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713B1 - 철도용 유개 화차 - Google Patents

철도용 유개 화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713B1
KR100916713B1 KR1020030001700A KR20030001700A KR100916713B1 KR 100916713 B1 KR100916713 B1 KR 100916713B1 KR 1020030001700 A KR1020030001700 A KR 1020030001700A KR 20030001700 A KR20030001700 A KR 20030001700A KR 100916713 B1 KR100916713 B1 KR 100916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shifter
coupled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4837A (ko
Inventor
최외수
Original Assignee
흥일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일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일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7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4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1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wagons or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5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liding
    • B61D19/007The doors being wall panels enabling complete opening of the wagon sides, e.g. for quick loading or unloa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4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sliding wings
    • E05B83/06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for sliding wings of railway freight-c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60Y2200/33Rail cars; Wagg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적재부와 측방의 도어개구를 갖는 화차본체를 구비한 철도용 유개화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개구를 구획 차단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도어를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와 상기 도어개구에서 외향 이격된 개방준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하는 시프팅유니트와; 상기 시프팅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시프터구동부와;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 및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프터구동부를 잠그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여 화물을 적재하거나 내리는데 시간과 인력이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폐쇄된 상태 및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용 유개 화차 {FREIGHT CAR FOR RAILRO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유개화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시프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시프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시프터구동부의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Ⅴ-Ⅴ단면도,
도 9는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도어가 상호 겹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도 5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도용 유개화차 10 : 화차본체
13 : 스토퍼 15 : 중앙분리대
20 : 가이드레일 21 : 롤러수용부
25 : 하부고정레일 26 : 하부고정레일브래킷
30 : 도어 31 : 프레임
32 : 판재 34 : 로프행거
35 : 손잡이 37 : 스톱바
40 : 중간가이드롤러 45 : 중간가이드레일
50 : 가이드롤러 51 : 상부시프팅브래킷
55 : 슬라이딩롤러 56 : 하부시프팅브래킷
60 : 상부시프터 61 : 상부시프터본체
63 : 개방용시프팅바 65 : 폐쇄용시프팅바
69 : 상부본체브래킷
80 : 하부시프터 81 : 하부시프터본체
83 : 시프팅레일 85 : 하부시프팅바
87 : 하부보조레일 89 : 하부본체브래킷
100 : 시프터구동부 101 : 회전손잡이
102 : 피니언 105 : 부채꼴기어
106 : 회전중심부 110 : 상부로드
111 : 길이조절볼트 113 : 연결부재
114 : 힌지결합부 120 : 하부로드
130 : 록킹장치 140 : 제1록킹장치
141 : 제1록킹부 142 : 제1힌지부
143 : 제1걸림돌기 144 : 제1탄성부재지지부
145 : 돌출부 146 : 제1탄성부재
147 : 제1돌기수용부 148 : 회동제한부재
150 : 제2록킹장치 151 : 제2록킹부
152 : 제2힌지부 153 : 제2걸림돌기
154 : 제2탄성부재지지부 156 : 제2탄성부재
157 : 제2돌기수용부 159 : 제2록킹부지지브래킷
본 발명은, 철도용 유개화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적재부와 측방의 도어개구를 갖는 화차본체를 구비한 철도용 유개화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용 유개화차는, 철로를 주행할 수 있게 다수의 바퀴가 마련되며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적재부가 마련된 화차본체와, 화물적재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본체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개구 형성된 도어개구와, 도어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다수의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화차본체에 마련된 도어개구를 통해 화물적재부에 화물을 적재한 후 다수의 도어를 사용해 도어개구를 폐쇄함으로써, 안전하게 화물을 수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도용 유개화차는 일반적으로 양측방의 도어개구에 12개의 도어(일측에 6개씩)와, 도어가 마련되는 도어개구의 하측에 이중 슬라이딩 구조의 레일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화물 적재 하거나 하역할 때 도어개구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를 번갈아가며 화차본체 길이방향으로 계속 이동시켜야만하므로 화물을 적재하거나 내리는데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철도용 유개화차에 마련된 도어는 주로 강철과 같은 무거운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므로 이동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무게 때문에 화물의 적재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여 화물을 적재하거나 내리는데 시간과 인력이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폐쇄된 상태 및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철도용 