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714B1 - 철도용 유개 화차 - Google Patents

철도용 유개 화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714B1
KR100916714B1 KR1020030004235A KR20030004235A KR100916714B1 KR 100916714 B1 KR100916714 B1 KR 100916714B1 KR 1020030004235 A KR1020030004235 A KR 1020030004235A KR 20030004235 A KR20030004235 A KR 20030004235A KR 100916714 B1 KR100916714 B1 KR 100916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door
rail
bracket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221A (ko
Inventor
최외수
Original Assignee
흥일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일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일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7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B62D33/042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divided into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60Y2200/33Rail cars; Wagg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적재부가 마련된 화차본체를 구비한 철도용 유개화차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부를 상기 화차본체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차단하는 다수의 커튼과; 상기 커튼을 상기 화차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운송시 흔들림에 의해 적재된 화물들이 섞이거나 상호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용 유개 화차 {FREIGHT CAR FOR RAILROA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유개화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하부에 마련된 하부시프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시프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시프터구동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Ⅵ-Ⅵ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A영역 확대도,
도 9는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Ⅶ-Ⅶ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이송부재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도 1의 철도용 유개화차의 이송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도용 유개화차 3 : 바퀴
5 : 화물적재부 10 : 화차본체
13 : 스톱바제한부 15 : 중앙분리대
20 : 가이드레일 21 : 롤러수용부
25 : 하부고정레일 26 : 하부고정레일브래킷
30 : 도어 31 : 프레임
32 : 판재 34 : 로프행거
35 : 손잡이 37 : 스톱바
40 : 중간가이드롤러 45 : 중간가이드레일
50 : 가이드롤러 51 : 상부시프팅브래킷
55 : 슬라이딩롤러 56 : 하부시프팅브래킷
60 : 상부시프터 61 : 상부시프터본체
63 : 개방용시프팅바 65 : 폐쇄용시프팅바
69 : 상부본체브래킷
80 : 하부시프터 81 : 하부시프터본체
83 : 시프팅레일 85 : 하부시프팅바
87 : 하부보조레일 89 : 하부본체브래킷
100 : 시프터구동부 101 : 회전손잡이
102 : 피니언 105 : 부채꼴기어
110 : 상부로드 111 : 길이조절볼트
113 : 연결부재 114 : 힌지결합부
120 : 하부로드
130 : 커튼 131 : 커튼지지대
133 : 상부브래킷 134 : 상부관통공
136 : 하부브래킷 137 : 하부관통공
140 : 이송부재 141 : 걸림돌기
143 : 스토퍼 145 : 이송손잡이부
147 : 코일스프링 150 : 슬라이딩장치
151 : 레일브래킷 152 : 스토퍼공
153 : 슬라이딩레일 155 : 슬라이딩롤러
본 발명은, 철도용 유개화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적재부가 마련된 화차본체를 구비한 철도용 유개화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용 유개화차는, 철로를 주행할 수 있게 다수의 바퀴가 마련되며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적재부가 마련된 화차본체와, 화물적재부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화차본체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개구 형성된 도어개구와, 도어개구를 개폐할 수 있는 다수의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화차본체에 마련된 도어개구를 통해 화물적재부에 화물을 적재한 후 다수의 도어를 사용해 도어개구를 폐쇄함으로써, 안전하게 화물을 수송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도용 유개화차는 화차본체의 화물적재부에 적재된 다수의 화물 사이에 칸막이 역할을 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운송시 흔들림에 의해 적재된 화물들이 섞이거나 상호 부딪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시 화물적재부에 적재된 화물이 섞이거나 상호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철도용 유개화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물적재부가 마련된 화차본체를 구비한 철도용 유개화차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부를 상기 화차본체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차단하는 다수의 커튼과; 상기 커튼을 상기 화차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튼에 