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132B1 -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 - Google Patents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132B1
KR100918132B1 KR1020070120139A KR20070120139A KR100918132B1 KR 100918132 B1 KR100918132 B1 KR 100918132B1 KR 1020070120139 A KR1020070120139 A KR 1020070120139A KR 20070120139 A KR20070120139 A KR 20070120139A KR 100918132 B1 KR100918132 B1 KR 10091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panel
surface plate
support plate
steel shee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333A (ko
Inventor
이해식
Original Assignee
이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식 filed Critical 이해식
Priority to KR1020070120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1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02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 E04D3/16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of plane slabs, slates, or sheets, or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unimportant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04D3/352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at least one insulating layer being located between non-insulating layers, e.g. double skin slabs or sh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5Connecting; Fastening by simple overlapping of the marginal portions with use of separate connecting elements, e.g. hooks or bolts for corrugated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재 패널 자체가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을 가져 별도의 흡음, 제진, 단열 구조를 도입할 필요가 없어 건축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고가의 비철금속판에 강판을 접합시켜 지붕재로 사용하기에 재료의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가 소정의 점성도를 가져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이 탁월한 접착수지층에 의해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단열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는 지붕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 연결시켜 지붕을 조립할 수 있는 지붕재 패널에 있어서, 상기 지붕재 패널은 표면판재, 상기 표면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재 및 상기 표면판재와 상기 지지판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면판재와 상기 지지판재를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재 패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붕재 패널 자체가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을 가져 별도의 흡음, 제진, 단열 부재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어 건축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비철금속제로 이루어진 표면 판재과 일반 강판으로 이루어진 지지 판재를 접착수지로 접합함으로써 소재의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소정의 점성도를 가져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이 탁월한 접착수지층에 의해 소음방지 및 진동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더욱이 절곡 등과 같은 성형 가공시 서로 접합된 판재가 상호 이격되지 않아 다양한 모양 의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지붕재, 접합강판, 흡음, 제진, 단열

Description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PANEL FOR RO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재 패널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재 패널를 이용하여 지붕을 제조한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 지붕재 패널 10a: 표면판재
10b: 접착수지 10c: 지지판재
20: 하부 지붕재 패널 30: 스페이서
40: 단열 흠음재
본 발명은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재 패널 자체가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을 가져 별도의 흡음, 제진, 단열 구조를 도입할 필요가 없어 건축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고가의 비철금속판에 강판을 접합시켜 지붕재로 사용하기에 재료의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나아 가 소정의 점성도를 가져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이 탁월한 접착수지층에 의해 인위적 또는 자연적으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단열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는 지붕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건축외장재의 일종인 지붕재의 기본 자재로는 보통 합성수지, 점토자재, 철판, 비철금속 등으로 시공하고 있으나, 합성수지, 점토재의 경우 재활용의 어려움 등으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크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점토자재의 경우 운반 및 시공간에 제품이 쉽게 변형 및 파손되는 등 공사자재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철판 및 비철금속의 지붕재는 합성수지 및 점토재가 갖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는 있으나, 일반 철판의 지붕재는 빗물, 오염물질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쉽게 부식이 되기 때문에 장식미를 요하지 않는 축사지붕이나 건축물의 사각지역 지붕 및 저가의 건축물에 국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들어, 동(銅),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기타 수입산 비철금속 등의 비철금속제 지붕재가 상기 합성수지재, 점토재, 철판재의 문제점인 환경성, 자재관리, 장식미, 내식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현재 지붕자재로써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철금속재는 워낙 고가여서 건축비 상승의 주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특히 단일판으로 제조할 경우 인적이거나 자연환경적 요인, 예컨대 빗물 또는 우박 낙하시, 천둥시 단일 강판을 통하여 소음과 진동이 그대로 전달되어 쾌적하고 안정적인 실내 주거 환경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종래에는 단일판으로 지붕재를 제조할 경우, 별도의 단열재, 흡음 재, 제진재를 지붕 구조내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흡음, 제진,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는데, 그 경우에는 추가적인 자재 사용에 의한 재료비 증대를 초래하고, 나아가 시공 공정이 추가되어 작업능률을 저하시켜 공기가 연장될 뿐만 아니라 건축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지붕재 패널 자체가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을 가져 별도의 흡음, 제진, 단열 부재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어 건축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고, 