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186B1 -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186B1
KR100921186B1 KR1020080029807A KR20080029807A KR100921186B1 KR 100921186 B1 KR100921186 B1 KR 100921186B1 KR 1020080029807 A KR1020080029807 A KR 1020080029807A KR 20080029807 A KR20080029807 A KR 20080029807A KR 100921186 B1 KR100921186 B1 KR 10092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signal
vacuum clea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399A (ko
Inventor
하건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18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18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진 용기에 저장되는 먼지를 압축함과 동시에 센서를 이용하여 집진 용기에 저장되는 먼지량이 감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집진 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본체와,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부재가 포함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집진 장치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량이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집진 용기에 저장되는 먼지를 압축하여 저장함으로써 먼지의 저장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집진 용기에 저장되는 먼지의 양을 감지하여 집진 용기의 청소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집진 장치, 집진 본체, 송신부, 수신부

Description

진공 청소기 {Vacuum clean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집진 용기에 저장되는 먼지를 압축함과 동시에 센서를 이용하여 집진 용기에 저장되는 먼지량이 감지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이물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이물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흡입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청소기 본체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 중 이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분리부 내에서 분리된 먼지와 같은 이물은 배출되어 집진 장치로 유입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소정의 유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청소기 본체 내부에는 흡입된 공기가 상기 먼지 분리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유로 또는 분지 유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이 포함된 공기는 상기 유로를 통하여 상기 먼지 분리부 내로 이동되며 공기 중 먼지가 필터 링 되는 과정을 거친다.
그러나, 종래에는 집진 장치의 용량이 제한되어 청소기를 수회 사용할 때마다 집진 장치를 청소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집진 용기에 어느 정도의 먼지가 쌓여 있는지 파악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에 따라 집진 용기의 제용량을 초과하여 먼지가 집진 용기 내부로 계속 흡입되어 청소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집진 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진공 청소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진공 청소기에 센서가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를 통하여 집진 장치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량이 감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에 꽉 찬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집진 장치를 비울 것을 알려주는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집진 장치에 먼지를 압축하는 먼지 압축 장치가 제공되도록 하여 집진 장치에 저장되는 먼지의 양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집진 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본체와,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부재가 포함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집진 장치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량이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가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에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와, 상 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먼지가 저장되는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와, 상기 집진 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어 먼지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집진 장치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먼지의 저장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송신부;와, 상기 집진 장치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신호 송신부의 신호가 수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집진 장치에 형성되는 먼지 저장부에 이물이 쌓이게 되더라도 먼지 압축 구조에 의하여 이물을 압축하여 이물의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집진 장치에 저장될 이물의 양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신부 및 수신부를 통하여 집진 장치의 내부에 저장되는 먼지의 저장량, 특히 집진 장치를 비워야 할 정도의 먼지량이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집진 장치에 먼지가 꽉 차도록 저장되는 경우, 진공 청소기의 외부에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통하여 경고 표시가 나타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집진 장치를 적절한 시기에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청소기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진공 청소기(1)로 흡입된 공기 중 먼지등의 이물을 분리하는 먼지 분리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는 먼지 분리부(70)와,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먼지 분리부(70)에서 분리된 이물이 저장되는 집진 장치(100)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30)와, 상기 진공 청소기(1)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40)와, 사용자가 상기 진공 청소기(1)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본체 손잡이(20)가 포함된다.
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진공 청소기(1)에는, 피청소면의 이물을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 측으로 안내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과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연장관을 거친 공기를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관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장착되는 장착부(50)와, 상기 장착부(50)의 적어도 일면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장착부(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장치(10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하부 안착면(52)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먼지 분리부(70)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70)로 흡입된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되는 싸이클론부(71)와, 상기 싸이클론 유동에 의하여 분리된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100)로 배출되도록 하는 먼지 배출부(72)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 배출부(72)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장치(100)와 연통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싸이클론부(71)에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싸이클론부(70)에 흡입되도록 하는 복수의 공기 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싸이클론부(71)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먼지 배출부(72)는 상기 복수 개의 공기 흡입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공기는 상기 싸이클론부(71)의 양측에서 유입되고 중앙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공기 중 먼지가 분리된다. 그리고,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100)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에는, 먼지가 저 장되는 먼지 저장부(111)가 형성되는 집진 본체(110)와, 상기 집진 본체(110)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본체(1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집진 커버(120)와, 상기 집진 본체(110)의 일측에 제공되며, 사용자가 상기 집진 장치(100)를 용이하게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집진 손잡이(1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커버(120)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먼지 분리부(70)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배출되어 상기 집진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먼지 유입부(10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 유입부(102)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먼지 배출부(72)와 연통된다.
