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154B1 -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 Google Patents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154B1
KR100920154B1 KR1020090040004A KR20090040004A KR100920154B1 KR 100920154 B1 KR100920154 B1 KR 100920154B1 KR 1020090040004 A KR1020090040004 A KR 1020090040004A KR 20090040004 A KR20090040004 A KR 20090040004A KR 100920154 B1 KR100920154 B1 KR 10092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ixing
imaging device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만
Original Assignee
강신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만 filed Critical 강신만
Priority to KR102009004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154B1/ko
Priority to PCT/KR2010/001315 priority patent/WO20101014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영상장치를 용이하게 고정하면서도 레일을 따라 전ㆍ후로 이동되어 장착,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며, 특히 전자칠판과 같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 너비방향, 길이방향 및 고정 각도를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영상장치 및 장착 환경에 이용될 수 있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전자칠판, 영상장치, 브라켓, 레일

Description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Bracket}
본 발명은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영상장치를 용이하게 고정하면서도 레일을 따라 전ㆍ후로 이동되어 장착,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며, 특히 전자칠판과 같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 너비방향, 길이방향 및 고정 각도를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영상장치 및 장착 환경에 이용될 수 있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영상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텔레비전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 기술을 이용함에 따라 그 크기가 더욱 커지고 얇아져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장치는 사용자의 요구 정도가 높아지며 그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기술 외에도 다양한 기술을 이용한 많은 종류의 기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형태 역시 그 수가 매우 많다.
일반적으로 영상장치는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벽면에 고정하는 벽 고정형, 또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바닥에 위치되는 스탠드형의 고정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벽고정형 브라켓(10)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영상장치용 벽고정형 브라켓(10)은 벽면에 고정 후, 영상표시기기의 각도 조절 시, 하중에 견딜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다수의 고정 구멍과 각종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을 형설한 벽면 고정부(1)와, 실제 대부분의 구성물이 조립 안착되는 안내부재(2)와, 상기 안내부재(2)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거치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브라켓은 상기 벽면 고정부가 고정할 수 있는 좌ㆍ우 너비가 제한되어져 있어 상기 벽면 고정부에 형성된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규격의 영상표시기기 세트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제품마다 이를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고정부가 모두 다르므로 각 제품마다 그에 알맞은 설치 구조를 갖는 브라켓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나의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많은 수의 영상 장치를 고정할 수 없으므로, 각 제품에 맞는 브라켓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생산효율이 낮아지며, 이를 보관하기 위해서 높은 비용이 소요되며, 브라켓이 바로 준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설치가 지연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소비자 역시 다른 영상장치를 구입하였을 경우에도 서로 다른 브라켓이 이용됨에 따라 다른 브라켓을 구입하여 재설치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브라켓은 상기 벽면 고정부가 비스듬하게 고정된 경우에는 나머지 구성 및 영상장치 또한 수평을 맞추기가 힘들어 상기 벽면 고정부의 수평을 매우 세밀하게 고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고정된 이 후에는 그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 영상장치는 다양한 보조수단과 함께 사용되거나 둘레를 마감재로 장식하는 경우가 많다.
