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435B1 -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435B1
KR100919435B1 KR1020070055045A KR20070055045A KR100919435B1 KR 100919435 B1 KR100919435 B1 KR 100919435B1 KR 1020070055045 A KR1020070055045 A KR 1020070055045A KR 20070055045 A KR20070055045 A KR 20070055045A KR 100919435 B1 KR100919435 B1 KR 100919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fuel supply
temperature
retur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124A (ko
Inventor
나찬주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70055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43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4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02M37/0035Thermo sensitiv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차체의 상부 선회체 일측에 설치되며, 연료를 토출하는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엔진에서 연소 후 잔여 연료가 귀환하는 리턴라인을 구비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흡입된 연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과 수분이 제거된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수분분리기; 상기 수분분리기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연료공급펌프를 통해 메인연료필터를 거쳐 불순물이 걸러진 연료를 인젝터에 의해 엔진의 연소실로 분사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인젝션 펌프; 상기 메인연료필터 및 상기 인젝션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에 공급되는 연료의 부압을 제어하는 연료제어유니트; 상기 인젝션 펌프 및 상기 연료탱크 하류에 설치하며, 상기 엔진 측에서 연소하고 남은 잔여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에 압송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리턴라인;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라인을 통하여 순환하는 연료의 온도에 따라 스로틀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서모스탯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 시동시 연료의 저온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왁스 성분이 제거되는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서모스탯 밸브를 통하여 저온연료 순환싸이클을 유지함으로써 엔진의 시동불량 및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fuel supplying apparatus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한냉기 엔진 가동시 경유내 왁스 생성을 억제하고 시동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서모스탯 밸브를 이용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료인 경유는 연료 특성상 동절기에 외기온이 약 -15℃ 이하의 온도로 내려갈 경우 연료 내에서 결빙현상으로 인하여 파라핀(paraffin)계의 왁스(wax)성분이 석출되며, 그에 따라 연료의 유동성이 상온 시에 대비하여 크게 저하된다. 또한, 경유에서 파라핀 왁스성분이 석출된 상태에서 디젤 엔진에 시동을 건 후 주행을 시작하면, 연료 중에 석출된 왁스성분이 엔진으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연료필터를 지나면서 연료필터 내의 필터여지를 막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엔진 시동 불량, 시동 꺼짐, 백색연기 발생 등의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설중장비용 엔진계통에 있어서, 주요 연료로써 경유를 사용하는 바, 연료필터를 거쳐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는 인젝터를 통하여 대략 10% 내지 20% 정도만 분사되어 연소되고, 나머지 80% 이상의 연료는 연료탱크에 리턴 된다.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을 가동시에는 외기와 연료탱크 내부의 온도차에 연료탱크 내부에 수분이 생성되어 고이거나 연료에 함유된 파라핀계 왁스 성분이 결빙되는 현상이 나타나 연료공급계통에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건설중장비용 굴삭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종래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의 개략도이다. 통상적으로, 상부선회체(14)의 전방에는 운전실(15)이 배치되고, 운전실(15)의 후방에 엔진룸(16)이 설치되며, 운전실(15) 및 엔진룸(16)은 하부주행(17) 상부에 배치된다.
종래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엔진룸(16) 일측에 설치된 연료펌프(1)로부터 탱크 연료공급라인(2)을 통하여 수분분리기(3)에 1차적으로 충전되며, 수분분리기에서는 연료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다.
이어서, 연료는 비교적 저압인 제1 연료펌프(4)에 의해 펌핑되어 보조 연료필터(5) 및 공급라인(6)을 통과하여 엔진 측에 공급된다.
공급라인(6)을 통하여 엔진(7) 측에 도입된 연료는 메인 연료공급펌프(8)에 의해 펌핑되어 다시 메인연료필터(9)를 거치고, 이어서 연료제어유니트(Fuel Control Unit, 10)에 의해 제어되는 인젝션펌프(11)에 의해 고압으로 인젝터(12)를 통하여 분사되어 엔진 내부에서 연소 된다.
