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512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512B1
KR100916512B1 KR1020070099891A KR20070099891A KR100916512B1 KR 100916512 B1 KR100916512 B1 KR 100916512B1 KR 1020070099891 A KR1020070099891 A KR 1020070099891A KR 20070099891 A KR20070099891 A KR 20070099891A KR 100916512 B1 KR100916512 B1 KR 10091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member
light guide
sens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4580A (ko
Inventor
이정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5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 상에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광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터치, 패드, LCD, 반사형, 센서, 광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MODUL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이 표시되는 면 상에 사용자가 터치 등에 의해서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실시예는 영상이 표시되는 면 상에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며, 화질이 보다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보다 전력소모가 적은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및 상기 광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면 외곽에 센서부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이 표시되는 면 상에 센서가 배치되는 표시장치와 비교하여,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을 전면 광으로 영상을 표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 전력소모가 적다.
도 1 은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 I-I`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케이스(100), 액정패널(200), 전면 광가이드부(300), 센싱 광가이드부재(400), 센서부(500) 및 광 원(6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액정패널(200), 상기 전면 광가이드부(300),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 상기 센서부(500) 및 상기 광원(600)을 수용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4개의 측벽들 및 바텀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200)은 상기 케이스(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200)은 상기 광원(600)에서 발생하는 광 및/또는 외부의 광에 의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패널(200)은 반사판(210), TFT기판(220), 컬러필터기판(230), 액정층(240) 및 편광판(250)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210)은 상기 광원(600)에서 발생한 광 및/또는 외부의 광을 상부로 반사한다.
상기 TFT기판(220)은 상기 반사판(2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TFT기판(220)은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에 교차하는 데이터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박막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서 인가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각 픽셀별로 전계를 형성한다.
상기 컬러필터기판(230)은 상기 TFT기판(2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컬러필터기판(230)은 다수 개의 컬러필터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컬러필터기판(230) 상에 각 픽셀별로 하나의 컬러필터가 배치된다. 상기 컬러필터에 의해서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컬러가 포함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층(240)은 상기 TFT기판(220) 및 상기 컬러필터기판(23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액정층(240)에 포함된 액정은 상기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형성된 전계에 의해서 정렬하고, 각 픽셀별로 상기 액정층(240)을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편광판(250)은 상기 컬러필터기판(230) 상에 배치된다. 상기 편광판(250)은 상기 광원(600)에서 발생한 광 및/또는 외부의 광을 필터링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편광된 광을 통과시킨다.
상기 전면 광가이드부(300)는 상기 액정패널(2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전면 광가이드부(300)는 상기 광원(600)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기 액정패널(200)로 유도한다. 즉, 상기 전면 광가이드부(300)는 상기 광원(600)에서 발생하는 광을 입사받아, 확산시키고, 상기 액정패널(200)을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전면 광가이드부(300)는 광가이드플레이트(310) 및 외곽 광가이드부재(320)를 포함한다.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는 상기 액정패널(200) 상에 배치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PMM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crylonitrile styrene;AS), 폴리스티렌(polystyrene;P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PES), 폴리아미드(polyamide;PA), 폴리에스테르이미드(polyesterimide;PEI) 및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e;PMP)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외곽 광가이드부재(320)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의 외곽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외곽 광가이드부재(320)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외곽 광가이드부재(32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와 동일하다.
상기 외곽 광가이드부재(320)는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 및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는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가 배치되는 측면과 교차하는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는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및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는 상기 전면 광가이드부(3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는 상기 광원(600)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상기 센서부(500)를 향하여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상을 가로질러서 상기 센서부(500)로 입사된다.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와 동일하다.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는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 및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는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는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및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는 예를 들어, 바(bar)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및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는 광을 집속할수 있는 장치 예를 들어, 다수 개의 렌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는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는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및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케이스(100)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액정패널(200)의 영상이 표시되는 면 외곽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500)는 다수 개의 광을 감지하는 센서(521)들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로 입사되는 외부의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차광부재(52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521)들은 위치에 따라서 배치된다. 상기 센서(521)들은 광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한다. 상기 센서(521)들은 예를 들어, 다수 개의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일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로 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또는 정보처리장치에 전달한다.
상기 센서부(500)는 제 1 센서부(510) 및 제 2 센서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센서부(510)는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와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제 2 센서부(520)는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와 마주보며 배치된다.
