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378B1 -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 Google Patents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378B1
KR100917378B1 KR1020090017996A KR20090017996A KR100917378B1 KR 100917378 B1 KR100917378 B1 KR 100917378B1 KR 1020090017996 A KR1020090017996 A KR 1020090017996A KR 20090017996 A KR20090017996 A KR 20090017996A KR 100917378 B1 KR100917378 B1 KR 10091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nitor unit
monitor
notebook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현
Original Assignee
신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현 filed Critical 신기현
Priority to KR102009001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6General purpose computing application
    • G06F2212/161Portable computer, e.g. noteb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트북용 전복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힌지를 통해 연결된 노트북을 구현함에 있어, 모니터부의 전개각도에 따라 본체에 수용하여 설치된 균형추 부재가 비례하여 전면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모니터부의 전개에 의해 생성된 편심하중에 의해 전복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전복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전복, 절첩, 전개, 모멘트, 모니터부, 본체, 진출

Description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NOTE BOOK HAVING APPARATUS FOR PREVENTION FROM OVERTURNING}
본 발명은 노트북용 전복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힌지를 통해 연결된 노트북을 구현함에 있어, 모니터부의 전개각도에 따라 본체에 수용하여 설치된 균형추 부재가 비례하여 전면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모니터부의 전개에 의해 생성된 편심하중에 의해 전복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전복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북은, 상부에 키패널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패널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힌지를 통해 연결된 절첩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힌지를 통한 모니터부의 절첩을 통해 패널의 노출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또 부피를 축소하여 휴대 및 보관에 적합하도록 구성하고, 사용과정에서는 힌지를 통한 모니터부의 전개를 통해 패널을 노출시켜서 사용에 적합한 환경을 꾸미게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시야각을 변경하고자 본체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 모니터부를 과다하게 전개시키거나,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트북의 제조과정에 모니터부(120)의 높이를 본체(110)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설계 및 제작하면, 모니터부(120)의 전개시 본체의 뒷편으로 증가하여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모니터부(120)가 위치된 본체(110)의 뒷편에 무게중심이 위치되어서, 노트북(1)이 전체적으로 전복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물론, 당 분야에서는 이점을 고려하여 모니터부의 전개각도를 임의로 제한하거나, 본체의 하중을 임의로 무겁게 하여 모니터부의 과도한 전개에 따른 전복현상을 예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활용성이나 휴대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힌지를 통해 전개된 모니터부의 높이가 높을수록 모멘트가 증가가 심화되고, 따라서 당 분야에서는 과도한 모멘트의 증가를 피하기 위해 노트북의 설계과정 중에 모니터부의 높이를 제한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모니터부의 높이가 제한된 노트북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야각보다 모니터부의 패널이 아래에 위치되며, 그리하여 사용자는 임의로 고개를 숙이거나 허리를 굽혀 시야각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육체적인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물론,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경사 지지면을 갖는 거치대가 개발 및 보급되어, 사용자가 노트북을 거치대의 경사 지지면에 안착시켜 모니터부의 시야각을 임의로 상승시킴으로써, 안정된 시야각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 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대를 사용하면 노트북 본체에 마련된 키패드 및 터치패드의 사용이 어렵게 되므로 별도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노트북에 연결하여야 하고, 또 매번 상기 거치대를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또, 본체의 하중을 가중시키는 배터리는 본체에 항시 장착되는 필수 구성요소가 아니라 휴대 등 필요시 장착되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므로, 상기 배터리에 의존하여 노트북의 무게중심을 정형화되게 위치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힌지를 통해 연결된 노트북을 구현함에 있어, 모니터부의 전개각도에 따라 본체에 수용하여 설치된 균형추 부재가 비례하여 전면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모니터부의 전개에 의해 생성된 편심하중에 의해 전복되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구성한 전복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은,
