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835B1 - 항온항습기 - Google Patents

항온항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835B1
KR100917835B1 KR1020080125922A KR20080125922A KR100917835B1 KR 100917835 B1 KR100917835 B1 KR 100917835B1 KR 1020080125922 A KR1020080125922 A KR 1020080125922A KR 20080125922 A KR20080125922 A KR 20080125922A KR 100917835 B1 KR100917835 B1 KR 100917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hermo
hygrostat
container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to KR102008012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 내부에 설치된 코일 상측에 가이드베인을 설치하여 코일 내부에 응축수가 발생하여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항온항습기 내부에 장착되는 가습기의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 공기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항온항습기몸체와; 상기 항온항습기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항온항습기몸체 내부의 공기를 상하측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항온항습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와; 상기 가습기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상기 송풍팬 상부로 공급하는 수증기공급관과; 상기 수증기공급관과 상기 항온항습기몸체의 공기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과; 상기 항온항습기 몸체의 상측 모서리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는 항온항습기를 제공한다.
항온항습기, 가습기, 응축방지

Description

항온항습기 {A Thermo-Hygrostat}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으로, 항온항습기 내부에 설치된 코일 상측에 가이드베인을 설치하여 코일 내부에 응축수가 발생하여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항온항습기 내부에 장착되는 가습기의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하는 항온항습기에 관한 것이다.
항온항습기는 전산실, 정밀측정실, 엔진실험실, 반도체 공장의 크린룸, 전자기판생산실 등 주로 열을 많이 발생하는 시스템이나 장치가 설치된 각 룸에 설치되는 것으로, 룸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난방운전, 룸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가습운전, 룸 내부의 청정공기를 유지하기 위한 공기클린운전 등을 통하여 이들 시스템이나 장치 주변의 온도 및 습도가 항상 일정 범위 내에 머물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항온항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상기 항온항습기는 케이싱(10), 송풍부(20). 냉각코일(30), 가습기(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싱(10) 상측에는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흡입구(11) 하측에는 상기 공기흡입구(1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일자형 냉각코일(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코일(30)의 하측에는 상기 냉각코일(30)을 통과한 공기에 적정 수증기를 공급하는 가습기(40)가 장착된다.
상기 가습기(40)는 수증기 공급라인(41)을 통하여 상기 냉각코일(30)을 통과한 공기에 수증기를 공급한다.
상기 가습기(40)에 의하여 적정 습도로 변환된 공기는 송풍부(20)에 의하여 하측으로 흡입 송풍되며, 전산실 또는 실험실 등의 항온항습대상 공간(60)의 하부에 형성된 덕트(50)를 통하여 상기 항온항습대상공간으로 공급된다.
상기 송풍부(20)는 팬벨트 구동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모터(21)의 구동축과 송풍팬(22)의 구동축이 벨트구동전달방식으로 결합되어 모터의 회전구동력이 송풍팬(22)으로 전달됨으로써 송풍팬(22)은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습기(40)는 공기 가습을 위해 이용되며, 통상적으로 물로 일부가 충전되어 있는 증발 탱크를 포함한다. 그런데, 물은 전극 또는 전기 저항체와 같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고 증발되며, 증발 탱크 하부에는 광물염(mineral salt)과 같은 슬러지가 침전된다. 이러한 광물염은 정화를 통해 증발 탱크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특히 석회를 많이 함유하는 물을 이용할 때에는 석회물질에 의해 물 관류 구가 좁아져 막히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슬러지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가습기의 증발탱크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가습기를 정지하고 물을 전부 제거한 후 슬러지를 제거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항온항습기는 상기 일자형 냉각코일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냉각코일로 공기가 유입되어 통과하는 경우 온도 불균형으로 인하여 응축수가 발생하여 비산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각코일 주변의 응축수 발생을 방지하는 항온항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면으로, 본 발명은 항온항습기에 설치되는 가습기의 내부 구조를 개량하여 가습기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항온항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항온항습기몸체와; 상기 항온항습기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항온항습기몸체 내부의 공기를 상하측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항온항습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와; 