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757B1 -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 Google Patents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757B1
KR100914757B1 KR1020070105795A KR20070105795A KR100914757B1 KR 100914757 B1 KR100914757 B1 KR 100914757B1 KR 1020070105795 A KR1020070105795 A KR 1020070105795A KR 20070105795 A KR20070105795 A KR 20070105795A KR 100914757 B1 KR100914757 B1 KR 10091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r hand
protractor
hand
angle
h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160A (ko
Inventor
송지윤
Original Assignee
송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윤 filed Critical 송지윤
Priority to KR102007010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75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측정이 가능한 시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계는 시침과 분침을 가지는 시계본체; 및 상기 시침과 분침 중 어느 하나에 기준선 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계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Watch having angle measurement function}
본 발명은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용이하게 계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시계에 관한 것이다.
초등학교나 중등학교 수업시간에는 시계와 각도기를 이용하여 시간을 읽는 연습과 각도를 계산하는 연습을 병행하고 있다. 예컨대, 시계의 시침과 분침이 그려진 그림에 각도기를 대어 보고,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해 시계와 각도기를 이해시키는 것이 그리 쉬운 것만은 아니다. 또한, 근자에는 교육환경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도구를 이용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아이들에게 도구를 이용하여 입체적인 수업을 병행한다면, 시간을 읽는 연습과 각도를 계산하는 연습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시침과 분침 사의의 각도를 명확하고 쉽게 인식시켜 주기 위해서, 도구를 이용한 이미지 교육이 병행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침과 분침을 가지는 시계본체; 및 상기 시침과 분침 중 어느 하나에 기준선 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계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기는 상기 시침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시계본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시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에는 비원형단면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도기는 상기 비원형단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비원형홈을 구비하여서, 상기 각도기의 비원홈에 상기 시침의 비원형단면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시침의 회전과 함께 상기 각도기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각도기는 상기 시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홈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시침이 상기 각도기의 삽입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시침의 회전과 함께 상기 각도기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각도기는 투시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선이 인쇄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시계에는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일부요소들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케이스부재 2:투시부재
3:커버부재 31:기어박스
4:초침 41:초침회전축
5:분침 51:분침회전축
6:시침 61:시침회전축
61a:비원형단면부 7:각도기
71:비원형홈 130:커버부재
170:각도기 171:삽입홈부
220:투시부재 221:걸림후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일부요소들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계는 시계본체와 각도기(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계본체는 그 시계본체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부재(1)와 상기 케이스부재(1)의 배면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3)에는 시침(6)과 분침(5)과 초침(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숫자나 눈금들이 전면에 인쇄되어 있다.
이하, 상기 시침(6)과 분침(5)과 초침(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3)에는 기어박스(3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기어박스(31)에는, 상기 시침(6)과 분침(5)과 초침(4)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와 그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기어들(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시침회전축(61)이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어들 중 다른 하나에는 분침회전축(51)이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들 중 또 다른 하나에는 초침회전축(41)이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시침회전축(61)은 상기 시침(6)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시침(6)에 결합된다. 상기 분침회전축(51)은 상기 시침회전축(61)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시침회전축(61)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분침(5)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분침(5)에 결합된다. 상기 초침회전축(41)은 상기 분침회전축(51)에 대해 회전될 수 있도록 그 분침회전축(51)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초침(4)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초침(4)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시침(6)과 분침(5)과 초침(4)이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기(7)는 상기 시침(6)에 기준선 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계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기(7)는 상기 분침(5)에 기준선 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계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기(7)가 상기 시침(6)에 기준선 정렬이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침(6)을 회전시키기 위한 시침회전축(61)에 비원형단면부(61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도기(7)에 상기 비원형단면부(61a)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비원형홈(7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1실시예는 상기 비원형단면부(61a)에 상기 비원형홈(71)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시침(6)의 회전과 함께 상기 각도기(7)가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침(6)의 기준선(12시)에 상기 각도기(7)의 기준선(0도)을 일치하도록 상기 비원형단면부(61a)에 상기 비원형홈(71)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시침(6)과 분침(5) 사이의 각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1실시예를 이용하여 시침(6)과 분침(5)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연습을 가정에서나 학교에서 실시함으로써, 아이들이 상기 시침(6)과 분침(5) 사이의 각도를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는 상기 커버부재(3)에 인쇄된 숫자와 눈금선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시부재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되, 앞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일부 구성요소들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침회전축(161)은 숫자와 눈금선이 인쇄되어 있는 커버부재(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시침회전축(161)에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비원형단면부(61a)와 비원형홈(71)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2실시예는, 시침(160)과 각도기(170)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각도기(170)에 시침(16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시침(160)이 삽입되는 삽입홈부(171)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2실시예는, 상기 시침(160)이 모터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상기 각도기(170)가 시침(160)과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침(160)과 분침(150) 사이의 각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부재(210)에 투시부재(2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투시부재(220)는 유리와 같은 투시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숫자와 눈금선이 인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각도기는 상기 투시부재(220)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투시부재(220)는 탄성변형 가능한 걸림후크(221)가 상기 케이스부재(210)의 내벽에 걸림으로써, 상기 투시부재(220)와 케이스부재(210)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3실시예는 상기 제1,2실시예와는 달리 시침과 각도기가 함께 회전되지 않고, 상기 투시부재(220)를 수동조작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상기 시침(260)의 기준선과 투시부재(220)의 기준선을 정렬시켜 주어야 하나, 상기 제1,2실시예에 비해 구조가 더욱 간소해지는 장점을 가진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22는 사용자가 상기 투시부재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파지성을 높이기 위한 돌기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시계의 부분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와는 달리 각도기(370)와 함께 회전되고 시침회전축(361)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각도기용 회전축(371)을 구비한다. 상기 각도기용 회전축(371)에는 기어박스(331) 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원활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는 돌기부(37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4실시예는 시침(360)과 분침(350) 모두 각도기(370)의 기준선에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5)