유개화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물적재부와 측방의 도어개구를 갖는 화차본체를 구비한 철도용 유개화차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구를 구획 차단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도어를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와 상기 도어개구에서 외향 이격된 개방준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하는 시프팅유니트와; 상기 시프팅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시프터구동부와;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 및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프터구동부를 잠그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시프터구동부는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손잡이와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동체와, 일측이 상기 회동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시프팅유니트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상부 및 하부시프터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도어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체에 마련된 제1돌기수용부와 상기 제1돌기수용부에 걸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제1걸림돌기를 갖는 제1록킹장치와, 상기 도어가 개방준비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동체에 마련된 제2돌기수용부와 상기 제2돌기수용부에 걸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제2걸림돌기를 갖는 제2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프터구동부는 상기 회전손잡이와 결합되어 상호 동일한 회전축선을 가지며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체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림 접촉하는 부채꼴 형상의 부채꼴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록킹장치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화차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제1힌지부를 포함하는 제1록킹부와; 일측이 상기 제1록킹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화차본체에 대해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록킹장치는, 상기 제2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가 상기 화차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제2록킹부와; 일측이 상기 제2록킹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화차본체에 대해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록킹장치는 상기 제1록킹부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로드 및 하부로드는 길이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유개화차(1)는, 철로를 주행할 수 있게 마련된 다수의 바퀴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적재부와, 화물적재부의 양측방으로 개구 형성된 도어개구를 갖는 화차본체(10)와, 화차본체(10)의 양측 도어개구를 개폐가능하게 일직선상으로 폐쇄하며 각 도어개구에 한 쌍씩 마련된 도어(30)와, 도어(30)를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도어(30)가 도어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와 도어개구에서 외향 이격된 개방준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하는 시프팅유니트와, 시프팅유니트를 회동가능하게 구동하는 시프터구동부(100)와, 도어(30)가 폐쇄된 상태 및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프터구동부(100)를 잠그는 록킹장치(13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화차본체(10)의 양측 도어개구에 마련된 4개의 도어(30) 및 각 도어(30)를 구동하는 4개의 시프터구동부(100)가 모두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도 1을 기준으로 화차본체(10)에 마련된 한 쌍의 도어(30)와 한 쌍의 시프터구동부(100)에 대해 설명하며,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유개화차(1)는 시프팅유니트에 의해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된 도어(30)가 다른 도어(30)와 평행하게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화차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레일(20) 및 하부고정레일(25)과, 가이드레일(20) 및 하부고정레일(25)에 대해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도어(3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50) 및 슬라이딩롤러(55)를 더 포함한다.
도어(30)는 화차본체(10)의 양측에 각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각 도어(30)는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알루미늄재질로 제작되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호 리벳이음(미도시)되는 프레임(31) 및 판재(32)와, 프레임(31)에 결합되며 보수 등을 위해 화차본체(10)에서 도어(30)를 분리하기 용이하게 마련된 로프행거(34)와, 도어(30)의 슬라이딩이동을 위한 손잡이(35)와, 도어(30) 양측단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하측에 마련된 스토퍼(13)에 의해 도어(30)의 슬라이딩이동을 제한하는 스톱바(37)와, 도어(30)의 내측 중앙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롤러(40)와, 도어(30)의 외측 중앙에 중간가이드롤러(40)를 안내하는 중간가이드레일(45)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차본체(10) 양측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도어(30) 사이에는 화차본체(10) 상부에서 하부로 연결되는 중앙분리대(15)가 마련된다. 또한, 도어(3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어(3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고무와 같은 실링재(미도시)가 부착된다.
상부시프터(60)와 하부시프터(80)는 화차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며, 시프터구동부(1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30)가 화차본체(10)의 도어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상태 및 도어개구의 외향으로 이탈된 개방준비상태로 평행이동가능하게 한다.
상부시프터(60)는 파이프형상으로 마련되어 시프터구동부(100)에 의해 회동되는 상부시프터본체(61)와, 상부시프터본체(6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상부시프팅작동부를 갖는다.
