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178A -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178A
KR20030038178A KR1020010069623A KR20010069623A KR20030038178A KR 20030038178 A KR20030038178 A KR 20030038178A KR 1020010069623 A KR1020010069623 A KR 1020010069623A KR 20010069623 A KR20010069623 A KR 20010069623A KR 20030038178 A KR20030038178 A KR 2003003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usiness
user
area
analys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즈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즈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즈아이
Priority to KR1020010069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8178A/ko
Publication of KR2003003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17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특성정보를 필요로 하는 개인과 기업에게 산재된 지역특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Web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지리 정보시스템)기술을 응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입지분석 및 상권분석을 실행하고 중개업자 및 프랜차이즈 업체 등 창업과 관련된 개인과 법인 상호간의 물건정보와 프랜차이즈 창업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이다. 창업을 희망하는 개인이나 창업관련 종사자들은 점포의 입지나 상권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부족하였으며 감각적인 방법에 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권분석을 실행하기 위한 응용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업체의 위치정보만을 표현하는 기술로 국한되어 있다.
본 비즈니스 모델은 입지 및 상권을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가 분석할 영역을 자유로이 지정하여 지정된 영역내에서의 인구수, 사업체수, 업종별 업체수, 업종별 분포지역, 소득 및 지출형태 , 쇼핑선호도, 미디어선호도 등 라이프스타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함으로 이용자가 입지 분석에 의한 출점여부, 상권의 특성을 분석하여 매출예측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개인이용자와 법인 이용자간 정보교류를 통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개인이용자가 매물정보나 프랜차이즈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매물정보와 연계된 중개업자 및 이용자가 조회한 프랜차이즈 업체에 개인이용자가 매물과 프랜차이즈 정보를 조회하였다는 사실과 회원 아이디, 회원 전자우편 및 연락처를 해당 업체에게 제공하여 회원간 상호커뮤니티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The Method of tread area analysis utilizing a market database}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입지나 상권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인구수, 사업체수, 라이프스타일 등 소득수준, 업종별 분포형태, 인구밀집지역, 학교쇼핑시설 등의 인구흡입시설, 자신이 개설하고자 하는 업종의 유사 경쟁업체수 유동인구 등의 정보가 필요하다. 기존의 입지 및 상권분석 방법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현장을 답사하거나 관공서를 개별 방문하여 정보를 얻었으며 창업을 희망하는 개인등은 창업컨설팅사를 통해 높은 비용을 부담하고 상권분석 정보를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되는 정보중 유동인구 데이터는 중요입지에서 직접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시간대별로 유동인구의 총수를 파악하는 것에서는 유용할 수 있으나 다른 정보들을 활용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이유는 창업컨설팅이나 관공서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타 상권정보가 행정구역단위로 작성되어 있는 사유가 가장 크다. 예를 들어 자신의 점포위치가 행정동 영역의 제일 윗부분에 위치하더라도 시장의 크기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인구수와 사업체수 정보는 행정동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 자신이 속한 점포의 상권 규모와는 현실성이 결여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특정 상권영역, 예를 들어 일반인이 관념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상거래 형성지역 (명동상권, 총신대역사거리 상권 등)에서는 상권조사기관에서 상권의 크기와 특성을 행정동의 형태가 아닌 상권영역내에서 파악한 자료를 제시하고는 있으나 제시되는 자료 자체가 시스템에 의한 객관적인 추출방식이 아닌 상권분석자가 저 마다의 주관적 분석치를 제시하고 있어 상권의 크기 및 인구수, 가구수 등의 상권특성정보는 객관적이지 못하였다. 근간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지리정보시스템)를 이용하여 상권분석 방법을 개선하고 이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인터넷사이트가 많이 등장하고 있으나, 업체 위치정보를 전자지도상에 매핑한 수준으로 이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지점의 반원특성, 이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임의 영역내에서의 인구수 등 상권정보의 추출등은 불가능한 상태로 정확하고 자유로운 상권분석 기능은 없다.
