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374A -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374A
KR20090012374A KR1020070075347A KR20070075347A KR20090012374A KR 20090012374 A KR20090012374 A KR 20090012374A KR 1020070075347 A KR1020070075347 A KR 1020070075347A KR 20070075347 A KR20070075347 A KR 20070075347A KR 20090012374 A KR20090012374 A KR 20090012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mage device
motor
fix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7556B1 (ko
Inventor
류공현
Original Assignee
코스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텔(주) filed Critical 코스텔(주)
Priority to KR102007007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기기와; 화상기기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화상기기를 연결하면서 시청각도를 조절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힌지 조립체는 자동 구동에 적합한 구조를 제시한다. 일 양상에 따른 힌지 조립체는 복수의 회동부재가 관절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각각의 관절에는 제 1 회동부재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 기어부와,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고정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고정 기어부는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설치되며, 구동 기어부에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기어부에 연성 결합되는 제 2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apparatus with adjustable view angl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힌지를 통해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는 무거운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면서도 시청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특별한 구조로 설계된다. 특히 매립형 디스플레이는 거실에 거치되는 티브이와 달리, 특별한 구조의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여, 시청시에는 인출되고 그렇지 않을 시에는 매립공간에 수납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편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매립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욕실이나, 침실의 벽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영상을 즐기고자 할 때 통상은 일어서서 시청 각도를 조절하곤 하는 불편을 감수한다.
본 발명은 시청시 시청 각도의 조절을 편리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자동 각도 조절뿐 아니라 수동으로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동 각도 조절시 힌지 조립체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자신이 설정한 시청 각도를 언제든지 편리하게 반복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기기와, 화상기기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과 화상기기를 연결하면서 시청각도를 조절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힌지 조립체는 자동 구동에 적합한 구조를 제시한다. 일 양상에 따른 힌지 조립체는 복수의 회동부재가 관절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각각의 관절에는 제 1 회동부재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 기어부와 ,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고정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고정 기어부는 상기 제 2 회동부 재에 설치되며, 구동 기어부에 결합되는 제 1 기어부와 ,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기어부에 연성 결합되는 제 2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동으로 구동되면서도, 수동으로 회전각도 조절시 연성결합된 두 기어의 작용에 의해 기어나 모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회전각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도 현재 위치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으로 시청각도를 조절할 때 모터의 제어에 필요한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기기와, 화상기기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화상기기를 연결하면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적으로 기억된 시청각도로 구동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하는 자세에 따라 몇 가지의 시청각도를 설정하여 전자적으로 기억시키고, 단지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설정된 시청각도로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 따른 힌지 조립체는 복수의 회동부재가 관절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각각의 관절에는 제 1 회동부재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부와;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고,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된 고정 기어부와, 상기 제 1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회전각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고정 기어부는 상기 제 2 회동 부재에 설치되며, 구동 기어부에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기어부에 연성 결합되는 제 2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기기가 벽면에 수납 및 인출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접 손으로 힌지 조립체를 조작하여, 화상기기가 수용부에 수납되게 하는 불편한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기기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화상기기가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각 데이터를 연산하여, 화상기기가 원래 위치로 회전되게 한다. 이에 따라, 화상기기가 수용부 내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화상기기와 수용부가 서로 평형한 상태로 수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 상기기와, 화상기기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과 화상기기를 연결하면서 시청각도를 조절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힌지 조립체는 자동 구동에 적합한 구조를 제시한다. 일 양상에 따른 힌지 조립체는 복수의 회동부재가 관절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각각의 관절에는 제 1 회동부재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 기어부와 ,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고정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고정 기어부는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설치되며, 구동 기어부에 결합되는 제 1 기어부와 ,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기어부에 연성 결합되는 제 2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동으로 구동되면서도, 수동으로 회전각도 조절시 연성결합된 두 기어의 작용에 의해 기어나 모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회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회전각 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도 현재 위치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동으로 시청각도를 조절할 때 모터의 제어에 필요한 자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기기와, 화상기기를 지지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화상기기를 연결하면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적으로 기억된 시청각도로 구동되는 힌지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시청하는 자세에 따라 몇 가지의 시청각도를 설정하여 전자적으로 기억시키고, 단지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설정된 시청각도로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다른 양상에 따른 힌지 조립체는 복수의 회동부재가 관절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각각의 관절에는 제 1 회동부재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부와;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고,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된 고정 기어부와, 상기 제 1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회전각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고정 기어부는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설치되며, 구동 기어부에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기어부에 연성 결합되는 제 2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조립체(130)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화상기기(120)와, 힌지 조립체(130)와, 회전각 검출부(180)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110)는 벽면(101)에 고정된 것으로, 앞면에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10)는 주택 실내의 벽면(101), 가전 및 가구 등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벽면(101)에는 하우징(110)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홈 내에 하우징(110)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홈에 대한 하우징(110)의 고정은 시멘트, 접착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홈에 대한 하우징(110)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홈과 하우징(110) 사이에 별도의 브라켓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1) 내에는 화상기기(120)와 하우징(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112)이 형성될 수 있다.