통상적으로 인젝터(12) 상에 도입된 연료는 모두 분사되어 연소 되지 않으며, 공급량의 대략 10% 내지 20% 정도만 연소되고 나머지 80% 이상은 리턴라인(13)을 거쳐 연료탱크(1) 내부로 귀환 되는 일련의 연료공급 순환사이클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추운 지역에서 운전시 연료에 왁스 성분이 잔류한 상태로 엔진(7) 측에 공급되고, 연료공급을 위하여 연료탱크(1)에 리턴되는 연료에는 장시간 왁스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지속되며, 이 연료가 다시 펌핑되어 공급라인(6)과 각각의 연료필터(5, 9) 및 연료공급펌프(8) 등을 통하여 다시 순환됨에 따라서 왁스 성분이 연료필터 상에 흡착되거나 클로깅(clogging) 현상을 발생하여 연료공급에 이상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엔진 시동 불량 및 시동 꺼짐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 시동시 연료가 저온 상태일 경우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엔진 측에서 리턴되는 연료를 연료탱크에 바로 귀환시키지 않고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여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엔진의 시동불량 및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의 상부 선회체 일측에 설치되며, 연료를 토출하는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엔진에서 연소 후 잔여 연료가 귀환하는 리턴라인을 구비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흡입된 연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과 수분이 제거된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수분분리기;
상기 수분분리기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연료공급펌프를 통해 메인연료필터를 거쳐 불순물이 걸러진 연료를 인젝터에 의해 엔진의 연소실로 분사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인젝션 펌프;
상기 메인연료필터 및 상기 인젝션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에 공급되는 연료의 부압을 제어하는 연료제어유니트;
상기 인젝션 펌프 및 상기 연료탱크 하류에 설치하며, 상기 엔진 측에서 연소하고 남은 잔여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에 압송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리턴라인;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라인을 통하여 순환하는 연료의 온도에 따라 스로틀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서모스탯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턴라인은 상기 서모스탯 밸브로 부터 상기 인젝션 펌프의 하류측에 형성된 인젝션 라인에 연통되는 제1 리턴라인과 상기 연료탱크로 연통되는 제2 리턴라인으로 구성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모스탯 밸브는 상기 제1 리턴라인에 연결되는 회류측 입구포트;
상기 제2 리턴라인에 연결되는 회류측 출구포트;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는 공급측 입구포트;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는 공급측 출구포트;
밸브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엔진 측에서 리턴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 및 상기 수분분리기에 연통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서 연료와 접촉하여 연료의 온도에 따라 선형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신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온도 감응부재;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에 시트부를 구비한 제1 피스톤 헤드 및 제2 피스톤 헤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의 수축 및 팽창 구간에 상응하는 스트로크 이동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 헤드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에 고정되는 피스톤; 및
상기 챔버에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가 수축시에는 부분 폐쇄되며 팽창시에는 개방되는 제1 스로틀 밸브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가 수축시에는 개방되며 팽창시에는 폐쇄되는 제2 스로틀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는 연료온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아말감 용입봉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는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최대 수축위치를 형성하고 연료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될 때 최대 팽창위치를 형성하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모스탯 밸브가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제1 스로틀 밸브는 제1 피스톤 헤드에 의해 부분 폐쇄되며, 제2 스로틀 밸브는 제2 피스톤 헤드의 시트부로 부터 개방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 내부에 도입되는 연료의 90%가 상기 수분분리기에 연통되도록 구성한 건설중장비 연료공급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탱크 누유방지구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의 온도가 상온 상태일 때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는 연료순환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의 온도가 저온 상태일 때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는 연료순환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종래의 굴삭기나 로더, 유압 쇼벨 등에 적용하는 바, 연료공급계통에 구성되는 연료탱크(1), 수분분리기(3), 프라이머리 펌프(4), 엔진(7) 측에 포함된 연료공급펌프(8) 및 메인 연료필터(9) 등은 상호 호환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차체의 상부 선회체(14) 일측에 설치되며, 연료를 토출하는 탱크 연료공급라인(21)과 엔진(7) 측에서 연소 후 잔여 연료가 귀환하는 리턴라인(22)을 구비하는 연료탱크(1);
상기 연료탱크(1)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흡입된 연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21)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23)과 수분이 제거된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공급라인(6)을 구비하는 수분분리기(3);