상세히, 상기 집진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먼지 저장부(111) 내부로 배출된 이물이 압축되도록 하는 유닛으로서 상기 집진 본체(1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30)와, 상기 고정 부재(130) 방향으로 회전되어 먼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1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저장부(111)에는, 상기 가압 부재(14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회전 축(142)과, 상기 회전 축(142)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 축(132)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 축(142) 및 고정 축(132)은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대략 중심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축(132)은 상기 고정 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130)의 적어도 일면은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축(142)은 상기 가압 부재(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부재(140)는 상기 회전 축(14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공된다.
도 4는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100)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먼지 저장부(111)가 형성되는 집진 본체(110)와, 상기 집진 본체(110)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집진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집진 커버(120)와, 상기 먼지 저장부(111)에 제공되며 상기 집진 본체(1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130)와, 상기 고정 부재(130)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가압 부재(14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대략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 부재(130)의 일측에 제공되는 고정 축(132)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축(132)은 상기 고정 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집진 본체(110)의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130)의 타측은 상기 집진 본체(110)의 일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 부재(130)는 상기 집진 본체(11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축(132)의 상측에는, 상기 가압 부재(14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상인 회전 축(142)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부재(140)는 상기 회전 축(14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 부재(140)는 상기 회전 축(142)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축(142)의 일부는 상기 고정 축(13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축(142)에는, 상기 회전 축(142)이 상기 고정 축(132)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하는 단차부(142b)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집진 장치(100)의 하측에는, 상기 회전 축(14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기어(220)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기어(2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집진 장치(100)의 하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220)는 상기 상기 회전 축(142)의 내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220)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 축(142)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축(142)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2 기어(220)와 밀착되어 소정의 마찰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마찰 발생부(14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 발생부(142a)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제 2 기어(220)와 상기 회전 축(142)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마찰 발생부(142a)는 상기 회전 축(142)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기어(220)가 헛돌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220)의 외주면은 상기 마찰 발생부(142a)의 형상과 대응되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축(142)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축(142)이 상기 제 2 기어(220)에 대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체결 부재(144)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 부재(144)는 상기 제 2 기어(220)의 상측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회전 축(142)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 부재(144)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142c)가 내부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부재(144)는 상기 체결부(142c)의 상측으로부터 체결되며, 상기 체결 부재(144)는 상기 회전 축(142)과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142)과 상기 체결 부재(144) 간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2 기어(22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 축(142) 및 체결 부재(144)는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축(142)과 제 2 기어(220)간에는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되며, 상기 회전 축(142)과 체결 부재(144) 간에는 또 다른 마찰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 부재(140) 및 회전 축(142)의 회전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00)와, 상기 구동 모터(200)와 모터 축(202)에 의하여 연결되는 제 1 기어(21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기어(220)는 상기 제 1 기어(21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어(210) 및 제 2 기어(220)는 상기 구동 모터(200)에 의하여 회전되며,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력이 상기 가압 부재(140) 및 회전 축(142)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 전달 부재라 이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210) 및 제 2 기어(220)는 다수의 이빨을 가지는 일반적인 기어, 예를 들어 평기어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달리, 상기 제 1 기어(210)는 생략되고, 상기 제 2 기어(220)는 상기 구동 모터(220)의 모터 축(202)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의 내부 먼지량이 꽉 차도록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가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로서, 송신부(231) 및 수신부(233)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231) 및 수신부(233)에는 각각 적외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적외선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송신부(23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송신부(231)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장치(100)와 상기 송신부(231)의 사이에는, 상기 송신부(231)에서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본체(10)를 통과하여 상기 집진 장치(10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신호 통과부(232)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신호 통과부(232)는 상기 본체(10)의 일부분 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신호 통과부(232)는 상기 송신부(231)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투과 가능한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집진 커버(120) 중 적어도 상기 송신부(231)의 신호가 통과되는 부분은 상기 제 1 신호 통과부(232)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233)는 상기 하부 안착면(52)의 하측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233)는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장치(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 장치(100)와 상기 수신부(233)의 사이에는, 상기 송신부(23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상기 수신부(233)로 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제 2 신호 통과부(234)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신호 통과부(234)는 상기 송신부(231)로부터 발생된 신호가 투과 가능한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집진 본체(110)의 하면 중 적어도 상기 송신부(231)의 신호가 통과되는 부분은 상기 제 1 신호 통과부(232) 및 제 2 신호 통과부(234)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진 본체(110)의 먼지는 상기 고정 부재(130)의 양측으로부터 점점 가압되어 쌓여지므로, 상기 송신부(231) 및 수신부(233)는 도 4에서 볼 때 상기 가압 부재(14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233)는 상기 송신부(231)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서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송신부(23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집진 장치(100) 내부의 먼지등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 한, 상기 수신부(233)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먼지 압축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집진 장치(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면, 상기 제 2 기어(220)는 상기 제 1 기어(21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기어(220)의 기어 이빨은 상기 제 1 기어(210)의 기어 이빨에 맞물려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구동 모터(200)의 구동력은 상기 제 1 기어(210) 및 제 2 기어(220)를 통하여 상기 회전 축(142)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축(142)은 상기 제 2 기어(220) 및 상기 체결 부재(144)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가압 부재(140)는 상기 회전 축(142)과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집진 본체(110) 내부의 먼지를 상기 고정 부재(130)를 향하여 가압한다.