실 예로, 학교에서 멀티미디어 수업을 위한 전자칠판은 영상장치와 함께 다양한 학습장치가 부착되거나 기재 가능한 칠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영상장치가 영상이 보이는 화면만 노출되도록 주변부가 마감재로 둘러싸이게 되는 경우에, 장착을 위한 공간이 없어지게 되어 그 장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점검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라켓이 영상장치가 고정되는 부분이 레일을 따라 전ㆍ후로 이동되어 영상장치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영상장치(700)를 고정하는 거치수단(100); 상기 거치수단(100)과 연결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레일(300)이 고정되는 연결수단(200); 및 벽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610)와, 상기 제1지지부(6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높이형성부(620)와, 상기 높이형성부(620)의 단부에 상기 제1지지부(610)와 평행한 판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300)이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부(631)가 형성되는 제2지지부(630)와, 상기 레일(300)을 고정하는 레일 지지부(640)를 포함하는 지지수단(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거치수단(100)이 양측에 각각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200)이 상기 레일(300)을 고정하는 제1연결부(210)와, 봉형태로 상기 거치수단(100)과 연결수단(200)을 너비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220)와, 상기 거치수단(100)과 제1연결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하나는 상기 레일(300)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연결부(210)에 고정되며, 오른나사 및 왼나사의 상호조합으로 이루어진 제1나사(510) 및 제2나사(520), 상기 제1나사(510) 및 제2나사(520)를 연결하고, 외면에 손잡이(531)가 형성된 몸체(530)를 포함하는 길이조절부(500)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500)의 몸체(530)를 회전하여 길이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연결수단(200)에 상기 레일(300)의 주변에 나란하게 상기 레일(300)과 연동되는 보조레일(40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 때,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높이형성부(620)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레일(400)이 상기 높이형성부(62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 지지부(640)는 상기 레일(300)의 축방향으로 일정 힘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레일(3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레일(300)은 외주면에 고정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지지부(640)는 상기 레일(300) 중심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는 탄성수단(641)이 개재된 수단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정홈(310)은 상기 레일(3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레일(300)은 상기 제2지지부(630)에 걸림고정되는 걸림턱(3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레일(300)은 상기 제2지지부(630)에 삽입되 는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걸림턱 형성부재(321)를 체결하여 상기 걸림턱(3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제2지지부(630)의 하측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제3지지부(65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230)는 너비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고정공(232)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231) 및 "ㄴ"자 형태로 일면은 상기 제1고정부(231)의 제1고정공(232)과 체결되는 제2고정공(234)이 형성되고, 다른 면은 상기 거치수단(100)의 측면부와 고정되는 제3고정공(235)이 형성되는 제2고정부(23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제1고정부(231)의 제1고정공(232)이 너비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2고정공(234)과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너비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과 체결되는 상기 거치수단(100)의 거치공(101)이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과 체결되는 거치공(101)의 위치에 따라 높이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고정부(230)가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두 곳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ㆍ하측의 고정부(230)가 각각 상기 거치수단(100)의 거치공(101)과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각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은 영상장치가 고정되는 부분이 레일을 따라 전ㆍ후로 이동되어 평상시에는 영상장치가 후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영상장치를 용이하게 고정하면서도 영상장치와 관련한 작업이 필요할 시에는 영상장치가 전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영상장치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은 동일한 구성으로서 영상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수단을 벽에 고정한 후, 높이방향, 미세한 길이방향,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의 고정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영상장치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용이하게 고정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을 더욱 높인 장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이 전자칠판(2000)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의 길이방향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의 고정 각도 조절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의 부분 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의 길이조절부(500)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의 높이형성부(6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크게 거치수단(100), 레일(300)과 연결되는 연결수단(200), 및 지지수단(6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거치수단(100)은 영상장치(700)와의 고정을 위한 구이다.
상기 거치수단(100)은 상기 영상장치(700)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도면에 도시한 상기 거치수단(100)은 좌ㆍ우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ㆍ하측에 상기 영상장치(700)와의 고정을 위한 부분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거치수단(100)은 상기 연결수단(200)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수단(200)과의 고정을 위한 거치공(10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200)은 상기 거치수단(100)과 연결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레일(300)이 고정되는 수단이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연결수단(200)은 상기 레일(300)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부(210)와, 봉형태로 상기 거치수단(100)과 연결수단(200)을 너비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220)와, 상기 거치수단(100)과 제1연결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제1연결부(210)는 대략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되, 중앙부에 상기 레일(300)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1연결부(210)와 거치수단(100)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1연결부(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연결부(210) 및 거치수단(100)은 상기 제2연결부(220)가 관통되거나 걸림고정될 수 있는 형태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제1연결부(210)는 상기 제2연결부(220)가 완전히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거치수단(100)은 상기 제2연결부(220)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 때, 완벽한 고정은 상기 연결수단(200)의 고정부(230)를 통해 수행된다.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레일(300)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벽에 고정되는 수단이다.