뒷편에 힌지 브라켓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힌지 브라켓에 회동 브라켓을 통해 축 설치되며, 상기 회동 브라켓의 상부에 본체에서 생성된 영산신호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패널이 설치된 모니터부를 구비한 노트북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에는 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출로드의 선단에 마련된 균형추 부재가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며, 본체의 힌지 브라켓에 축 설치된 모니터부의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진출로드의 후미를 가압하는 캠간섭부가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부를 전개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간섭부에 의해 진출로드가 간섭되어 본체에 수용된 균형추 부재가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모멘트가 증가되고, 이 증가된 모멘트에 의해 모니터부의 전개에 의해 본체의 뒷편으로 증가되는 모멘트가 보상되어서, 무게중심이 모니터부에 편중되게 위치되어 전복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상기 진출로드와 본체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모니터부의 절첩시에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진출로드와 균형추 부재가 후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니터부는, 본체의 힌지 브라켓에 축 설치되는 회동 브 라켓의 상부에 패널이 형성된 구조로,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승강 가이드가 설치되고, 이 승강 가이드에 패널이 승강구조로 설치되어서, 패널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부가 힌지를 통해 연결된 노트북을 구현함에 있어, 모니터부의 전개각도에 따라 본체에 수용하여 설치된 균형추 부재가 비례하여 전면 돌출되 도록 구성하여 모니터부의 전개에 의해 모니터부 방향으로 무게중심이 변위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노트북의 전복이 예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가 마련되면, 모니터부의 높이를 높게 설계하거나 패널의 높이를 임의로 상승시키는 구조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므로, 종래 노트북에서 구현이 어려웠던 모니터부의 높이 제약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캠간섭부 또는 랙과 피니언 구조를 통해 모니터부의 절첩 또는 전개작용과 균형추 부재의 진퇴작용이 연동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고 또 본체에 전면 돌출되는 균형추에 쿠션부재를 마련하여, 상기 균형추 부재가 손목 지지대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의 전개 및 절첩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의 전개 및 절첩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노트북에 있어, 균형추 부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1, 1')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뒷편에 힌지 브라켓(11)이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제공받아 패널(23)을 통해 영상을 재생하는 모니터부(20)가 회동 브라켓(21)을 통해 본체(10)에 형성된 힌지 브라켓(11)에 축(11a)을 통해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부(20)는, 본체(10)의 힌지 브라켓(11)에 축(11a) 설치되는 회동 브라켓(21)의 상부에 패널(23)이 형성된 구조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 브라켓(21)에 승강 가이드(22)를 설치하고 이 승강 가이드(22)에 패널(23)을 승강구조로 설치하여서, 패널(23)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 1a와 도 2a와 같이 사용자는 패널(23)을 하강시켜 모니터부(20)의 전체 높이를 낮게 설정한 다음, 절첩을 통해 노트북(1, 1') 전체의 부피를 축소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 도 1c와 도 2c와 같이 사용과정에서는 모니터부(20)를 본체(10)에서 전개한 다음 패널(23)을 상승시켜 사용자 자신의 시야에 적합한 높이로 패널(23)을 상승시켜 안정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패널(23)의 높이를 상승시키거나 모니터부 자체의 높이를 높게 설계하여 제작하여 안정된 시야각을 확보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모니터부(20)의 높이가 본체(10)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며, 따라서 모니터부(20)의 모멘트가 증가되어 본체(10)에 형성되어야 할 무게중심이 모니터부(20) 방향으로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중심이 모니터부(20) 방향으로 편중되면, 사용과정에 노트북이 모니터부(20) 방향으로 전복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물론, 본체(10)에 무게추 등을 매립하여 본체의 무게를 무겁게 설계 및 제작하면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될 수는 있으나, 노트북의 무게가 과다하게 무거워지므로 휴대성을 강조하는 노트북에 이러 한 구조를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10)에 상대적으로 적은 하중을 부가하면서도 모니터부(20)에 무게중심이 편중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무게중심 정렬구조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를 본원의 기술적 요지로 보고 있다.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무게중심 정렬구조는, 상기 본체(10)에 수용부(12)를 형성하고, 이 수용부(12)에 균형추 부재(13)를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하여,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균형추 부재(13)의 전면 돌출을 통해 본체(10) 전면의 모멘트를 증가시켜서, 상기 모니터부(20)의 전개에 의해 모니터부(20) 방향으로 편중되는 무게중심이 본체(10)에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균형추 부재(13)는, 노트북에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채택될 수도 있고, 무게추 등 별도 하중을 갖는 구성요소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부(20)의 전개에 의해 본체(10)의 뒷편에 설치된 모니터부(20)의 방향에 편중하여 형성되는 무게중심이, 본체(10)의 전면에 돌출되는 균형추 부재(13)의 모멘트에 의해 보상되어, 노트북(1, 1')이 모니터부(20)가 형성된 뒷편으로 전복이 예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에 단순히 무게가 무거운 무게추를 설치하여 본체의 무게를 무겁게 설계 및 제작하지 아니하고, 균형추 부재(13)의 전면 돌출을 통해 본체의 모멘트를 증가시켜 무게 중심이 모니터부(20) 방향으로 편중되게 형성되지 아니하고 본체(10)에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면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균형추 부재(13)를 설치하고도, 노트북(1, 1')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무게중심 정렬구조를 구현함에 있어, 모니터부(20)의 절첩 또는 전개각도에 따라 균형추 부재(13)의 돌출여부 및 돌출량이 자동으로 가변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모니터부(20)의 절첩 및 전개과정에 균형추 부재(13)를 수조작을 통해 돌출 및 수용시키지 아니하고도 균형추 부재(13)의 자동 돌출을 통해 노트북(1, 1')의 안정된 무게중심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다.