상부시프터본체(61)는 일측이 후술할 시프터구동부(100)의 상부로드(110)와 결합되며, 타측이 화차본체(10)의 중앙분리대(15)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부시프터본체(61)를 화차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상부본체브래킷(69)이 마련된다.
상부본체브래킷(69)은 일측이 화차본체(10)의 상부에 볼트체결되며, 타측은 상부시프터본체(6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시프팅작동부는 개방용시프팅바(63) 및 폐쇄용시프팅바(65)를 포함하며, 개방용시프팅바(63)는 판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3개 마련되어 상부시프터본체(6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게 후술할 도어(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시프팅브래킷(51)의 내측과 접촉하여 상부시프팅브래킷(51)을 화차본체(10)의 외향으로 밀어 이송시킨다(도 6 내지 도 8 참조).
폐쇄용시프팅바(65)는 개방용시프팅바(63)의 외측에 근접하게 마련되며, 개방용시프팅바(63)와 같이 판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3개 마련되어 상부시프터본체(6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폐쇄용시프팅바(65)는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에서 폐쇄상태로 평행이동가능하게 후술할 도어(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시프팅브래킷(51)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상부시프팅브래킷(51)을 화차본체(10)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킨다(도 6 내지 도 8 참조). 또한, 개방용시프팅바(63) 및 폐쇄용시프팅바(65)는 하나의 상부시프팅브래킷(51)에 대응하여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하부시프터(80)는 파이프형상으로 마련되어 시프터구동부(100)에 의해 회동 되는 하부시프터본체(81)와, 하부시프터본체(8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시프팅레일(83) 및 하부보조레일(87)을 갖는다.
하부시프터본체(81)는 후술할 하부시프팅브래킷(56)을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하게 하부시프팅바(85)와, 상부시프터본체(81)를 화차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하부본체브래킷(89)을 갖는다. 그리고, 하부시프터본체(81)의 일측은 후술할 시프터구동부(100)의 하부로드(120)와 결합되며, 타측은 화차본체(10)의 중앙분리대(15)까지 연장된다.
하부본체브래킷(89)은 일측이 화차본체(10)의 하부에 볼트체결되며, 타측은 하부시프터본체(8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프팅레일(83)은 판 형상으로 각 도어(30)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하부시프터본체(8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고정레일(25)과 같이 단면이 원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시프팅레일(83)은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로 평행이동가능하게 도어(30)의 하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롤러(55)와 접촉하여 슬라이딩롤러(55)를 화차본체(10)의 외향으로 이송시킨다(도 6 내지 도 8 참조).
하부시프팅바(85)는 판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하부시프터본체(8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고정레일(25)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시프팅바(85)는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 및 폐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도어(30)의 슬라이딩롤러(55) 일측에 마련되는 하부시프팅브래킷(56)과 접촉하여 하부시프팅브래킷(56)을 화차본체(10)의 외향 또는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시킨다(도 6 내지 도 8 참조).
하부보조레일(87)은 판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마련되며, 일측이 하부시프터본체(8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고정레일(25)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보조레일(87)은 도어(30)가 폐쇄상태에서 하부고정레일(25)과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또한, 시프팅레일(83), 하부시프팅바(85) 및 하부보조레일(87)은 하나의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에 대응하여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중간가이드롤러(40) 및 중간가이드레일(45)은 각각의 도어(30)에 마련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도어(30)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롤러(40)가 타측 도어(30)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레일(45)에 안내되어 슬라이딩이동하게 된다.
시프터구동부(100)는 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즉, 철도용 유개화차(1)가 상호 연결되는 면에 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도어(30)를 폐쇄상태 및 개방준비상태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시프터구동부(10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마련된 회전손잡이(101)와, 회전손잡이(101)와 결합되어 상호 동일한 회전축선을 가지며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102)과, 피니언(102)과 맞물림 결합되어 회전손잡이(10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부채꼴 형상의 회동체인 부채꼴기어(105)와, 부채꼴기어(105)의 회전을 상부시프터본체(61)에 전달하는 상부 로드(110)와, 부채꼴기어(105)의 회전을 하부시프터본체(81)에 전달하는 하부로드(120)를 포함한다.