비철금속제로 이루어진 표면 판재과 일반 강판으로 이루어진 지지 판재를 접착수지로 접합함으로써 소재의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소정의 점성도를 가져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이 탁월한 접착수지층에 의해 소음방지 및 진동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욱이 절곡 등과 같은 성형 가공시 서로 접합된 판재가 상호 이격되지 않아 다양한 모양의 패널을 제작할 수 있는 지붕재 패널을 개발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지붕재 패널의 접착수지층을 소정의 점성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점성도를 가진 접착수지층이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을 증대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어지는 소음과 진동을 감쇠하고 보온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어,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나아가 성형 가공시 소정의 점성도를 가진 접착수지층이 깨지지 않아 우수한 성형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붕재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상대적으로 값비싼 동,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단일 강판을 사용할 경우, 제조원가가 대폭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판재는 비철금속제로 제조하여 기존과 동일한 질감과 외형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서 표면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재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강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재료비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지붕재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지붕재 패널 자체가 흡음, 제진, 단열 기능을 하기에, 종래 별도로 설치하였던 흡음 및 단열재를 시공할 필요가 없고, 그 결과 작업 능률이 높아 공기를 단축시켜 건축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지붕재 패널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연결시켜 지붕을 조립할 수 있는 지붕재 패널에 있어서, 상기 지붕재 패널은 표면판재, 상기 표면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재 및 상기 표면판재와 상기 지지판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면판재와 상기 지지판재를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재 패널은 서로 인접하는 패널의 끝단을 중첩시키며, 중첩된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시켜 인접하는 패널을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접착수지층은 2500∼4500 cps의 점성도를 가지고, 상기 표면판재와 지지판재는 10.5∼16.5 Nm의 굽힘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재 패널을 개시한다.
삭제
삭제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판재는 동,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지지판재는 아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칼라강판, 냉연강판, 산세강판, 징크, 및 티타늄아연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패널의 끝단을 중첩시키고 중첩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시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지붕재 패널;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의 중첩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과 대향되게 배열 설치되는 하부 지붕재 패널; 및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과 하부 지붕재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지붕재 패널과 하부 지붕재 패널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지붕재 패널은 표면판재, 상기 표면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재 및 상기 표면판재와 상기 지지판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면판재와 상기 지지판재를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과 하부 지붕재 패널과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흡음제가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접착수지층은 2500∼4500 cps의 점성도를 가지고, 상기 표면판재와 지지판재는 10.5∼16.5 Nm의 굽힘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재를 개시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붕재 패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재 패널의 설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재 패널를 이용하여 지붕을 제조한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붕재 패널은 서로 인접하는 패널의 끝단을 중첩시키고, 중첩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2)를 체결시켜 인접한 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붕재 패널은 표면판재(10a), 상기 표면판재(10a)를 지지하는 지지판재(10c) 및 상기 표면판재(10a)와 상기 지지판재(10c)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면판재(10a)와 상기 지지판재(10c)를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 수지층(1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판재(10a)는 동,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칼라강판, 냉연강판, 산세강판, 티타늄아연판, 징크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상기 표면판재(10a)는 지붕재의 특성상 항상 빗물 및 오염물질에 노출되므로 녹 발생을 방지하는 내식성을 구비하는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판재(10c)는 아연도금강판(Galvanized-Steel), 스테인리스(Stainless), 칼라강판(Polyester Painted Steel Sheets), 냉연강판(Cold Rolled Steel Sheets), 산세강판(Pickled and Oiled Steel Sheets), 징크, 및 티타늄아연판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강재 중 하나를 선택한 것이다. 여기서, 아연도금강판은 용융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teel Sheets),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Steel Sheets),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Galvannealed Steel Sheets), 용융알루미늄도금강판(Aluminum Coated Steel Sheets), 갈바륨강판(Zinc Aluminum Alloy Coated Steel Sheets)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지붕재 패널을 이루는 표면판재와 지지판재는 지붕재 패널을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하기 위하여 우수한 성형 가공성을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성형 가공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10.5∼16.5 Nm의 굽힘 강성(bending rigidity)를 가지는 재료를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굽힘 강성은 하기 수학식 1로 표기되는 RKU(Ross Kerwin Ungar)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07084364220-pat00001
여기서, Bc는 굽힘 강성이고, υ는 푸와송비(Poisson's ratio)이고, tc는 전체 두께이다.