대해 결합되어 상기 커튼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장치는, 상기 화차본체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레일과; 상기 커튼의 상부에 대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안내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차본체의 내측 상부와 상기 슬라이딩레일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상기 화차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레일브래킷이 마련되며, 상기 레일브래킷에는 상기 이송부재의 상측이 상하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형성된 스토퍼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롤러와 상기 커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커튼을 지지하는 커튼지지대와,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커튼지지대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커튼지지대를 연결하는 상부브래킷 및 하부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브래킷 각각에는 상기 이송부재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 형성된 상부 및 하부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관통공은 상기 이송부재의 단면보다 큰 장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송부재에는 상기 상부관통공의 형상에 대응하여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소정 각도에서 상기 상부관통공에 출입가능하며, 다른 각도에서는 상기 상부관통공에 걸림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및 하부브래킷 사이에 마련된 상기 이송부재에 삽입되어, 그 상측이 상기 걸림돌기의 하부면에 접하고 그 하측이 상기 하부브래킷의 상부면에 접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이송부재를 상기 하부브래킷에 대해 상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유개화차(1)는, 철로를 주행할 수 있게 마련된 다수의 바퀴(3)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적재부(5)와, 화물적재부(5)의 양측방으로 개구 형성된 도어개구를 갖는 화차본체(10)와, 화차본체(10)의 양측 도어개구를 개폐가능하게 일직선상으로 폐쇄하며 각 도어개구에 한 쌍씩 마련된 도어(30)와, 도어(30)를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 하여 도어(30)가 도어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와 도어개구에서 외향 이격된 개방준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하는 시프팅유니트와, 시프팅유니트를 회동가능하게 구동하는 시프터구동부(100)와, 화물적재부(5)를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차단하는 다수의 커튼(130)과, 커튼(130)을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장치(150)와, 커튼(130)에 대해 결합되어 커튼(130)을 이동시키는 이송부재(1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화차본체(10)의 양측 도어개구에 마련된 4개의 도어(30) 및 각 도어(30)를 구동하는 4개의 시프터구동부(100)가 모두 같은 구성을 가지므로, 도 1을 기준으로 화차본체(10)에 마련된 한 쌍의 도어(30)와 한 쌍의 시프터구동부(100)에 대해 설명하며,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용 유개화차(1)는 시프팅유니트에 의해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된 도어(30)가 다른 도어(30)와 평행하게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화차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가이드레일(20) 및 하부고정레일(25)과, 가이드레일(20) 및 하부고정레일(25)에 대해 슬라이딩이동 가능하도록 도어(3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50) 및 슬라이딩롤러(55)를 더 포함한다.
도어(30)는 화차본체(10)의 양측에 각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각 도어(30)는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알루미늄재질로 제작되며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호 리벳이음(미도시)되는 프레임(31) 및 판재(32)와, 프레임(31)에 결합되며 보수 등을 위해 화차본체(10)에서 도어(30)를 분리하기 용이하게 마련된 로프행거(34) 와, 도어(30)의 슬라이딩이동을 위한 손잡이(35)와, 도어(30) 양측단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하측에 마련된 스톱바제한부(13)에 의해 도어(30)의 슬라이딩이동을 제한하는 스톱바(37)와, 도어(30)의 내측 중앙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롤러(40)와, 도어(30)의 외측 중앙에 중간가이드롤러(40)를 안내하는 중간가이드레일(45)을 포함한다. 그리고, 화차본체(10) 양측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도어(30) 사이에는 화차본체(10) 상부에서 하부로 연결되는 중앙분리대(15)가 마련된다. 또한, 도어(30)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어(30)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고무와 같은 실링재(미도시)가 부착된다.
상부시프터(60)와 하부시프터(80)는 화차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며, 시프터구동부(10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도어(30)가 화차본체(10)의 도어개구를 폐쇄시키는 폐쇄상태 및 도어개구의 외향으로 이탈된 개방준비상태로 평행이동가능하게 한다.