부채꼴기어(105)의 판면에는 화차본체(1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중심부(106)와, 회전중심부(106)에 편심되어 상부로드(110) 및 하부로드(120)의 일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14)와, 후술할 록킹장치(130)의 제1 및 제2걸림돌기(143,153)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돌기수용부(147,157)를 갖는다.
상부로드(110)는 일측이 부채꼴기어(105)의 회전중심부(106)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타측이 상부시프터본체(61)에 연결부재(113)를 통해 결합된다. 연결부재(113)는 상부시프터본체(61)에 회전력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일측이 함몰 형성되어 상부로드(110)와 결합되는 상부시프터본체(61)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형상과 결합가능하게 내주면에 스플라인 형상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부로드(110)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부(114)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로드(110)는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길이조절볼트(111)를 마련하고 있다.
하부로드(120)는 일측이 부채꼴기어(105)의 회전중심부(106)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타측이 하부시프터본체(81)에 연결부재(113)를 통해 결합된다. 연결부재(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이 함몰 형성되어 하부로드(120)와 결합되는 하부시프터본체(81)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형상과 결합가능하게 내주면에 스플라인 형상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하부로드(120)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부(114)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로드(120)는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길이조절볼트(111)를 마련하고 있다.
제1돌기수용부(147)는 부채꼴기어(105)의 상측면에 후술할 록킹장치(130)의 제1록킹부(141)에 마련된 제1걸림돌기(143)와 맞물림 가능하게 마련된다.
제2돌기수용부(157)는 부채꼴기어(105)의 하측면에 후술할 록킹장치(130)의 제2록킹부(151)에 마련된 제2걸림돌기(153)와 맞물림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이드레일(20)은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차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도어(30)와 같은 수량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20)은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될 때 도어(30)의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롤러(50)를 수용할 수 있게 절취 형성된 다수의 롤러수용부(21)를 가지며,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어 슬리이딩이동할 때 가이드롤러(5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하부고정레일(25)은 단면이 원 형상으로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차본체(10)의 하부에 하부고정레일브래킷(26)에 의해 결합되며, 도어(30)와 같은 수량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될 때 도어(30)의 하부에 마련된 슬라이딩롤러(55)는 화차본체(10) 하부에 마련된 시프팅레일(83)에 의해 화차본체(10) 외측으로 이송되며, 도어(30)가 완전히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면 시프팅레일(83)은 하부고정레일(25)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하부고정레일(25)은 시프팅레일(83)을 통해 슬라이딩이동하는 슬라이딩롤러(55)를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롤러(50)는 각 도어(30)의 상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면 롤러수용부(21)를 통해 가이드레일(20)에 수용된다. 그리 고, 가이드롤러(50)에 근접한 도어(30)의 상부에 개방용시프팅바(63) 또는 폐쇄용시프팅바(65)에 의해 접촉이동되어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이송시키는 3개의 상부시프팅브래킷(51)이 마련된다.
슬라이딩롤러(55)는 도어(30)의 하부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될 때 화차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 시프팅레일(83)에 의해 화차본체(10) 외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어(30)가 완전히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면 시프팅레일(83)은 하부고정레일(25)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슬라이딩롤러(55)는 시프팅레일(83) 및 하부고정레일(25)을 통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롤러(55)의 외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하부시프팅바(85)에 의해 접촉이동되어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하부시프팅브래킷(56)이 마련된다.
록킹장치(130)는 도어(30)가 폐쇄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채꼴기어(105)에 마련된 제1돌기수용부(147)와 제1돌기수용부(147)에 걸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제1걸림돌기(143)를 갖는 제1록킹장치(140)와,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채꼴기어(105)에 마련된 제2돌기수용부(157)와 제2돌기수용부(157)에 걸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제2걸림돌기(153)를 갖는 제2록킹장치(150)를 포함한다.
제1록킹장치(140)는 화차본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록킹부(141)와, 일측이 제1록킹부(141)에 결합되고 타측이 화차본체(10)에 대해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146)와, 제1록킹부(141)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제한부재(148)를 포함한다.