화상기기(120)는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케이블(112)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화상기기(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 Plasma Display Panel) 등 다양한 소재의 영상 패널이 장착될 수 있다.
힌지 조립체(130)는 화상기기(120)를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에 수납하고, 하우징(110)의 수용부(111)로부터 인출하기도 하며, 화상기기(12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힌지 조립체(130)의 상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힌지 조립체(130)는 지지 브라켓(140)과, 제 1 회동부재(150)와, 제 2 회동부재(160)와,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0)을 구비한다.
힌지 조립체는 복수의 회동부재가 관절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회동 부재는 지지 브라켓(140)과, 제 1 회동부재(150), 제 2 회동부재(160) 및 화상기기 고정 브라켓(170)을 포괄한다. 각각의 관절의 구조를 가운데 관절을 통해 예시한다. 가운데 관절의 경우 제 1 회동부재(150)에 고정된 제 2 모터와, 상기 제 2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부와; 상기 구동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고,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된 고정 기어부와, 상기 제 1 회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기어부에 기어 결합되는 회전각 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 기어부는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설치되며, 구동 기어부에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기어부에 연성 결합되는 제 2 기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 기어부는 감속기어부(153)와 구동기어(152)로 구성된다.
나머지 관절들의 구성도 유사하다.
지지 브라켓(140)은 하우징(110)의 수용부(111) 내에 고정결합된 것이다. 이러한 지지 브라켓(140)은 제 1 모터(141)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모터(141)의 회전축에는 제 1 고정기어(153)가 형성된다.
제 1 회동부재(150)는, 일단이 지지 브라켓(140)과 제 1 회전축(131)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 2 회전축(132)에 의해 제 2 회동부재(160)와 힌지 결합 된다. 이러한 제 1 회동부재(150)는 제 1 고정기어(153)와, 제 2 모터(151)를 구비한다.
제 1 고정기어(153)는, 그 중심이 제 1 회전축(131)에 고정결합되고, 제 1 구동기어(142)와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1 모터(141)가 회전하여 제 1 구동기어(142)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구동기어(14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 1 회동부재(150)를 회전시킨다.
제 2 모터(151)는 제 1 회동부재(150) 내에 형성된 것으로, 제 2 모터(151)의 회전축에는 제 2 구동기어(152)가 형성된다.
제 2 회동부재(160)는 일단이 제 1 회동부재(150)와 제 2 회전축(132)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 3 회전축(133)에 의해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0)과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제 2 회동부재(160)는 제 2 고정기어(161)와, 제 3 모터(161)를 구비한다.
제 2 고정기어(161)는, 그 중심이 제 2 회전축(132)에 고정결합되고, 제 2 구동기어(152)와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2 모터(151)가 회전하여 제 2 구동기어(152)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구동기어(15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 2 회동부재(160)를 회전시킨다.
제 3 모터(161)는 제 2 회동부재(160) 내에 형성된 것으로, 제 3 모터(161)의 회전축에는 제 3 구동기어(162)가 형성된다.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0)은, 일측이 제 2 회동부재(160)와 제 3 회전축(133)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은 화상기기(120)가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화 상기기 고정브라켓(170)은 제 3 고정기어(171)를 구비한다.
제 3 고정기어(171)는, 그 중심이 제 3 회전축(133)에 고정결합되고, 제 3 구동기어(162)와 맞물리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 3 모터(161)가 회전하여 제 3 구동기어(162)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 3 구동기어(16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0)을 회전시킨다.
회전각 검출부(180)는 화상기기(120)가 상호 회전된 각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각 검출부(180)는 회전각 전달기어(183)와, 회전각 검출센서(181)를 구비한다.
회전각 전달기어(183)는 제 3 회전축(133)에 형성되어 상기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한다.
회전각 검출센서(181)는 회전각 전달기어(183)의 회전각을 측정하여, 상기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1)의 회전각을 검출한다. 이를 위한 회전각 검출센서(181)는 회전각 검출기어(182)를 구비한다. 회전각 검출기어(182)는 회전각 검출센서(181)의 회전축에 형성된 것으로, 회전각 전달기어(183)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각 검출부(180)는 제 2 회동부재(160)와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0)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지지 브라켓(140)과 제 1 회동부재(150)에 걸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제 2 회동부재(160)와 제 2 회동부재(160)에 걸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는 화상기기가 하우징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화상기기가 하우징의 수용부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화상기기가 하우징의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화상기기가 외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화상기기(120)가 수용부(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 1 모터(141) 내지 제 3 모터(161)가 동작되어 제 1 회동부재(150), 제 2 회동부재(160) 및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0)이 회전되게 한다. 화상기기(120)는 수용부(111)로부터 인출되어 도 6에 도시된 A의 위치까지 오게 된다.