본 발명에서는 소득 및 라이프스타일관련, 사업체, 인구 특성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인터넷 GIS 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지정한 지역의반경원형(300m,500m,1km,임의 반원 지정)이나 임의원형(전자지도상 자유도형으로 분석대상지역을 지정)에 따라 분석지역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지역의 특성을 수치와 챠트 및 전자지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상권정보는 창업컨설팅사, 프랜차이즈 및 부동산 관련업자들에게는 시장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나아가 개인에게는 창업컨설팅을 이용함으로 발생하는 비용과 본인이 직접 상권을 분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적 및 물적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지점이나 영역을 자유롭게 지정하여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는 개인이나 프랜차이즈, 부동산중개업자들을 상호연계하여 개인이 부동산 매물과 관련 프랜차이즈 업체를 조회하였을 경우 조회하였다는 정보를 해당 부동산 중개업자와 프랜차이즈 업체에 연계하여 상호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상호 물건정보와 프랜차이즈 창업 관련정보를 교환하여 부동산 매물의 중개 및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개설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
도1. 비즈니스 모델의 프로세스와 커뮤니티 형성개념도이다.
Level 1은 Level 2의 상위개념, Level 2는 Level 3의 상위개념의 거래이다
이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지역을 선택하게 한다. 지역은 주소를 입력하거나 인터넷 GIS의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확대,축소,이동하여 지정할 수 있다.
지역선택 단계후 지도분석 단계에서는 이용자의 관심업종이나 기타 전 업종별 업체의 분포를 조회하거나 지역내에서의 부동산 매물정보를 조회한다.
분석되는 정보는 인구흡입시설관련, 연령별 인구수 등 인구관련 통계, 가구의 소득 수준, 소득별 지출 수준,쇼핑선호도,미디어선호도 등 [도8] 에서 정한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영역내에서 추출한다.
도2. 발명의 상권분석 프로세스.
정보이용을 위한 이용자의 인터넷 정보이용 프로세스이다. 이용자는 로그인을 실행한 후 상권반경이나 임의영역을 지정하여 상권을 분석한다. 영역이 지정되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상권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결과를 통해 이용자가 해당지역의 입지와 상권을 분석한다. 이후 창업관련 정보와 매물정보를 조회한다.
도3. 비즈니스 모델의 커뮤니티 형성 모델
상권정보 인터넷을 통하여 개인과 법인간의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모델이다.
이용자는 도2의 상권분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창업정보와 매물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데 이 때 로그인 정보를 부동산 중개업자와 프랜차이즈 사업자에게 제공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한다. 도3에서 이용자가 창업정보를 선택하면 이용자가 검색한 프랜차이즈정보는 해당 프랜차이즈 사업자에게 이용자의 로그인정보와 아이디, 연락처, 전자우편주소가 전자우편으로 송달된다. 송달된 전자우편의 내용을 이용하여 프랜차이즈사업체는 이용자를 자신의 가맹점주로 섭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용자가 부동산 매물정보를 선택하여 조회하면 해당 물건지의 부동산정보를 누가 조회하였는지를 프랜차이즈 업체정보 전달 형태와 같은 방식으로 알 수 있게 되어 매물의 중개를 위한 잠재고객을 확보하는 과정을 도표로 표현한 것이다.
도4. 분석대상 영역의 반원 원형지정 및 임의 영역지정
이용자가 분석대상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을 그린 것이다. 좌측의 그림은 이용자가 정한 지점과 반원의 크기를 기준으로 지점의 중심으로 반경 500미터 원을 표시한 것이다. 우측의 그림은 이용자가 자유롭게 분석대상 영역을 임의로 설정한 그림을 표시한 것이다. 영역설정 과정은 데이터베이스를 추출 대상을 지역범위에서 추출하는 과정이다.
도5. 분석대상 지역의 업종별 분포도
이용자가 원하는 업종별 업체를 전자지도상에 표시하여 주요 분포지역을 분석하는 화면이다.
도6. 분석대상 지역의 매물정보 검색
이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매물의 위치 아이콘으로 표시한 화면이다
도7. 매물의 상세 정보 목록
도6에서 추출된 매물에 대하여 대상 위치에 아이콘을 클릭하여 물건의 세부정보를 출력한 화면이다. 건물의 일반현황, 권리현황 및 사진과 동영상 정보를 함께 나타낸다
도8.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베이스 목록
이용자가 지정한 영역 내에서의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 목록이다. 각 데이터베이스는 행정동 경계와 관계없이 지번단위로 추출된다.