상부시프터(60)는 파이프형상으로 마련되어 시프터구동부(100)에 의해 회동되는 상부시프터본체(61)와, 상부시프터본체(6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는 상부시프팅작동부를 갖는다.
상부시프터본체(61)는 일측이 후술할 시프터구동부(100)의 상부로드(110)와 결합되며, 타측이 화차본체(10)의 중앙분리대(15)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부시프터본체(61)를 화차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상부본체브래킷(69)이 마련된다.
상부본체브래킷(69)은 일측이 화차본체(10)의 상부에 볼트체결되며, 타측은 상부시프터본체(6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시프팅작동부는 개방용시프팅바(63) 및 폐쇄용시프팅바(65)를 포함하며, 개방용시프팅바(63)는 판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3개 마련되어 상부시프터본체(6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게 후술할 도어(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시프팅브래킷(51)의 내측과 접촉하여 상부시프팅브래킷(51)을 화차본체(10)의 외향으로 밀어 이송시킨다.
폐쇄용시프팅바(65)는 개방용시프팅바(63)의 외측에 근접하게 마련되며, 개방용시프팅바(63)와 같이 판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3개 마련되어 상부시프터본체(6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폐쇄용시프팅바(65)는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에서 폐쇄상태로 평행이동가능하게 후술할 도어(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시프팅브래킷(51)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상부시프팅브래킷(51)을 화차본체(10)방향으로 밀어 이송시킨다. 또한, 개방용시프팅바(63) 및 폐쇄용시프팅바(65)는 하나의 상부시프팅브래킷(51)에 대응하여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하부시프터(80)는 파이프형상으로 마련되어 시프터구동부(100)에 의해 회동되는 하부시프터본체(81)와, 하부시프터본체(81)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 한 쌍으로 마련되는 시프팅레일(83) 및 하부보조레일(87)을 갖는다.
하부시프터본체(81)는 후술할 하부시프팅브래킷(56)을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하게 하부시프팅바(85)와, 상부시프터본체(81)를 화차본체(10)의 상부에 결합하기 위해 다수의 하부본체브래킷(89)을 갖는다. 그리고, 하부시프터본체(81)의 일 측은 후술할 시프터구동부(100)의 하부로드(120)와 결합되며, 타측은 화차본체(10)의 중앙분리대(15)까지 연장된다.
하부본체브래킷(89)은 일측이 화차본체(10)의 하부에 볼트체결되며, 타측은 하부시프터본체(8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프팅레일(83)은 판 형상으로 각 도어(30) 하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하부시프터본체(8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고정레일(25)과 같이 단면이 원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시프팅레일(83)은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로 평행이동가능하게 도어(30)의 하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딩롤러(55)와 접촉하여 슬라이딩롤러(55)를 화차본체(10)의 외향으로 이송시킨다.
하부시프팅바(85)는 판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하부시프터본체(8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고정레일(25)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시프팅바(85)는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 및 폐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도어(30)의 슬라이딩롤러(55) 일측에 마련되는 하부시프팅브래킷(56)과 접촉하여 하부시프팅브래킷(56)을 화차본체(10)의 외향 또는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시킨다.
하부보조레일(87)은 판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이 마련되며, 일측이 하부시프터본체(81)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하부고정레일(25)과 같은 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하부보조레일(87)은 도어(30)가 폐쇄상태에서 하부고정레일(25)과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또한, 시프팅레일(83), 하부시프팅바(85) 및 하부보조레일(87)은 하나의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에 대응하여 각각 하나씩 마련된다.
중간가이드롤러(40) 및 중간가이드레일(45)은 각각의 도어(30)에 마련되어 일측 도어(30)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롤러(40)가 타측 도어(30)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레일(45)에 안내되어 슬라이딩이동하게 된다.