상기 광원(600)은 상기 케이스(10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600)은 한 개이며,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의 측면 및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600)은 광을 출사하며, 상기 광원(600)은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냉음극선관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CCFL) 또는 외부전극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EEFL) 등을 들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광원(600)은 복수 개이며,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의 측면 상에 하나가 배치되고,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의 측면 상에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는 상기 광원(600)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일부를 입사받아,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및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로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는 상기 광원(600)에 대응하는 제 1 입사면을 통해서 광을 입사받아,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에 대응하는 제 1 출사면 및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에 대응하는 제 2 출사면을 통하여 광을 출사한다.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는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로부 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로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는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와 대응하는 면을 통해서 상기 제 1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에 대응하는 면을 통해서 광을 출사한다.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는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로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는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와 대응하는 면을 통해서 상기 제 2 출사면에서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에 대응하는 면을 통해서 출사한다.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는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및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상기 액정패널(200)로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는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322)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322)와 대응하는 측면들을 통해서 입사받아, 상기 액정패널(200)에 대응하는 하부면을 통해서 출사한다.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를 통해서 출사된 광은 상기 편광판(250), 상기 컬러필터기판(230), 상기 액정층(240) 및 상기 TFT기판(220)을 통과하고, 상기 반사판(210)에 의해서 반사된다.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반사된 광에 의해서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는 상기 광원(600)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일부를 입사받아, 상기 제 1 및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420)에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는 상기 광원(600)에 대응하는 제 2 입사면(433)을 통해서 상기 광원(600)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의 일부가 입사된다.
또한,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는 상기 입사된 광을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에 대응하는 제 3 출사면(431) 및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에 대응하는 제 4 출사면(432)을 통해서 출사한다.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는 상기 제 3 출사면(431)을 통해서 출사된 광을 입사받아, 상기 제 1 센서부(510)를 향하여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는 상기 제 3 출사면(431)을 통해서 출사된 광을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에 대응하는 측면을 통하여 입사받는다.
이때, 상기 광은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내에서 전반사되고, 확산되어, 상기 제 1 센서부(510)를 향하여 출사된다. 그리고, 상기 출사된 광은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상을 가로질러서 상기 제 1 센서부(510)에 입사된다.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는 상기 제 4 출사면(432)을 통해서 출사된 광을 입사받아, 상기 제 2 센서부(520)를 향하여 출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는 상기 제 4 출사면(432)을 통해서 출사된 광을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에 대응하는 측면을 통하여 입사받는다
이때, 상기 광은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 내에서 전반사되고, 확산되어, 상기 제 2 센서부(520)를 향하여 출사된다. 그리고, 상기 광은 출사된 후,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상을 가로질러서 상기 제 2 센서부(520)에 입사된다.
상기 제 1 센서부(510)에 입사된 광은 상기 제 1 센서부(510)에 포함된 센서들에 의해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전기적인 신호는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구동하는 회로 또는 액정표시장치에 연결된 정보처리장치 등에 전달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센서부(520)에 입사된 광은 상기 제 2 센서부(520)에 포함된 센서(521)들에 의해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고, 구동회로 또는 정보처리장치 등에 전달된다.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상에 손가락과 같은 불투명한 물체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에서 출사되어 상기 제 1 센서부(510)에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되고,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에서 출사되어 상기 제 2 센서부(520)에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센서부(510)에 포함된 센서들 중 상기 물체에 의해서 차단된 광의 감소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제 2 센서부(520)에 포함된 센서(521)들 중 상기 물체에 의해서 차단된 광의 감소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서, 상기 물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의 감소를 감지하는 센서들에서의 전기적인 신호의 변화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또는 액정표시장치에 연결된 정보처리장치 등에 입력되어, 다시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신호를 감지하는 센서가 영상을 표시하는 면 외곽에 배치되어서, 센서가 영상을 표시하는 면 상에 배치되는 액정표시장치와 비교하여 고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하나의 광원(600)에서 출사되는 광의 일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광원(600)에서 출사되는 광의 다른 일부를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광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4 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외곽 광가이드부재(320) 및 센싱 광가이드부재(400)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도 1 의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및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410)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 및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 및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외곽 광가이드부재(320),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400)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를 모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서 소모되는 시 간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일체로 형성되는 광가이드 부재들 사이에서 소모되는 광의 양이 줄어들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 전체적인 광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5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탄성부재(700) 및 보호부재(800)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탄성부재(700) 및 보호부재(80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700)는 상기 액정패널(200)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탄성부재(700)는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를 통해서 전달되는 물리적인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액정패널(200)을 보호한다.
상기 탄성부재(7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아크릴계 수지(acrilic resin), 폴리비닐계 수지(polyvinyl resin) 및 폴리우레탄계 수지(poly urethane resi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00)는 상기 액정패널(200)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패널(200)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상기 액정패널(2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공기층을 거 치지 않고, 외부로 출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영상이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화질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보다 고화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및 상기 액정패널(200)을 보호한다. 상기 보호부재(8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아크릴, 유리, 강화유리 및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800)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사이에 충격흡수부재가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보호부재(800)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는 상기 탄성부재(7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와 동일하다.