상기 가습기에서 발생된 수증기 를 상기 송풍팬 상부로 공급하는 수증기공급관과; 상기 수증기공급관과 상기 항온항습기몸체의 공기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과; 상기 항온항습기 몸체의 상측 모서리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가이드 베인을 포함하는 항온항습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베인은 45°~55°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가습기는, 내부에 물이 충전되고, 상부에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증발용기와, 일부분이 상기 증발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용기의 하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코일 상부에 응축수 발생을 방지하는 베인을 설치하여 균일한 온도분포를 구현함으로써 냉각코일 주위에 응축수가 응결되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습기의 슬러지 제거 구조를 개량하여 용이하게 슬러지를 제거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냉각코일과 결합된 냉동시스템의 응축기 후단의 냉매 온도를 측정하여 이 온도에 따라 송풍팬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실내의 항온항습을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100)는 항온항습기몸체(110), 송풍팬(200), 가습기(300), 수증기공급관(400), 냉각코일(500) 및 가이드 베인(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항온항습기몸체(110)는 속이 빈 사각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측에는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공기 유출구(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출구(112)의 일측에는 송풍팬(200)이 설치되는데, 상기 송풍팬(200)은 상기 항온항습기몸체(110)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항온항습기몸체(110) 내부의 공기를 하측으로 송풍한다.
상기 송풍팬(200)은 플래넘(PLENUM) 방식의 팬으로서, 모터와 팬이 직결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전달 기계적 소음이 제거되며, 모터와 팬의 언발란스 문제로 인한 소음문제를 최소화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항온항습기몸체의 일측하부에는 가습기(300)가 장착되며, 상기 가습기(300)의 상측에는 상기 가습기(300)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상기 송풍팬의 상부로 공급하는 수증기공급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증기공급관(400)의 상측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500)이 장착된다.
상기 냉각코일(500)의 양단부에는 각각 냉매입구(501) 및 냉매출구(502)가 형성된다. 저온의 냉매는 상기 냉매입구(501)를 통하여 상기 냉각코일(500)로 유입되며, 상기 냉각코일(500)을 통과한 냉매는 상기 냉매출구(502)를 통하여 외부에 형성된 냉각시스템으로 배출된다.
상기 냉각시스템은 일반 냉동시스템과 동일하게 압축기(503), 응축기(504) 및 팽창장치(505)로 이루어지며, 작동원리 또한 일반 냉동장치와 동일하다.
상기 냉매는 상기 냉각코일(500)을 통하여 유동하며,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킨다.
상기 응축기(504) 후단에는 냉매온도센서(506)가 부착된다. 상기 냉매온도센서(506)는 응축기(504)를 통과한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치를 송풍팬(200)을 제어하는 제어부(900)로 전송한다.
상기 냉매온도측정치를 수신받은 제어부(900)는 상기 냉매온도측정치에 따라 상기 송풍팬(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항온항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각코일에 냉각시스템이 결합되어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구조이나, 상기 냉각시스템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단순히 상기 냉각코일은 그 내부에 저온의 냉각수가 공급되어 상기 공기를 냉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냉각코일(500)은 단면이 "A"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는 결합판(510)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판(510)은 "A"자 형상의 냉각코일의 상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양측 코일을 결합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이다.
상기 결합판(510)은 공기가 통하지 아니하는 판형상으로 구비되어 공기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하측으로 직접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항온항습기몸체(110) 상측모서리부에는 가이드베인(60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베인(600)은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냉각코일(500)을 통하여 상기 결합판(510) 하측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한다.
종래에 가이드베인(600)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결합판(510) 하부에는 냉각코일(500)을 통과한 찬 공기가 공급되지 않은 관계로, 결합판(510) 하측의 온도 불균일현상이 발생하여서 응축수가 응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는 상기 냉각코일(500)의 결합판(510) 하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가이드베인(600)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결합판(510) 하측에도 냉각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분포를 가진다.