상기 먼지가 가압되는 동안 상기 송신부(231)에서는 상기 수신부(233)를 향하여 신호가 송신된다. 만약, 상기 송신부(231)로부터 상기 수신부(233)를 향하여 형성되는 신호 경로 상에 상기 집진 본체(110) 내부의 먼지가 위치된다면 상기 신호는 상기 수신부(233)에 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에서 먼지가 압축되는 과정 및 센서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에서 먼지가 꽉 차도록 저장되는 경우 센서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에는, 먼지 압축을 위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200)와, 피청소면으로부터 상기 본체(10) 내부로 먼지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310)와, 상기 구동 모터(200) 및 흡입 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가 포함된다.
또한, 진공 청소기에는,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100)의 내부에 꽉 차게 저장 되는지 여부가 감지되도록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23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송수신부(230)에는, 상기 송신부(231) 및 수신부(23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230)의 작동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한, 진공 청소기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에 먼지가 풀(full)로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그 사실이 사용자에게 알려지도록 하는 표시부(320)가 포함된다.
여기서, 먼지가 상기 집진 장치(100)에 풀(full)로 저장, 즉 꽉 차도록 저장되었다는 것은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내부에 먼지가 완전히 채워졌다는 의미가 아니라,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먼지가 비워져야 할 정도로 채워졌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비워져야 할 정도로 채워졌다고 판단되는 먼지의 양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20)에는, 먼지가 꽉 차도록 저장되었음을 경고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이 적용되거나, 음성으로 경고 메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스피커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140)는 상기 고정 부재(130)를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먼지 저장부(111) 내에 모여진 먼지는 회전되는 가압부재(140)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상기 고정부재(130)의 양측으로 이동되어 압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먼지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먼지의 양이 증대되면, 압축된 먼지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140)는 상기 먼지 저장부(111) 내의 먼지량에 의하여 회전되는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상기 가압 부재(140)가 압축 먼지에 의하여 그 회전이 구속되면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터(200)에는 싱크로노스 모터(synchronous motor)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싱크로노스 모터는 모터의 회전 방향에 소정 크기 이상의 반력이 작용되면 잠시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140)는 상기 고정부재(130)의 양측에 형성된 먼지(D)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140)는 상기 먼지 저장부(111) 내에서 "α"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집진 장치(100)의 하측에는 상기 송신부(231)의 신호가 수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신부(233)가 제공된다.
도 6은 먼지가 상기 집진 본체(110)의 내부에 꽉 차 있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다. 즉, 상기 송신부(231)의 하측에는 상기 집진 장치(100)의 먼지가 위치되지 않는다.
이 경우, 상기 송신부(23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수신부(233)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신호는 상기 수신부(233)에 수신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집진 장치(100)의 내부에 먼지가 꽉 차 있지 않음을 인식한다.
