에 가장 근접한 상위 연령대에 대한 보정소득과의 차이값을 연령대 구분 기준년수로 나누어 연령대 보정소득 차이를 구하는 제 6단계와, 상기 개인정보에 포함된 연령에 기설정된 기준연령를 감하여 연령차를 구하는 제 7단계와,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연령대 보정소득에서 상기 연령대 보정소득 차이와 연령차를 곱한 값을 감하여 상기 연령별 개인소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8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소데이터가 기설정된 데이터베이스의 주소정보와 완벽히 일치하는 경우에는 시세정보 또는 거주자 및 근로자의 소득에 대한 실측정보를 제공하며 주소데이터의 일부누락이나 오기 등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의 주소정보와 부분일치하는 경우 결과표시와 더불어 상기 주소데이터와 일치하는 주소 중 최하위 주소의 시세정보 또는 거주자 및 근로자의 소득에 대한 평균정보를 제공하여, 단지 주소데이터만으로 거주자 및 근로자의 소득과 시세정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설정된 실측정보를 근거로 평균정보를 파생시킴과 동시에 주소데이터와 가장 연관성 있는 평균정보를 제공하여 주소데이터를 토대로 소득을 간접추정 함으로써, 기설정된 주소데이터의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주소데이터와 실측정보의 수가 증가될수록 평균정보의 정확성이 자동적으로 증가되어 기설정된 주소데이터와 추후 입력되는 주소데이터와의 차이를 더욱 정확하게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평균정보와 실측정보에 대한 결과코드를 제시하여 도출된 결과의 매칭 정확도 및 신뢰성을 보장하며, 평균정보일 경우 상기 평균정보가 근거로 하는 주소범위를 상기 결과코드를 통해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간접추정 범위에 대한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되는 주소데이터 역시 일반가구와 직장으로 종류를 분리하여 도출되는 결과 내용을 달리 제공함으로써, 직장일 경우 개인소득까지 간접 추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상기 소득추정 시스템은 주소데이터를 정제하여 단위주소로 파싱하고 법정동, 행정동 또는 상용동 중 어느 하나의 주소체계에 대하여 코드화하여 표준화코드를 생성하는 주소표준화부(10)와, 상기 표준화코드에 대응되는 주소에 대한 시세정보가 저장된 시세정보 DB부(40)와, 상기 주소표준화부로부터 생성된 표준화코드를 근거로 상기 시세정보 DB부를 스캔하여 대응되는 시세정보를 획득하는 코드매칭부(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소표준화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된 주소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파싱(parsing)하는 파싱부(102)와, 법정동, 행정동 및 상용동에 대응하는 표준화코드가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테이블을 포함하는 DB부(105)와, 상기 파싱부의 주소 파싱 플로우를 제어하고, 상기 파싱부에서 제공되는 단위주소를 근거로 상기 레퍼런스를 스캔하여 상기 주소데이터에 대응하는 표준화코드를 생성하는 순차표준화부(10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때, 상기 주소데이터를 정제하여 상기 파싱부(102)에 정제된 주소데이터를 전달하는 문자열 정제부(101)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문자열 정제부(101)는 2byte 문자를 1byte 문자로 변경하거나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경하여 파싱부(102)의 주소 분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주소데이터의 공백문자나 특수문자(일례로 non-ascii 문자)를 제거하여 주소 분석시 오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소데이터의 유효성 검증(4byte 이상, 원본주 소의 시작문자가 한글문자 여부 검증)을 통해 오류 데이터의 입력을 사전에 차단하여 프로세스 부하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주소표준화부의 주소 표준화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파싱부(102)는 상기 주소데이터를 '광역시', '시군구', '읍면동', '리'와 같은 단위주소를 포함하는 상위주소와 '번지' 또는 '건물'과 같은 단위주소를 포함하는 하위주소로 분류하여 단위주소의 범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파싱하며, 상기 순차표준화부(104)는 상위주소와 하위주소에 각각 적합한 분류방식을 적용하여 정확한 표준화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차표준화부(104)는 상기 파싱부(102)가 파싱하여 단위주소를 전달하면, 상기 DB부(105)로부터 상기 단위주소에 대응하는 법정동 또는 행정동 코드가 기록된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을 호출하고, 상기 단위주소를 기준으로 상기 레퍼런스 테이블을 스캔하여 대응하는 법정동 또는 행정동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순차표준화부(104)는 상위주소에 대하여 상위 단위주소에서 하위 단위주소로 내려가면서 순차적으로 상위 단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에 하위 단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를 부가하여 최종 표준화코드의 자릿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상위주소에 대한 세분화된 표준화코드를 생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는 스캔하여 획득되는 단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가 법정동에 관한 법정동코드일 경우 대응되는 행정동코드를 보유할 수 있으며, 기존 표준화코드에 상기 법정동코드와 