시프터구동부(100)는 화차본체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즉, 철도용 유개화차(1)가 상호 연결되는 면에 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의 도어(30)를 폐쇄상태 및 개방준비상태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시프터구동부(100)는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마련된 회전손잡이(101)와, 회전손잡이(101)와 결합되어 상호 동일한 회전축선을 가지며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102)과, 피니언(102)과 맞물림 결합되어 회전손잡이(10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부채꼴 형상의 회동체인 부채꼴기어(105)와, 부채꼴기어(105)의 회전을 상부시프터본체(61)에 전달하는 상부로드(110)와, 부채꼴기어(105)의 회전을 하부시프터본체(81)에 전달하는 하부로드(120)를 포함한다.
상부로드(110)는 일측이 부채꼴기어(105)의 회전중심부(106)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타측이 상부시프터본체(61)에 연결부재(113)를 통해 결합된다. 연결부재(113)는 상부시프터본체(61)에 회전력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일측이 함몰 형성되어 상부로드(110)와 결합되는 상부시프터본체(61)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형상과 결합가능하게 내주면에 스플라인 형상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상부로드(110)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부(114)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로드(110)는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길이조절볼트(111)를 마련하고 있다.
하부로드(120)는 일측이 부채꼴기어(105)의 회전중심부(106)로부터 편심되어 결합되며, 타측이 하부시프터본체(81)에 연결부재(113)를 통해 결합된다. 연결부재(1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이 함몰 형성되어 하부로드(120)와 결합되는 하부시프터본체(81) 단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플라인형상과 결합가능하게 내주면에 스플라인 형상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하부로드(120)의 타측과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부(114)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로드(120)는 전체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길이조절볼트(111)를 마련하고 있다.
가이드레일(20)은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차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도어(30)와 같은 수량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20)은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될 때 도어(30)의 상부에 마련된 가이드롤러(50)를 수용할 수 있게 절취 형성된 다수의 롤러수용부(21)를 가지며,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어 슬리이딩이동할 때 가이드롤러(5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고정레일(25)은 단면이 원 형상으로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화차본체(10)의 하부에 하부고정레일브래킷(26)에 의해 결합되며, 도어(30)와 같은 수량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될 때 도어(30)의 하부에 마련된 슬라이딩롤러(55)는 화차본체(10) 하부에 마련된 시프팅레일(83)에 의해 화차본체(10) 외측으로 이송되며, 도어(30)가 완전히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면 시프팅레일(83)은 하부고정레일(25)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하부고정레일(25)은 시프팅레일(83)을 통해 슬라이딩이동하는 슬라이딩롤러(55)를 안내하게 된다.
가이드롤러(50)는 각 도어(30)의 상부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면 롤러수용부(21)를 통해 가이드레일(20)에 수용된다. 그리고, 가이드롤러(50)에 근접한 도어(30)의 상부에 개방용시프팅바(63) 또는 폐쇄용시프팅바(65)에 의해 접촉이동되어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이송시키는 3개의 상부시프팅브래킷(51)이 마련된다.
슬라이딩롤러(55)는 도어(30)의 하부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며,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될 때 화차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 시프팅레일(83)에 의해 화차본체(10) 외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어(30)가 완전히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면 시프팅레일(83)은 하부고정레일(25)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슬라이딩롤러(55)는 시프팅레일(83) 및 하부고정레일(25)을 통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롤러(55)의 외측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하부시프팅바(85)에 의해 접촉이동되어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하부시프팅브래킷(56)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개화차에 마련된 도어(30)의 작동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어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을 살펴보겠다. 가이드롤러(50)는 가이드레일(20)에서 이탈되어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되며, 슬라이딩롤러(55)역시 하부고정레일(25)에서 이탈되어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도어(30)가 폐쇄상태에 놓인 상태는 도 5의 우측에 놓인 시프터구동부(100)와 같은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의 우측에 놓인 시프터구동부(100)의 회전손잡이(10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까지 회전시키면 상부로드(110)는 하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하부로드(120)는 상향으로 이송되어 상부시프터본체(6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하부시프터본체(8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게 되면 도 5의 좌측에 놓인 시프터구동부(100)와 같은 형태가 된다.
