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895B1 - 웰빙 찜즙기 - Google Patents

웰빙 찜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895B1
KR100915895B1 KR1020080094730A KR20080094730A KR100915895B1 KR 100915895 B1 KR100915895 B1 KR 100915895B1 KR 1020080094730 A KR1020080094730 A KR 1020080094730A KR 20080094730 A KR20080094730 A KR 20080094730A KR 100915895 B1 KR100915895 B1 KR 10091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member
pot
water
jui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미
Original Assignee
엠에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6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수용되며 열원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냄비부재(10)와, 제1냄비부재(10)의 상부에 얹혀져 상호간에 결합되고, 그 바닥면에 구멍(22)이 형성되며, 구멍(22)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증기가 토출되는 증기통공(24)들이 형성된 관통봉(23)을 구비하는 제2냄비부재(20)와, 제2냄비부재(20)의 바닥면으로부터 그 하면이 이격되도록 제2냄비부재(20)에 결합되고, 증기에 의해 즙을 취출하고자 하는 식품이 수용되며, 그 바닥면에 복수의 즙배출공(33)이 형성된 거름망(30)과, 제2냄비부재(20)의 상부에 얹혀져 제2냄비부재(20)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40)와, 제2냄비부재(20)로부터 취출된 즙을 배출시키는 즙배출부(50)로 구성된다.
찜즙기, 거름판, 수위감지

Description

웰빙 찜즙기{Wellbeing juice maker using steam }
본 발명은 야채 및 과일 등으로부터 증기를 이용하여 즙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한 웰빙 찜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수위를 감지하여 이용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 웰빙 찜즙기에 관한 것이다.
웰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야채 또는 과일을 증기를 이용하여 즙을 생성시켜 음용하는 가정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건강에 유익한 채소 또는 과일 등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린이에게 거부감없이 음용시킬 수 있어 최근에는 찜즙기가 주방용품으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그동안 일부 건강원 등에서 사용되어온 찜즙기가 최근에는 주방제품으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찜즙기는 벌크한 크기의 구조로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증기 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증기 에너지 소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부피를 줄인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면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이 부가된 찜즙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히 내부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하여, 이용하는 증기에너지의 효율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더욱 다양한 편의기능을 추가한 웰빙 찜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위를 감지하여 이용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 웰빙 찜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수용되며 열원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냄비부재; 상기 제1냄비부재의 상부에 얹혀져 상호간에 결합되고, 그 바닥면에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증기가 토출되는 증기통공들이 형성된 관통봉을 구비하는 제2냄비부재; 상기 제2냄비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그 하면이 이격되도록 상기 제2냄비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에 의해 즙을 취출하고자 하는 식품이 수용되며, 그 바닥면에 복수의 즙배출공이 형성된 거름망; 상기 제2냄비부재의 상부에 얹혀져 상기 제2냄비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 상기 제2냄비부재로부터 취출된 즙을 배출시키는 즙배출수단; 및 상기 제1냄비부재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상면에 통공이 형성되고 그 상면 중심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지봉이 마련된 원통형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봉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지지대에 안착되는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1냄비부재에 수용된 물이 가열에 의해 줄어들어 물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줄어들면 이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는 매우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특히 증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제1냄비부재의 가열에 따라 제1냄비부재 내에 담겨진 물이 일정량 줄어들게 되면 그 수위를 감지하여 이용자들이 적절한 시기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웰빙 찜즙기의 구성 및 구성에 따른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의 결합된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뚜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압착판 및 깔대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수위감지부를 구비한 웰빙 찜즙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수용되며 열원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냄비부재(10)와, 제1냄비부재(10)의 상부에 얹혀져 상호간에 결합되고, 그 바닥면에 구멍(22)이 형성되며, 구멍(22)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증기가 토출되는 증기통공(24)들이 형성된 관통봉(23)을 구비하는 제2냄비부재(20)와, 제2냄비부재(20)의 바닥면으로부터 그 하면이 이격되도록 제2냄비부재(20)에 결합되고, 증기에 의해 즙을 취출하고자 하는 식품이 수용되며, 그 바닥면에 복수의 즙배출공(33)이 형성된 거름망(30)과, 제2냄비부재(20)의 상부에 얹혀져 제2냄비부재(20)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40)와, 제2냄비부재(20)로부터 취출된 즙을 배출시키는 즙배출부(5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웰빙 찝즙기는 제1냄비부재(10)에 수용된 물이 가열에 의해 줄어들어 물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줄어들면 이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부(80)는 제1냄비부재(10)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상면에 통공(81a)이 형성되고 그 상면 중심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지봉(83)이 마련된 원통형상의 지지대(85)와, 지지봉(83)에 결합되어 원통형상의 지지대(85)에 안착되는 플레이트(87)로 구성된다.