행정동코드를 각각 부여하여 법정동 및 행정동에 관한 코드를 동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싱부(102)는 하위주소의 경우 '번지'에 대해서는 '주번지'와 '부번지로 파싱된 단위주소를 제공하며, '건물'에 대해서는 '건물명', '건물동', '건물호'와 같은 파싱된 단위주소를 상기 순차표준화부(104)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순차표준화부(104)는 표기방법이 다양한 하위주소가 '건물'을 포함하는 공동주택일 경우, 상위주소의 표준화코드 범위내에서 상기 단위주소를 근거로 공동주택에 대한 레퍼런스를 스캔하여 상기 '건물'에 대응되는 공동주택코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 대신 상기 공동주택코드로 표준화코드를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하는 이유는, 공동주택코드는 상위주소에 대한 코드정보를 근거로 생성된 것이어서 공동주택코드 자체에 상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를 내포하고 있으며, '번지'는 숫자로 표현되어 그 자체를 코드로서 적용할 수 있는데 반해 '건물'은 '건물분류(예로들면, 빌딩과 오피스텔의 구분)', '건물분류의 키워드 위치(일례로, '상록빌리지'의 '빌리지'의 위치, '낙산파크랜드'의 '파크'의 위치)에 따라 건물 특성이 상이하여 구분되어 코드화할 필요성이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공동주택코드만으로 표준화코드를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동주택과 일반주택을 별도 분리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고 검증된 표준화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차표준화부(104)는 분류와 검증 기준이 설정된 설정부(106)와 연결되어 상기 설정부(106)에 설정된 기준코드를 근거로 표준화코드를 생성하거나 표준화코드에 상기 기준코드를 부가하여 제공함으로써, 정확하고 검증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부(106)는 건물의 종류와 명칭에 따라 분류되며 대응되는 코드가 설정된 건물명 정제부(107)와, 단위주소의 일부 누락이나 오기에 따라 발생되는 오류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원본 주소데이터에 가장 근접한 표준화코드를 선택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EC코드를 생성하는 EC코드 생성부(108)와, 단위주소의 일부 누락이나 오기 발생부분의 존재여부에 대한 결과코드를 제공하는 결과코드 생성부(109)로 구성되어, 표준화코드 생성시 발생하는 오류를 최대한 보상하여 신뢰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세정보 DB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소표준화를 통해 생성된 표준화코드에 대응하는 시세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공동주택과 일반주택을 구분하여 관련된 시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시세정보를 평형, 시세, 지역정보로 종류를 구분하여 누락된 정보가 있는 경우 상위 주소범위의 평균정보를 획득하도록 하여 대략적인 시세정보를 유추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시세정보 DB부(40)는 공동주택일 경우 평수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평형 DB부(43)와, 매매가, 임대가, 임대구분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시세 DB부(44)와, 동기본소득, 아파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유류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부가정보가 기설정된 지역정보 DB부(45)로 구성된 공동주택 시세 DB부(41)를 스캔하여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일반주택일 경우 지가, 주택가격에 대한 정보가 기설정된 지가 DB부(46)와,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 에 대한 부가정보가 기설정된 지역정보 DB부(47)로 구성된 일반주택 시세 DB부(42)를 스캔하여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공동주택 시세 DB부(41)에 포함된 각 DB부(43, 44, 45)는 상기 표준화코드 범위 내에서 '번지' 및 '건물호'와 같은 최하위주소의 단위코드에 대응되는 실측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최하위주소의 상위범위의 주소에 대응되는 단위코드나 표준화코드의 평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최하위주소의 단위코드를 근거로 평형 DB부(43), 시세 DB부(44), 지역정보 DB부(45)를 매칭한 결과 어느 하나의 DB부라도 관련정보가 누락된 경우 상기 최하위주소보다 상위범위인 '건물동' 이나 공동주택코드에 대한 평균정보를 획득하여, 주변 시세정보를 통해 최하위주소에 대한 대략적인 시세를 추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반주택 시세 DB부(42)도 상기 공동주택 시세 DB부(41)와 같이 시세에 대하여 최하위 주소인 '번지'에 대응하는 실측정보와, 상위범위인 '주번지'나 표준화코드에 대한 평균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드매칭부(20)는 상기 시세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표준화코드와 파싱된 단위주소를 단위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시세정보 DB부(40)를 스캔함으로써 대응되는 시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도 4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코드매칭부(20)는 공동주택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시세 