상기 수분분리기(3)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연료공급펌프(8)를 통해 메인연료필터(9)를 거쳐 불순물이 걸러진 연료를 인젝터(12)에 의해 엔진(7) 내부의 연소실로 분사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인젝션 펌프(11);
상기 메인연료필터(8) 및 상기 인젝션 펌프(11)에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12)에 공급되는 연료의 부압을 제어하는 연료제어유니트(10);
상기 인젝션 펌프(11) 및 상기 연료탱크(1) 하류에 설치하며, 상기 엔진(7) 측에서 연소하고 남은 잔여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1)에 압송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리턴라인(22);
상기 리턴라인(22)과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2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리턴라인(22)을 통하여 순환하는 연료의 온도에 따라 스로틀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서모스탯 밸브(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턴라인(22)은 상기 서모스탯 밸브(30)로부터 상기 인젝션 펌프(11)의 하류측에 형성된 인젝션 라인(24)에 연통되는 제1 리턴라인(22a)과 상기 연료탱크(1)로 연통되는 제2 리턴라인(22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모스탯 밸브(30)는 상기 제1 리턴라인(22a)에 연결되는 회류측 입구포트(31)와; 상기 제2 리턴라인(22b)에 연결되는 회류측 출구포트(32)와;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21)에 연결되는 공급측 입구포트(33)와;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23)에 연결되는 공급측 출구포트(34)와; 밸브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엔진(7) 측에서 리턴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1) 및 상기 수분분리기(3)에 연통되는 챔버(35)와; 상기 챔버(35) 내부에서 연료와 접촉하여 연료의 온도에 따라 선형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신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온도 감응부재(40)와;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에 시트부를 구비한 제1 피스톤 헤드(36a) 및 제2 피스톤 헤드(36b)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의 수축 및 팽창 구간에 상응하는 스트로크 이동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 일측에 고정되는 피스톤; 및 상기 챔버(35)에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시에는 부분 폐쇄되며 팽창시에는 개방되는 제1 스로틀 밸브(37)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시에는 개방되며 팽창시에는 폐쇄되는 제2 스로틀 밸브(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팽창할 때는 상기 피스톤(36)이 좌측 방향의 스트로크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1 스로틀 밸브(37)는 상기 제1 피스톤 헤드(36a)에 의해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스로틀 밸브(38)는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에 의해 폐쇄된다(도 4 참조). 반면에,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할 때는 상기 피스톤(36)은 우측 방향의 스트로크 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1 스로틀 밸브(37)는 상기 제1 피스톤 헤드(36a)에 의해 부분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스로틀 밸브(38)은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에 의해 개방된다(도5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는 일측을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에 고정하되,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최대 수축 위치가 형성되고, 연료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될 때 최대 팽창 위치가 형성된다. 전술한 5℃ 이하의 연료의 온도는 연료의 저온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이며, 30℃ 이상의 연료의 온도는 연료의 상온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료의 저온 상태에서 최대 수축 위치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됨에 따라 스트로크 이동하는 제1 피스톤 헤드(36a)는 서모스탯 밸브(30)에 도입되는 연료의 대략 10%를 제2 리턴라인(22b) 측으로 드레인하도록 부분 폐쇄 상태를 유지하며, 연료탱크(1)에 리턴되는 연료는 공급측 입구포트(33) 및 출구포트(34)를 통하여 엔진(7) 측으로 순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모스탯 밸브(30)는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제1 스로틀 밸브(37)는 제1 피스톤 헤드(36a)에 의해 부분 폐쇄되며, 제2 스로틀 밸브(38)는 제2 피스톤 헤드(36b)의 시트부로 부터 개방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챔버(35) 내부에 도입되는 연료의 90%가 상기 수분분리기(3)에 연통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는 연료온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아말감 용입봉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는 상기 서모스탯 밸브(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42)를 구비하며, 상기 손잡이는 매뉴얼 셧-오프 밸브(shut-off valve)로 제조함으로써 외부에서 작업자가 연료온도 감응을 위한 작업자의 의한 수동 조작을 고려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23) 상에는 체크밸브(43)를 구성하며, 상기 체크밸브(43)는 상기 연료탱크(1)에서 상기 수분분리기(3) 측으로 흡입된 연료의 역류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추운 한냉 기역에서 엔진 시동시 연료의 온도가 저온에 있을 경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하여 피스톤(30)을 우측으로 스트로크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리턴라인(22a)을 통하여 서모스탯 밸브(30)에 도입되는 연료의 일부는 제1 스로틀 밸브(37)를 통과한 다음 제2 리턴라인(22b)을 경유하여 연료탱크(1)에 리턴된다.
반면에, 연료의 온도가 왁스성분이 생성될 수 있는 저온상태로써, 상기 제1 리턴라인(22a)을 통하여 서모스탯 밸브(30) 내의 챔버(35)에 도입되는 대부분의 잔여 연료가 왁스성분이 녹아들 수 있는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완전히 개방된 상기 제2 스로틀 밸브(38) 공급측 출구포트(34)를 경유하여 수분분리기(3) 측으로 순환되게 하는 일련의 저온연료 순환싸이클을 형성한다(도4 참조).
