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831B1 - 해상 보트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해상 보트용 충전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831B1
KR100914831B1 KR1020090022628A KR20090022628A KR100914831B1 KR 100914831 B1 KR100914831 B1 KR 100914831B1 KR 1020090022628 A KR1020090022628 A KR 1020090022628A KR 20090022628 A KR20090022628 A KR 20090022628A KR 100914831 B1 KR100914831 B1 KR 100914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ase
boat
unit
charg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일
웅 정
정상득
Original Assignee
정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일 filed Critical 정상일
Priority to KR102009002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용 보트의 교류전원이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 보트의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인입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보트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입부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보트에 대한 상기 케이스의 밀착 설치의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감지 결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보트에 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부 측에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지 않도록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 보트용 충전기를 제공한다.
개시된 해상 보트용 충전기에 따르면, 해상용 보트에 설치되어 보트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보트의 배터리 충전에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충전기가 보트에 밀착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충전부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해상에서의 요동 및 충격에도 견고하고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다. 더욱이, 온도센서의 감지를 통해 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충전부의 배터리 충전 동작을 오프시킴에 따라, 고열에 따른 충전기의 성능저하 또는 이상동작 문제를 방지하며 충전부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상 보트용 충전기{Charger for maritime boat}
본 발명은 해상 보트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용 보트에 설치되어 충전기로 사용되는 해상 보트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기는 배터리가 필요한 곳에서 사용이 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충전기는 카메라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해상에서의 선박, 보트 등에서는 해상이라는 환경조건에 의해 충전기가 적용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실제로도 적용 사례가 전무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해상용 보트에 설치되어 충전기로 사용 가능한 해상 보트용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상용 보트의 교류전원이 인입되는 인입부와, 상기 보트의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인입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보트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인입부와 상기 충전부 및 상기 표시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보트에 대한 상기 케이스의 밀착 설치의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감지 결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보트에 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부 측에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지 않도록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 보트용 충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부의 변환된 직류전압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상기 충전부의 충전 동작을 오프시키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값, 상기 배터리에 대한 상기 충전부의 충전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충전부에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상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상기 배터리의 충전완료상태를 더 표시하되, 상기 충전량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충전량을 바 엘이디(Bar LE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접촉되는 방열판, 및 상기 충전부와 상기 방열판에 개별 접촉되는 흡열부와 방열부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열전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충전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상기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 보트용 충전기에 따르면, 해상용 보트에 설치되어 보트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보트의 배터리 충전에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한, 충전기가 보트에 밀착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충전부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해상에서의 요동 및 충격에도 견고하고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다. 더욱이, 온도센서의 감지를 통해 케이스 내부의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충전부의 배터리 충전 동작을 오프시킴에 따라, 고열에 따른 충전기의 성능저하 또는 이상동작 문제를 방지하며 충전부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보트용 충전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갖는 충전기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내부 배치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해상 보트용 충전기 110: 인입부
115: 출력부 120: 충전부
130: 케이스 131: 상부케이스
132: 하부케이스 133: 브라켓
140: 리미트스위치 150: 제어부
160: 온도센서 170: 표시부
180: 방열판 185: 열전소자