상기 보호부재(800)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 및 상기 액정패널(200)을 보호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보다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 더 잘 견딜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 는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센싱 광가이드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 에서의 실시예들에서는 도 1 내지 도 3 에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광원(600), 외곽 광가이드부재(320) 및 센싱 광가이드부재(400)에 대 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광원(600)은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및 제 1 센싱광가이드부재를 향하는 제 1 광원(610)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2) 및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20)를 향하는 제 2 광원(6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두 개의 광원(600)이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 및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를 거치지 않고,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322) 및 제 1 및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420)에 광을 직접 출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보다, 영상을 표시하는 광 및 센서부(500)에 입사되는 광의 효율이 더 향상되고, 사용자의 신호는 더 민감하게 수신할 수 있고, 더 향상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1 내지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322, 323)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 1 내지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420, 430)는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321, 322)와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 사이에서의 광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제 1 및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410, 420)와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 사이에서의 광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보다 더 향상된 광의 효율 및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제 3 외곽 광가이드부재(323)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제 1 출사면을 포함하며, 제 1 입사면 및 제 2 입사면을 포함한다. 또한,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430)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제 2 출사면을 포함하며, 제 3 입사면 및 제 4 입사면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목하거나 볼록한 제 1 출사면 및 제 2 출사면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1/4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원(600)은 상기 제 1 입사면 및 상기 3 입사면 상에 배치되는 제 1 광원(610) 및 상기 제 2 입사면 및 상기 제 4 입사면 상에 배치되는 제 2 광원(6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제 1 출사면 및 제 2 출사면을 통해서, 상기 광원(600)에서으로부터 상기 제 1 내지 제 4 출사면을 통해서 입사되는 광이 보다 균일하게 확산되어 출사된다.
따라서, 상기 광원(600)에서 발생한 광은 센서부(500) 및 액정패널(200)에 보다 균일하게 입사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보다 균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 또는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하고,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제 1 및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 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제 1 및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측면을 가진다.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는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이 오목하거나 볼록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측면이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측면이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의 오목하거나 볼록한 측면에 대응하여,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310)는 볼록하거나 오목한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가 오목하거나 볼록한 측면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및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센싱 광 가이드부재로부터 보다 균일한 광이 출사된다.
따라서, 상기 출사된 광은 상기 센서부(500) 및 상기 액정패널(200)로 보다 균일하게 입사되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는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보다 균일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 I-I`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 는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광원,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센싱 광가이드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 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 또는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18)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을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센서부 또는/및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는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센서부로 출사하는 센싱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광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광 가이드 플레이트로 출사하는 외곽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 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출사하는 광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로 출사하는 외곽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 1 방향으로 출사하는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 2 방향으로 출사하는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를 향하여출사하는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로 출사하는 제 1 광원 및 상기 외곽 광가이드부재로 출사하는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출사 면을 가지는 표시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센싱 광가이드부재 및/또는 제 2 센싱 광가이드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는 바 형상을 가지는 표시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광가이드부재는 오목하거나, 볼록한 면을 가지는 표시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 1 방향으로 출사하는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제 2 방향으로 출사하는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외곽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제 2 외곽 광가이드부재를 향하여 출사하는 제 3 센싱 광가이드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영상이 표시되는 면을 가지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며, 광원으로부터 발생한 광을 입사받아,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여 출사하는 광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에 밀착되는 투명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보호부재 및 상기 광가이드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센싱하는 센서부로 광을 출사하는 센싱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상기 광가이드 플레이트로 출사하는 외곽 광가이드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70099891A 2007-10-04 2007-10-04 표시장치 KR10091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891A KR100916512B1 (ko) 2007-10-04 2007-10-04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891A KR100916512B1 (ko) 2007-10-04 2007-10-04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580A KR20090034580A (ko) 2009-04-08
KR100916512B1 true KR100916512B1 (ko) 2009-09-08

Family

ID=4076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891A KR100916512B1 (ko) 2007-10-04 2007-10-04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2432A (ja) * 2011-12-26 2013-08-08 Canon Inc 画像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155A (ko) * 2000-05-12 2002-05-04 요트.게.아. 롤페즈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5316517A (ja) * 2004-04-26 2005-11-10 Idec Izumi Corp 光学式タッチパネル
KR20060078756A (ko) * 2004-12-31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155A (ko) * 2000-05-12 2002-05-04 요트.게.아. 롤페즈 입력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5316517A (ja) * 2004-04-26 2005-11-10 Idec Izumi Corp 光学式タッチパネル
KR20060078756A (ko) * 2004-12-31 2006-07-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580A (ko) 200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2572B (zh) 液晶顯示裝置
KR101499847B1 (ko)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N107870481B (zh) 显示装置
KR101385474B1 (ko) 액정 표시장치
TWI713921B (zh) 屏下指紋辨識系統
US20160054507A1 (en)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CN108121114B (zh) 具有二向色滤光器的显示装置
US20150138487A1 (en) Optical member,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20200159071A1 (en) Back 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9752778B (zh) 光学膜以及包括光学膜的显示装置
KR20080018728A (ko)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2470064A (zh) 电子设备
KR20150041324A (ko)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JPH11194339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80000392A (ko) 표시 장치
KR102238482B1 (ko) 이물침투가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KR100916512B1 (ko) 표시장치
KR100941280B1 (ko) 표시장치
JPH11149813A (ja) 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CN107884986B (zh) 具有量子点单元的显示装置
KR10148183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525224B1 (ko) 표시 장치
WO2016104310A1 (ja) 液晶表示装置
KR20180099956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551211B1 (ko) 확산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