즉, 연료의 온도가 5℃ 이하의 저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수축된다. 이때,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40)의 일측에 제2 피스톤 헤드(36b)가 고정된 상기 피스톤(36)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방향의 스트로크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스로틀 밸브(37)는 제1 피스톤 헤드(36a)의 시트부의 이격에 의해 부분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제2 스로틀 밸브(38)는 상기 제2 피스톤 헤드(36b)의 시트부로 부터 완전히 이격되어 개방되며, 이로 인하여 서모스탯 밸브(30)의 챔버(35)에 도입되는 대부분의 연료(대략 90%)가 연료온도 감응부재(40)에서 연료의 온도를 30℃ 이상으로 감지할 때까지 수분분리기(3), 프라이머리 펌프(5), 연료공급라인(6) 및 엔진(7) 측에 설치된 메인 연료공급펌프(8) 연료필터(9) 및 고압의 인젝션 펌프(11)를 순환한다.
이와 같은,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되는 저온연료 순환싸이클 상에서 상기 서모스탯 밸브(30)는 제1 피스톤 헤드(36a)에 의해 부분 폐쇄된 제1 스로틀 밸브(37)를 통하여 챔버(35)에 도입되는 연료의 10%를 연료탱크(1)에 리턴시킨다.
한편, 연료가 상온 상태에 도달하면 연료온도 감응부재(40)가 다시 팽창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을 좌측 방향으로 스트로크 시킨다.
상기 제1 스로틀 밸브(37)는 제1 피스톤 헤드(36a)의 시트부로 부터 이격되어 완전히 개방되는 반면에 제2 스로틀 밸브(38)는 제2 피스톤 헤드(36b)의 시트부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며, 서모스탯 밸브(30)에 도입되는 연료는 모두 제1 리턴라인(22a), 챔버(35), 제1 스로틀 밸브(37), 상기 제2 리턴라인(22b)을 경유하여 연료탱크(1)에 리턴되고, 이어서 상기 공급측 입구포트(33)와 공급측 출구포트(34)를 경유하여 수분분리기(3) 측으로 순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 시동시에는 연료의 온도 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저온 상태일 경우에는 저온연료 순환싸이클을 반복하도록 서모스탯 밸브(30)가 작동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는 추운 한냉 지역에서 엔진 시동시 연료의 저온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왁스 성분이 제거되는 상온에 도달할 때까지 서모스탯 밸브를 통하여 저온연료 순환싸이클을 유지함으로써 엔진의 시동불량 및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건설중장비용 굴삭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설중장비의 연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가 저온 상태일 때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는 연료순환흐름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연료가 상온 상태일 때 서모스탯 밸브를 경유하는 연료순환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연료탱크 3: 수분분리기
8: 연료공급펌프 6: 연료필터
30: 서모스탯밸브 36: 피스톤
40: 연료온도 감응부재

Claims (6)

  1. 차체의 상부 선회체 일측에 설치되며, 연료를 토출하는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엔진에서 연소 후 잔여 연료가 귀환하는 리턴라인을 구비하는 연료탱크;
    상기 연료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흡입된 연료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며,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과 수분이 제거된 연료가 배출되는 연료공급라인을 구비하는 수분분리기;
    상기 수분분리기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연료공급펌프를 통해 메인연료필터를 거쳐 불순물이 걸러진 연료를 인젝터에 의해 엔진의 연소실로 분사하도록 부압을 형성하는 인젝션 펌프;
    상기 메인연료필터 및 상기 인젝션 펌프에 연결되며, 상기 인젝터에 공급되는 연료의 부압을 제어하는 연료제어유니트;
    상기 인젝션 펌프 및 상기 연료탱크 하류에 설치하며, 상기 엔진 측에서 연소되도록 압송되는 연료가 저온상태시에는 상기 수분분리기를 경유하고 상온상태시에는 상기 수분분리기를 경유하지 않도록 각각의 유로를 형성하는 리턴라인;
    상기 리턴라인과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연료의 온도에 따라 스로틀을 개방 및 폐쇄하여 상기 리턴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차단시키는 서모스탯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라인은 상기 서모스탯 밸브로 부터 상기 인젝션 펌프의 하류측에 형성된 인젝션 라인에 연통되는 제1 리턴라인과 상기 연료탱크로 연통되는 제2 리턴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모스탯 밸브는 상기 제1 리턴라인에 연결되는 회류측 입구포트;
    상기 제2 리턴라인에 연결되는 회류측 출구포트;
    상기 탱크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는 공급측 입구포트;
    상기 세퍼레이터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는 공급측 출구포트;
    밸브 몸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엔진 측에서 리턴되는 연료가 상기 연료탱크 및 상기 수분분리기에 연통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연료와 접촉하여 연료의 온도에 따라 선형으로 수축 또는 팽창하는 신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연료온도 감응부재;
    길이방향의 양측 선단에 시트부를 구비한 제1 피스톤 헤드 및 제2 피스톤 헤드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의 수축 및 팽창 구간에 상응하는 스트로크 이동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2 피스톤 헤드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에 고정되는 피스톤; 및