상기 지지수단(600)은 벽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610)와, 상기 제1지지부(610)의 일측에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높이형성부(620)(상기 제1지지 부(610)가 벽에 고정되므로, 상기 높이형성부(620)는 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표시한 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높이형성부(620)의 단부에 상기 제1지지부(610)와 평행한 판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300)이 상기 높이형성부(620)를 통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부(631)가 형성되는 제2지지부(630)와, 상기 레일(300)을 고정하는 레일 지지부(6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610)는 벽에 고정을 위한 구성으로서, 나머지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높이형성부(620)는 상기 제1지지부(610)에서 벽과 접하지 않는 측(도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높이형성부(620)의 길이는 상기 레일(300)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최대 삽입 시,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높이를 결정하고, 최대 돌출 시,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상기 높이형성부(620)의 길이는 작업자가 최초 조립뿐만 아니라 영상장치(700)의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할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630)는 상기 높이형성부(6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300)이 걸림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일(300)을 고정하기 위한 레일 지지부(640)가 형성되어 레일(300)의 고정 위치를 결정하고, 레일(300)의 체결이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레일(300)은 상기 제2지지부(630) 내측으로 삽입된 후, 체결이 해체되지 않도록 상기 제2지지부(630)에 걸림고정되어야 하므로, 상기 레일(300)의 단부 는 걸림턱(320)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레일(300)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걸림턱(320)을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레일(300)의 상기 제2지지부(630)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걸림턱 형성부재(321)를 체결하여 걸림턱(32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부(630)는 상기 레일(3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레일(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중공부(631)가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부(6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레일(300)을 고정하기 위한 레일 지지부(640)가 형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레일 지지부(640)는 상기 제2지지부(630)의 벽에 인접한 측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레일 지지부(640)는 상기 레일(300)의 축방향으로 일정 힘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레일(3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레일(300)은 외주면에 고정홈(310)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레일 지지부(640)는 상기 레일(300) 중심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는 탄성수단(641)이 개재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벽을 향한 힘이 작용될 경우에는 상기 레일(300)이 상기 지지수단(600)의 제1지지부(610), 높이형성부(620), 및 제2지지부(630)가 형성하는 공간으로 삽입되고, 벽의 반대방향을 향한 힘이 작용될 경우에는 상기 레일(300)의 걸림 턱(320)이 상기 제2지지부(630)에 걸림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다.
즉,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레일(300)이 형성되어 상기 영상장치(700)를 길이방향으로 전측 또는 후측으로 일정 이상 힘이 작용될 경우에는 상기 레일(300)이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자칠판(2000)에도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 2에 도시한 전자칠판(2000)은 영상장치(700)가 장착될 경우, 주변부에 별도의 마감재가 형성되는 환경에서도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장치(7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상기 레일(300)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 상기 영상장치(700)의 보수 및 점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영상장치(7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레일(300)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수단(200)에 상기 레일(300)과 연동되는 보조레일(4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레일(400)은 상기 레일(300)의 주변에 상기 레일(300)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상기 보조레일(400)은 4 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 때, 상기 보조레일(400)은 상기 높이형성부(620)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형성되도록 한 후, 상기 높이형성부(620)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좌ㆍ우 흔들림 없이 상기 레일(300)과 연동되어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레일(4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힘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다양한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조레일(400)은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2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수단(600)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30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도록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에서 상기 보조레일(400)은 상기 제1연결부(210) 및 상기 지지수단(600)의 제2지지부(630)에 연결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보조레일(400)이 상기 지지수단(600)의 제1지지부(610)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레일(400)이 관통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630)에 별도의 중공된 영역이 형성되어야 한다.
일측이 상기 고정수단(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2지지부(630)(320)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레일(300)(200)의 움직임에 따라 연동되도록 한 예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고정 위치 조절은 상기 레일(300)을 이용하여 조절되며, 상기 레일(300)에 길이조절부(500)가 더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미세 조정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300)의 일정 영역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며 오른나사 및 왼나사의 상호조합으로 이루어진 제1나사(510) 및 제2나사(520), 상기 제1나사(510) 및 제2나사(520)를 연결하고 외면에 손잡 이(531)가 형성된 몸체(53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531)에 의해 몸체(530)를 회전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영상장치(7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길이조절부(500)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531)를 회전하여 용이하게 미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나사(510) 및 제2나사(520)는 상기 레일(300)의 제1연결부(210)와 연결되는 측에 형성(상기 제1나사(510) 및 제2나사(520) 중 하나는 상기 레일(300)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연결부(2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다양한 크기의 영상장치(700)를 고정하고, 고정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230)가 제1고정부(231) 및 제2고정부(233)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231)는 너비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고정공(232)이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부(233)는 "ㄴ"자 형태로 일면은 상기 제1고정부(231)의 제1고정공(232)과 체결되는 제2고정공(234)이 형성되고, 다른 면은 상기 거치수단(100)의 측면부와 고정되는 제3고정공(235)이 형성된다.