DB부(41)를 호출하여 상기 표준화코드 범위 내에서 파싱된 단위주소인 '건물동', '건물호'를 스캔하여 대응되는 시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일반주택인 경우 상기 일반주택 시세 DB부(42)를 호출하여 표준화코드 범위 내에서 '주번지'와 '부번지'를 스캔하여 대응되는 시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파싱된 단위주소인 상기 '건물동', '건물호', '주번지', '부번지'는 숫자로만 구성되어 표준화코드와 더불어 단위코드로서 스캔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드매칭부(20)는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일 경우 상기 공동주택 시세 DB부(41)를 호출하여 대응되는 시세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지 여부는 표준화코드의 자릿수를 근거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구소득은 일반적으로 회원으로부터 제공받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각 시세정보DB부를 스캔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해 통계적인 기법인 회귀분석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추정된 가구소득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구소득은 '거주지 및 거주지특성에 따라(거주지역, 평형, 시세 등) 소득이 다르다'라는 일반 사회통념상의 인식하에서 추정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상기 코드매칭부는 주택형태 및 지역구분에 따라 소득분포가 상이한 복수의 모형으로 모델링 할 수 있다. 총 5개 모형(공동주택-서울,수도권 / 공동주택-6대 광역시 / 공동주택-지방,비수도권 / 일반주택-서울,경기 / 일반주택-광역,지방)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모형을 이용한 가구소득 추정 방법의 예를 살펴보면, 상기 코드매칭부가 상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가 공동주택이며 서울,수도권에 대한 주소일 경우 상기 공동주택 시세 DB부를 매칭하여 상기 정보 중 시세, 평형, 동기본소득, 아파 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유류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음 모형(수학식 1)에 대입함으로써 추정된 가구소득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매칭부가 상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가 일반주택이며 서울, 경기에 대한 주소일 경우 상기 일반주택 시세 DB부를 매칭하여 상기 정보 중 주택가격,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다음 모형(수학식 2)에 대입함으로써 추정된 가구소득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된 시세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위코드의 매칭 일치 정도에 따라 상기 실측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 있으며, 주소데이터의 일부 누락이나 오기로 인하여 단위코드가 일치하지 않아 획득되는 상위 주소범위의 평균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추정 가구소득 = (1765.24567) + (0.03021)*시세  + (79.71723)*평형 + (0.13178)*동기본소득 + (1.44789)*아파트거처가구비율 + (-42.1297)*취사연료유류가구비율 + (26.24746)*팩스보유가구비율 + (-38.43498)*가구원평균연령
추정 가구소득 = (-782.959) + (0.08563)*주택가격  + (0.10133)*동기본소득 + (57.68328)*외산비율 + (460.24326)*컴퓨터평균보유대수 + (23.4183)*주거전용가구비율 + (-19.0974)*가구주평균연령
여기서, 상기 수학식 1은 공동주택이면서 주소가 서울,수도권일 경우에 대한 모형의 예이며, 수학식 2는 일반주택이면서 주소가 서울,경기일 경우에 대한 모형의 예이다. 이처럼 주택형태 및 지역에 따라 추정소득 모형에 사용되는 변수 및 계수(변수에 곱해지는 값)가 달라진다.
이때, 상기 시세데이터는 실측정보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시세데이터 중 일부가 누락된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를 이용한 시세정보 DB부의 스캔 과정에서 획득한 평균 시세정보로부터 누락된 시세데이터를 추출하여 대입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매칭부(20)는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를 근거로 시세정보 DB부를 매칭하여 대응되는 시세정보에 대하여 시세정보의 종류와 시세정보의 실측 또는 평균정보 구분 및 매칭실패 여부에 관한 정보가 DE 결과코드로서 기설정된 DE 결과코드 테이블을 도 1의 DE 결과코드 생성부(30)로부터 호출하여 시세정보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DE 결과코드 테이블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 시세 DB부(41)와 일반주택 시세 DB부(42)에 포함된 시세 종류에 따라 구별된 각 DB부에 따라 상이한 코드를 부여하며, 상기 각 DB부에 획득된 코드가 실측정보인지 평균정보인지 여부 및 정보의 존재여부에 따라 상이한 코드를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코드매칭부(20)는 상기 DE 결과코드 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표준화코드 및 단위코드와 스캔한 결과가 최하위주소까지 일치하며, 공동주택 시세 DB부(41)와 일반주택 시세 DB부(42)에 포함된 각 DB부에 시세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실측정보로 제공하게 되며 실측정보에 대응하는 DE 결과코드를 기록한다.