제1록킹부(141)는 제1돌기수용부(147)와, 제1돌기수용부(147)에 걸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제1걸림돌기(143)와, 제1걸림돌기(143)가 화차본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제1힌지부(142)와, 제1탄성부재(146)의 일측과 결합을 위한 제1탄성부재지지부(144)와, 회동제한부재(148)에 걸려 회동이 제한되는 돌출부(145)를 갖는다.
제1탄성부재(146)는 일 실시예로서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제1록킹부(141)의 제1탄성부재지지부(144)에 결합되고, 타측은 화차본체(10)에 대해 결합된다. 이에, 제1록킹부(141)가 회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회동제한부재(148)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화차본체(10)에 결합되어 제1록킹부(141)의 돌출부(145)와 접촉하여 제1록킹부(141)의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2록킹장치(150)는 화차본체(1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록킹부(151)와, 일측이 제2록킹부(151)에 결합되고 타측이 화차본체(10)에 대해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156)와, 화차본체(10)에 결합되어 제2록킹부(15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록킹부지지브래킷(159)을 포함한다.
제2록킹부(151)는 제2돌기수용부(157)와, 제2돌기수용부(157)에 걸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제2걸림돌기(153)와, 제2걸림돌기(153)가 제2록킹부지지브래킷(159)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제2힌지부(152)와, 제2탄성부재(156)의 일측과 결합을 위한 제2탄성부재지지부(154)와, 제2힌지부(152)의 상측에 마련된 손잡이부(155)를 갖는다.
제2탄성부재(156)는 일 실시예로서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제2록킹부(151)의 제2탄성부재지지부(154)에 결합되고, 타측은 화차본체(10)에 대해 결합된다. 이에, 제2록킹부(151)가 회동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탄성부재(146,156)가 코일스프링으로 마련되나 제1 및 제2록킹부(141,151)의 회동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질 수 있게 고무재질이나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개화차에 마련된 도어(30)의 작동과정(도 5 내지 도 9 참조) 및 록킹장치(130)의 작동과정(도 10 내지 도 14 참조)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어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도 6은 도어(30)가 화차본체(10)의 도어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에 놓인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50)는 가이드레일(20)에서 이탈되어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되어 있으며, 슬라이딩롤러(55)역시 하부고정레일(25)에서 이탈되어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30)가 폐쇄상태에 놓인 상태는 도 5의 우측에 놓인 시프터구동부(100)와 같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우측에 놓인 시프터구동부(100)의 회전손잡이(10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까지 회전시키면 상부로드(110)는 하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하부로드(120)는 상향으로 이송되어 상부시프터본체(6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하부시프터본체(8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게 되면 도 5의 좌측에 놓인 시프터구동부(100)와 같은 형태가 된다.
그리고, 도 7은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시프터본체(61)에 일체로 마련된 개방용시프팅바(63)가 도어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시프팅브래킷(51)을 외측으로 밀어 가이드롤러(50)를 가이드레일(20)에 삽입시켰다. 그리고, 하부시프터본체(81)에 일체로 마련된 시프팅레일(83) 및 하부보조레일(87)이 도어의 하부에 마련된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을 외측으로 밀어 슬라이딩롤러(55)가 하부고정레일(25)로 이송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도어(30)를 개방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50)는 가이드레일(20)에 안내되고 슬라이딩롤러(55)는 하부고정레일(25)에 안내되며, 개방된 도어(30)의 배면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롤러(40)는 폐쇄상태에 놓인 도어(30)의 외측면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레일(45)에 수용되어 안내된다(도 9 참조). 그리고, 도어(30)의 양측단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스톱바(37)와, 스톱바(37)에 대응하여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하측에 마련되어 도어(30)의 슬라이딩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를 마련하여 도어(30)가 안전하게 슬라이딩이동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이동된 과정은 시프터구동부(100)에 마련된 회전손잡이(101)를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부로드(110) 및 하부로드(120)에 의해 상부시프터본체(61) 및 하부시프터본체(81)가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폐쇄용시프팅바(65)가 상부시프팅브래킷(51)의 배면과 접촉하여 상부시프팅브래킷(51)를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시프팅레일(83) 및 하부시프팅바(85)가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을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도어(30)는 화차본체(10)의 도어개구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130)의 작동과정은 도 5의 좌측에 놓인 시프터구동부(100)와 함께 작동되는 록킹장치(130)(도 10 내지 도 14 참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우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회전손잡이(101)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제2록킹장치(150)의 제2록킹부(151)에 마련된 제2걸림돌기(153)가 부채꼴기어(105)에 마련된 제2돌기수용부(157)에 결합된다. 