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383B1 -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383B1
KR100920383B1 KR1020090007110A KR20090007110A KR100920383B1 KR 100920383 B1 KR100920383 B1 KR 100920383B1 KR 1020090007110 A KR1020090007110 A KR 1020090007110A KR 20090007110 A KR20090007110 A KR 20090007110A KR 100920383 B1 KR100920383 B1 KR 100920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hamber
flat panel
panel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8589A (ko
Inventor
이영종
최준영
강찬호
이정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0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3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6Machines having sequentially arranged operat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2Arm motion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상태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기판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챔버 내부에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서 기판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공정 챔버에 있어서, 상기 공정 챔버는 1 장의 대면적 기판과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겸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공정 챔버를 제공한다.
평판표시소자, 플라즈마,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클러스터, 겸용 장비

Description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PANEL DISPLAY}
본 발명은 진공 상태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기판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PDP 등의 평판표시소자의 제조에 사용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는 로드락챔버, 반송챔버, 공정챔버로 구성된다.
로드락챔버, 반송챔버, 공정챔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적으로 나란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며, 각 챔버 간에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게이트 밸브(G)가 구비되어, 각 챔버 간의 진공 분위기 등을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로드락 챔버(10)는 외부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정이 처리될 새로운 기판을 반입하거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내에서 공정 처리가 완료된 기판을 외부로 반출하는 역할을 하며, 그 내부는 진공 상태와 대기압 상태를 반복적으로 유지하면서 외부와 접촉된다. 따라서 그 내부에는 기판을 적재할 수 있는 버퍼(12)가 마련되며, 그 버퍼(12)에는 기판이 하나 또는 복수개가 적층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로드락 챔버(10)에는 버퍼(12) 상에 기판(S)을 적재시키기 위한 리프트 핀(lift pin, 18)이 마련된다. 이 리프트 핀(18)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락 챔버(10) 외부에서 로더에 의하여 반입된 기판(S)을 소정 높이 만큼 들어올린 후, 로더가 로드락 챔버 밖으로 퇴피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판(S)을 하강시켜 버퍼(12)에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 버퍼(12)의 외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12)에 적재된 기판(S)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얼라이너(aligner, 16)가 마련된다. 이 얼라이너(16)는 버퍼에 적재되어 있는 기판(S)의 측면을 대각선 방향으로 밀어서 기판의 위치를 보정한다. 또한 로드락 챔버(10)에는 그 내부를 진공분위기와 대기 분위기로 변화시키기 위한 배기 장치(도면에 미도시)와 가스공급 장치(도면에 미도시)도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반송챔버(20)는 상기 로드락 챔버(10) 및 공정챔버(30)와 연결되며, 그 내부에 반송로봇(22)이 마련되어 있어서, 로드락 챔버(10)와 공정 챔버(30) 간에 기판을 반입하거나 반출할 수 있으며, 반송 챔버 자체는 기판 반출입의 과정에서 중간 통로로 기능한다. 이 반송 챔버(20)의 내부는 항상 진공분위기로 유지되어 공정챔버(30) 내의 기판을 반출하거나 공정챔버(30) 내로 기판을 반입하는 때에도 공정챔버(30) 내부의 진공분위기가 해제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 반송 챔버에도 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배기장치가 마련된다.
또한 공정챔버(30)는 그 내부에 기판을 탑재시킬 수 있는 탑재대(32)와 기판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처리장치(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진공분위기하에서 기판 상에 식각 등의 처리를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처리장치란, 탑재대에 RF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공정 챔버 내부에 공정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공정가스 공급부, 하부전극으로 사용되는 상기 탑재대와 대향되도록 마련되는 상부 전극, 기판의 반출입을 돕기 위한 리프트 핀 등이 있다.
또한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는 상기 로드락 챔버(10)에 기판을 공급하고, 로드락 챔버(10)로부터 기판을 전달받아서 외부로 반출하는 로더(40)가 더 마련된다. 이 로더(40)는 로드락 챔버(1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다수장의 기판이 적재되어 있는 카세트(C)로부터 1장의 기판을 수취하여 로드락 챔버(10)로 반입하고, 처리가 완료된 기판을 로드락 챔버(10)로부터 수취하여 카세트(C)에 적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로더(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락 챔버(10)와 카세트(C) 사이에 배치되며, 기판의 반출입을 위하여 로봇암이 회전 및 수평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마련된다.