이에 따라 불균일한 온도분포에 의한 응축수가 응결되어 비산되는 현상이 상당부분 감소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베인(600)은 상기 냉각코일(500)의 결합판(510) 하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45°~55°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가이드베인을 설치하지 않은 항온항습기의 유동해석 결과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베인을 설치한 항온항습기의 유동해석결과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베인(600)을 설치하지 않은 항온항습기(100)는 결합판(510) 하측의 온도 분포가 상당히 불균일하게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반하여, 가이드베인(600)을 설치한 본 실시예의 항온항습기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판 하측에도 균일한 온도 분포를 보이고 있다.
즉, 본 제1실시예의 항온항습기는 상기 가이드베인(600)을 이용하여 결합판 하측으로 공기를 강제공급함으로써 상기 결합판 하측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응축수의 응결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항온항습기의 냉각코일(500)을 통과한 공기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가습기(300)의 구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증발용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개폐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제1슬러지 수용용기가 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증발용기(310)와 개폐수단(320)을 포함한다.
증발용기(310)의 내부에는 물이 충전되고, 증발용기(310)의 상부에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311)가 마련되어 있다. 증발용기(310)의 외면 일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제1슬러지 수용용기(360)가 장착되는 장착브라켓(31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증발용기(310)의 내부에는 가열수단(미도시)이 마련되어 있어 증발용기(310) 내부에 충전된 물을 가열시켜 증기가 발생하도록 하고, 증기는 증기배출구(3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개폐수단(320)의 일부분은 증발용기(3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증발용기(310)의 하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이러한 개폐수단(32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폐판(321)과 제1개폐밸브(3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개폐판(321)은 증발용기(3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되어 증발용기(310)의 하부를 개방한다.
제1실시예에서 제1개폐판(321)은 링 형상의 리테이너(32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리테이너(327)에는 반원 형상의 막음판(328)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1개폐판(321)은 반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1개폐밸브(325)는 일부분이 증발용기(310)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제1개폐판(321)과 연결되어 제1개폐판(321)을 회전시킨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호스(340)와 진공펌프(350)와 제1슬러지 수용용기(3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호스(340)는 증발용기(3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진공펌프(350)는 연결호스(340)에 마련되어 증발용기(310)의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가 연결호스(340)로 유입되도록 한다.
제1슬러지 수용용기(360)는 연결호스(340)와 연결되어 있고, 증발용기(310) 외면의 장착브라켓(313)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연결호스(340)를 통하여 유입된 슬러지가 수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 상태를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발용기(310) 내부에 마련된 가열수단(미도시)에 의해 증발용기(310) 내부에 충전된 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하며, 증기는 증기배출구(3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도 8의 (b)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폐밸브(325)를 회전시키면, 제1개폐판(321)이 함께 회전하여 증발용기(310)의 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증발용기(310) 내의 슬러지가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
증발용기(310)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개폐밸브(325)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개폐밸브(325)와 함께 제1개폐판(321)이 회전하여 증발용기(310)의 하부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진공펌프(350)의 작동에 의해 증발용기(310)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는 연결호스(340)로 유입되고, 최종적으로 슬러지는 제1슬러지 수용용기(360)에 수용된다. 제1슬러지 수용용기(360)에 슬러지가 꽉 차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슬러지 수용용기(360)를 장착브라켓(313)으로부터 탈착하여 슬러지를 제거한 다음, 다시 제1슬러지 수용용기(360)를 장착브라켓(313)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가습기를 분해하지 않고도 슬러지 제거를 할 수 있어 슬러지 제거가 간단하고 편리하며, 증발용기(310) 내부의 물을 배 출하지 않고도 슬러지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용기(310)와 개폐수단(330)을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서 증발용기(310)는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기의 제1실시예를 참조하기로 하고,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인 개폐수단(330)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개폐수단(330)은 제1고정용기(331)와 슬라이드부재(334)와 제2슬러지 수용용기(335)로 구성되어 있다.