그리고,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부시프터본체(61)에 일체로 마련된 개방용시프팅바(63)가 도어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시프팅브래킷(51)을 외측으로 밀어 가이드롤러(50)를 가이드레일(20)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하부시프터본체(81)에 일체로 마련된 시프팅레일(83) 및 하부보조레일(87)이 도어의 하부에 마련된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을 외측으로 밀어 슬라이딩롤러(55)가 하부고정레일(25)로 이송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30)를 개방하게 되면, 가이드롤러(50)는 가이드레일(20)에 안내되고 슬라이딩롤러(55)는 하부고정레일(25)에 안내되며, 개방된 도어(30)의 배면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롤러(40)는 폐쇄상태에 놓인 도어(30)의 외측면에 마련된 중간가이드레일(45)에 수용되어 안내된다. 그리고, 도어(30)의 양측단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스톱바(37)와, 스톱바(37)에 대응하여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 하측에 마련되어 도어(30)의 슬라이딩이동을 제한하는 스톱바제한부(13)를 마 련하여 도어(30)가 안전하게 슬라이딩이동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이동된 과정은 시프터구동부(100)에 마련된 회전손잡이(101)를 도어(30)가 개방준비상태로 이동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부로드(110) 및 하부로드(120)에 의해 상부시프터본체(61) 및 하부시프터본체(81)가 도어(30)를 개방준비상태로 이동시키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러면, 폐쇄용시프팅바(65)가 상부시프팅브래킷(51)의 배면과 접촉하여 상부시프팅브래킷(51)를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시프팅레일(83) 및 하부시프팅바(85)가 슬라이딩롤러(55) 및 하부시프팅브래킷(56)을 화차본체(10)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에, 도어(30)는 화차본체(10)의 도어개구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용 유개화차는 본체의 양측에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도어와, 도어를 평행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도어가 도어개구를 폐쇄하는 폐쇄상태와 도어개구에서 외향 이격된 개방준비상태 간을 평행이동가능하게 하는 시프팅유니트와, 시프팅유니트를 구동하기 위한 시프터구동부를 마련함으로서,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여 화물을 적재하는데 시간과 인력을 줄일 수 있다.
커튼(130)은 천이나 비닐과 같은 유동성있는 재질로 마련되며, 그 중앙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그 유동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금속이나 플라스틱재질의 졸대(139)가 마련된다.
슬라이딩장치(150)는 화차본체(10)의 내측상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레일(153)과, 커튼(130)의 상부에 대해 결합되며 슬라이딩레일(153)에 안 내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롤러(155)를 포함한다.
이송부재(140)는 긴 막대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상부에는 후술할 레일브래킷(151)에 형성된 스토퍼공(152)에 삽입가능하게 스토퍼(143)가 마련되며, 그 하부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이송손잡이부(145)가 마련된다.
화차본체(10)의 내측상부와 슬라이딩레일(153) 사이에 마련되어 슬라이딩레일(153)을 화차본체(10)에 체결하기 위한 레일브래킷(151)과, 레일브래킷(151)에 이송부재(140)의 상측에 마련된 스토퍼(143)가 상하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형성된 스토퍼공(152)과, 슬라이딩롤러(155)와 커튼(130) 사이에 마련되어 커튼(130)을 지지하는 커튼지지대(131)와, 이송부재(140)가 커튼지지대(131)에 결합되도록 이송부재(140)와 커튼지지대(131)를 연결하는 상부브래킷(133) 및 하부브래킷(136)이 마련된다.
슬라이딩레일(153)은 그 내측에 슬라이딩롤러(155)를 수용하여 안내할 수 있게 'ㄷ'자 형상으로 그 단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한 쌍으로 마련되어 화차본체(10)의 내측상부에 체결된 레일브래킷(151)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체결된다.