특히, 굽힘 강성이 10.5 Nm 미만일 경우에는 적은 힘으로도 굽혀져 성형후 외부의 충격에 취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굽힘 강성이 16.5 Nm 초과할 경우에는 성형 가공성이 저하되어 지붕재 패널을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접착수지층(10b)은 표면판재(10a)와 지지판재(10c) 사이에 배치되어, 표면판재와 지지판재를 상호 접합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그 두께가 0.02∼0.1mm가 되도록 형성한다. 접착수지층은 표면판재와 지지판재 사이에 배치되어 제진, 흡음 및 단열 기능을 하기에, 지붕재 패널 자체가 우수한 제진 내지 흡음 효과, 보온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해 준다. 즉, 접착수지층은 표면판재와 지지판재를 접착시킴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쇄시키는 역활을 하며, 나아가 단열재 역할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접합강판에 사용되는 접착 수지는 에틸 아세테이트 44 내지 46 중량%, 비닐 아세테이이트/아크릴 코폴리머 40 내지 42 중량%, 이소프로필 알코올 8 내지 10 중량%, 톨루엔 1 내지 3 중량%, 비닐 아세테이트 3 중량% 이하, 아세트알데히드 0.1 중량% 이하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조성성분과 함량은 본 발명자가 오랜기간동안의 반복 실험에 의해 흡음성과 접합성과 단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소정의 점성도를 유지할 수 있어 성형 가공시 접합된 판재가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수지는 2500∼4500 cps의 점성도를 가진다. 이는 점성도가 2500 cps 미만일 경우에는 점성도가 너무 작아 접합시킨 표면판재가 지지판재에 견고하게 접착되지 않아 박리가 발생하고, 특히 절곡 등과 같은 성형 가공시 표면판재가 접착된 지지판재로 이격되어 단차를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점성도가 4500 cps 초과할 경우에는 점성도가 너무 커서 특히 접합강판을 성형 가공할 경우 일부 경화된 접착수지층이 깨지거나 표면판재가 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접착수지는 소정의 점성도를 유지하여야만 성형 가공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그와 같은 점성도를 유지하기에 제 진, 흡음, 단열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기 표1에는 접착수지의 점성도에 따라 접합강판의 성형가공성, 박리 유무, 차음 효과를 측정한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84364220-pat00002
※ 성형가공성에서 X는 절곡, 프레스 가공 및 드로잉 등과 같은 성형 가공시 접착수지가 접합강판 끝단면을 통해 누설되거나 접합된 강판이 상호 이격되어 단차가 발생하거나 또는 접착수지가 깨져서 제대로 접착력을 가지지 못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는 일부 발견될 경우를, ○는 전혀 발견할 수 없는 경우를 표기한 것이다.
※박리 유무에서 X는 박리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는 일부 발견될 경우를, O는 전혀 발견할 수 없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단일 강판의 소음을 1로 했을 경우, 접합강판에 의해 차음되는 성능을 비교하여 차음효를 나타내었다.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착수지의 점성도가 2500~4500 cps일 경우, 성형가공성이 우수하며, 박리가 발생하지 않으며, 차음 효과 또한 단일 강판과 대비하여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지붕재 패널의 진동감쇠 특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지붕재 패널 시료를 매달고 충격가진망치로 시류에 가진하여 주파수 응답함수 곡선을 구하였고, 그러한 주파수 응답함수 곡선으로부터 1, 2 또는 3차 고유진동수와 각각의 고유진동수에서의 손실계수를 반치폭법으로 구하였다. 시험시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각각의 시료에 대하여 3번의 시험을 통하여 측정치를 구하였다. 사용된 시료는 단일 STS 강판, STS 접합강판, 단일 Cu 강판, Cu 접합강판, 단일 Al 강판, Al 접합강판이고, 모든 시료의 두께는 0.8mm로 하였다.