또한, 플레이트(87)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연장된 날개판(87a)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원통형상의 지지대(85)의 측면에는 제1냄비부재(10)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81b)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2냄비부재(20)는 취출된 즙이 모여지도록 바닥면이 경사지거나 홈(28)이 형성되며, 제1냄비부재(10), 제2냄비부재(20), 거름망(30) 및 뚜껑부재(40)는 각각 손잡이(11,21,31,4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냄비부재(20)의 관통봉(23)은 제1냄비부재(10) 내로 물이 보충되도록 상부가 개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는 뚜껑부재(40)와 결합되며, 제2냄비부재(20)의 상부와 상기 관통봉(23)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보조뚜껑(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그 하단부에 이탈방지턱(92)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뚜껑부재(40)의 하부 중심부에 결합되는 보스(94)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뚜껑(90)은 상기 보스(94)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보조뚜껑(90)의 저면에 상기 관통봉(23)의 상단부를 감싸는 환형리브(91)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부재(40)와 상기 보조뚜껑(90) 사이에 스프링(95)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관통봉(23) 외측면을 감싸면서 삽입되도록, 하부는 원형판(61)으로 형성하고 상기 원형판(61) 중심에는 상기 관통봉(23)보다 폭을 넓게 형성한 홈(62)을 형성되고, 상기 홈(62)이 연장되면서 상부로 돌출된 봉(63)으로 이루어진 압착판(60)을 더 구비한다.
또한, 하부는 상기 관통봉(23) 내측으로 삽입되는 봉 형상이고, 상부는 하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실린더형상으로 중앙이 개구되어 물을 보충하도록 한 깔대봉(70)을 더 구비한다.
또한, 즙배출부(50)는 상기 제2냄비부재(20)의 하부 측면 또는 바닥면에 배출구(29)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29)에 즙배출밸브(51)가 연결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웰빙 찜즙기(100)는 일반적인 냄비 형상인 제1냄비부재(10), 제1냄비부재(10) 상부 외주면의 홈을 따라 얹어주면 중력에 의해 결합되는 제2냄비부재(20), 제2냄비부재(20)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는 거름망(30), 제2냄비부재(20) 상부에 얹어지는 뚜껑부재(40) 및 제 2냄비부재(20)로부터 생성된 즙을 외부로 배출키 위한 즙배출부(50)를 포함한다. 제1냄비부재(10), 제2냄비부재(10), 거름망(30) 및 뚜껑부재(40)는 손쉽게 결합, 분리하기 위해 각각 손잡이들(11,21,31,41)이 측면 또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100)는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현재 시중에 시판되는 3단 결합방식에 비해 2단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내부에서 작동되는 증기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뚜껑부재(40)를 강화유리 등으로 할 수 있어 육안으로 즙 배출 정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100)는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제1냄비부재(10)와 뚜껑부재(40)를 결합하면 일반적인 냄비로도 활용할 수 있다.