즉, 모니터부(20)를 전개시키면 본체(10)에 수용된 균형추 부재(13)는 모니터부(20)와 연동하여 전면 돌출되고, 또 모니터부(20)를 절첩시키면 본체(10)에 전면 돌출된 균형추 부재(13)는 모니터부(20)와 연동하여 본체(10)의 수용부(12)에 수용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균형추 부재(13)를, 본체(10)에 관통하는 설치되는 진출로드(13b)의 선단에 균형추(13a)가 마련된 형태로 구성하고, 본체(10)에 힌지 브라켓(11)에 축(11a) 설치된 모니터부(20)의 회동 브라켓(21)에 진출로드(13b)의 후미를 가압하는 캠간섭부(21a)를 형성한 형태를 바람직한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진출로드(21b)와 본체(10) 사이에는 스프링(13b-b)이 설치되어, 상기 균형추 부재(13)의 진출로드(13b)는 스프링(13b-b)이 탄발력에 의해 후퇴하려는 성향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1a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모니터부(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전개되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캠간섭부(21a)는 균형추 부재(13)의 진출로드(13b) 후미를 가압하여 균형추(13a)를 본체(10)에 전면 돌출시키고, 또 모니터부(20)를 절첩시키면 상기 돌출된 균형추(13a)는 스프링(13b-b)의 탄발력에 의해 본체(10)의 수용부(12)에 재수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진출로드(13b)에 랙기어(13b-a)를 형성하고 상기 모니터부(20)의 회동 브라켓(21)에는 상기 랙기어(13b-a)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21b)를 형성한 것을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도 2a 상태에서 모니터부(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전개되면 도 2b와 같이 균형추 부재(13)는 랙기어(13b-a)를 통해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21b)와 치합되어서 본체(10)의 전면에 돌출되고, 또 모니터부(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전개되면 균형추 부재(13)는 랙기어(13b-a)를 통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21b)와 치합되어 본체(10)에 재 수용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1)은, 모니터부(20)의 전개 또는 절첩에 의해 균형추 부재(13)의 진출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별도 수조작을 통해 균형추 부재(13)를 진출입시키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모니터부(20)의 전개에 의해 본체(10)의 전면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균형추 부재(13)의 균형추(13a)의 표면에 쿠션부재(13d)를 설치하여, 상기 모니터부(20)의 전개에 의해 본체(10)의 전면에 돌출된 균형추(13a)를 통해 손목 지지기능을 갖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가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균형추 부재(13)를 구성하는 진출로드(13b)와 균형추(13a) 사이에 볼스크루(13c) 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볼스크루(13c) 구조를 통한 균형추(13a)와 진출로드(13b)의 체결량의 조절을 통해 균형추(13a)의 진퇴량을 가변시켜서, 사용자가 균형추 부재(13)의 돌출량을 임의로 미세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의 전개 및 절첩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의 전개 및 절첩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상기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노트북에 있어, 균형추 부재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종래 전복 기능이 마련되지 아니한 노트북을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노트북
10. 본체 11. 힌지 브라켓
11a. 축 12. 수용부
13. 균형추 부재 13a. 균형추
13b. 진출로드 13b-a. 랙기어
13b-b. 스프링 13c. 볼 스크루
14. 키보드 15. 터치패널
20. 모니터부 21. 회동 브라켓
21a. 캡간섭부 21b. 피니언 기어
22. 승강 가이드
23. 패널

Claims (4)

  1. 뒷편에 힌지 브라켓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힌지 브라켓에 회동 브라켓을 통해 축 설치되며, 상기 회동 브라켓의 상부에 본체에서 생성된 영산신호를 제공받아 재생하는 패널이 설치된 모니터부를 구비한 노트북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에는 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진출로드의 선단에 마련된 균형추 부재가 슬라이딩 구조로 설치되며, 본체의 힌지 브라켓에 축 설치된 모니터부의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상기 진출로드의 후미를 가압하는 캠간섭부가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부를 전개하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캠간섭부에 의해 진출로드가 간섭되어 본체에 수용된 균형추 부재가 본체의 전면에 돌출되어 본체의 전면 방향으로 모멘트가 증가되고, 이 증가된 모멘트에 의해 모니터부의 전개에 의해 본체의 뒷편으로 증가되는 모멘트가 보상되어서, 무게중심이 모니터부에 편중되게 위치되어 전복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상기 진출로드와 본체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모니터부의 절첩시에는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진출로드와 균형추 부재가 후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본체의 힌지 브라켓에 축 설치되는 회동 브라켓의 상부에 패널이 형성된 구조로, 상기 회동 브라켓에는 승강 가이드가 설치되고, 이 승강 가이드에 패널이 승강구조로 설치되어서, 패널의 상하 승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3. 삭제