Figure 112007084364220-pat00003
상기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재 패널은 단일 소재의 강판과 비교해 볼 때, 특히 중·고 주파수 영역에서 탁월한 제진 성능을 보여 주였다.
또한, 본 발명자는 단일강판과 접합강판의 열전도도 및 열확산율을 각각 측정해 본 결과, 특히 지붕재 패널로 사용되는 접합강판의 열전도도 및 열확산율이 단일강판 보다 훨씬 작았으며, 그 결과 종래 단일강판 보다 열전도도 등이 작은 접합강판을 이용하여 지붕재 패널을 제조함으로써 지붕의 단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었다.
Figure 112007084364220-pat00004
즉,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r 접합강판, Cu 접합강판, STS 접합강판은 각각 단일강판으로 이루어진 소재와 비교해 볼 때 열확산율 및 열전도도 면에서 대폭 작아져 지붕재의 단열 및 보온 효과를 증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지붕재 패널을 이용하여 이중 구조의 지붕재를 제시하였는데, 그와 같은 지붕재는 서로 인접하는 패널의 끝단을 중첩시키고 중첩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체결시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지붕재 패널;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의 중첩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과 대향되게 배열 설치되는 하부 지붕재 패널; 및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과 하부 지붕재 패널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지붕재 패널과 하부 지붕재 패널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지붕재 패널(10)과 하부 지붕재 패널(20)을 서로 대향되게 이중으로 배열 설치하고, 상부 지붕재 패널을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지붕재를 구성하였다. 상기 스페이서(30)는 지붕재 패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재(32)에 의해 패널에 고정된 것이며,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과 하부 지붕재 패널과 스페이서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흡음제(40)가 더 구비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지붕재 패널의 접착수지층을 소정의 점성도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점성도를 가진 접착수지층이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을 증대시켜, 외부로부터 전달되어지는 소음과 진동을 감쇠하고 보온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어 쾌적하고 안락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나아가 성형 가공시 소정의 점성도를 가진 접착수지층이 깨지지 않아 우수한 성형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종래 상대적으로 값비싼 동, 스테인리스 등과 같은 단일 강판을 사용 할 경우, 제조원가가 대폭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판재는 비철금속제로 제조하여 기존과 동일한 질감과 외형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서 표면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판재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강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재료비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세째, 지붕재 패널 자체가 흡음, 제진, 단열 기능을 하기에, 종래 별도로 설치하였던 흡음 및 단열재를 시공할 필요가 없고, 그 결과 작업 능률이 높아 공기를 단축시켜 건축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상호 연결시켜 지붕을 조립할 수 있는 지붕재 패널에 있어서,
    상기 지붕재 패널(10,20)은 표면판재(10a), 상기 표면판재(10a)를 지지하는 지지판재(10c) 및 상기 표면판재(10a)와 상기 지지판재(10c)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면판재(10a)와 상기 지지판재(10c)를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 수지층(10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재 패널(10,20)은 서로 인접하는 패널의 끝단을 중첩시키며, 중첩된 부위에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2)를 체결시켜 인접하는 패널을 연결시키는 한편, 상기 접착수지층(10b)은 2500∼4500 cps의 점성도를 가지고, 상기 표면판재(10a)와 지지판재(10c)는 10.5∼16.5 Nm의 굽힘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재 패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판재(10a)는 동,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칼라강판, 냉연강판, 산세강판, 티타늄아연판, 징크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지지판재(10c)는 아연도금강판, 스테인리스, 칼라강판, 냉연강판, 산세강판, 징크, 티타늄아연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재 패널.