이 경우, 상기 흡입 모터(310)에 의하여 먼지 흡입 과정이 계속 이루어지며, 구동 모터(200)에 의하여 먼지 압축 과정이 계속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 부재(140)와 고정 부재(130)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위치를 기준 위치로 할 경우, 상기 송신부(231) 및 수신부(233)는 상기 기준 위치에서 상기 가압 부재(140)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송신부(231) 및 수신부(233)는 상기 고정부재(130)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이상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된 위치의 본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먼지 저장부(111)의 적어도 1/2 이상이 먼지에 의하여 채워졌을 때, 상기 송신부(231) 및 수신부(233)에 의하여 먼지의 비움
만약, 상기 송신부(231) 및 수신부(233)가 만약 상기 고정 부재(130)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경우, 상기 집진 본체(110)의 내부에 먼지가 반 이상 차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송수신부(231,233)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아 먼지가 꽉 차 있다고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7은 먼지가 상기 집진 본체(110)의 내부에 꽉 차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이 경우, 상기 송신부(23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상기 먼지(D)에 의하여 상기 수신부(233)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 본체(110) 내에 상기 먼지(D)가 꽉 차 있음을 인식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집진 장치의 먼지 저장량이 꽉 차있음을 알리는 경고가 상기 표시부(320)를 통하여 외부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 자체에서 경고음이 울리도록 하거나, 청소기 외부에 스피커가 장착되어 경고 메세지가 들리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진공 청소기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어 집진 장치에 저장된 먼지의 양이 확인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먼지가 상기 집진 본체(110)에 꽉 차 있는 상태에서 더 이상 먼지가 청소기 본체 내로 흡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흡입 모터(310) 및 구동 모터(200)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송수신부(231,233)의 작동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집진 본체(110) 내부에 먼지가 꽉 차있음을 인식하여 적절한 시기에 상기 집진 장치(10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동작 구조 및 동작 방법에 의하여 집진 장치의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장착된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서의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Ⅰ-Ⅰ'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에서 먼지가 압축되는 과정 및 센서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상기 집진 장치의 내부에서 먼지가 꽉 차도록 저장되는 경우 센서가 작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10)

  1.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본체와, 상기 먼지 저장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먼지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가압부재가 포함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되며,
    적어도 상기 집진 장치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먼지 저장부에 저장된 먼지량이 감지되도록 하는 센서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는,
    상기 집진 장치의 일측에 제공되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집진 장치의 타측에 제공되어 상기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본체의 개구된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집진 커버가 더 포함 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집진 커버의 상측에 제공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집진 본체의 하측에 제공되는 진공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양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와 고정 부재가 동일 평면을 형성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가압 부재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전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가 포함되며, 상기 기어에는 상기 구동 모터의 모터 축이 연결되는 진공 청 소기.
  7. 장착부가 형성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제공되는 구동 모터;
    상기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집진 장치;
    상기 집진 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어 먼지의 부피가 감소되도록 하는 가압 부재;
    상기 집진 장치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먼지의 저장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신호가 송신되도록 하는 신호 송신부;
    상기 집진 장치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신호 송신부의 신호가 수신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가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 장치에 저장된 먼지가 미리 설정된 부피 이상이 저장되었음을 경고하는 표시부가 더 포함되는 진공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상기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경고 메세지 또는 경고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먼지가 흡입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모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신호 송신부의 신호가 상기 신호 수신부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080029807A 2008-03-31 2008-03-31 진공 청소기 KR10092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807A KR100921186B1 (ko) 2008-03-31 2008-03-31 진공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807A KR100921186B1 (ko) 2008-03-31 2008-03-31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99A KR20090104399A (ko) 2009-10-06
KR100921186B1 true KR100921186B1 (ko) 2009-10-13

Family

ID=4153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807A KR100921186B1 (ko) 2008-03-31 2008-03-31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170B1 (ko) * 2009-12-22 201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CN106175605B (zh) * 2015-05-07 2019-09-06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扫地机器人及其的灰尘压缩控制装置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60A (ja) 2000-11-13 2002-05-21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20050040122A (ko) * 2005-03-23 2005-05-03 이천수 먼지 자동제거기능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KR100869003B1 (ko) 2005-05-12 2008-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869004B1 (ko) 2005-05-16 2008-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3060A (ja) 2000-11-13 2002-05-21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20050040122A (ko) * 2005-03-23 2005-05-03 이천수 먼지 자동제거기능을 포함하는 로봇청소기
KR100869003B1 (ko) 2005-05-12 2008-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0869004B1 (ko) 2005-05-16 2008-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399A (ko) 2009-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313B2 (en) Vacuum cleaner
US8713752B2 (en) Vacuum cleaner
KR20070093850A (ko) 전기 청소기
KR100906848B1 (ko) 진공 청소기
KR100921186B1 (ko) 진공 청소기
CN201658326U (zh) 具有主模块和清洁头的机器人真空吸尘器
EP2120667A1 (en) Vacuum cleaner
KR100849554B1 (ko) 로봇 청소기의 먼지 비움 시스템
US9814363B2 (en) Vacuum cleaner having a pressing member and a dust collection body with foreign matter control
KR100985337B1 (ko) 진공 청소기
JP2013066661A (ja) 電気掃除機
JP5038780B2 (ja) 電気掃除機
KR101093941B1 (ko) 진공 청소기
JP2011188981A (ja) 電気掃除機
KR20100039981A (ko) 진공 청소기
KR100846904B1 (ko) 진공 청소기
KR100876699B1 (ko) 진공 청소기
KR101025984B1 (ko) 진공 청소기
WO2022201586A1 (ja) 掃除システム
KR100813723B1 (ko) 진공 청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1121A (ko) 진공 청소기
KR20070107508A (ko) 먼지분리기구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1136193B1 (ko) 진공 청소기
KR100842964B1 (ko) 진공 청소기
KR20100040122A (ko) 진공 청소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