그런데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제조되는 평판표시소자의 수율 증가를 위해 처리되는 기판의 크기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이렇게 기판의 크기가 커지는 것은, 한 번의 처리 공정에 의하여 다수장의 패널을 생산하여 수율을 높이고자 함이다. 또한 점차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대면적 패널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기판의 크기가 확대되면서 넓은 면적의 기판의 전면에 걸쳐서 균일한 처리를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즉, 넓은 기판을 한번에 처리하여 수율을 높이고자 함에 반하여, 넓은 기판이 균일하게 처리되지 않아서 불량품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1장의 대면적 기판이 아니라 적절한 크기의 소면적 기판 다수장을 한 번의 공정으로 처리하는 것이 보다 수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따라서 대면적 기판을 생산할 수 있으면서, 특별한 구조 변경 없이 필요에 따라 소면적 기판 다수장을 동시에 처리하여 수율을 높이면서도 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1장의 대면적 기판도 처리할 수 있고,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도 처리할 수 있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챔버 내부에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서 기판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공정 챔버에 있어서, 상기 공정 챔버는 1 장의 대면적 기판과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겸용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공정 챔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 챔버에는, 다수개의 분할 전극이 형성된 하부 전극이 상기 공정 챔버의 내부 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1장의 대면적 기판을 물론 이거니와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균일하게 처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때 각 분할 전극은 서로 전기적으로 단속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어, 다양한 처리방식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전극에는, 상기 각 분할 전극의 테두리 영역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리프트 핀이 승강할 수 있도록 마련되되,
상기 리프트 핀 중에서 상기 하부 전극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리프트 핀은 상기 하부 전극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리프트 핀과 별도로 구동되도록 하여 다양한 처리방식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공정챔버, 반송 챔버 및 로드락 챔버로 구성되어 기판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락 챔버, 반송 챔버 및 공정 챔버는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동시에 처리하는 다중 처리 모드와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하는 단일 처리 모드를 겸용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다중 처리 모드라 함은 다수장의 기판을 한 번의 공정으로 균일하게 처리하는 처리 방식을 말하는 것이며, 단일 처리 모드라 함은 한장의 기판을 균일하게 처리하는 처리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박막을 특정한 패턴으로 식각하는 에칭 장치와, 화학 기상 증착법을 이용하여 기판상에 소정의 박막을 형성시키는 화학 기상 증착 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칭 장치는,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에 동시에 RF 전원을 인가하는 멀티 타입(multi-type) 에칭 장치, 상부 전극 또는 하부 전극 중 어느 한 전극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2개의 RF 전원을 인가하는 듀얼 알 에프(dual RF-type) 에칭 장치, 하부 전극에 RF 전원을 인가하는 알아이이 타입(Reactive Ion Etching type) 에칭 장치, 피이 타입(Plasma Enhanced type) 에칭 장치 등의 다양한 에칭 장치가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동시에 처리할 수도 있고, 1장의 대면적 기판도 처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처리 조건에 용이하게 적응하여 평판표시소자 생산 효율을 최대화하며, 시장이 요구하는 규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챔버(110); 반송 챔버(120); 로드락 챔버(130); 로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공정챔버(110)는 종래의 공정 챔버(30)와 마찬가지로, 챔버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든 상태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기판 상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요소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공정 챔버(110)는 한 번에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또한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할 수 있는 겸용 공정 챔버로 마련되는 것이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정 챔버(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분할 전극(112a)이 형성된 하부 전극(112)이 마련된다. 