도9. 법인이용자가 개별정보 이용을 위해 입력하는 데이터목록
법인 이용자가 매출예측을 이용하기 위하여 자사 데이터를 인터넷사이트로 제공하여야 하는 목록이다.
도10. 시스템 구조도
인터넷을 통하여 상권분석을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1. 법인이용자의 개별정보 이용을 위한 업무 흐름도
법인 이용자가 매출예측을 위해 제공하는 경우 수집된 데이터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정비 및 분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2. 법인이용자의 자사점포 특성 추출 프로세스
법인 이용자가 매출예측 위해 법인이용자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법인 이용자의 점포가 위치한 영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절차이다. 이 절차를 거치면 법인이용자의 점포가 속한 지역의 특성을 점포별로 수집하여 저장한다.
도13. 법인이용자의 매출예측을 포함한 분석 프로세스
법인이용자의 매출예측등 마케팅 정보생성을 위한 분석과정이다 도11과 도12에서 생성된 법인용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생성한다.
도14. 이용자의 지정상권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전국 상권분할 포인트 개념도
이용자가 지정한 상권과 인근상권과의 비교를 용이하게 지원하기 위하여 전국을 임의의 영역으로 분할한 개념이다. 이용자가 지정한 반원의 크기에서 1m를 차감한 포인트를 GIS표현을 위한 x,y좌표값으로 저장한다. 가령 이용자가 특정지점을 지정하고 반원 500미터를 지정하였다면, 전국을 499미터로 나눈 x,y포인트가 이용가 지정한 반경 500미터 원형에 포함되었을 경우 포함된 영역의 개수에 따라 똑같은 데이터를 추출하여 지역별 상권의 크기를 비교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권분석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통해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상권정보를 실행할 수 있다. 이용자는 상권분석을 실행하기 위해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위치는 이용자가 임의 지점을 지정하고 상권영역 반원의 크기를 지정하여 분석하거나 임의의 상권크기를 이용자가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분석대상 영역을 자유로이 지정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영역선택이 완료되면 시스템에서는 지정된 영역범위내에서 상권분석 정보를 추출하고 리포트로 출력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추출되는 데이터베이스는 인구통계,사업체,업종,라이프스타일 및 창업정보와 매물정보가 해당된다.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는 선택된 영역범위내에서 추출이 가능하도록 지번단위로 설정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행정구역체계는 1차행정명, 2차행정명, 3차행정명 및 행정동과 법정동, 지번과 기타주소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행정구역의 최소단위인 지번단위에서 상권분석정보를 카운트하도록 되어 있어 행정동체계에 의한 데이터의 추출은 물론 행정동 경계에 관계없이 상권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용자가 분석대상 영역을 선택함에 있어 원형 혹은 임의영역을 자유롭게 지정하게 하고, 그 범위내에서 상권정보를 인터넷상에서 추출하여 제공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각종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상권 및 지역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의 유망 창업 아이템의 추출 및 프랜차이즈 업체를 조회하고 프랜차이즈업체에게 해당 프랜차이즈 업체를 조회한 고객정보를 인터넷 상에서 제공하여 주며, 해당 지역의 부동산 매물을 연계하여 중개업자 및 부동산 관련업 종사자에게 연계하여 부동산 매물을 수요자와의 중개가 가능하다.
분석 방법에 따른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입지분석 및 상권분석 대상 영역 설정
- 점포 위치기준 상권반원 설정
; 상권분석 대상 지역을 선정하는 것으로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시,구.동 및번지를 각각 입력하여 분석대상 지점을 찾고 분석대상 지점의 상권반원을 500M 반원으로 자동설정하거나 100M ∼ 2000M를 개별입력하여 상권영역을 지정한다. 즉, 분석할 대상 지점을 전자지도에서 찾거나 주소를 입력하여 찾으면 그 위치를 기준으로 반원을 자유롭게 생성시켜 입지 및 상권을 분석할 영역을 지정하는 것이다. 영역을 지정하면 지정된 영역내에서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추출하여 도표와 챠트로 추출하여 이용자가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예를 들어 기존에 자기 점포의 상권에 속한 20대 인구수를 찾기 위해서는 실사를 하거나 관할구청에서 인구수를 조회하는 방식이었으나 이런 경우 자신의 점포가 속한 상권크기 내에서의 총 시장규모를 측정하기는 불가능하였다. 상권반원 설정 기능을 활용하면 상권반원내의 모든 시장특성 데이터베이스를 한눈에 조회할 수 있게 된다.