한편, 상기 각 DB부에 상기 단위코드 중 최하위주소에 대한 코드가 존재하지 않거나 시세정보 중 일부가 없는 경우 최하위주소의 단위코드보다 상위 주소범위(공동주택인 경우 건물동평균, 단지평균이며, 일반주택인 경우 주번지평균)의 단위코드에 대응하는 평균 시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측정보와 구별하기 위하여 실측정보의 DE 결과코드에 추가적으로 카운트하여 2부터 평균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정하며, 주소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DE 결과코드를 추가적으로 카운트하여 평균정보가 획득된 주소범위를 판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단위코드를 주소범위에 따라 하위에서 상위범위로 순차 비교한 결과 단위코드에 대응하는 실측정보 또는 평균 시세정보가 상기 각 DB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표준화코드의 주소범위(동평균)에 대응하는 평균 시세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며 최종 카운트된 DE 결과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표준화코드까지 비교한 결과 매칭되는 실측정보 또는 평균 시세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보획득 실패에 대응하는 DE 결과코드(9)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상기 주소표준화부(10)의 결과코드 생성부(109)에서 제공하는 결과코드를 근거로 주소표준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 한 기준(ECI 항목)을 마련하여, 상기 코드매칭부(20)가 주소표준화부(10)로부터 획득한 표준화코드의 오류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코드를 DE 결과코드에 포함시켜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도 6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주소표준화부는 주소데이터를 근거로 법정동 또는 행정동의 주소체계에 따라 상위주소에 대해서는 표준화코드를 생성하고, 하위주소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코드매칭부는 시세정보 DB부를 호출하여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부분을 스캔한다. 이때, 일치되는 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주소표준화부로부터 상기 주소체계와 대응되는 다른 주소체계의 표준화코드를 획득하여 상기 시세정보 DB부를 스캔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표준화코드가 법정동에 대한 코드이며 상기 시세정보 DB부를 스캔하여 일치되는 부분이 없을 경우 상기 주소표준화부로부터 상기 표준화코드에 대하여 행정동에 대응하는 표준화코드를 다시 획득하도록 하여 상기 시세정보 DB부를 반복 스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주소체계를 변환하여 스캔하도록 할 수 있어 어느 하나의 주소체계에 대한 시세정보가 누락되어 스캔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시세정보 DB부에 저장되는 정보를 상기 주소체계 중 어느 하나만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어 시세정보 데이터의 용량을 경감할 수 있다.
이후, 매칭되는 표준화코드의 범위 내에서 하위주소에 대한 상기 단위코드와 매칭되는 코드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최하위주소의 단위코드까지 매칭되는 시세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실측 시세정보와 더불어 실측정보임을 나타내는 실측 DE 결과코드를 제공하며, 단위코드 중 매칭되는 코드가 없는 경우 상기 단위코드 이전에 스캔된 상위 주소범위의 평균 시세정보와 평균 DE 결과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은 가구소득 추정뿐 아니라 해당 주소가 일반 가구가 아닌 직장인 경우 개인소득 및 직장의 평균소득을 추정할 수도 있다.
이를 도 7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주소표준화부가 생성한 표준화코드나 하위주소에 대한 단위코드를 근거로 상기 시세정보 DB부를 스캔하여 매칭되는 코드가 없는 경우 상기 표준화코드가 일반가구가 아닌 직장주소로 판단하여, 도 1에 도시된 직장정보 DB부(50)를 호출하여 매칭되는 코드를 스캔한다.
이때, 주소데이터에 직장명이 포함된 경우 상기 공동주택코드를 생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 범위내에서 직장명의 키워드 분류와 키워드 위치를 근거로 직장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주소데이터에 '삼성화재보험'과 같은 직장명이 포함된 경우 '삼성화재'를 직장명 키워드로 지정하고 키워드 위치를 근거로 매칭되는 직장명코드를 생성시킬 수 있다. 결국, 상기 직장명코드는 공동주택코드와 동일하게 취급되지만, 상기 직장명코드와 이에 매칭되는 정보는 상 기 직장정보 DB부(50)에 저장되어 있어 시세정보 DB부에서는 상기 직장명코드와 매칭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더하여, 일반적인 업종명의 키워드 분류와 키워드 위치를 근거로 상기 직장명코드와 동일한 업종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장정보 DB부(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직종에 따른 개인소득 정보를 제공하는 직종 DB부(51)와, 직종보다 상위범위인 업종에 따른 평균소득을 제공하는 업종 DB부(52)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주소가 직장명인 경우 상위주소에 대응하는 표준화코드와 하위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를 근거로 상기 직종 DB부(51)와 업종 DB부(52)를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최하위 주소범위의 단위코드까지 매칭되는 정보에 대해서 개인소득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위범위의 주소범위에 대해서는 평균소득 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의 소득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준화코드 및 상기 표준화코드를 대체하는 공동주택코드가 지칭하는 주소는 산업단지이거나 기업건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매칭부는 도 4의 시세정보 DB부(40)를 호출하여 상기 표준화코드 또는 공동주택코드를 근거로 평균 시세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직장정보 DB부(50)를 스캔하여 산업단지와 기업건물에서 근무하는 근로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평균소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코드매칭부가 최하위주소의 단위코드까지 순차적으로 스캔하여 매칭되는 주소는 상기 산업단지에 포함되는 개인사무실이나 소규모회사일 수 있으 며, 상기 기업건물에 포함된 직종(부서)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규모회사일 경우에는 업종 DB부(52)로부터 평균소득 정보를 제공하며, 개인사무실이나 기업건물에 포함된 직종일 경우 직종 DB부(51)로부터 개인소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도 9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주소데이터가 지칭하는 주소가 직장인 경우 상위주소는 산업단지, 기업 건물(일례로, 삼성 강북본부)을 토대로 생성된 표준화코드일 수 있으며, 상기 직장정보 DB부는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직장의 업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업종정보에는 상기 표준화코드가 지칭하는 주소에 위치한 기업의 성별 또는 연령별 평균소득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위주소의 매칭만으로도 기업 내의 임의의 부서에 대한 평균소득 정보를 유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장정보 DB부를 표준화코드 범위 내에서 하위주소를 스캔하는 경우 업종정보에서 세분화된 직종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다.