슬라이딩롤러(155)는 각 커튼(130)에 대해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커튼(130)의 상측에 마련된 커튼지지대(131)에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일체로 체결되고, 슬라이딩레일(153)에 삽입되어 안내된다.
레일브래킷(151)은 화차본체(10)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어 한 쌍의 슬라이딩레일(153)을 지지하며, 슬라이딩레일(153)의 일측에 이송부재(140)에 마련된 각 스 토퍼(143)가 삽입가능하게 한 쌍의 스토퍼공(152)이 마련된다.
스토퍼공(152)은 이송부재(140)의 스토퍼(143)가 삽입가능하게 화차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브래킷(151)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부브래킷(133) 및 하부브래킷(136)은 판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이 슬라이딩롤러(155) 및 커튼(130) 사이에 마련된 커튼지지대(131)에 일체로 체결되고, 타측에는 이송부재(140)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 형상된 상부관통공(134) 및 하부관통공(137)이 마련된다.
상부관통공(134)은 이송부재(140)의 단면보다 큰 장공형상으로 마련되며, 이송부재(140)에는 상부관통공(134)의 형상에 대응하는 걸림돌기(141)가 마련된다.
걸림돌기(141)는 소정 각도에서 상부관통공(134)에 출입가능하며, 다른 각도에서는 상부관통공(134)에 걸림 유지되도록 마련된다.
상부 및 하부브래킷(133,136) 사이에 마련된 이송부재(140)에 삽입되며, 그 상측이 걸림돌기(141)의 하부면에 접하고 그 하측이 하부브래킷(136)의 상부면에 접하는 코일스프링(147)이 마련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147)은 이송부재(140)를 하부브래킷(136)에 대해 상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갖는다.
이에,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140)의 각도를 조절하여 걸림돌기(141)가 상부관통공(134)에 삽입되면, 이송부재(140)의 스토퍼(143)가 코일스프링(147)의 탄성력에 의해 레일브래킷(151)에 형성된 스토퍼공(152)에 삽입 및 삽입유지 된다. 따라서, 커튼(130)은 이송부재(140)의 스토퍼(143)가 레일브래킷(151)의 스토퍼공(152)에 삽입된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도 12 및 도 13참 조). 그리고, 다시 커튼(130)을 움직이려면, 이송부재(140)의 이송손잡이부(145)를 잡고 코일스프링(147)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이송부재(140)를 아래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이송부재(140)의 걸림돌기(141)가 상부관통공(134)에서 빠져나옴과 동시에 스토퍼(143)가 스토퍼공(152)에서 빠져나오게 된다(도 11참조). 그런 후, 이송부재(140)를 적절히 회전시켜 걸림돌기(141)가 상부관통공(134)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스토퍼(143)가 스토퍼공(152)에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커튼(130)에 일체로 결합된 슬라이딩롤러(155)가 슬라이딩레일(153)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개화차(1)의 화물적재부(5)에 마련된 커튼(130)의 작동과정을 설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차본체(10)의 화물적재부(5)에 마련된 커튼(130)을 소정의 이격간격을 가지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각 커튼(130) 사이로 화물을 적재한다. 그리고, 화물의 크기 및 적재방법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커튼(130)을 이동시켜 적절한 곳에 위치시킨다. 이에, 적재된 다수의 화물 사이에 칸막이 역할을 하는 커튼을 마련함으로서, 화물적재부(5)에 적재된 화물의 운송시 흔들림에 의해 적재된 화물들이 섞이거나 상호 부딪혀 파손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송시 흔들림에 의해 적재된 화물들이 섞이거나 상호 부딪혀 파손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화물적재부가 마련된 화차본체를 구비한 철도용 유개화차에 있어서,
    상기 화물적재부를 상기 화차본체의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으로 차단하는 다수의 커튼과;
    상기 커튼에 대해 결합되어 상기 커튼을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부재와;
    상기 커튼을 상기 화차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장치는,
    상기 화차본체의 내측 상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레일과;
    상기 커튼의 상부에 대해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안내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롤러와;
    상기 슬라이딩롤러와 상기 커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커튼을 지지하는 커튼지지대와;