제1고정용기(331)는 증발용기(3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고, 상면에는 제1관통홀(3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의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제1고정용기(331)는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부재(334)는 제2개폐판(332)과 파지부(333)로 구성되어 있다.
제2개폐판(332)는 제1고정용기(3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1관통홀(331a)과 대응하는 제1개방홀(332a)이 마련되어 있으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되어 제1개방홀(332a)이 제1관통홀(331a)과 겹쳐져 증발용기(310)의 하부를 개방한다.
파지부(333)는 일부분이 증발용기(310)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제2개폐판(332)과 연결되어 제2개폐판(332)이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제2슬러지 수용용기(335)는 제1고정용기(331)의 개방된 측면에 장착되고, 슬러지가 수용된다.
더불어, 이러한 개폐수단(320)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개폐판(321a)과 제2개폐밸브(325a)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개폐판(321a)은 증발용기(3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되어 증발용기(310)의 하부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개폐판(321)은 링 형상의 리테이너(327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리테이너(327a)에는 반원 형상의 막음판(328a)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2개폐판(321a)은 반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제2개폐밸브(325a)는 일부분이 증발용기(310)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제2개폐판(321a)과 연결되어 제2개폐판(321a)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개폐판(321a)과 제2개폐밸브(325a)는 앞서 설명한 도 8의 (b)와 (c)와 같이 제2개폐밸브(325a)를 회전시키면, 제2개폐판(321a)이 함께 회전하여 증발용기(310)의 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증발용기(310) 내의 슬러지가 바닥면에 쌓이게 된다.
증발용기(310)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개폐밸브(325a)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개폐밸브(325a)와 함께 제2개폐판(321a)이 회전하여 증발용기(310)의 하부가 폐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334)의 파지부(333)를 제1고 정용기(331) 측으로 밀어넣으면, 파지부(333)와 연결된 제2개폐판(332)이 슬라이딩 되어 제2개폐판(332)의 제1개방홀(332a)은 제1관통홀(331a)과 겹쳐져 증발용기(310)의 하부가 개방된다.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증발용기(310) 내의 슬러지가 제1고정용기(331) 내에 장착된 제2슬러지 수용용기(335)에 쌓이게 된다.
제2슬러지 수용용기(335)에 슬러지가 꽉 차면,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333)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파지부(333)와 연결된 제2개폐판(332)이 슬라이딩 되어 제2개폐판(332)이 제1관통홀(331a)을 막아 증발용기(310)의 하부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제2슬러지 수용용기(335)를 제1고정용기(331)로부터 탈착하여 슬러지를 제거한 다음, 다시 제2슬러지 수용용기(335)를 제1고정용기(331)의 개방된 면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용기(310)와 개폐수단(370)을 포함한다.
제4실시예에서 증발용기(310)는 상기의 제1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기의 제1실시예를 참조하기로 하고,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인 개폐수단(370)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개폐수단(370)은 제2고정용기(371)와 볼부재(374)와 제2개폐밸브(375)와 제3슬러지 수용용기(376)로 구성되어 있다.
제2고정용기(371)는 증발용기(310) 내부에 마련되고, 상면에 제2관통 홀(37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다.
볼부재(374)는 리테이너(372)와 볼(373)로 구성되어 있다.
리테이너(372)는 제2고정용기(371) 상부에 마련되고, 상면에 제1홀(37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 제2관통홀(371a)과 연통하는 제2홀(372b)이 형성되어 있다.
볼(373)은 리테이너(372)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개방홀(373a)이 형성되어 있다
제2개폐밸브(375)는 일부분이 증발용기(310)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볼(373)과 연결되어 볼(373)을 회전시킨다.