190: 수지부 195: 태양전지모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 보트용 충전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갖는 충전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 배치에 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는 해상용 보트에 직접 설치되어 보트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해상 보트란, 해상에서 운항되는 보트, 라이프 보트, 선박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임은 자명하다. 물론, 실제로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의 적용 부문은 특히 라이프 보트(구명정) 용도로 주력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는, 인입부(110), 충전부(120), 케이스(130), 리미트스위치(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인입부(110)는 해상용 보트의 교류전원이 인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교류전원은 해상용 보트에 규정된 특정 규격의 전원으로서, 42VAC 또는 24VAC가 사용 가능하다. 상기 42VAC 및 24VAC은 실제로 해상용 보트에 상용적으로 사용되는 전원 종류이다. 물론, 상기 해상용 보트에 대한 전원 규격은 50VAC 이하라면 무관하므로, 상기 42VAC, 24VAC 이외의 다른 전압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 충전부(12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트의 배터리(10)와 출력부(115)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충전부(120)는 상기 인입부(110)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10)를 충전한다. 상기 충전부(120)는 정전류 충전 및 정전압 충전의 수행이 가능하며, 24시간 풀차징을 통해 배터리(10)를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충전부(120)의 충전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트리클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충전부(120)는, 예를 들어 42VAC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12VDC의 직류전압으로 변환 가능하다. 물론 상기 직류전압은 반드시 12VDC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3.5VDC 등의 직류전압의 변환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충전부(120)는, 도 5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21) 및 상기 회로기판(121)에 구비된 각종의 전자부품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3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별도의 브라켓(133)에 의해 그 바닥면이 상기 보트에 밀착되도록 설치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스(130)에는 상기 인입부(110)와 상기 충전부(120)가 설치된다. 실제로 상기 충전부(120)는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30)에 내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40)는 상기 보트에 대한 상기 케이스(130)의 밀착 설치의 여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140)의 몸체는 상기 케이스(130)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되, 그 단자부(141)는 케이스(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선박의 밀착 설치에 따른 스위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40)의 감지 결과, 상기 케이스(130)가 상기 보트에 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부(120) 측에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지 않도록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상기 충전부(120)가 구현되는 회로기판(121) 상에 제어 회로로서 구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는 보트의 요동성이 많기 때문에, 충전기(10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손상될 수 있고, 심지어는 충전의 불안정에 따른 폭발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에 따르면, 상기 리미트스위치(140)와 제어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기(100)의 케이스(130)가 보트에 밀착 설치된 경우에 한하여 충전부(120)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해상에서의 요동 및 충격에도 견고하고 안정적인 특성을 갖는 이점이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는 온도센서(160) 및 표시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온도센서(160)는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표시부(170)는 상기 케이스(130)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부(120)의 변환된 직류전압을 디지털 방식으로 화면으로 표시 가능하다. 이러한 표시부(170)는, 외부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70)는 확인부(171)을 통해 상기 직류전압을 7-세그먼트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직류전압에 대한 정확한 전압값을 육안으로 정확하고 빠르게 인식 가능하며, 변환된 직류전압 값이 원하는 규격대로 제대로 변환되었는지의 여부도 실시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테스트기가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제반되는 점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직류전압의 표시에 대한 오차범위는 0.05V 내외로 하여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온도센서(160)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기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상기 충전부(120)의 충전 동작을 오프(Off)시킨다. 이에 따르면, 충전기(100)의 이상 발열시 자동으로 충전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함에 따라, 온도에 따른 충전기의 성능저하 또는 이상동작 문제를 방지한다. 또한, 충전부(120)의 정전류 충전류 중에 고온이 발생하는 경우, 자동으로 충전을 오프시킴에 따라 작동 중인 충전부(120)를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충전부(120)에 교류전원이 입력될 때 외부 온도의 영향이 작용하는 경우 충전성능을 100% 발휘하기 곤란하게 된다. 특히, 반도체 소자들은 150℃에서 보통 손상이 되며, 65~80℃의 온도에서는 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100%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도센서(160)의 감지온도가 70℃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충전부(120)의 충전 동작을 오프(Off)시켜, 충전이 오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감지온도가 40℃ 내지 45℃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다시 충전부(120)의 충전 동작을 다시 온(On) 시켜, 충전 동작이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보트나 선박 등은 열대지방으로의 이동 또한 있으므로, 고온의 대기 온도와 충전기(100) 자체의 온도 간의 결합으로 인해 높은 발열이 일어나기 쉽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보트나 선박이 열대야 지방으로 이동시 고온의 상황 대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고, 고온에도 최적의 기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확인부(171)를 통해 상기 온도센서(160)의 온도값, 상기 배터리(10)에 대한 상기 충전부(120)의 충전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실시간 표시 가능하다. 물론, 케이스(130)의 외부를 통해, 충전부(120)의 충전 온/오프 상황과 온도값을 실시간 확인 가능함에 따라, 이들 값의 육안으로의 비교를 통해 충전기(100)의 오동작 여부의 확인까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충전부(120)에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상태, 상기 배터리(10)의 충전량, 상기 배터리(10)의 충전완료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교류전원의 입력 상태는 별도의 파워램프(173)의 점멸 또는 점등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배터리(10)의 충전량과 충전완료상태는 바 엘이디(Bar LED;172)를 통해 표시 가능하다. 이러한 바 엘이디(172)는 충전량을 여러 개의 막대 이미지로 단계별로 표현함에 따라 충전량의 확인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바 엘이디(172)는 13.5V 이상의 만충 상태와 12V 이하의 방전상태를 서로 구분되는 형태로 표시 가능하다.