즉, 하위주소는 상위주소가 지칭하는 산업단지 내에서 근무하는 개인사업자, 중소기업을 지칭하므로, 개인사업자 또는 중소기업의 업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인사업자에 대한 업종정보는 결론적으로 개인소득에 대한 정보이므로, 실측정보와 마찬가지로 취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표준화코드가 지칭하는 주소가 기업건물인 경우 하위주소에 대한 단위코드는 직종(대리1부, 전략기획부)으로 매칭되므로, 상기 직종에 따른 개인소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업건물에서 성별과 근무년수에 따라 지급되는 연봉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의 소득정보에 대하여 유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술한 직장 DB부를 스캔한 결과 업종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개인소득을 추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코드매칭부는 주소데이터와 더불어 사용자 정보로부터 업종, 성, 나이와 같은 개인정보를 부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업종 DB부는 업종분류에 따라 성별 및 일정기준으로 구분된 연령대에 대한 평균소득을 산출하여 저장된 업종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업종 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연령대에 대한 보정소득을 산출하게 되는데, 상기 업종 DB부는 외부로부터 업종 및 성별에 따른 소득분포 통계에 대한 소득추세선을 획득하여 상기 추세선에 대응되는 방정식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방정식에 적용하여 각 연령대별 보정소득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하기와 같은 업종테이블을 보유한 경우 추세선으로부터 획득한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보정소득이 산출되며, 상기 업종 DB부는 상기 보정소득을 상기 업종테이블에 부가하여 최종 업종테이블을 생성하게 된다.
<업종테이블의 일실시예>
업종중분류 성별 연령대 X 평균소득 보정소득
D22 출판, 인쇄 및 기록 매체 제조업 25~29 1 2,021 1,927
D22 출판, 인쇄 및 기록 매체 제조업 30~34 2 2,554 2,656
D22 출판, 인쇄 및 기록 매체 제조업 35~39 3 3,146 3,222
D22 출판, 인쇄 및 기록 매체 제조업 40~44 4 3,619 3,626
D22 출판, 인쇄 및 기록 매체 제조업 45~49 5 3,950 3,868
D22 출판, 인쇄 및 기록 매체 제조업 50~54 6 4,050 3,946
D22 출판, 인쇄 및 기록 매체 제조업 55~59 7 3,767 3,863
Figure 112008044936963-pat00001
Figure 112008044936963-pat00002
업종 평균소득 * 성별 보정소득 = (-81.239)*+(972.52)* + 1035.7
이후,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최종 업종테이블을 근거로 상기 개인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연령대를 연령으로 세분화하여 최종 개인소득을 산출하게 되는데, 일례로 개인정보에 포함된 나이가 29세로 설정되었다면, 25~29세의 연령대가 상기 최종 업종테이블에서 선택되어 세분화되고 상기 개인정보와의 매칭을 통해 개인소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연령대의 세분화 과정은 다음과 같은 수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25~29세 보정소득 Gap = (30~34세 보정소득)-(25~29세 보정소득) / 5년 = 145.8
연령차 = 연령 - 기준연령(기준연령: 남자 27, 여자 24)
최종 개인소득 = 연령대 보정소득 - 보정소득 Gap*연령차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수학식 4를 통해 상기 연령대에 대하여 하기에 명시한 개인소득추정 테이블을 산출하여 업종 DB부에 저장하며,
<개인소득추정 테이블>
업종분류 성별 연령 연령 확장 로직 연령으로 보정된 소득
D22 25 1,927 - 145.8*2년 1,635
D22 26 1,927 - 145.8*1년 1,781
D22 27 27세 기준이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 1,927
D22 28 1,927 + 145.8*1년 2,073
D22 29 1,927 + 145.8*2년 2,219
D22 30 1,927 + 145.8*3년 2,364
D22 31 1,927 + 145.8*4년 2,510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개인소득추정 테이블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개인소득 데이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소표준화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세정보 DB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의 코드 매칭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E 결과코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의 주소데이터의 종류에 따른 동작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을 구성하는 직장정보 DB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득추정 시스템의 소득정보 생성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소표준화부 20: 코드매칭부
30: DE코드 생성부 40: 시세정보 DB부
41: 공동주택 시세 DB부 42: 일반주택 시세 DB부
43: 평형 DB부 44: 시세 DB부
45, 47: 지역정보 DB부 46: 지가 DB부
50: 직장정보 DB부 51: 직종 DB부
52: 업종 DB부 101: 문자열 정제부
102: 파싱부 103: 버퍼부
104: 순차표준화부 105: DB부
106: 설정부 107: 건물명 정제부
108: EC코드 생성부 109: 결과코드 생성부

Claims (34)

  1.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주소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단위주소로 파싱하고, 상기 단위주소간 상호 종속관계에 따라 상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와 하위주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코드를 생성하는 주소표준화부와;
    상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에 매칭되는 시세정보가 기저장된 시세정보 DB부와;
    상기 시세정보가 평균 또는 실측정보인지와 평균정보인 경우 상기 평균정보에 대응하는 단위주소의 단위를 나타내는 DE(Data Enrichment) 결과코드를 생성하는 DE 결과코드 생성부와;