다음으로, 외력에 의해 회전된 화상기기(120)가 원래 위치로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력에 의해 화상기기(120)가 강제로 회전되면, 상기 화상기기(120)는 A 위치로부터 B 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각 전달기어(183, 도 2 참조)도 회전각 R만큼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각 전달기어(183, 도 2 참조)와 맞물린 회전각 검출기어(182, 도 2 참조)도 회전하여 회전각 검출센서(181, 도 2 참조)는 회전각 검출기어(182, 도 2 참조)가 회전한 각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각도 데이터는 미도시된 제어부로 전송된다. 사용자가 미도시된 화상기기 수납용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는 전송된 각도 데이터를 계산하여, 화상기기(120)가 원래의 A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 3 모터(161)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 3 모터(161)가 동작하여, 제 3 구동기어(162)가 회전되고, 이와 맞물린 제 3 고정기어(171)가 회전하여 화상기기(120)가 회전하다가 A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제 3 모터(161)의 동 작은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기기(120)가 벽면(101)에 수납 및 인출하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직접 손으로 힌지 조립체(130)를 조작하여, 화상기기(120)가 수용부(111)에 수납되게 하는 불편한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기기(120)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화상기기(120)가 회전된 각도를 측정하여, 화상기기(120)가 원래 위치로 회전되게 한다. 이에 따라, 화상기기(120)가 수용부(111) 내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화상기기(120)와 수용부(111)가 서로 평형한 상태로 수납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힌지 조립체(130)는 슬립발생부(2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슬립발생부(200)은 외력에 의해 화상기기(120)가 회전되어, 제 3 고정기어(17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3 모터(161) 또는 제 3 구동기어(16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슬립발생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는 슬립발생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슬립발생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슬립발생부(200)은 제 1 슬립(slip)부재(210)와, 제 2 슬립부재(220)와, 탄성부재(230)를 구비한다.
제 1 슬립부재(210)는 제 1 접촉부(211)와, 제 1 경사부(212)와, 제 1 유격부(213)를 구비한다.
제 1 접촉부(211)는 상측이 화상기기 고정브라켓(170)에 고정되어 화상기기(12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원통형의 부재이다.
제 1 경사부(212)는 상기 제 1 접촉부(211)의 하단으로부터 하향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커지게 연장형성된 것이다.
제 1 유격부(213)는 상기 제 1 경사부(212)의 하단으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유격부(213)는 회전각 전달기어(183)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슬립부재(220)는 제 2 접촉부(221)와, 제 2 경사부(222)와, 제 2 유격부(223)를 구비한다.
제 2 접촉부(221)는 제 3 고정기어(17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둘레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원통형의 부재이다.
제 2 경사부(222)는 상기 제 2 접촉부(221)의 상단으로부터 상향으로 갈수록 외부 직경이 작아지게 연장형성된 것이다.
제 2 유격부(223)는 상기 제 2 경사부(222)의 상단으로부터 원통형으로 연장형성된다.
탄성부재(230)는 제 1 슬립부재(210)와 제 2 슬립부재(220)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상측은 제 1 접촉부(211) 내경에 바깥 방향으로 압박고정되고, 하측은 제 2 접촉부(221)의 외경에 안쪽 방향으로 압박고정된다. 이러한 탄성부재(23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은 양단이 제 1, 2 접촉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양단 사이에 회전각의 차이가 생기게 되면 비틀림현상에 의해 코일의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슬립발생부(2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화상기기(120)를 치게 되는 경우, 화상기기(120)는 외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화상기기(120)의 회전 후, 회전각 전달기어(183)가 회전하게 되고, 탄성부재(230)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거나 커지게 된다. 직경이 커지는 경우, 탄성부재(230)의 상측은 제 1 접촉부(211)의 내경과 더욱 강하게 접촉되고, 탄성부재(230)의 하측은 제 2 접촉부(221)의 외경과 헐겁게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 1 슬립부재(210)와 제 2 슬립부재(220) 사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하게 되어 회전각 전달기어(183)의 회전력이 제 3 모터(161)에 모두 전달되지 않고 회전각 전달기어(183)의 회전력이 감쇄된 상태로 제 3 모터(161)에 전달된다.