웰빙 찜즙기(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냄비부재(10)는 전술한 것처럼 일반적인 냄비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2냄비부재(20)는 외형적으로는 제1냄비부재(10)와 동일하다. 그러나 제2냄비부재(20)는 제1냄비부재(10)와 달리 하부 중앙에 구멍(22)을 형성하고 구멍(22)을 통해 제2냄비부재(20) 높이만큼 상부로 연장된 돌출된 관통봉(23) 및 측면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9)를 구비한다.
한편 관통봉(23)은 구멍(22)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상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측면에 다수의 증기통공(24)들이 형성된다.
제2냄비부재(20)의 바닥면은 배출구(29)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배출구(29)와 근접한 바닥면 일부에 홈(28)을 형성하여 생성되는 즙이 배출구(29)와 가까운 곳에 모이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배출구(29)에는 통상의 밸브구조인 즙배출밸브(51)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즙을 손쉽게 배출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2냄비부재(20)는 거름망(30)이 얹어질 수납부공간(25) 및 즙생성부공간(26)으로 구분될 수 있도록 제2냄비부재(20)의 내측면을 따라 돌기부(27)를 갖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거름망(30)은 관통봉(23)에 삽입되면서 그 하부가 돌기부(27)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부피를 줄일 수 있다.
거름망(30)은 전술한 것처럼 제2냄비부재(20)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야채 또는 과일을 거름망(3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또한 거름망(30)이 손쉽게 분리되도록 별도의 손잡이(31)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거름망(30)의 하부면과 측면에는 다수의 즙배출공(33)들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100)의 증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수의 증기통공(24)들과 즙배출공(33)들은 수납부공간(25)에서만 위치하도록 하여 증기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거름망(30)은 상기 관통봉(23)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바닥 중앙에 결합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뚜껑부재(40)는 제2냄비부재(20) 상부에 얹혀 밀폐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무관하며, 전술한 제1냄비부재(10)와 결합하여 일반냄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어도 무관하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재(40)의 하부와 결합되어 제2냄비부재(20)의 상부와 관통봉(23)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보조뚜껑(9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뚜껑(90)의 하부 중심부에는 보스(94)가 결합되고, 보스(94)의 하단부와 상단부에는 각각 이탈방지턱(92,93)이 형성되며, 상단부는 나사부(96)가 형성되어 있어 뚜껑부재(40)의 하부 중심부에 결합된다. 보조뚜껑(90)의 저면에는 관통봉(23)의 상단부를 감싸는 환형리브(91)가 형성되어 관통봉(23)의 상단부의 개구부를 밀폐하여 관통봉(23)을 통해 제1냄비부재(10)로부터의 발생된 수증기는 관통봉(23) 측면의 증기통공(24)들을 통해 거름망(30)으로 배출된다.
뚜껑부재(40)와 보조뚜껑(90) 사이에 스프링(95)이 형성되어 있어 뚜껑부재(40)는 제2냄비부재(20)에 완전히 밀착되게 되어 수증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착판(60)은 거름망(30)에 수납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압착하기 위해 관통봉(23)을 감싸면서 삽입되도록, 하부는 얇은 두께의 원형판(61)으로 형성하고, 중심에는 관통봉(23)이 삽입되도록 홈(62)이 형성되고, 홈(62)이 상부로 연장되면서 상부로 돌출된 압착봉(63)을 구비한 형상으로, 사용자는 압착봉(63)을 한 손으로 움켜주고 하부로 밀착하면 거름망(30)에 수납된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압착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대봉(70)은 물 보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부는 관통봉(23)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봉 형상이고, 상부는 넓은 폭을 갖는 실린더형상으로 제1냄비부재(10)내에 수용된 물이 부족하거나 없을 경우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100)를 분리하지 않고 뚜껑부재(40)만 열고, 깔대봉(70)을 관통봉(220)에 삽입한 후 깔대봉(70) 상부를 통해 물을 보충하여 물을 제1냄비부재(10) 내부로 보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냄비부재(10)의 내부에 물을 채운 후, 제1냄비부재(10)의 하면에 열을 가하면 물이 끓게 되면서 물은 수증기로 변화된다. 수증기는 제2냄비부재(20)의 구멍(22)을 통해 관통봉(23)의 내부를 타고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승하는 수증기는 좁은 관통봉(23)을 통과하면서 증기압이 증폭되고, 다시 관통봉(23) 측면의 증기통공(24)들을 통해 제2냄비부재(20) 내의 거름망(30)에 수납된 내용물들에 강력한 증기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상기 내용물들은 쪄지기 시작하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즙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즙은 거름망(30)의 바닥면 및 측면에 형성된 즙배출공(33)을 통하여 중력으로 제2냄비부재(20) 하부로 모이게 된다.