  1. 삭제
  2. 시침과 분침을 가지는 시계본체; 및
    상기 시침에 기준선 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시침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상기 시계본체에 설치되는 각도기;를 구비하여서, 상기 시침과 분침 사이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에는 비원형단면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도기는 상기 비원형단면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비원형홈을 구비하여서, 상기 각도기의 비원홈에 상기 시침의 비원형단면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시침의 회전과 함께 상기 각도기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기는 상기 시침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삽입홈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시침이 상기 각도기의 삽입홈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시침의 회전과 함께 상기 각도기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기는 투시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선이 인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KR1020070105795A 2007-10-19 2007-10-19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KR100914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795A KR100914757B1 (ko) 2007-10-19 2007-10-19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795A KR100914757B1 (ko) 2007-10-19 2007-10-19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160A KR20090040160A (ko) 2009-04-23
KR100914757B1 true KR100914757B1 (ko) 2009-09-02

Family

ID=4076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795A KR100914757B1 (ko) 2007-10-19 2007-10-19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580B1 (ko) 2012-04-18 2013-02-22 김태현 교육용 시계
WO2014189266A1 (ko) * 2013-05-20 2014-11-27 Kim Tae-Hyun 교체가능한 부품이 구비된 교육용 시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23Y1 (ko) * 2022-05-23 2024-01-08 김미진 시계형 수학 교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511A (en) * 1982-03-15 1984-12-11 Giancarlo Lucarelli Watch for the space orientation in addition to the time orientation
US5036499A (en) * 1990-11-20 1991-07-30 Artime S.P.A. Watch for sailing races
JPH04225192A (ja) * 1990-04-18 1992-08-14 Cie Montres Longines Francillon Sa コンパス時計
JPH09101381A (ja) * 1995-10-02 1997-04-15 Seiko Instr Inc アナログクオーツ腕時計の針位置・角度自動検出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7511A (en) * 1982-03-15 1984-12-11 Giancarlo Lucarelli Watch for the space orientation in addition to the time orientation
JPH04225192A (ja) * 1990-04-18 1992-08-14 Cie Montres Longines Francillon Sa コンパス時計
US5036499A (en) * 1990-11-20 1991-07-30 Artime S.P.A. Watch for sailing races
JPH09101381A (ja) * 1995-10-02 1997-04-15 Seiko Instr Inc アナログクオーツ腕時計の針位置・角度自動検出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580B1 (ko) 2012-04-18 2013-02-22 김태현 교육용 시계
WO2014189266A1 (ko) * 2013-05-20 2014-11-27 Kim Tae-Hyun 교체가능한 부품이 구비된 교육용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160A (ko)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57B1 (ko) 각도 측정이 가능한 시계
KR101302166B1 (ko) 분도기 겸용 칠판자
CN204414928U (zh) 一种多功能数学教学用具
US20150072329A1 (en) Educational timepiece
US20150301504A1 (en) Watch having gears for observation
CN210881467U (zh) 一种数学教学多功能教具
US6926530B2 (en) Game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se in teaching the addition and subtrac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numbers
CN201527728U (zh) 哥德巴赫猜想验证尺
KR100638357B1 (ko) 학습용 톱니바퀴 세트
CN105150725A (zh) 一种多功能数学课用教具
KR102461302B1 (ko) 각도표시기능을 갖는 각도기
US20050210688A1 (en) Visual protractor
KR20130003768U (ko) 각도 측정기
CN209763964U (zh) 一种用于齿轮间距的测量装置
KR100584930B1 (ko) 입체시계
CN213199301U (zh) 一种多功能一体教学尺
KR200417511Y1 (ko) 길이 측정용 자
CN220390827U (zh) 圆规
JP4791507B2 (ja) 回転体を備える玩具
CN206628149U (zh) 一种数学教学用可发声的钟表盘
KR200497623Y1 (ko) 시계형 수학 교구
KR200495894Y1 (ko) 톱니바퀴를 이용한 학습교구
CN212889622U (zh) 尺规作图仪
KR870000879Y1 (ko) 분도기
KR200286073Y1 (ko) 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