    상기 이송부재가 상기 커튼지지대에 결합되도록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커튼지지대를 연결하는 상부브래킷 및 하부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브래킷 각각에는 상기 이송부재가 통과할 수 있게 관통 형성된 상부 및 하부관통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장치는,
    상기 화차본체의 내측 상부와 상기 슬라이딩레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을 상기 화차본체에 체결하기 위한 레일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일브래킷에는 상기 이송부재의 상측이 상하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형성된 스토퍼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통공은 상기 이송부재의 단면보다 큰 장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송부재에는 상기 상부관통공의 형상에 대응하여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소정 각도에서 상기 상부관통공에 출입가능하며, 다른 각도에서는 상기 상부관통공에 걸림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브래킷 사이에 마련된 상기 이송부재에 삽입되어, 그 상측 이 상기 걸림돌기의 하부면에 접하고 그 하측이 상기 하부브래킷의 상부면에 접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기 이송부재를 상기 하부브래킷에 대해 상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유개화차.
KR1020030004235A 2003-01-22 2003-01-22 철도용 유개 화차 KR100916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235A KR100916714B1 (ko) 2003-01-22 2003-01-22 철도용 유개 화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235A KR100916714B1 (ko) 2003-01-22 2003-01-22 철도용 유개 화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221A KR20040067221A (ko) 2004-07-30
KR100916714B1 true KR100916714B1 (ko) 2009-09-09

Family

ID=3735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235A KR100916714B1 (ko) 2003-01-22 2003-01-22 철도용 유개 화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7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4138A (ja) * 1996-12-27 1998-07-14 Ukai:Kk 配送車の荷室施錠システム
KR0171962B1 (ko) * 1994-12-12 1999-03-30 미쓰오 다까스기 저온보존품 수송 보관방법 및 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962B1 (ko) * 1994-12-12 1999-03-30 미쓰오 다까스기 저온보존품 수송 보관방법 및 기기
JPH10184138A (ja) * 1996-12-27 1998-07-14 Ukai:Kk 配送車の荷室施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221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1190B1 (en) Vehicle door articulating and sliding mechanism
US6318782B1 (en) Opening/closing rear component structure of a vehicle
US5586850A (en) Truck bed cargo divider
CA1235721A (en) Sliding door trailer
KR20000057262A (ko) 활주식 카르고 플로어
US6234565B1 (en) Dual action bifold door assembly
JP2003000647A5 (ko)
NZ250138A (en) Hatch cover lock; cover secured to open container with automatic initial locking mechanism and also a secondary manually operated locking mechanism
KR100916714B1 (ko) 철도용 유개 화차
US3386204A (en) Sliding door arrangement
EP2379399A1 (en) Door system for sides of a load platform of a truck
US20180126830A1 (en) Cargo Containment Structure Double Swing Door System
US2827958A (en) Chain closure and partition for openings
US3931769A (e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abin for ropeways
KR100498128B1 (ko) 철도용 유개 화차
US3468063A (en) Double sliding door actuator
KR101701095B1 (ko) 적재함 보호 덮개장치
KR100916713B1 (ko) 철도용 유개 화차
KR100951634B1 (ko) 철도용 유개 화차
US4339222A (en) Door locking mechanism for hopper car doors
KR200298255Y1 (ko) 철도용 유개 화차
CA1185485A (en) Movable freight restraining device for freight cars and the like
KR102553997B1 (ko) 건설 자재 운반용 수납함
KR101720208B1 (ko)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KR102139821B1 (ko) 버스 수화물 슬라이드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