제2냄비부재(20)의 내부에 일정수위 이상의 즙이 모이면 배출구(29)에 연결된 즙배출부(50)를 통하여 즙을 배출하여 사용자는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감지부(80)는 제1냄비부재(10)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상면에 통공(81a)이 형성되고 그 상면 중심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지봉(83)이 마련된 원통형상의 지지대(85)와, 지지봉(83)에 결합되어 원통형상의 지지대(85)에 안착되는 플레이트(87)로 구성된다.
제1냄비부재(201)에 물이 충분할 경우, 즉 수위감지부(80)가 물에 완전히 잠겨 있을 때에는 물이 끓더라도 수위감지부(80)는 아무런 소리를 내지 않는다. 그러나, 제1냄비부재(10)에 수용된 물이 가열에 의해 줄어들어 물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 예를 들어 플레이트(87)가 노출되게 되면, 물의 가열에 따른 수증기가 통공(81a)을 통해 플레이트(87) 내부로 유출되고, 통공(81a)을 통해 유출되는 상이한 증기압에 의해 플레이트(87)는 지지봉(83)을 따라 승하강되면서 플레이트(87)와 원통형상의 지지대(85)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수위감지부(90)는 소리를 내게 되며, 이를 사용자는 손쉽게 인식하여 전술한 깔대봉(70)을 통해 뚜껑부재(40)만을 열어 손쉽게 물을 보충할 수 있다.
플레이트(87)의 외주면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날개판(87a)을 형성하고, 플레이트(87)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플레이트(87)와 지지대(85)의 상면과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소리가 울려지도록 하여 소리가 넓게 영역으로 퍼지도록 한다.
플레이트(87)는 무게가 가볍고, 날개판(87a)에 의한 플레이트(87)와 지지대(85)의 틈새로 물이 통공(81a)을 통해 지지대(85) 내부로 유입되게 되나, 지지대(85)의 측면에 유입공(81b)을 형성하여 유입공(81b)을 통해 제1냄비부재(10)에 수용된 물을 지지대(85)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의 결합된 외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압착판 및 깔대봉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웰빙 찜즙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수위감지부를 구비한 웰빙 찜즙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냄비부재 20: 제2냄비부재
30: 거름판 40: 뚜껑부재
50: 즙배출부 60: 압착판
70: 깔대봉 80: 수위감지부
90: 보조뚜껑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상부가 개방되고 물이 수용되며 열원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냄비부재(10);
    상기 제1냄비부재(10)의 상부에 얹혀져 상호간에 결합되고, 그 바닥면에 구멍(22)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22)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증기가 토출되는 증기통공(24)들이 형성된 관통봉(23)을 구비하는 제2냄비부재(20);
    상기 제2냄비부재(20)의 바닥면으로부터 그 하면이 이격되도록 상기 제2냄비부재(20)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에 의해 즙을 취출하고자 하는 식품이 수용되며, 그 바닥면에 복수의 즙배출공(33)이 형성된 거름망(30);
    상기 제2냄비부재(20)의 상부에 얹혀져 상기 제2냄비부재(20)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40);
    상기 제2냄비부재(20)로부터 취출된 즙을 배출시키는 즙배출수단(50); 및
    상기 제1냄비부재(10)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상면에 통공(81a)이 형성되고 그 상면 중심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지지봉(83)이 마련된 원통형상의 지지대(85)와, 상기 지지봉(83)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상의 지지대(85)에 안착되는 플레이트(87)로 구성되어 상기 제1냄비부재(10)에 수용된 물이 가열에 의해 줄어들어 물의 수위가 기준치 이하로 줄어들면 이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8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빙 찝즙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상부로 연장된 날개판(87a)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빙 찜즙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의 지지대(85)의 측면에는 제1냄비부재(10)에 수용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81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빙 찜즙기.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냄비부재(20)는 취출된 즙이 모여지도록 바닥면이 경사지거나 홈(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빙 찜즙기.