    상기 챔버에 형성되며,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가 수축시에는 부분 폐쇄되며 팽창시에는 개방되는 제1 스로틀 밸브와,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가 수축시에는 개방되며 팽창시에는 폐쇄되는 제2 스로틀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는 연료온도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축 또는 팽창 가능한 아말감 용입봉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료온도 감응부재는 연료의 온도가 5℃ 이하로 될 때 최대 수축위치를 형성하고 연료의 온도가 30℃ 이상으로 될 때 최대 팽창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6. 삭제
KR1020070055045A 2007-06-05 2007-06-05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KR100919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045A KR100919435B1 (ko) 2007-06-05 2007-06-05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045A KR100919435B1 (ko) 2007-06-05 2007-06-05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24A KR20080107124A (ko) 2008-12-10
KR100919435B1 true KR100919435B1 (ko) 2009-09-29

Family

ID=4036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045A KR100919435B1 (ko) 2007-06-05 2007-06-05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4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174B1 (ko) 2015-09-08 2017-09-18 주식회사 탱크로드 유류정화기능을 갖는 유류저장 및 공급시스템
KR101672996B1 (ko) 2015-09-18 2016-11-04 주식회사 탱크로드 유류정화와 탱크 세정기능을 갖는 유류저장시스템
KR102406158B1 (ko) * 2016-04-14 2022-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CN114508433B (zh) * 2022-02-16 2022-10-28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燃油供给系统的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948A (ko) * 1998-09-30 2000-04-25 토니헬샴 중장비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공급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20020037465A (ko) * 2000-11-14 2002-05-22 류정열 디젤엔진의 연료가열장치
KR20030027269A (ko) * 2001-09-28 200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인젝션펌프에의 연료 부족시 시동성 향상을위한 연료공급장치
KR200343989Y1 (ko) * 2003-12-03 2004-03-11 김종숙 디젤자동차 연료공급장치의 연료순환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1948A (ko) * 1998-09-30 2000-04-25 토니헬샴 중장비 차량용 디젤엔진의 연료공급제어장치의 제어방법
KR20020037465A (ko) * 2000-11-14 2002-05-22 류정열 디젤엔진의 연료가열장치
KR20030027269A (ko) * 2001-09-28 200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엔진의 인젝션펌프에의 연료 부족시 시동성 향상을위한 연료공급장치
KR200343989Y1 (ko) * 2003-12-03 2004-03-11 김종숙 디젤자동차 연료공급장치의 연료순환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124A (ko) 200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4499B2 (en) Method for operating a device for injecting water in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NL2006992C2 (en) Method of switching from a liquefied gas fuel to a liquid fuel being provided to a direct injection combustion engine, and direct injection bi-fuel system for such an engine.
KR100919435B1 (ko) 건설중장비용 연료공급장치
KR101602970B1 (ko) 탄화수소 인젝터를 구비한 엔진용 연료 분사 시스템
RU2442903C2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US9388777B2 (en) Kidney loop filtration system for fuel delivery system
JP4038941B2 (ja) ピエゾインジェクタ
SE1000743A1 (sv) Bränsleinsprutningssystem
KR101978012B1 (ko) 연료 분사 장치
US5313915A (en) Coal slurry fuel supply and purge system
NL2008202C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bi-fuel combustion engines.
US9388779B2 (en) Fuel system for an excavator
JP4305304B2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WO2016147948A1 (ja) 内燃機関及び捕集装置の強制再生方法
US1839878A (en) Fuel delivering device
KR100534690B1 (ko)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 리크 제어장치
JP6217325B2 (ja) 燃料噴射システム、内燃機関、及び内燃機関の燃料噴射方法
KR20160049706A (ko) 자동차의 디젤 연료 시스템
KR101371871B1 (ko) 디젤엔진의 오버플로우밸브 구조
KR20160049707A (ko) 디젤 연료 시스템의 디젤 필터
KR102406158B1 (ko) 디젤 차량의 연료공급장치
KR20120059750A (ko) 연료 회수를 이용한 디젤 차량의 연료 동결 방지 구조
CN104110337B (zh) 自动排气柴油滤座
JP6093979B2 (ja) 燃料噴射装置
JP6764131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