  5. 서로 인접하는 패널의 끝단을 중첩시키고 중첩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12)를 체결시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지붕재 패널(10);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10)의 중첩 부위에 형성된 체결공과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10)과 대향되게 배열 설치되는 하부 지붕재 패널(20); 및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10)과 하부 지붕재 패널(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지붕재 패널(10)과 하부 지붕재 패널(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3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지붕재 패널(10,20)은 표면판재(10a), 상기 표면판재(10a)를 지지하는 지지판재(10c) 및 상기 표면판재(10a)와 상기 지지판재(10c)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면판재(10a)와 상기 지지판재(10c)를 상호 접합시키는 접착 수지층(10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지붕재 패널(10)과 하부 지붕재 패널(20)과 스페이서(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 흡음제(40)가 더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접착수지층(10b)은 2500∼4500 cps의 점성도를 가지고, 상기 표면판재(10a)와 지지판재(10c)는 10.5∼16.5 Nm의 굽힘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재.
  6. 삭제
KR1020070120139A 2007-11-23 2007-11-23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 KR10091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139A KR100918132B1 (ko) 2007-11-23 2007-11-23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139A KR100918132B1 (ko) 2007-11-23 2007-11-23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333A KR20090053333A (ko) 2009-05-27
KR100918132B1 true KR100918132B1 (ko) 2009-09-17

Family

ID=4086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139A KR100918132B1 (ko) 2007-11-23 2007-11-23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8012B2 (ja) * 2015-05-11 2020-04-28 日鉄鋼板株式会社 屋根構造
CN107190920A (zh) * 2017-05-31 2017-09-22 山东万事达建筑钢品股份有限公司 一种可滑动式金属夹芯板屋面系统
JP6944681B1 (ja) * 2020-06-09 2021-10-06 日鉄鋼板株式会社 屋根構造
CN114892893B (zh) * 2022-05-19 2024-03-26 中国建筑西南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连接焊接不锈钢屋面附属支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349A (ko) * 1999-06-22 2001-01-15 박용준 건축물, 가구 및 기구 내/외장재용 복합강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3349A (ko) * 1999-06-22 2001-01-15 박용준 건축물, 가구 및 기구 내/외장재용 복합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333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637B1 (ko) 흡음성과 제진성이 우수한 엘레베이터용 패널 및 그러한패널을 이용한 엘레베이터 카
KR100925577B1 (ko)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KR100861448B1 (ko) 제진성, 흡음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접합강판
KR100918132B1 (ko) 접합강판을 이용한 지붕재 패널
KR20080105668A (ko) 흡음성과 제진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씽크볼용 접합강판 및그러한 접합강판을 이용하여 씽크볼을 성형하는 프레스가공 방법
CN206428869U (zh) 一种复合铝板
CN213626373U (zh) 一种高强度的石膏墙面结构
KR20090053321A (ko) 접합강판을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CN213472435U (zh) 铝波纹芯复合板
CN109424118A (zh) 保温一体式建筑墙板
CN111424831B (zh) 一种具有隔音功能的聚氨酯板及其制备工艺
KR20200073460A (ko) 제진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차량 경량화용 접합판재
CN206016079U (zh) 一种金属屋面板
CN220486897U (zh) 一种加强彩钢板
CN215167257U (zh) 一种彩色保温隔音复合钢板
KR20090005123U (ko) 접합강판을 이용한 금속제 가구
CN205276702U (zh) 一种金属夹芯屋面板结构
CN210940760U (zh) 一种复合结构的轻型夹芯蜂窝板材
CN217000290U (zh) 一种alc外墙板与楼承板连接结构
CN218758249U (zh) 一种瓦楞板
CN215040854U (zh) 一种具有碟状铝芯结构的多层铝结构板
CN207609352U (zh) 一种降噪防盗窗
KR20090053283A (ko) 온돌용 배관패널
KR20120066360A (ko) 차음성이 우수한 건축내장재용 경량 패널
RU62411U1 (ru) Сэндвич-панель металлическая трехслой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