- 점포 위치기준 임의영역 설정
; 임의영역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역의 동선 특성이나 ,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동선, 고가, 대형도로, 횡단보도 및 기타 인구동선 변화요소에 따라 상권의 모양을 이용자가 임의로 영역을 지정하여 입지 및 상권분석을 하고자 할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한 후 전자지도 위에 분석하고자 하는 영역을 자유도형으로 임의 설정한다. 임의 설정을 완료하면 입지 및 상권분석 결과는 임의 지정된 영역내에서 상권분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결과를 도표와 차트로 나타낸다.
2. 추출 데이터베이스 목록
- 반원영역 및 임의영역지정이 완료되면 지역특성시설, 인구특성 및 라이프스타일분석, 업종특성, 창업특성, 매물정보가 함께 출력된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이용자가 정의한 반원이나 임의영역내에서의 데이터를 볼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데이터를 이용자가 지정한 영역내에서 추출하여 나타냄으로 이용자가 자신이 영업을 수행하여야할 상권의 실질적인 크기를 분석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에서 추출되는 데이터베이스는 도 8의 목록에서 나열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한다.
3. 항목별 추출 방식
- 각 항목은 1차행정명(시,도 단위), 2차행정명(구,군 단위), 3차행정명(수원시,성남시의 구단위)행정동단위와 전국을 가로와 세로 499미터 포인트로 구분하여 각 포인트별 상권분석한 결과값이 저장된 데이터 값을 평균값으로 함께 출력하여 비교분석이 용이하도록 추출한다.
즉, 이용자가 정한 지점의 반원내의 데이터 추출값을 비교할 수 있도록 1,2,3차 및 행정동내의 평균값과 전국을 499미터 단위로 가로와 세로로 나눈 포인트별 반경 100M ∼ 2,000M까지 100m단위로 분석 값을 함께 추출하여 나타낸다. 이 때 전국 포인트별 반경값은 이용자가 지정한 반원의 크기와 동일한 분석 값을 제시한다. 가령 이용자가 지정한 영역이 500m인 경우 이용자가 지정한 반원 500미터에 포함되는 전국 포인트는 1개,2개,4개 지점의 분석 값이 함께 추출되어 인근 상권과의 비교분석이 용이하도록 지원된다. 미리 지정된 전국 포인트 반경값은 데이터베이스 분석 결과값을 DB서버에 저장하는 경우 서버의 저장용량이 과대하게 소요됨으로 분석 결과값을 저장하지는 않고 GIS 위성좌표 x, y값만을 저장하게되며 이용자가 분석지점을 선택하면, 분석지점의 반원에 포함되는 x,y좌표 값을 추출하여 분석지점의 반원 데이터베이스 분석값과 함께 포인트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 분석값을 추출한다.
- 출력 형태
; 도표와 차트로 출력되어 비교분석이 용이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해당 물건이나 분석대상 지점의 포인트는 사진과 슬라이드 파일로 해당지점의 영상 및 동영상을 볼 수 있어 해당지역의 유동인구 및 건물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4. 이용자 커뮤니티 형성
- 매물 검색자와 부동산 중개업자간 커뮤니티
; 이용자가 매물검색을 실행하면 해당지역에 임대/매매/전월세 등의 매물이 존재하는 경우 매물의 거래조건, 물건현황, 건물사진, 주변 환경 슬라이드 및 중개업자 연락처를 출력하여 이용자가 상권분석과 매물분석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용자가 매물에 대하여 조회하였다는 사실을 해당 중개업자에게 통지한다. 통지되는 항목은 이용자 아이디 조회한 매물정보, 전화번호, 전자우편 주소 및 기타 중개업자에게 제시하고자 하는 조건이다. 이용자는 해당 상권의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자신이 개설할 점포의 업종과 유사성에 대한 분석을 입지분석 및 상권분석을 통해 이해한 상태로서 이 통지를 받은 중개업자는 해당 이용자에게 접촉하여 물건의 중개 용이하게 이루어낼 수 있다.