한편, 슬립발생부(200)은 제 1 및 제 2 고정기어(151, 161)에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고정기어(151, 161)에 의해 제 1 모터(141) 및 제 2 모터(15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 조립체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와,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시청각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지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시청각도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힌지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조립체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터는 전기적인 모터이지만, 유압 모터나 그 밖의 구동 수단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 및 제어부는 하나의 칩으로 집적된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조작부는 리모컨 및 리모컨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는 단순한 키버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상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 조립체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각 검출부를 포함한다. 회전각 검출부는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저항(Variable Resistor)이다. 힌지의 회동범위는 대단히 제한적이므로, 단지 제한된 범위에서만 움직이는 가변저항 노브를 이용해서도 충분히 회동 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는 가변저항에 일정한 전류를 인가하고, 출력되는 전압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수치값으로 변환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각 검출부는 자기 방식 혹은 광학 방식의 엔코더이다. 이 경우 신호변환부는 엔코더에서 출력되는 펄스열을 카운터하여 회동 정도의 디지털 정보값을 출력한다.
제어부는 회전각 검출부에서 검출된 현재 힌지 상태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지시한 시청각도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얼만큼 더 각각의 모터를 구동해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또다른 기능으로, 제어부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시청각도로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조정하고, 특정 버튼, 예를 들면 자세기억 버튼을 누르면, 현재 힌지 조립체의 상태를 회전각 검출부에서 검출하여 상기 메모리에 시청각도 정보로 저장하여 설정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시청각도를 보다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시청각도 조절은 리모컨의 시청각도 조절버튼, 예를 들면 네비키 (Navi-Key)라고 흔히 부르는 구동키들을 조작하여 시청각도를 설정한 후, 자세기억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서도 설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화상기기가 하우징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화상기기가 하우징의 수용부내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화상기기가 하우징의 수용부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화상기기가 외력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슬립발생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는 슬립발생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슬립발생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매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101..하우징
111..수용부 120..화상기기
130..힌지 조립체 180..회전각 검출부

Claims (1)

  1. 화상기기;
    상기 화상기기를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화상기기를 연결하면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전자적으로 기억된 시청각도로 구동되는 힌지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70075347A 2007-07-26 2007-07-26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3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347A KR101337556B1 (ko) 2007-07-26 2007-07-26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347A KR101337556B1 (ko) 2007-07-26 2007-07-26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374A true KR20090012374A (ko) 2009-02-04
KR101337556B1 KR101337556B1 (ko) 2013-12-06

Family

ID=4068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347A KR101337556B1 (ko) 2007-07-26 2007-07-26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54B1 (ko) * 2009-05-08 2009-10-06 강신만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KR100984110B1 (ko) * 2008-08-12 2010-09-28 이남숙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
WO2020209459A1 (ko) * 2019-04-11 2020-10-15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착 헤더 조립체
KR20230015019A (ko) * 2021-07-22 2023-01-31 김광 하이브리드 전동 월 마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5096B (zh) * 2014-07-10 2016-02-10 上海理工大学 电视机的电动伸缩支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062B1 (ko) * 2004-09-20 2006-04-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틸팅 각도 및 조도, 휘도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5192A (ko) *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소형 영상재생기
KR100678341B1 (ko) 2006-09-15 2007-02-06 코스텔(주) 빌트인 티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110B1 (ko) * 2008-08-12 2010-09-28 이남숙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
KR100920154B1 (ko) * 2009-05-08 2009-10-06 강신만 영상장치용 레일식 브라켓
WO2020209459A1 (ko) * 2019-04-11 2020-10-15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착 헤더 조립체
KR20230015019A (ko) * 2021-07-22 2023-01-31 김광 하이브리드 전동 월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556B1 (ko) 201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1881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用スタンド
KR101337556B1 (ko) 시청 각도 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90687A1 (en) Display apparatus having turnable display
JP4302701B2 (ja) 内蔵型多機能テレビジョン装置
JP2007202131A (ja) 埋め込み型ディスプレー装置
EP2220421B1 (en) Adjustable motorized screen mount
KR102584460B1 (ko) 출몰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영상음향장치
US20120300134A1 (en) Remote control operable stands for tv display
US11781707B2 (en) Supporting device
KR100383888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EP3765787B1 (en) Motorized recessed spotlight with rack for rotation about a longitudinal axis
WO2020000314A1 (zh) 跟焦器和具有其的云台
JP5093878B2 (ja) 床頭台用リモコン付テレビ
KR20110072163A (ko) 컴퓨터용 모니터의 자동 회전장치
JP3132143U (ja) 電動ロールブラインド
WO2018052289A1 (en) Support for a display and a method associated therewith
KR20100020276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
KR100805368B1 (ko) 영상표시기 조정장치
KR20090036712A (ko) 직선 및 회전운동이 가능한 물품 설치대
KR20030096789A (ko) 전자식 클러치 제어 전동 블라인드
JP2003228132A (ja) 電動スクリーン
KR102594061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CN215867815U (zh) 一种电容式触摸镜面屏一体机
KR100812999B1 (ko) 스위블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0421824Y1 (ko) 영상표시기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