이에, 제2록킹장치(150)가 회전손잡이(101)를 잠금으로서, 도어(30)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화물의 적재나 하역과 같은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어(30)의 슬라이딩이동시 시프팅레일(83)의 회동에 의한 슬라이딩롤러(55)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제2록킹부(151)에 마련된 손잡이부(155)를 제2탄성부재(15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반시계방향(도 11의 A 참조)으로 돌려 제2걸림돌기(153)가 제2돌기수용부(157)에서 이탈되게 한 후 회전손잡이(10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부채꼴기어(105)를 반시계방향(도 11의 B 참조)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기어(105)가 반시계방향(도 12의 B 참조)으로 회동되어 부채꼴기어(105)에 마련된 제1돌기수용부(147)의 단부가 제1록킹장치(140)의 제1록킹부(141)에 마련된 제1걸림돌기(143)를 제1탄성부재(14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시계방향(도 12의 C 참조)으로 밀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록킹장치(140)에 마련된 제1걸림돌기(143)는 제1돌기수용부(147)의 단부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한 후 제1돌기수용부(147)의 단부를 넘어 제1탄성부재(146)의 탄성력에 의해 반시계방향(도 13의 D 참조)으로 회동되어 제1돌기수용부(147)에 수용된다. 이에, 도어(30)는 개방준비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완전히 이송되며, 제1록킹장치(140)에 마련된 제1걸림돌기(143)가 제1돌기수용부(147)에 수용 결합되어 회전손잡이(101)의 회전을 잠금으로서 도어(30)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철로 주행 중 도어가 개방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를 다시 개방준비상태로 이송시키려면, 제1록킹장치(140)에 마련된 제1걸림돌기(143)를 제1탄성부재(14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시계방향(도 14의 E 참조)으로 회전시켜 제1돌기수용부(147)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런 후 회전손잡이(10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돌기(153)의 단부가 제2돌기수용부(157)의 단부에 밀려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다가 제2탄성부재(156)의 탄성력에 의해 제2돌기수용부(157)에 수용결합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도어(30)의 상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3개의 상부시프팅브래킷(51)과 한 쌍의 가이드롤러(50)가 마련되지만 이러한 구성들은 하나 혹은 다수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상부시프팅브래킷(51)에 대응하는 개방용시프팅바(63) 및 폐쇄용시프팅바(65)도 상부시프팅브래킷(51)의 수량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도어(30)의 하부에 소정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이 마련되지만 이러한 구성들은 하나 혹은 2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으며,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에 각각 대응하는 시프팅레일(83) 및 하부시프팅바(85)도 역시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의 수량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도어는 알루미늄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벼우면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합금강과 같은 다른 재질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유개화차는 본체의 양측에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도어와, 도어를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도어가 도어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와 도어개구에서 외향 이격된 개방준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하는 시프팅유니트와, 시프팅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시프터구동부를 마련함으로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여 화물을 적재하는데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어가 폐쇄된 상태 및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시프터구동부를 잠그는 록킹장치를 마련함으로서,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화물의 적재나 하역과 같은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슬라이딩이동시 하부 보조레일()의 회동에 의한 슬라이딩롤러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도어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철로 주행 중 도어가 개방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여 화물을 적재하는데 시간과 인력이 줄일 수 있으며, 도어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화물의 적재나 하역과 같은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슬라이딩이동시 하부보조레일()의 회동에 의한 슬라이딩롤러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도어가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철로 주행 중 도어가 개방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7)

  1. 화물적재부와 측방의 도어개구를 갖는 화차본체를 구비한 철도용 유개화차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구를 구획 차단하는 한 쌍의 도어와;