  7. 삭제
  8. 삭제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40)와 결합되며, 상기 제2냄비부재(20)의 상부와 상기 관통봉(23)의 상면을 밀폐시키는 보조뚜껑(9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빙 찜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하단부에 이탈방지턱(92)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상기 뚜껑부재(40)의 하부 중심부에 결합되는 보스(94)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뚜껑(90)은 상기 보스(94)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보조뚜껑(90)의 저면에 상기 관통봉(23)의 상단부를 감싸는 환형리브(91)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부재(40)와 상기 보조뚜껑(90) 사이에 스프링(95)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빙 찜즙기.
  11. 삭제
  12.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관통봉(23) 내측으로 삽입되는 봉 형상이고, 상부는 하부보다 넓은 폭을 갖는 실린더형상으로 중앙이 개구되어 물을 보충하도록 한 깔대봉(7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웰빙 찜즙기.
  13. 삭제
KR1020080094730A 2008-09-26 2008-09-26 웰빙 찜즙기 KR10091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730A KR100915895B1 (ko) 2008-09-26 2008-09-26 웰빙 찜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730A KR100915895B1 (ko) 2008-09-26 2008-09-26 웰빙 찜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299A Division KR100995572B1 (ko) 2009-03-10 2009-03-10 웰빙 찜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895B1 true KR100915895B1 (ko) 2009-09-08

Family

ID=4135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730A KR100915895B1 (ko) 2008-09-26 2008-09-26 웰빙 찜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8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53U (ko) * 1997-01-09 1998-10-15 김혜순 압착기를 내부에 부설한 압력찜통
KR200404671Y1 (ko) * 2005-09-29 2005-12-27 주식회사 아미 찜통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53U (ko) * 1997-01-09 1998-10-15 김혜순 압착기를 내부에 부설한 압력찜통
KR200404671Y1 (ko) * 2005-09-29 2005-12-27 주식회사 아미 찜통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564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KR100995572B1 (ko) 웰빙 찜즙기
RU2003135821A (ru) Компактная пароварка
CN105747833A (zh) 一种蒸煮装置及设备
US20090266241A1 (en) Cooking utensil using steam
US4397298A (en) Utensil for cooking food by steaming
CN2914949Y (zh) 直火咖啡壶
KR102096321B1 (ko) 저당용 밥솥
KR100915895B1 (ko) 웰빙 찜즙기
CN110367833A (zh) 一种饭煲及其控制方法
KR20120109719A (ko) 찜용 증기 발생 장치
KR20090008808U (ko) 냄비뚜껑
CN209219930U (zh) 一种家用肠粉机
KR101286836B1 (ko) 업소용 대형국솥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JP3148165U (ja) バーベキューコンロ
JP2002045298A (ja) 「電気炊飯器の蒸気孔用蒸し器」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CN208192905U (zh) 蒸汽阀及烹饪器具
KR100614111B1 (ko) 삼계탕을 위한 찜닭 장치
CN208030945U (zh) 一种烹饪器具
JP2017153536A (ja) 炊飯器
CN217137510U (zh) 一种接水结构及使用其的电蒸锅
CN212465693U (zh) 具有多功能量杯及锁紧结构的主锅
CN219940321U (zh) 一种茶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