여기에서 분할 전극 이라 함은, 큰 하부 전극에 다수장의 기판이 위치되어 각각 처리될 수 있도록 독립하여 기판이 재치되는 분할된 전극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번의 공정으로 4장의 기판을 처리하기 위하여 하나의 하부 전극(112)에 4개의 분할 전극(112a)이 형성된다. 이 각 분할 전극(112a)에는 별도로 RF 전원이 인가되며, 별도로 구동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정 챔버(110)는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할 수도 있으므로, 하부 전극 전체가 하나의 전극으로도 기능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분할 전극(112a)은, 각 분할 전극 간에 전기적으로 단속(斷續)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된다.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처리할 때는 각 분할 전극(112a)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각 기판을 처리하고,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할 때는 각 분할 전극(112a)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대면적 기판을 균일하게 처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분할 전극(112a)에는 각각 1장의 기판이 재치되므로, 각 분할 전극별로 별도의 기판을 수취할 수 있는 리프트 핀(114)이 마련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할 전극(112a)의 가장 자리 영역을 관통하여 승강하도록 리프트 핀(114)이 마련된다. 이 리프트 핀(114)은 각 분할 전극(112a)에 재치되는 기판의 가장자리를 지지하여 기판의 장탈착을 돕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정 챔버를 이용하여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처리할 때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할 전극(112a)의 테두리에 마련된 모든 리프트 핀(114)이 상승하여 다수장의 기판을 수취하여 각 분할 전극(112a) 상에 내려놓고, 들어올린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공정 챔버(110)를 이용하여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할 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전극(112)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리프트 핀(114)은 구동되지 않고, 상기 하부 전극(112)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리프트 핀(114)만 상승하여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수취하여 하부 전극(112) 상에 내려놓고, 들어올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핀(114)은 하부 전극(112)의 테두리 영역에 배치되는 리프트 핀이 하나의 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하로 구동되고, 하부 전극(112)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리프트 핀은 다른 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하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공정 챔버(110)에는 2개의 서로 다른 핀 플레이트가 마련되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할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리프트 핀이 상승하여 기판을 수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 기판의 형상 및 구조가 하부 전극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기판 상에 무라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송 챔버(120)가 마련되고, 이 반송 챔버(120)의 외측에 다수개의 공정챔버(110)가 연결되어 마련되는 클러스터형으로 마련되는 것이, 하나의 반송 챔버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공정 챔버를 운영함으로써 기판 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반송 챔버(120)는 종래의 반송 챔버(20)와 마찬가지로 공정 챔버(110)와 로드락 챔버(130) 사이에서 기판을 전달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챔버(120)는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한 번의 동작으로 반송할 수도 있고, 1장의 대면적 기판을 반송 할 수도 있는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송 챔버(120)에는 다수장의 기판을 동시에 이송할 수 있는 구조의 로봇암이 마련된 반송 로봇(122)이 구비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암의 로봇 핸드(122b)가 긴 직선 형태로 마련되되, 하나의 로봇암(122a)에 4개 이상의 로봇 핸드(122b)가 평행하게 마련되어 4장의 기판이 일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로봇암을 이용하여 1장의 대면적 기판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로봇 핸드(122b)가 1장의 대면적 기판의 하부를 지지하여 기판을 반송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정 챔버(110) 내에서 처리가 완료된 기판과 미처리 기판의 원활한 교환을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봇암을 더블암 구조로 마련한다. 즉, 상하에 각각 기판을 적재할 수 있도록 로봇 핸드(122b)가 상하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측의 로봇 핸드가 처리 완료된 기판을 임시로 적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미처리 기판을 공정 챔버 내부로 반입할 수 있도록 하여 기판의 교환 공정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설명하지 않은 112c는 기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패드이다.)
