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183B1 -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183B1
KR100920183B1 KR1020090006721A KR20090006721A KR100920183B1 KR 100920183 B1 KR100920183 B1 KR 100920183B1 KR 1020090006721 A KR1020090006721 A KR 1020090006721A KR 20090006721 A KR20090006721 A KR 20090006721A KR 100920183 B1 KR100920183 B1 KR 100920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otrusion
fixing
buckle
transparen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호
Original Assignee
유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호 filed Critical 유성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1Ornamental buckles
    • A44B11/003Ornamental buckles covered with cloth or other material; M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00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by altering locally the surfac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은 : 프레임의 표면을 기호에 맞게 조각하여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에는 광택층을 형성하며, 오목부에는 무광택층을 형성하여 새로운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클, 돌출부, 오목부, 광택층, 무광택층

Description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Buckle and its fabr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을 기호에 맞게 조각한 연후에 돌출부는 광택을 내고 오목부는 무광처리하여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로운 심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키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띠는 바지나 치마 등에 착용하여 하의가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잡아주기 위한 보조구로서, 허리띠는 통상 바지나 치마의 상단 둘레방향에 끼워져 사용자가 하의를 입은 상태로 허리띠를 자신의 허리 둘레에 알맞게 잠금 체결함으로써, 착용된다.
이러한 허리띠는 버클과 허리를 감싸는 밴드로 이루어진다.
버클은 전면에 인쇄 또는 양음각 된 글자나 도형 등 다양한 모양이 부착되거나 또는 버클자체에 일체로 구성되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종래의 버클은 구조적으로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모양이 극히 획일적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며, 전면에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아 충격에 의해 부착된 모양이 떨어지고, 스크래치 등으로 인해 미감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관상 극히 단조롭기 때문에 이 역시 독특한 제품을 찾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 주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의 전면을 돌출부와 오목부로 조각하여 돌출부에는 광택층을 형성하고, 오목부는 무광택층을 형성하여 명도대비에 의해 미감을 향상시키는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프레임의 전면에 투명수지를 인서트하여 투명수지층을 형성하여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하는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버클은 프레임의 표면을 기호에 맞게 조각하여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에는 광택층을 형성하며, 오목부에는 무광택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프레임의 전면에는 투명수지로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버클의 프레임은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한 요철판과, 요철판이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된 안착홈을 형성한 안착판과, 안착홈에서 요철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고정부는 요철판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와,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안착홈에 형성된 고정홀로 이루어져 고정홀에 상기 고정돌기 삽입 후, 안착판 후면으로 노출된 고정돌기가 압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프레임의 전면에는 투명수지로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버클은 프레임의 표면을 조각하여 중앙에 오목부와 가장자리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문양층을 형성하며, 프레임의 전면에 투명수지를 인서트하여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은 프레임의 전면을 조각하여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조각단계와, 돌출부의 전면은 광택처리하고, 오목부의 전면은 무광택처리하는 도색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도색단계 이후, 프레임의 전면에 투명수지가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인서트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은 판 전면을 조각하여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후면에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요철판 형성단계와, 돌출부의 전면은 광택처리하고, 오목부의 전면은 무광택처리하는 도색단계와, 요철판이 안착되도록 판 전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중앙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고정홀을 형성하는 안착판 형성단계 및 안착판과 요철판을 고정돌기와 고정홀에 의해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단계 이후, 요철판과 안착판의 전면에는 투명수지가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인서트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전면에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에는 광택층, 오목부에는 무광택층을 형성하여 명도대비에 의한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전면에 투명수지를 인서트하여 투명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 및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전면에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클 및 버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투명수지층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100)은 프레임(110)의 표면을 기호에 맞게 조각하여 돌출부(122)와 오목부(124)를 형성하고, 돌출부(122)에는 광택층(122a)이 형성되고, 오목부(124)에는 무광택층(124a)이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전면에는 투명수지로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수지층(140)은 프레임(110) 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오목부(124)만 커버하여 돌출부(122)는 노출되게 커버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투명수지층을 형성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100)의 프레임(110)은 돌출부(122)와 오목부(124)를 형성한 요철판(120)과, 요철판(120)이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된 안착홈(132)을 형성한 안착판(130)과, 안착홈(132)에서 요철판(1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135)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고정부(135)는 요철판(1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36) 와, 고정돌기(136)가 삽입되도록 안착홈(132)에 형성된 고정홀(137)로 이루어져, 고정홀(137)에 고정돌기(136)가 삽입후, 안착판(130) 후면으로 노출된 고정돌기(136)가 압착되어 고정된다.