- 프랜차이즈 정보검색자와 프랜차이즈 업체와의 커뮤니티
; 이용자가 창업정보를 조회하면 창업관련 업체의 사이트에 링크되고 본 발명모델에서는 이용자가 해당 프랜차이즈 업체를 조회하였다는 사실을 업체에 전송한다. 전송되는 정보는 이용자의 아이디. 전화번호. 전자우편 주소와 창업관련 요청사항 등이 전송된다. 이용자는 해당업체의 정보를 조회한 상태로 프랜차이즈 업체에서는 잠재고객에 대한 정보 확보를 통해 용이한 가맹점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5. 법인 회원에 대한 매출예측 서비스
- 법인 회원은 자사의 점포정보를 본 발명 모델의 구축사에게 제공하고 이 정보를 받은 구축사는 인터넷 상에 회원사의 점포위치를 전자지도상에 매핑하고 반경 상권 범위내의 외부특성을 조합하여 외부특성별 자사 점포 매출특성, 점포별 마켓쉐어, 매출우수점포 외부시장특성 분석
외부시장특성 기준별 유사점포군 설정,유사점포 군별 매출평균값 산출
점포별 기준실적 대비 과부족 산출, 과부족 원인분석, 원인별 프로모션 부진원인분석, 부진점포별 흡입시설 캠페인실행, 점포영역내 e-Mail마케팅 프로세스 지원을 실행하여 점포의 매출예측에 기반한 마케팅 프로모션 연계를 실행한다. 모든 정보는 Web Server내 법인회원의 전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매출우수점포 외부시장특성 분석은 전 점포의 매출기준 실적으로 산정하기 위한 것으로 경기호황시 매출우수점포 상위 10퍼센트의 분석시점의 이전 1년 평균값으로 하고, 일반경기 및 저조시에는 중위점포와 하위점포 기준으로 낮추어 조정한다. 매출우수점포 기준의 매출평균값을 기준실적으로 산출하고 기준실적에서 현실적을 차감하여 과부족실적을 산출한다. 부진 점포에 대한 원인분석 프로세스는 기업의 마케팅정보에 경쟁업체의 신상품을 자사의 유사상품군과의 점유비를 산출한다. 자사 점포의 분석반원내 속한 경쟁점포수와 자사전체의 유사상품군대비 경쟁사의 신상품비율을 각점포의 매출실적에 곱하여 산출된 값을 부진점포의 기준실적대비 현실적에서 차감한 값에서 다시 차감하여 부족분을 줄인다. 부족분의 값이 기준실적대비 현실적값보다 큰 경우 경쟁사의 제품개발에 따른 자연매출 감소액으로 판정한다. 자연매출감소액을 기준실적에서 차감하면 자사 자원 및 마케팅 프로모션 부족에 따른 매출부진액이 산출된다., 자사 점포의 반경원내 경쟁사 매출실적으로 기준으로 과부족을 분석하여 경쟁사의 수 및 경쟁사 신상품의 실적을 감안하여 원인을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되는 개념이다.
(경쟁사 전체 신상품 매출액 / 자사 전체 유사상품 매출액) = (a)경쟁사 상품기준 경쟁율
(기준일 점포별 경쟁사 점포수 - 분석일 점포별 경쟁사 점포수) = (b) 경쟁사 자원력
(기준일 매출예상액 - 분석일 매출액) = (c) 매출 과부족액
(경쟁사 총매출액/ 당사 매출액) = (d)경쟁사 매출점유비
(유사상품매출액 * (a)) = (e) 신상품 점유비 차감액
(b) * (d) = (f)점포점유비 차감비율
(c) - (c * d) - (c * f) = (g) 신상품 및 경쟁점포수 증가에 따른 매출 자연감소액
(g) - (c) = (h) 자원관리 및 마케팅 프로모션 부진 매출감소액
자원관리 및 마케팅 프로모션 부진 매출 감소액이 양의 값으로 나오면 본 모델에서는 흡입시설 내역을 출력한다. 흡입시설은 학교,숙박시설,관공서, 은행, 백화점, 대형할인점,극장 으로 정하고 해당되는 항목이 있는 경우 위치와 관련 속성정보를 함께 추출한다. 포함되는 속성정보는 포함시설 인원수, 유동인구수, 매장면적이 포함된다.
자원관리 분야는 부진점포의 해당 유사군집 인원수, 점포면적, 연간홍보비를 집계한후 기준점포 실적값에서 차감한 수치를 출력하여 분석한다.