다음으로 로드락 챔버(130)는, 대기압 분위기의 외부와 연통하면서 외부에서 기판을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내로 반입하고, 처리가 완료된 기판을 외부로 반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130)는 종래와 달리, 다수장의 기판을 동시에 반입하고, 동시에 반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대면적 기판을 반출입 할 수 있는 겸용 구조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13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기판이 일렬로 나란하게 재치될 수 있는 버퍼(132)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각 버퍼(132)는 기판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로드락 챔버(130) 내로 진입된 기판이 진입되는 방향에서 추가 이동과정 없이 버퍼(132)에 수취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130)에도 종래와 같이, 리프트 핀(134)과 얼라이너(136)가 마련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130)에서는 다수장의 기판을 반출입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장의 기판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2조의 리프트 핀(134)이 마련된다. 즉, 일측의 2 버퍼가 한조가 되고, 타측의 이웃한 2 버퍼가 한조가 되며, 각 버퍼에는 별도로 구동되는 리프트 핀이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각 조의 버퍼에는 별도의 기판이 수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130)에 의하여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핀(134) 및 얼라이너(136)가 하측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대면적 기판이 모든 버퍼(132)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어 재치된다. 그리고 기판을 얼라인 하는 경우에는 대면적 기판의 마주보는 모서리에 위치한 얼라이너만을 상승시킨 후, 이 얼라이너를 이용하여 얼라인 작업을 진행한다.
또한 얼라이너(136)는 4장의 기판을 동시에 얼라인할 수 있도록 각 기판이 재치될 위치에 별도로 마련된다. 이 얼라이너(136)들은 각각 별도로 구동하며 버퍼(132)에 재치된 기판의 위치를 보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 버(130)에 마련되는 얼라이너(136)들은 각각 별도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기판(S)이 버퍼(132)에 재치되어 수평이동하는 동안에는 얼라이너(136)가 하강하여 기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기판이 완전히 이동한 후에는 상승하여 기판의 위치 재조정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130)에는 상기 버퍼(132) 상부에 재치되는 기판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판 이동수단(도면에 미도시)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판 이동수단은 기판(S)을 버퍼(132) 상에서 수평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어, 도 10a,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퍼(132)의 일단에 재치된 기판을 버퍼(132)의 타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드락 챔버(130) 내부로 기판을 반입하는 경우에 상기 버퍼(132)의 어느 일단에 기판을 재치시키면 이를 버퍼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로드락 챔버(130) 내 버퍼(132) 상의 기판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로드락 챔버(130) 외측에서 로드락 챔버 내로 기판을 반입하고 반출시키는 로더(140)의 구성을 매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100) 내로의 기판의 반입 및 반출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적층형 로드락 챔버를 채용할 수도 있다. 적층형 로드락 챔버란, 동일한 구조의 로드락 챔버가 상하로 적층되어 마련되고, 각 로드락 챔버는 반송 챔버와 연결되어 마련되는 것이다. 이렇게 적층형 로드락 챔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로드락 챔버를 반입용으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반출용으로 사용하는 등 기판의 반입 및 반출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100)에서는, 상기 로드락 챔버(130)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기 로드락 챔버(130)로 기판을 반입하고, 로드락 챔버(130) 내부의 기판을 외부로 반출하는 로더(loader, 140)가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더(140)는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로딩할 수도 있고, 1장의 대면적 기판을 로딩(loading)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더(140)는 4개의 로봇 핸드(142)가 나란히 배열된 로봇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로봇 핸드(142)에는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이 동시에 적재될 수도 있고, 1장의 대면적 기판이 적재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구조의 로더(140)를 이용하여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동시에 로딩하기 위해서는 기판이 적재되어 있는 카세트의 구조 자체가 종래와 상이하여야 한다. 즉, 한 층에 4장의 기판이 직사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는 카세트로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면 상기 로더(140)가 상기 카세트의 한층에 적재되어 있는 기판 4장을 한 번의 동작으로 수취하여 로드락 챔버내로 반입하고, 반출하여 적재시키는 것이다.