상기 바 엘이디(172)는, 디지털 LED 방식을 통한 충전 전압값의 직접 표시와 같이 정확한 전압값을 알 수는 없으나, 만충과 방전 상태의 수치에 대한 관념이 부족한 초보자의 경우에도 충전량 및 충전상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상기 표시부(170)는 상기 케이스(130)의 보트 밀착 여부를 표시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는 표시부(170)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위급 상황에 대한 좀더 쉽고 빠른 확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는 발열에 강인하도록, 방열판(180)과 열전소자(185)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판(180)은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 바닥면 상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185)는 통상의 흡열부와 방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흡열부는 상기 충전부(12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121) 상에서 상대적으로 발열이 큰 IC칩(122) 부분에 접촉 설치되어 흡열을 수행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방열판(180)에 접촉되어 상기 충전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킨다. 이러한 열전소자(185)는 통상의 펠티어 소자가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열전소자(185)를 이용하여, 발열 성분이 쉽게 외부로 빠져나가서 빠른 열전달이 수행됨에 따라, 충전부(120) 등의 내부회로에 대한 열대처 능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장시간 충전에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기 온도센서(160)는 상기 방열판(180)에 구비되어 동작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온도 감지에 따른 충전부(120)의 충전 동작의 차단의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30)는 상부케이스(131)와 하부케이스(132) 간의 조립에 의해 구현 가능하다. 상부케이스(131)에는 표시부(170)가 표출되도록 설치된다. 하부케이스(132)에는 인입부(110), 출력부(115), 충전부(120), 리미트스위치(140), 제어부(150), 온도센서(160), 표시부(170), 방열판(180), 열전소자(185)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31)와 하부케이스(132)는, 해상에서의 환경 변화에 강인하도록 방진 및 방수 효과가 우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국제 방수규격인 IP67에 만족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외부 공기 혹은 해수의 인입을 방지하여 케이스 내부의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외에도, 케이스(130)의 외부에서 상기 인입부(110)와 출력부(115)에 구비되는 케이블 그랜드(Cable Gland) 또한, 혹한 극지방 및 열대야 지방에서 견딜 수 있는 규격으로 설치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는,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지부(190)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수지부(190)는 내열 수지로서,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에 상기 충전부(120) 등의 부품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상기 충전부(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상기 충전기(100)의 초기 충전시, 높은 암페어로 인한 발열이 발생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방열판(180)의 크기와 그에 따른 케이스(130)의 크기 또한 큰 사이즈로 제작되어야 하고, 케이스(130)의 타공까지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대처에도 불구하고,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충전기(100)의 부풀어 오름 및 파손을 방지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30) 내부에 상기 내열 수지를 형성하여 빠른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상기한 부풀어 오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열 수지에 따르면, 충전부(120) 등의 회로 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함에 따라 외부 충격에도 강인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수지부(190)는 상기 케이스(130)의 내부에 도포된 후 경화되어 사용 가능하다. 수지부(190)는 내열 성분을 가지고 열전도 효율이 좋은 수지 재질이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지 재질은 기존에 공지된 사항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부(190)의 형성시에도 내부회로 등의 부품이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색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 내부 회로 등이 외부로 공개되지 않도록 별도의 보완이 필요한 경우, 상기 수지 재질에 별도의 색상 재료를 부가하여 수지부(190)를 형성함으로써, 내부 회로의 노출이 어렵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해상 보트용 충전기(10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태양열 전지모듈(195)을 구비한다. 상기 태양열 전지모듈(195)은 상기 인입부(110)의 대용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트에 직접 설치되어 태양으로부터 흡수한 태양열 에너지를 상기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전부(120)에 제공 가능하다. 물론, 태양열 전지모듈(195)은 케이스(130) 내의 충전부(120)와 별도의 케이블 등에 의해 연결 가능하다. 이를 위해 케이블이 인입되는 별도의 인입단자가 케이스(13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태양열 전지모듈(195)은 상기 인입부(110)를 대신하여, 태양열로부터 변환 생성된 교류전원을 충전부(120)에 제공 가능함에 따라, 상기 인입부(110)를 통한 교류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경우(인입부의 고장, 교류전원의 끊김 발생 등)에도 충전 동작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해상용 보트의 교류전원이 인입되는 인입부;
    상기 보트의 배터리와 연결되고, 상기 인입부를 통해 상기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보트에 밀착되도록 설치되고, 외부와 내부에 각각 상기 인입부와 상기 충전부가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충전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상기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열 수지인 수지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밀착 설치에 따라 스위치 동작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단자부를 이용하여 상기 보트에 대한 상기 케이스의 밀착 설치의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감지 결과 상기 케이스가 상기 보트에 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충전부 측에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지 않도록 상기 교류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 보트용 충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충전부의 변환된 직류전압을 화면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값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에 대한 상기 충전부의 충전 동작을 오프시키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값, 상기 배터리에 대한 상기 충전부의 충전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더 표시하는 해상 보트용 충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충전부에 상기 교류전원이 입력되는 상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상기 배터리의 충전완료상태를 더 표시하되, 상기 충전량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상기 충전량을 바 엘이디(Bar LED) 형태로 표시하는 해상 보트용 충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접촉되는 방열판; 및
    상기 충전부와 상기 방열판에 개별 접촉되는 흡열부와 방열부를 구비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열전소자를 더 포함하는 해상 보트용 충전기.