제3슬러지 수용용기(376)는 제2고정용기(371)의 개방된 측면에 장착되고, 슬러지가 수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개폐밸브(375)를 회전시키면, 볼(373)이 함께 회전하여 볼(373)에 형성된 제2개방홀(373a)이 리테이너(372)의 제2홀(372b)과 겹치게 된다. 따라서, 제2홀(372b)과 연통되어 있는 제2관통홀(371a)이 개방되므로 증발용기(310)의 하부가 개방되며, 제1홀(372a)과 제2개방홀(373a)과 제2홀(372b)과 제2관통홀(371a)을 차례로 통과하며 증발용기(310) 내의 슬러지가 제3슬러지 수용용기(376)에 쌓이게 된다.
제3슬러지 수용용기(376)에 슬러지가 꽉 차면,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개폐밸브(375)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2개폐밸브(375)와 함께 볼(373)이 회전하고, 이에 의해 볼(373)이 제2홀(372b)을 막아 제2관통홀(371a)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제3슬러지 수용용기(376)를 제2고정용기(371)로부터 탈착하여 슬러지를 제거한 다음, 다시 제3슬러지 수용용기(376)를 제2고정용기(371)의 개방된 면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2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공기가 공기유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되면, 외부공기는 상기 냉각코일(500)로 공급되며, 상기 외부공기 중 일부 공기는 상기 가이드베인(600)에 의하여 냉각코일(500)의 상부측으로 유도된다.
상기 냉각코일(500)의 상부 측으로 유도된 외부공기는 냉각코일(500)을 통과하며 냉각되며, 상기 냉각된 공기는 냉각코일(500)의 결합판(510) 하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결합판(510) 하측의 온도를 하강시킨다.
한편 다른 외부공기는 냉각코일(500) 전면으로 공급되며 냉각코일(500)을 통과하며 냉각된 후 수증기공급관(400)으로 공급된다.
상기 수증기공급관(400)은 상기 수증기를 냉각코일(500)에 도달한 외부공기에 공급하여 적정 습도를 가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증기공급관(400)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200)에 의하여 흡입되어 항온항습기(100) 하측으로 이송된 후, 공기 배출구(112) 및 덕트(700)를 통하 여 전산실 및 실험실 등의 실내(800)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냉각코일은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장치로 이루어진 냉동시스템과 결합되어 상기 공기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데, 이 때 상기 응축기 후측에 장착되어 있는 냉매온도센서는 냉매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냉매온도를 수신한 제어부는 상기 냉매 온도의 고저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온도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항온항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항온항습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비산방지 가이드 베인을 설치하지 않은 항온항습기의 유동해석 결과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 가이드 베인을 설치한 항온항 습기의 유동해석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증발용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개폐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6의 제1슬러지 수용용기가 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개폐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개폐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항온항습기 110 : 공조기몸체
111 : 공기유입구 112 : 공기유출구
200 : 송풍팬 300 : 가습기
400 : 수증기공급관 500 : 냉각코일
501 : 냉각수입구 502 : 냉각수출구
600 : 가이드베인

Claims (10)

  1. 공기유입구 및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항온항습기몸체와; 상기 항온항습기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항온항습기몸체 내부의 공기를 하측으로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항온항습기 몸체 내부에 장착되며,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습기와; 상기 가습기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상기 송풍팬 상부로 공급하는 수증기공급관과; 상기 수증기공급관과 상기 항온항습기몸체의 공기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코일과; 상기 항온항습기 몸체의 상측 모서리부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가이드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는, 내부에 물이 충전되고, 상부에 증기가 배출되는 증기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증발용기와, 일부분이 상기 증발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용기의 하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증발용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되어 상기 증발용기의 하부를 개방하는 제1개폐판과,
    일부분이 상기 증발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1개폐판과 연결되어 상기 제1개폐판을 회전시키는 제1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용기의 하부에 연결된 연결호스와,
    상기 연결호스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용기의 바닥면에 쌓인 슬러지가 상기 연결호스로 유입되도록 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연결호스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증발용기의 외면에 탈부착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호스를 통하여 유입된 슬러지가 수용되는 제1슬러지 수용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증발용기 내부에 마련되고, 상면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제1고정용기와,