    상기 주소표준화부로부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를 제공받아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범위 내에서 최하위 단위부터 최상위 단위의 주소까지 각 단위주소에 해당하는 단위코드를 근거로 상기 시세정보 DB부를 순차 스캔하고, 최하위 단위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와 매칭되는 시세정보가 있는 경우 실측정보로 획득하며 최하위 단위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와 매칭되는 시세정보가 없는 경우 상위 단위의 주소로 순차 스캔하는 과정에서 각 단위주소에 해당하는 단위코드와 최초 매칭되는 시세정보를 평균정보로 획득하며, 획득된 시세정보를 상기 DE 결과코드 생성부에 제공하여 그로부터 얻은 DE 결과코드를 상기 시세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코드매칭부
    로 구성되는 소득추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주소는 법정동, 행정동, 상용동 중 어느 하나의 지역구분 체계에 따라 명칭되는 구역을 의미하며, 상기 단위주소의 단위는 상기 구역의 단위(광역시, 시, 군, 구, 읍, 면, 동, 리, 주번지, 부번지, 건물명, 건물동, 건물호)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위주소는 광역시, 시군구, 읍면동, 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위주소는
    주번지와 부번지로 구성되는 일반주택과
    건물명, 건물동, 건물호로 구성되는 공동주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위코드가 부번지 또는 건물호에 대한 코드일 경우 매칭되는 시세정보는 실측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주소표준화부는 상기 하위주소가 공동주택일 경우 건물명을 건물키워드와 키워드 위치를 근거로 공동주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표준화코드를 상기 공동 주택코드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세정보 DB부는
    평형, 시세, 동기본소득, 아파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세정보에 대한 상기 실측정보와 평균정보가 상기 단위코드에 매칭되어 저장된 공동주택 DB부와;
    지가, 주택가격,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세정보에 대한 상기 실측정보와 평균정보가 상기 단위코드에 매칭되어 저장된 일반주택 DB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DB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시세, 평형, 동기본소득, 아파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유류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구소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표준화코드가 일반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일반주택 DB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주택가격,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구소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코드매칭부는 표준화코드의 자릿수를 근거로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지를 판단하여, 공동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DB부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코드매칭부는 공동주택코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공동주택 DB부 또는 일반주택 DB부를 스캔하며, 상기 공동주택 DB부 또는 일반주택 DB부와 상기 단위코드의 매칭시 상기 시세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마다 상기 DE 결과코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코드가 시세정보 DB부에 없는 경우 상기 주소표준화부에 상기 표준화코드와 대응하는 다른 주소체계의 표준화코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코드가 시세정보 DB부에 없는 경우 상기 표준화코드를 직장에 대한 주소로 판단하여, 표준화코드에 대응하는 평균소득 또는 개인소득 정보가 기설정된 직장 DB부를 호출하여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직장 DB부는
    개인소득 정보를 제공하는 직종 DB부와;
    평균소득 정보를 제공하는 업종 DB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코드매칭부는 하위주소 중 최하위 단위주소의 단위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직종 DB부로부터 개인소득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개인소득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상기 최하위 단위주소의 단위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업종 DB부를 호출하고 단위코드에서 표준화코드 순서로 상기 업종 DB부를 스캔하여 평균소득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주소표준화부는 업종, 성, 나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직장 DB부는 업종분류, 성별 및 기설정된 연령대에 대응하는 평균소득 정보를 포함하며, 업종, 성에 따른 소득추세선 데이터를 근거로 방정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평균소득에 대한 보정소득을 산출하고, 상기 평균소득과 보정소득을 근거로 기설정된 개인소득 추정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연령별 개인소득 데이터에 대한 개인소득 추정 테이블을 생성하며,
    상기 코드매칭부는 상기 개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소득 추정 테이블을 매칭하여 개인소득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개인소득 추정 알고리즘은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연령대의 보정소득과 상기 연령대에 가장 근접한 상위 연령대에 대한 보정소득과의 차이값을 연령대 구분 기준년수로 나눈 연령대 보정소득 차이값에
    상기 개인정보의 연령과 기설정된 기준연령과의 차이값을 곱하여 생성된 결과값을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연령대 보정소득에서 감하여 상기 연령별 개인소 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시스템.