  5. 삭제
KR1020090022628A 2009-03-17 2009-03-17 해상 보트용 충전기 KR100914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28A KR100914831B1 (ko) 2009-03-17 2009-03-17 해상 보트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628A KR100914831B1 (ko) 2009-03-17 2009-03-17 해상 보트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831B1 true KR100914831B1 (ko) 2009-09-02

Family

ID=41355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628A KR100914831B1 (ko) 2009-03-17 2009-03-17 해상 보트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056A (ko) 2016-10-27 2018-05-08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해상용 엔진 시동기
KR20210145466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유니크 충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253A (ko) * 2001-03-29 2002-10-11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복수 채널의 충전기
KR20050059435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충전기
KR20070011693A (ko) * 2005-07-21 2007-01-25 신항희 태양전지를 이용한 휴대기기 충전장치
KR20090002346U (ko) * 2007-09-04 2009-03-09 (주)신명디지탈 유에스비 포트로의 충방전이 가능한 태양광 충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253A (ko) * 2001-03-29 2002-10-11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복수 채널의 충전기
KR20050059435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팬택 휴대용 충전기
KR20070011693A (ko) * 2005-07-21 2007-01-25 신항희 태양전지를 이용한 휴대기기 충전장치
KR20090002346U (ko) * 2007-09-04 2009-03-09 (주)신명디지탈 유에스비 포트로의 충방전이 가능한 태양광 충전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056A (ko) 2016-10-27 2018-05-08 대한민국(해양경찰청 해양경찰연구센터장) 해상용 엔진 시동기
KR101959897B1 (ko) * 2016-10-27 2019-03-20 대한민국 해상용 엔진 시동기
KR20210145466A (ko) * 2020-05-25 2021-12-02 주식회사 유니크 충전기
KR102395084B1 (ko) * 2020-05-25 2022-05-10 주식회사 유니크 충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6539B1 (en) Modular battery pack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viral data and/or code transfer
JP5275176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機能停止方法
US20160226044A1 (en) Battery pack for electric power tool
JP5529354B2 (ja) 交換可能モジュールを有する無線計測トランスミッタ
US9041342B2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AU2018202611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A Watercraft Motor Module
NZ580307A (en) LED light fixture with back-up battery and assembly including an elongate heat sink in which an LED-array module is connected
ES2716150T3 (es) Método y aparato de control de carga y adaptador de corriente
US20110074362A1 (en) Battery unit
KR100914831B1 (ko) 해상 보트용 충전기
KR102285353B1 (ko) 본질적으로 안전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2339A (ko) 배터리 보호용 삽입 센서
CN103702900A (zh) 用于紧急冷却和/或紧急扑灭船舶的电池组的方法、电池组和船舶
JP2007124775A (ja) 二次電池保護装置
KR20190032882A (ko) 배터리 보호 회로
JP2008155746A (ja) バッテリヒューズターミナル
CN107608423B (zh) 一种具有侧向升降式保护装置的温度控制器
KR101264129B1 (ko) 선박용 서지 보호 장치
KR101079699B1 (ko) 이동식 방폭형 컴퓨터
CN208461673U (zh) 一种快速散热的电源适配器外壳
KR20170002812U (ko) 선박 고정 구조물
CN101546815B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电池模块
JP2011176155A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654574B1 (ko) 배전선로의 분산전원 제어장치
CN210038574U (zh) 户外传感器的温度控制装置及户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