    상기 제1고정용기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1관통홀과 대응하는 제1개방홀이 마련되어 있으며, 슬라이드되어 상기 제1개방홀이 상기 제1관통홀과 겹쳐져 상기 증발용기의 하부를 개방하는 제2개폐판과, 일부분이 상기 증발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2개폐판과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판이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파지부로 구성된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1고정용기의 개방된 측면에 장착되고, 슬러지가 수용되는 제2슬러지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용기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되어 상기 증발용기의 하부를 개방하는 제2개폐판과,
    일부분이 상기 증발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제2개폐판과 연결되어 상기 제2개폐판을 회전시키는 제2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증발용기 내부에 마련되고, 상면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제2고정용기와,
    상기 제2고정용기 상부에 마련되고, 상면에 제1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에 상기 제2관통홀과 연통하는 제2홀이 형성되어 있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개방홀이 형성되어 있는 볼로 구성된 볼부재와,
    일부분이 상기 증발용기 외부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볼과 연결되어 상기 볼을 회전시키는 제2개폐밸브와,
    상기 제2고정용기의 개방된 측면에 장착되고, 슬러지가 수용되는 제3슬러지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온항습기.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25922A 2008-12-11 2008-12-11 항온항습기 KR100917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22A KR100917835B1 (ko) 2008-12-11 2008-12-11 항온항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22A KR100917835B1 (ko) 2008-12-11 2008-12-11 항온항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835B1 true KR100917835B1 (ko) 2009-09-18

Family

ID=4135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922A KR100917835B1 (ko) 2008-12-11 2008-12-11 항온항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78B1 (ko) 2017-06-02 2018-08-08 (주)코리프냉동공조 물순환을 이용한 항온항습 시스템
KR20200099775A (ko) 2019-02-15 2020-08-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온항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971B1 (ko) * 1997-08-29 1999-12-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KR20000009885U (ko) * 1998-11-13 2000-06-05 전주범 보조 차단판이 설치된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측 차단벽체
KR100478755B1 (ko) 2002-05-09 2005-03-23 한국증권전산주식회사 분리형 항온 항습 장치
KR100500461B1 (ko) * 2003-09-19 2005-07-18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항온항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4971B1 (ko) * 1997-08-29 1999-12-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KR20000009885U (ko) * 1998-11-13 2000-06-05 전주범 보조 차단판이 설치된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측 차단벽체
KR100478755B1 (ko) 2002-05-09 2005-03-23 한국증권전산주식회사 분리형 항온 항습 장치
KR100500461B1 (ko) * 2003-09-19 2005-07-18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항온항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78B1 (ko) 2017-06-02 2018-08-08 (주)코리프냉동공조 물순환을 이용한 항온항습 시스템
KR20200099775A (ko) 2019-02-15 2020-08-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온항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6686B (zh) 洗涤干燥机
US10526746B2 (en) Clothes dryer
KR20080059755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080110192A1 (en) Humidify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0917835B1 (ko) 항온항습기
KR100937646B1 (ko) 결로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기화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장치
US10866009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regula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ir
US20120118535A1 (en) 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8215633A (ja) 空気調和機
KR20060127550A (ko) 이동형 수냉식 에어컨
KR100977857B1 (ko)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
TW201837383A (zh) 空氣調和裝置
JP2011058651A (ja) 空気温調機
US20210025603A1 (en) Air conditioner having humidifier
KR20090018266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JPH06288567A (ja) 空気調和機
KR102505504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421625Y1 (ko)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JP5314118B2 (ja) ワンスパン用床設置空調機
KR100953205B1 (ko) 항온항습기
JP2002277061A (ja) 温風暖房機
KR100485573B1 (ko) 공기조화기
CN110486805A (zh) 空调室内机及空调
KR101453761B1 (ko) 이동식 에어컨
JP2005069497A (ja) 加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