  20.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주소데이터로부터 소득을 추정하는 소득추정 시스템의 소득추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소데이터를 법정동, 행정동 또는 상용동 중 어느 하나의 지역구분 체계에 따라 단위주소로 분할하고, 상기 단위주소간 상호 종속관계에 따라 상위주소에 대한 표준화코드와 하위주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위코드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표준화코드와 단위코드에 대응되는 시세정보가 기설정된 시세정보 DB를 상기 표준화코드의 범위 내에서 상기 지역구분 체계에 따른 최하위단위의 주소부터 최상위단위의 주소까지 순차적으로 각 단위에 대응하는 단위코드를 스캔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시세정보 DB부로부터 최초 매칭되는 단위코드에 대응하는 시세정보를 획득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단위코드가 최하위단위의 주소이며 시세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시세정보가 실측정보라는 것을 표시하는 코드인 실측 DE 결과코드를 생성하며, 시세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위코드보다 상위단위의 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를 순차 스캔하여 시세정보가 존재하는 단위코드의 주소단위와 평균정보라는 것을 표시하는 코드인 평균 DE 결과코드를 생성하는 제 4단계
    로 구성되는 소득추정 방법.
  21. 삭제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상위주소는 광역시, 시군구, 읍면동, 리를 포함하는 상위주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하위주소는
    주번지와 부번지로 구성되는 일반주택과
    건물명, 건물동, 건물호로 구성되는 공동주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최하위단위는 부번지와 건물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시세정보 DB부는
    평형, 시세, 가구소득, 동기본소득, 아파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세정보에 대한 상기 실측정보와 평균정보가 상기 단위코드에 매칭되어 저장된 공동주택 DB부와;
    지가, 주택가격,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세정보에 대한 상기 실측정보와 평균정보가 상기 단위코드에 매칭되어 저장된 일반주택 DB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코드매칭부는 표준화코드의 자릿수를 근거로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공동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DB부를 스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공동주택 DB부 또는 일반주택 DB부와 상기 단위코드의 매칭시 생성되는 시세정보에 포함된 각 정보마다 상기 실측 DE 결과코드 또는 평균 DE 결과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제 3단계에서 상기 표준화코드가 공동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공동주택 DB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시세, 평형, 동기본소득, 아파트거처가구비율, 취사연료유류가구비율, 팩스보유가구비율, 가구원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변수로 회귀분석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구소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제 3단계에서 상기 표준화코드가 일반주택코드인 경우 상기 일반주택 DB로부터 획득한 정보 중 주택가격, 동기본소득, 외산비율, 컴퓨터평균보유대수, 주거전용가구비율, 가구주평균연령에 대한 정보를 회귀분석을 이용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구소득 데이터 생성하는 제 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30. 청구항 20에 있어서,
    제 2단계에서
    상기 시세정보 DB에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화코드에 대응되는 다른 지역구분 체계의 표준화코드를 획득하여 스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31. 청구항 20에 있어서,
    제 2단계에서,
    상기 시세정보 DB에 상기 표준화코드와 매칭되는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표준화코드를 직장에 대한 주소로 판단하여 상기 시세정보 DB를 직장정보 DB로 대체하여 스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직장정보 DB를 스캔하는 경우 상기 시세정보는 소득정보로 대체되며,
    상기 소득정보는
    최하위단위의 주소에 대응하는 단위코드와 매칭될 경우 개인 소득정보이며, 상기 표준화코드 또는 단위코드와 매칭될 경우 평균 소득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33. 업종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소득을 추정하는 소득추정 시스템의 소득추정 방법에 있어서,
    업종, 성, 나이를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개인정보를 근거로 업종, 성별 및 기설정된 연령대에 대응하는 평균소득 정보가 저장된 직장 DB부를 스캔하여 평균소득 정보를 획득하는 제 2단계와;
    업종, 성에 따른 소득추세선 데이터를 근거로 방정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평균소득에 대한 보정소득을 산출하는 제 3단계와;
    상기 평균소득과 보정소득을 근거로 기설정된 개인소득 추정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연령별 개인소득 데이터에 대한 개인소득 추정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 4단계와;
    상기 개인정보를 근거로 상기 개인소득 추정 테이블을 매칭하여 개인소득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 5단계
    로 구성되는 소득추정 방법.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개인소득 추정 알고리즘은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연령대의 보정소득과 상기 연령대에 가장 근접한 상위 연령대에 대한 보정소득과의 차이값을 연령대 구분 기준년수로 나누어 연령대 보정소득 차이를 구하는 제 6단계와;
    상기 개인정보에 포함된 연령에 기설정된 기준연령를 감하여 연령차를 구하는 제 7단계와;
    상기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연령대 보정소득에서 상기 연령대 보정소득 차이와 연령차를 곱한 값을 감하여 상기 연령별 개인소득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8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득추정 방법.