  4. 삭제
KR1020090017996A 2009-03-03 2009-03-03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KR10091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96A KR100917378B1 (ko) 2009-03-03 2009-03-03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996A KR100917378B1 (ko) 2009-03-03 2009-03-03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378B1 true KR100917378B1 (ko) 2009-09-16

Family

ID=4135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996A KR100917378B1 (ko) 2009-03-03 2009-03-03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3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8253A (zh) * 2012-03-12 2013-09-18 宏碁股份有限公司 防止倾倒的方法及其控制模组
KR101747535B1 (ko) 2014-10-14 2017-06-14 켐 홍콩 유한회사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전자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152A (ja) * 1992-12-25 1994-07-15 Hitachi Ltd 携帯用電子機器
JP2002287848A (ja) 2001-03-22 2002-10-04 Kenichi Sumiyoshi ディスプレイ部の高さを調節できるノートブッ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20060099671A (ko) * 2005-03-14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20080092202A (ko) * 2007-04-10 2008-10-15 박재진 휴대용 컴퓨터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152A (ja) * 1992-12-25 1994-07-15 Hitachi Ltd 携帯用電子機器
JP2002287848A (ja) 2001-03-22 2002-10-04 Kenichi Sumiyoshi ディスプレイ部の高さを調節できるノートブッ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20060099671A (ko) * 2005-03-14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20080092202A (ko) * 2007-04-10 2008-10-15 박재진 휴대용 컴퓨터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8253A (zh) * 2012-03-12 2013-09-18 宏碁股份有限公司 防止倾倒的方法及其控制模组
KR101747535B1 (ko) 2014-10-14 2017-06-14 켐 홍콩 유한회사 2축 힌지 및 이 2축 힌지를 이용한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66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display and keyboard
CN103970207B (zh) 用于信息装置的倾斜机构
JP5814997B2 (ja) 電子機器
US9008736B2 (en) Protective fram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168361B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variable angulation of a flexible display
JP2014152837A (ja) 電子機器
EP2407853A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stand
JP2004342114A (ja) チルトスタンドを備えた携帯用電子機器
KR100917378B1 (ko) 전복 방지구조를 갖는 노트북
EP2475152B1 (en) Slid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6124213B2 (ja) 電子機器
KR20110024258A (ko) 핸드폰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US20110134588A1 (en) Portable apparatus
CN108953871A (zh) 多功能平板电脑支架
KR101423474B1 (ko) 접이식 고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N114185399A (zh) 折叠式电子装置
CN103838306A (zh) 电子装置
TW201340828A (zh) 電子裝置
US11360522B2 (en) Retractable structure for a computing device
JP5811025B2 (ja) 設置姿勢調整脚体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461325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수납용 지갑
CN214198026U (zh) 一种环形啮合装置
CN216952424U (zh) 一种可折叠支架
CN220957621U (zh) 折叠支架
JP2017021410A (ja) 携帯用情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