(상술한 상기 거치수단(100)의 거치공(101)은 상기 고정부(230)가 제1고정부(231) 및 제2고정부(233)를 포함하여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과 대응되도록 측면에 형성된다.)
이 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231)의 제1고정공(232)은 너비방향으로 중공된 영역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2고정 공(234)과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거치수단(100)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너비를 갖는 영상장치(700)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과 체결되는 거치수단(100)의 거치공(101)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과 체결되는 거치공(101)의 위치에 따라 높이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위치가 결정되어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먼저 상기 지지수단(600)을 벽에 고정한 후, 상기 거치수단(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용이하게 영상장치(700)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30)가 양측 모두 상ㆍ하측 높이방향으로 2 곳, 총 4곳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ㆍ하측의 고정부(230)가 각각 상기 거치수단(100)의 체결공과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길이방향으로의 조절, 너비방향, 길이방향으로의 고정 각도, 및 높이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하나의 브라켓(1000)을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 및 다양한 영상장치(700)에 적용가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영상장치(700)의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영상장치용 벽걸이형 브라켓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이 전자칠판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의 길이방향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의 분해사시도.(너비방향 및 높이방향 조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의 고정 각도 조절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의 부분 확대단면도.(레일지지부, 걸림턱 형성부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의 길이조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의 높이형성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의 다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0 : 본 발명의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100 : 거치수단 101 : 거치공
200 : 연결수단 210 : 제1연결부
220 : 제2연결부 230 : 고정부
231 : 제1고정부 232 : 제1고정공
233 : 제2고정부 234 : 제2고정공
235 : 제3고정공
300 : 레일 310 : 고정홈
320 : 걸림턱 321 : 걸림턱 형성부재
400 : 보조레일
500 : 길이조절부 510 : 제1나사
520 : 제2나사 530 : 몸체
531 : 손잡이
600 : 지지수단 610 : 제1지지부
620 : 높이형성부 630 : 제2지지부
631 : 중공부 640 : 레일지지부
641 : 탄성수단 650 : 제3지지부
700 : 영상장치
2000 : 전자칠판

Claims (15)

  1. 영상장치(700)를 고정하는 거치수단(100);
    상기 거치수단(100)과 연결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레일(300)이 고정되는 연결수단(200); 및
    벽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610)와, 상기 제1지지부(6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높이형성부(620)와, 상기 높이형성부(620)의 단부에 상기 제1지지부(610)와 평행한 판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300)이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부(631)가 형성되는 제2지지부(630)와, 상기 레일(300)을 고정하는 레일 지지부(640)를 포함하는 지지수단(6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거치수단(100)이 양측에 각각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수단(200)이 상기 레일(300)을 고정하는 제1연결부(210)와, 봉형태로 상기 거치수단(100)과 연결수단(200)을 너비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220)와, 상기 거치수단(100)과 제1연결부(210)를 고정하는 고정부(2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하나는 상기 레일(300)에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연결부(210)에 고정되며, 오른나사 및 왼나사의 상호조합으로 이루어진 제1나사(510) 및 제2나사(520), 상기 제1나사(510) 및 제2나사(520)를 연결하고, 외면에 손잡이(531)가 형성된 몸체(530)를 포함하는 길이조절부(500)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500)의 몸체(530)를 회전하여 길이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연결수단(200)에 상기 레일(300)의 주변에 나란하게 상기 레일(300)과 연동되는 보조레일(40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높이형성부(620)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레일(400)이 상기 높이형성부(620)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지지부(640)는 상기 레일(300)의 축방향으로 일정 힘 이상이 작용되는 경우에 상기 레일(30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00)은 외주면에 고정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지지부(640)는 상기 레일(300) 중심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되는 탄성수단(641)이 개재된 수단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310)은 상기 레일(3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00)은 상기 제2지지부(630)에 걸림고정되는 걸림턱(3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300)은 상기 제2지지부(630)에 삽입되는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결합되는 걸림턱 형성부재(321)를 체결하여 상기 걸림턱(3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600)은 상기 제2지지부(630)의 하측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제3지지부(65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30)는