KR1020080059218A 2008-06-23 2008-06-23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1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218A KR100921217B1 (ko) 2008-06-23 2008-06-23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218A KR100921217B1 (ko) 2008-06-23 2008-06-23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217B1 true KR100921217B1 (ko) 2009-10-12

Family

ID=4157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218A KR100921217B1 (ko) 2008-06-23 2008-06-23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2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500B1 (ko) 2013-01-15 2013-05-13 (주)오픈메이트 가구생애주기와 소비특성 판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64161B1 (ko) * 2013-01-14 2013-05-14 (주)오픈메이트 입력된 주소 정보에 기초한 가구 특성 판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91452B1 (ko) 2013-05-14 2014-05-07 (주)지디에스케이 가구 가처분 소득 산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178A (ko) * 2001-11-08 2003-05-16 주식회사 니즈아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KR20050002169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국민은행 인터넷을 통한 부동산 시세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99627B1 (ko) * 2007-04-17 2008-02-01 한일 고객정보의 실시간 통합을 이용한 영업구역 내 고객분석서비스 방법
KR100799628B1 (ko) * 2007-04-17 2008-02-01 한일 자사정보의 실시간 통합을 이용한 상권분석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178A (ko) * 2001-11-08 2003-05-16 주식회사 니즈아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KR20050002169A (ko) *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국민은행 인터넷을 통한 부동산 시세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99627B1 (ko) * 2007-04-17 2008-02-01 한일 고객정보의 실시간 통합을 이용한 영업구역 내 고객분석서비스 방법
KR100799628B1 (ko) * 2007-04-17 2008-02-01 한일 자사정보의 실시간 통합을 이용한 상권분석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161B1 (ko) * 2013-01-14 2013-05-14 (주)오픈메이트 입력된 주소 정보에 기초한 가구 특성 판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61500B1 (ko) 2013-01-15 2013-05-13 (주)오픈메이트 가구생애주기와 소비특성 판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91452B1 (ko) 2013-05-14 2014-05-07 (주)지디에스케이 가구 가처분 소득 산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 et al. Measuring the impact of rework on construction cost performance
JP6893209B2 (ja) 構造化されたマルチフィールドファイルのレイアウトの自動解釈
Redman Measuring data accuracy: A framework and review
US200201290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milation, integration and deploy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technology
CN1971566A (zh) 电子业务通信中数据元素的使用跟踪
Ji et al. Data preprocessing–based parametric cost model for building projects: Case studies of Korean construction projects
US20030233339A1 (en) Data analysis system
US200502404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pulation segmentation
CN112231333A (zh) 一种生态环境数据共享交换方法和系统
CN110288451B (zh) 一种财务报销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97805A (ko) 좌표(x, y)위치 값을 이용한 체계적인 블록번호 생성 및 그 이용한 주소매칭 서비스 방법
CN112860769B (zh) 一种能源规划数据管理系统
CN111898359A (zh) 一种智能质量检测报告生成方法及系统
Jarosz Poisson distribution: A model for estimating households by household size
KR100921217B1 (ko)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618341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数据库用户行为的分析方法及系统
CN106022640B (zh) 电量指数核对系统及方法
Liu Modes of entry, correlated productivity, and the global impacts of us immigration reform
CN114528448B (zh) 一种全球外贸客户客户画像精准分析系统
CN111427936B (zh) 报表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5271514A (zh) 通讯企业的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919811B (zh) 基于大数据的保险代理人培养方案生成方法及相关设备
KR100693370B1 (ko) 중복 데이터 병합 정리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병합방법
JP7241362B2 (ja) 会計処理システム、会計処理方法及び会計処理プログラム
Jialin et al. Challenges in the Development of Register-Based Population Stat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6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1021

Effective date: 201506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488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727

Effective date: 201611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