이는 고정돌기(136)가 압착됨에 따라 고정돌기(136)의 노출부위가 고정홀(137)보다 직경이 넓어져 고정되는 것이다.
안착홈(132)에 요철판(120)을 고정하는 고정부(135)는 고정돌기(136), 고정홀(137) 뿐만 아니라 접착제, 볼트결합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하다.
그리고, 프레임(110)의 전면에는 투명수지로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수지층(140)은 프레임(110) 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오목부(124)만 커버하여 돌출부(122)는 노출되게 커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요철판(120)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합성수지재질, 특히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고무판으로 형성되면 복잡한 모양의 요철판(120)을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요철판(120)이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정부(135)가 생략되어 안착홈(132) 내벽에 요철판(120)이 쉽게 접착 또는 융착될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은 고무재질의 고정돌기(136)가 요철판(120)에 일체로 형성되어 금속재질의 안착판(130) 고정홀(137)에 압입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고정부(135)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 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고정부(135)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1 내지 도 3은 요철판(120)과 안착판(130)이 일체로 형성된 프레임(110)으로 구성되어 표면에 돌출부(122)와 오목부(124)를 형성하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요철판(120)과 안착판(130)이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고정부(135)에 의해 결합되어 요철판(120)에 돌출부(122)와 오목부(124)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클은 프레임(210)의 표면을 조각하여 중앙에 오목부(224)와 가장자리에 돌출부(222)를 형성하고, 오목부(224)에 문양층(230)을 형성하며, 프레임(210)의 전면에 투명수지를 인서트하여 투명수지층(240)을 형성한다.
이때, 문양층(230)은 그림이 그려진 시트지 또는 원단 등이 접착제에 의해 오목부(224)에 부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문양층(23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외벽에 문양이 각인되어도 무방하지만, 문양층(230)이 합성수지재질, 특히 고무재질의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면 복잡하고 다양한 모양의 문양을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양층(230)이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면 금속재질의 문양층과 비교하여 가공성이 향상되므로 다양한 모양의 문양을 쉽게 문양층(230)에 가공할 수 있게 되어 기업의 브랜드, 광고 및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기 위한 기호성 조각 등 다양한 문양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은 프레임(110)의 전면을 조각하여 돌출부(122)와 오목부(124)를 형성하는 조각단계(S10)를 수행한다.
이때, 돌출부(122)와 오목부(124)는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형상 변경이 가능하다.
조각단계(S10) 이후, 오목부(124)는 무광택처리하고, 돌출부(122)는 광택처리하는 도색단계(S20)를 수행한다.
도색단계(S20)에 의해 돌출부(122)는 광택처리하여 광택층(122a)를 형성하고, 오목부(124)는 무광택처리하여 무광택층(124a)를 형성함으로써, 음각에 의해 미감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광택과 무광택의 명도대비에 의해 미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을 지닌다.
그리고, 도색단계(S20) 이후, 프레임(110)의 전면에 투명수지가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하는 인서트단계(S30)를 더 수행한다.
투명수지층(140)은 인서트공법에 의해 투명수지를 프레임(110)의 전면에 인서트함으로써,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스크래치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은 판 전면을 조각하여 돌출부(122)와 오목부(124)를 형성하고, 후면에 고정돌기(136)를 형성하는 요철판 형성단계(S100)를 수행한다.
그리고, 요철판 형성단계(S100) 이후, 오목부(124)의 전면은 무광택처리하고, 돌출부(122)의 전면은 광택처리하는 도색단계(S200)를 수행한다.
도색단계(S200) 이후, 요철판(120)이 안착되도록 판 전면에 안착홈(132)을 형성하고 중앙에 요철판(120)의 고정돌기(136)가 삽입되도록 고정홀(137)을 형성하는 안착판 형성단계(S300)를 수행한다.
그리고, 안착판(130)과 요철판(120)을 고정돌기(136)와 고정홀(137)로 결합하는 결합단계(S400)를 수행한다.
결합단계(S400)는 고정홀(137)에 고정돌기(136)를 삽입한 후 고정홀(136)을 통해 안착판(130) 후면으로 노출된 고정돌기(136)를 압착하여 고정돌기(136)의 끝단의 직경이 넓어지게 하여 요철판(120)과 안착판(130)을 고정하는 것이다.
결합단계(S400) 이후, 요철판(120)의 전면에 투명수지가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140)을 형성하는 인서트단계(S500)를 더 수행한다.
투명수지층(1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충격으로 인한 파손 및 스크래치를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은 프레임(110)이 일체로 형성된 것과 요철판(120)과 안착판(130)으로 분리 형성되는 차이점을 갖으며, 제2실시예는 요철판(120)에 돌출부(122)와 오목부(124)를 형성함에 따라 조각시 작업이 수월하고 작업시 파손되어도 요철판(120)만 교체하면 됨으로 비용절감의 효과를 지닌다.
또한, 요철판(120)을 다양한 형태로 미리 제작하여 제품을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제 3실시예에 따른 버클(200)은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돌출부(222)를 형성하고 중앙에 오목부(224)를 형성하여 오목부(224)에 그림이 그려진 시트지나 원단 등을 접착제에 의해 부착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하는 다양한 느낌의 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투명수지층을 형성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투명수지층을 형성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버클 110, 210 : 프레임
120 : 요철판 122, 222 : 돌출부
122a : 광택층 124, 224 : 오목부
124a : 무광택층 130 : 안착판
132 : 안착홈 135 : 고정부
136 : 고정돌기 137 : 고정홀
140, 240 : 투명수지층 230 : 문양층