1. 본 발명은 개인, 프랜차이즈, 중개업자 및 부동산과 창업관련 종사자들이데이터베이스 기반하에 전자지도를 이용하여 입지와 상권을 분석하는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로 감각적으로 운영되던 기존의 방식에서 객관화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2. 기존의 방식으로 시장특성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순 위치정보나 관공서를 통한 정보획득, 창업컨설팅사 등을 통해 시간 및 비용이 과대하게 소요되었으며 노력도에 비하여 획득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적었다. 본 모델을 통해서는 인터넷을 통해 상권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비용절감에 탁월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3. 프랜차이즈 등 법인 이용자들은 자사의 정보를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정보와 함께 비교분석할 수 있어 매출예측, 자원분석, 마케팅 원인분석 등이 즉시 분석결과값으로 출력되어 경영환경 개선 및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을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도입할수 있다.
4. 중개업자 및 프랜차이즈사는 자사의 물건과 프랜차이즈 정보를 누가 조회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잠재고객 확보 및 매출증진 효과를 거둘 수 있다.
5. 상권분석 정보는 이용자가 원하는 지점의 반원크기 및 임의영역으로 자유롭게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에 대하여 데이터를 추출하고 조회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이용자의 실제적인 상권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점포 출점이 비용절감 및 매출증진에 기여한다.

Claims (8)

  1. - 도1의 인터넷상의 상권분석 절차와 중개업자,프랜차이즈관련 사업자와 정보를 이용하는 개인이용자와의 커뮤니티 형성과정을 포함한 전체 상권분석 프로세스
  2. 도2의 임의영역과 반원원형을 지정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지역범위내에서의 상권특성을 추출하는 과정
  3. 도3의 개인이용자와 중개업자 및 프랜차이즈 사업자간의 커뮤니티형성 과정
  4. 도4의 상권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정하는 영역의 화면구성의 반원영역설정 및 자유영역을 설정하여 설정된 범위내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추출하는 과정
  5. 도8의 제공 데이터베이스 목록에서 열거된 상권분석용 데이터베이스
  6. 도11의 법인이용자가 자사의 정보를 인터넷에 추가하여 분석하는 정보생성과정
  7. 도 12,도13의 법인 이용자가 매출예측을 위한 분석 프로세스와 분석 방법
  8. 도 14의 이용자가 지정한 영역과 비교할 수 있는 상권을 생성하기위한 전국상권 분할 포인트 분할방법과 포인트 및 추출방식
KR1020010069623A 2001-11-08 2001-11-08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Ceased KR20030038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623A KR20030038178A (ko) 2001-11-08 2001-11-08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623A KR20030038178A (ko) 2001-11-08 2001-11-08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178A true KR20030038178A (ko) 2003-05-16

Family

ID=29568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623A Ceased KR20030038178A (ko) 2001-11-08 2001-11-08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8178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95B1 (ko) * 2002-09-06 2005-02-02 (주)두앤비소프트 지리정보를 이용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방법
KR100872070B1 (ko) * 2008-04-21 2008-12-05 (주)오픈메이트 지리 정보를 이용한 상권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3831B1 (ko) * 2007-10-12 2009-02-16 주식회사 타스테크 지리정보를 이용한 캠페인 지원 서비스방법
KR100883827B1 (ko) * 2008-04-05 2009-02-16 주식회사 타스테크 소상공인의 영업점 입지적합도 및 매출등급 계산 시스템 및방법
KR100883839B1 (ko) * 2008-03-18 2009-02-17 주식회사 타스테크 점포전략 지원 방법
KR100921217B1 (ko) * 2008-06-23 2009-10-12 (주)지디에스케이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2288B1 (ko) * 2008-07-31 2010-09-15 주식회사 신한은행 스마트 브랜치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CN101482864B (zh) * 2008-01-08 2012-07-25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检验gis数据的正确性的方法和装置
KR101712022B1 (ko) 2015-10-29 2017-03-13 김명락 니즈이동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80087594A (ko) 2017-01-25 2018-08-02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사용자의 니즈가 반영된 유동인구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JP2020095404A (ja) * 2018-12-11 2020-06-18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
KR20200080505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랩피스 지능형 소상공인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23048661A (ja) * 2021-09-28 2023-04-07 マップ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クラウドを用いた分析情報提供システム
KR20240160279A (ko) 2023-05-02 2024-11-11 민제홍 온라인 소매상 점포 상권과 신규 점포 입지 분석 정보 검색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495B1 (ko) * 2002-09-06 2005-02-02 (주)두앤비소프트 지리정보를 이용한 마케팅 지원 서비스방법