    상기 도어를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도어가 상기 도어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와 상기 도어개구에서 외향 이격된 개방준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하는 시프팅유니트와;
    상기 시프팅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시프터구동부와;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시프터구동부에 마련된 제1돌기수용부와, 상기 제1돌기수용부에 걸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제1걸림돌기를 가지는 제1록킹장치와;
    상기 도어가 개방준비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시프터구동부에 마련된 제2돌기수용부와, 상기 제2돌기수용부에 걸림 유지가능하게 마련된 제2걸림돌기를 가지는 제2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터구동부는,
    회전손잡이와;
    상기 회전손잡이와 맞물림 결합되어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제1돌기수용부와 상기 제2돌기수용부가 마련되는 회동체와;
    일측이 상기 회동체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시프팅유니트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상부 및 하부시프터본체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및 하부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터구동부는 상기 회전손잡이와 결합되어 상호 동일한 회전축선을 가지며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체는 상기 피니언과 맞물림 접촉하는 부채꼴 형상의 부채꼴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장치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화차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제1힌지부를 포함하는 제1록킹부와;
    일측이 상기 제1록킹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화차본체에 대해 결합되는 제1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록킹장치는,
    상기 제2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가 상기 화차본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마련된 제2힌지부를 포함하는 제2록킹부와;
    일측이 상기 제2록킹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화차본체에 대해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록킹장치는 상기 제1록킹부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로드 및 하부로드는 길이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KR1020030001700A 2003-01-10 2003-01-10 철도용 유개 화차 KR100916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700A KR100916713B1 (ko) 2003-01-10 2003-01-10 철도용 유개 화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700A KR100916713B1 (ko) 2003-01-10 2003-01-10 철도용 유개 화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837A KR20040064837A (ko) 2004-07-21
KR100916713B1 true KR100916713B1 (ko) 2009-09-09

Family

ID=3735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700A KR100916713B1 (ko) 2003-01-10 2003-01-10 철도용 유개 화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7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255Y1 (ko) * 2002-09-18 2002-12-16 최외수 철도용 유개 화차
JP2003293675A (ja) * 2003-03-05 2003-10-15 Vinyframe Industries Co Ltd 網戸、網窓等におけるネット調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255Y1 (ko) * 2002-09-18 2002-12-16 최외수 철도용 유개 화차
JP2003293675A (ja) * 2003-03-05 2003-10-15 Vinyframe Industries Co Ltd 網戸、網窓等におけるネット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4837A (ko)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6850A (en) Truck bed cargo divider
CN105151063B (zh) 一种铁路货车车厢及其顶盖启闭驱动机构
CA1235721A (en) Sliding door trailer
US5314218A (en) Hatch cover lock and hinge
US3938446A (en) Door assemblies for closing rail car end openings
WO2014156270A1 (ja)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CN110884513A (zh) 驮背运输车
US4262601A (en) Cam actuated railway hopper car lock mechanism
US6604469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ailroad hopper car discharge doors
CN211592556U (zh) 驮背运输车
US3709152A (en) Hopper car gate latching mechanism
KR100916713B1 (ko) 철도용 유개 화차
KR100498128B1 (ko) 철도용 유개 화차
WO2016123691A1 (en) Continuous load and unload railcar, railcar unload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US11498595B2 (en) Telescoping uncoupling lever assembly
CN101654074A (zh) 自卸车后门的锁紧机构以及具有该门锁机构的自卸车
KR200298255Y1 (ko) 철도용 유개 화차
KR100951634B1 (ko) 철도용 유개 화차
KR100916714B1 (ko) 철도용 유개 화차
GB1566279A (en) Transportable freight containers
CN210526540U (zh) 用于货车卸货的自锁机构及具有其的铁路货车
KR101720208B1 (ko)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RU2192361C2 (ru) Вагон для перевозки сыпучих грузов
US20030000416A1 (en) Anti-spin/anti-drift mechanism for gear operated door
JP4939920B2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