Claims (13)

  1. 프레임의 표면을 기호에 맞게 조각하여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광택층을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에는 무광택층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오목부를 형성한 요철판;
    상기 요철판이 안착되도록 함몰 형성된 안착홈을 형성한 안착판; 및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요철판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요철판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홈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 삽입후, 상기 안착판 후면으로 노출된 상기 고정돌기가 압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하되;
    상기 요철판은 고무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는 투명수지로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판 전면을 조각하여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는 후면에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요철판 형성단계;
    상기 오목부의 전면은 무광택처리하고, 상기 돌출부의 전면은 광택처리하는 도색단계;
    상기 요철판이 안착되도록 판 전면에 안착홈을 형성하고, 중앙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고정홀을 형성하는 안착판 형성단계; 및
    상기 안착판과 상기 요철판을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홀로 결합하는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버클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계 이후, 상기 요철판과 상기 안착판의 전면에 투명수지가 인서트되어 투명수지층을 형성하는 인서트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버클의 제조방법.
KR1020090006721A 2008-12-22 2009-01-28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0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1697 2008-12-22
KR1020080131697 2008-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183B1 true KR100920183B1 (ko) 2009-10-06

Family

ID=4157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6721A KR100920183B1 (ko) 2008-12-22 2009-01-28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1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11B1 (ko) * 2019-01-31 2020-07-08 전희경 스크레치 방지 가능한 버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23B1 (ko) * 1981-08-31 1983-02-14 성락준 세(細)무늬를 현출시킨 자개 장식판의 제조방법
JPS6027712U (ja) * 1983-07-29 1985-02-25 永井 毅 バックルの構造
KR0133624B1 (ko) * 1994-12-20 1999-05-01 권의철 악세사리용품 표면 연마방법
KR100754246B1 (ko) * 2006-06-01 2007-09-03 송광수 혁대용 버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0123B1 (ko) * 1981-08-31 1983-02-14 성락준 세(細)무늬를 현출시킨 자개 장식판의 제조방법
JPS6027712U (ja) * 1983-07-29 1985-02-25 永井 毅 バックルの構造
KR0133624B1 (ko) * 1994-12-20 1999-05-01 권의철 악세사리용품 표면 연마방법
KR100754246B1 (ko) * 2006-06-01 2007-09-03 송광수 혁대용 버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911B1 (ko) * 2019-01-31 2020-07-08 전희경 스크레치 방지 가능한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7398S1 (en) Shoe sole
KR100920183B1 (ko) 버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361485A (zh) 一种在彩色图案中镶嵌水晶、钻石的手机外壳及制作方法
USD533218S1 (en) Printer
KR101417902B1 (ko) 투영 가공 처리된 장식구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한 투영 가공 처리된 장식구
US20140082900A1 (en) Button with snap backs
CN202841213U (zh) 一种在彩色图案中镶嵌水晶、钻石的手机外壳
KR101416040B1 (ko) 입체형 엠블럼 제조방법
KR200440561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540955B1 (ko) 손톱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0382260Y1 (ko) 헤어밴드용 장식
USD479389S1 (en) Shoe upper with saddle
CN212965658U (zh) 一种新型面型开模且板材插芯的眼镜
KR100932526B1 (ko) 고무장식 혁대용 버클
CN213637833U (zh) 一种手机电池盖装饰片
CN218866236U (zh) 玳瑁纹理眼镜
CN219259916U (zh) 一种滴胶手机壳贴纸及其手机壳
KR20080063453A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275518B1 (ko) 시트 위에 양각부가 돌출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CN206687295U (zh) 一种装饰戒指
CA116706S (en) Lock
CN207399283U (zh) 一种组合型手机保护壳
CN208849831U (zh) 改进型电子产品保护套
CN201754254U (zh) 一种笔记本电脑的面板
CN207427236U (zh) 一种可拼接积木图案的手机保护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