KR100883831B1 (ko) * 2007-10-12 2009-02-16 주식회사 타스테크 지리정보를 이용한 캠페인 지원 서비스방법
CN101482864B (zh) * 2008-01-08 2012-07-25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检验gis数据的正确性的方法和装置
KR100883839B1 (ko) * 2008-03-18 2009-02-17 주식회사 타스테크 점포전략 지원 방법
KR100883827B1 (ko) * 2008-04-05 2009-02-16 주식회사 타스테크 소상공인의 영업점 입지적합도 및 매출등급 계산 시스템 및방법
WO2009145472A1 (ko) * 2008-04-05 2009-12-03 주식회사 타스테크 소상공인의 영업점 입지적합도 및 매출등급 계산 시스템 및 방법
KR100872070B1 (ko) * 2008-04-21 2008-12-05 (주)오픈메이트 지리 정보를 이용한 상권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1217B1 (ko) * 2008-06-23 2009-10-12 (주)지디에스케이 소득추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2288B1 (ko) * 2008-07-31 2010-09-15 주식회사 신한은행 스마트 브랜치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기록매체
KR101712022B1 (ko) 2015-10-29 2017-03-13 김명락 니즈이동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20180087594A (ko) 2017-01-25 2018-08-02 초록소프트 주식회사 사용자의 니즈가 반영된 유동인구정보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JP2020095404A (ja) * 2018-12-11 2020-06-18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
KR20200080505A (ko)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랩피스 지능형 소상공인 지원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23048661A (ja) * 2021-09-28 2023-04-07 マップ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クラウドを用いた分析情報提供システム
JP7361409B2 (ja) 2021-09-28 2023-10-16 マップ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クラウドを用いた分析情報提供システム
KR20240160279A (ko) 2023-05-02 2024-11-11 민제홍 온라인 소매상 점포 상권과 신규 점포 입지 분석 정보 검색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g et al. A GIS approach to shopping mall location selection
CN106991576B (zh) 一种地理区域的热力展现方法和装置
KR20130019629A (ko) 부동산 물건의 유형별 입지 및 상권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gryzkov et al. Analysing successful public spaces in an urban street network using data from the social networks Foursquare and Twitter
KR20030038178A (ko)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인터넷 상권분석 방법
Murad Creating a GIS application for retail centers in Jeddah city
KR101078344B1 (ko) 상권 내에서의 업종별 매출 추정 방법
KR20100123408A (ko) Gis 기반의 가맹점 마케팅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2019053357A (ja) 不動産活用提案システム、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220110349A (ko) 부동산 물건의 유형별 입지 및 상권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Lin et al. Retail location modeling of supermarket chains in Taipei city
Babalola et al. A web-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tool for online land administration in Akure Nigeria
JP2002203026A (ja) 不動産情報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Trubint A GIS application to explore postal retail outlet locations
Murad Using GIS for Retail Location Assessment at Jeddah City
Khan et al. A GIS based approach to manage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of financial services: a case study of ATM services
KR20000063688A (ko) 인터넷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상권분석 전문가시스템
Del Gatto et al. A Huff model with firm heterogeneity and selection. Application to the Italian retail sector
MacDonald GIS in banking: Evaluation of Canadian bank mergers
Adesina et al. Optimal Coverage Analysis of Existing Automated Teller Machines within Minna Metropolis, Nigeria using the Best-Fit Model
Hogba et al. Analysing the spatial pattern of retail store locations in the urban environment of accra using GIS
Agryzkov et al. Studying successful public plazas in the city of Murcia (Spain) using a ranking nodes algorithm and Foursquare data
Murad Creating GIS-based spatial interaction models for retail centres in Jeddah City
Akinlabi et 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nd Real Estate Practice: Estate Surveying And Valuation Firms' Perspective
Trasberg Exploring Britain’s Retail Landscape Using New Forms of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2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