한편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처리하는 경우와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하는 경우에 각각 상이한 구조의 로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종래에 사용하던 카세트를 그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장의 소면적 기판을 처리할 때는 소면적 기판의 로딩에 적합한 로더 2대를 병렬하여 배치한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1장의 대면적 기판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대면적 기판을 로딩할 수 있는 별도의 로더를 1 대 배치하여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전극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전극의 운용례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 로봇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 로봇의 운용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송 로봇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의 운용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드락 챔버의 다른 운용례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더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7)

  1. 기판에 대한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정챔버; 및
    상기 공정챔버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기판이 놓여지며, 상기 기판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분할전극들을 구비하는 하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전극들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단일 처리 모드와 전기적으로 상호 차단되는 다중 처리 모드를 가지며,
    상기 분할전극들은, 상기 단일 처리 모드에서 동일한 기판을 처리하며, 상기 다중 처리 모드에서 상기 분할전극들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기판들을 각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는 상기 분할전극들의 테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승강하는 복수의 리프트 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핀들은 상기 하부전극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중앙 리프트 핀들과 상기 하부전극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테두리 리프트 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리프트 핀들과 상기 테두리 리프트 핀들은 별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 상에 소면적 기판 2장이 나란하게 놓여진 상태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 상에 소면적 기판 4장이 나란하게 놓여진 상태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6. 공정챔버 및 반송챔버, 그리고 로드락 챔버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정챔버 및 반송챔버, 그리고 로드락 챔버 중 어느 하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부에 기판이 놓여지며, 상기 기판과 대체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분할전극들을 구비하는 하부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전극들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단일 처리 모드와 전기적으로 상호 차단되는 다중 처리 모드를 가지며,
    상기 분할전극들은, 상기 단일 처리 모드에서 동일한 기판을 처리하며, 상기 다중 처리 모드에서 상기 분할전극들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는 기판들을 각각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챔버는 복수의 소면적 기판들을 동시에 반송할 수 있도록 4 개의 반송 핸드가 나란히 배치되는 반송 로봇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20090007110A 2009-01-29 2009-01-29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0920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110A KR100920383B1 (ko) 2009-01-29 2009-01-29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110A KR100920383B1 (ko) 2009-01-29 2009-01-29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317A Division KR100905394B1 (ko) 2005-08-01 2005-08-01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589A KR20090028589A (ko) 2009-03-18
KR100920383B1 true KR100920383B1 (ko) 2009-10-07

Family

ID=4069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110A KR100920383B1 (ko) 2009-01-29 2009-01-29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3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12A (ko) * 1999-08-06 2001-03-05 윤종용 스페이서 산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20825A (ko) * 1999-08-31 2001-03-15 오쿠노 도시오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브 블록의 지지틀
KR20030054770A (ko) * 2001-12-26 2003-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스퍼터
KR20060031970A (ko) * 2004-10-11 2006-04-14 두산디앤디 주식회사 Oled 제조장치의 언로딩 챔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12A (ko) * 1999-08-06 2001-03-05 윤종용 스페이서 산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20825A (ko) * 1999-08-31 2001-03-15 오쿠노 도시오 평판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브 블록의 지지틀
KR20030054770A (ko) * 2001-12-26 2003-07-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스퍼터
KR20060031970A (ko) * 2004-10-11 2006-04-14 두산디앤디 주식회사 Oled 제조장치의 언로딩 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589A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9034B (zh) 垂直直列cvd系统
KR101088289B1 (ko) 탑재대, 처리 장치 및 처리 시스템
CN101461051B (zh) 基板传输设备及使用该设备的高速基板处理系统
JP4888917B2 (ja) 縦型基板搬送装置および成膜装置
KR101425268B1 (ko) 기판 수수 방법
KR20070015759A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0965413B1 (ko) 기판 처리용 클러스터 장치 및 클러스터 장치의 기판 처리방법
KR102173658B1 (ko) 기판처리시스템
JP5730322B2 (ja) 蒸着装置及び蒸着方法
KR100796052B1 (ko) 처리장치 시스템
KR100920420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0905394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0959680B1 (ko) 기판 이송 시스템
KR100920383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0934765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0920419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100940303B1 (ko) 평판표시소자 제조장치
KR20170055141A (ko) 기판 처리장치 및 기판 처리방법
KR100898975B1 (ko) 플라즈마 처리방법
KR101688842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000086B1 (ko) 기판 처리용 클러스터 장치 및 클러스터 장치의 기판 처리 방법
TWI693871B (zh) 立式連續蝕刻機
KR20140140462A (ko) 원자층 증착 장치
JP2000144430A (ja) 真空処理装置及びマルチチャンバ型真空処理装置
KR20110072129A (ko) 기판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