    너비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고정공(232)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231) 및
    "ㄴ"자 형태로 일면은 상기 제1고정부(231)의 제1고정공(232)과 체결되는 제2고정공(234)이 형성되고, 다른 면은 상기 거치수단(100)의 측면부와 고정되는 제3고정공(235)이 형성되는 제2고정부(23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제1고정부(231)의 제1고정공(232)이 너비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2고정공(234)과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너비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과 체결되는 상기 거치수단(100)의 거치공(101)이 높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 과 체결되는 거치공(101)의 위치에 따라 높이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1000)은
    상기 고정부(230)가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두 곳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부(233)의 제3고정공(235)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ㆍ하측의 고정부(230)가 각각 상기 거치수단(100)의 거치공(101)과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상기 영상장치(700)가 고정되는 각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KR1020090040004A 2009-03-03 2009-05-08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KR10092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004A KR100920154B1 (ko) 2009-05-08 2009-05-08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PCT/KR2010/001315 WO2010101402A1 (ko) 2009-03-03 2010-03-03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004A KR100920154B1 (ko) 2009-05-08 2009-05-08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154B1 true KR100920154B1 (ko) 2009-10-06

Family

ID=41572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004A KR100920154B1 (ko) 2009-03-03 2009-05-08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33B1 (ko) 2010-02-23 2011-03-15 강신만 각도조절부재 및 영상장치용 브라켓
KR101135863B1 (ko) * 2010-11-25 2012-04-19 주식회사 에이브이시스 멀티비전용 모니터 브라켓 장치와 이를 사용한 멀티비전
CN108278456A (zh) * 2018-03-22 2018-07-13 邯郸市三木照明标牌有限公司 一种齿轮齿条升降式led隐形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252A (ko) * 2006-06-14 2007-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회동 방법
KR20090012374A (ko) * 2007-07-26 2009-02-04 코스텔(주)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40752A (ko) * 2007-10-22 2009-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용 지지장치
KR20090043287A (ko) * 2007-10-29 2009-05-06 코스텔(주) 수납기능을 갖는 화상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252A (ko) * 2006-06-14 2007-1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회동 방법
KR20090012374A (ko) * 2007-07-26 2009-02-04 코스텔(주)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40752A (ko) * 2007-10-22 2009-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용 지지장치
KR20090043287A (ko) * 2007-10-29 2009-05-06 코스텔(주) 수납기능을 갖는 화상수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33B1 (ko) 2010-02-23 2011-03-15 강신만 각도조절부재 및 영상장치용 브라켓
WO2011105733A2 (ko) * 2010-02-23 2011-09-01 Kang Shin Man 각도조절부재 및 영상장치용 브라켓
WO2011105733A3 (ko) * 2010-02-23 2011-12-15 Kang Shin Man 각도조절부재 및 영상장치용 브라켓
KR101135863B1 (ko) * 2010-11-25 2012-04-19 주식회사 에이브이시스 멀티비전용 모니터 브라켓 장치와 이를 사용한 멀티비전
CN108278456A (zh) * 2018-03-22 2018-07-13 邯郸市三木照明标牌有限公司 一种齿轮齿条升降式led隐形屏
CN108278456B (zh) * 2018-03-22 2024-02-23 邯郸市三木照明标牌有限公司 一种齿轮齿条升降式led隐形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4393B2 (en) Fixing structure and fixing method of multi-screen display unit
US8042698B2 (en) Flat display and flat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TWI524771B (zh) 顯示器支撐模組
JP5105123B2 (ja) 多画面表示装置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US8910804B2 (en) Supporting device of display apparatus
US8235335B2 (en) Multi-display device
US20060214072A1 (en) Flat panel display TV stand
JP5122616B2 (ja) 薄型ディスプレイ用のガラス板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0920154B1 (ko)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US20100133402A1 (en) Visual display unit mount
KR201800716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03869B1 (ko) 높이 가변형 tv 스탠드
JP6469461B2 (ja) 画像表示装置の取付構造
US20070091554A1 (en) Display device
JP4988518B2 (ja) 映像表示装置
KR101022433B1 (ko) 각도조절부재 및 영상장치용 브라켓
KR102213307B1 (ko) 디스플레이 거치대의 각도조절장치
JP3160260U (ja)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110732A (ja) 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KR100914407B1 (ko)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KR100914405B1 (ko) 영상장치용 다용도 브라켓
JP3167818U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
JP2008249924A (ja) スタンド装置
KR200367611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벽걸이유닛
JP2017028702A (ja) 取付部材、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