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584B1 - 너트 탭핑장치 - Google Patents

너트 탭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584B1
KR100914584B1 KR1020070092274A KR20070092274A KR100914584B1 KR 100914584 B1 KR100914584 B1 KR 100914584B1 KR 1020070092274 A KR1020070092274 A KR 1020070092274A KR 20070092274 A KR20070092274 A KR 20070092274A KR 100914584 B1 KR100914584 B1 KR 100914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s
rail
processing
feed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739A (ko
Inventor
진삼하
Original Assignee
진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삼하 filed Critical 진삼하
Priority to KR102007009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58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23G1/185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2210/00Details of threads produced
    • B23G2210/21Threads in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2240/00Details of equipment for threading other than threading tools, details of the threading process
    • B23G2240/5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무인화 시스템에 의해 완전 자동화 하여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들이 일렬로 설치된 각 가공장치들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함에 의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너트 탭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에 구비된 호퍼로부터 이송되는 너트에 암나사 가공을 위한 가공장치들이 일렬로 배열 설치된 가공부; 상기 가공부 인접하여 수용함을 설치하여 너트들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함에 수용된 너트들을 가공부의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한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가공부의 상부로 이송된 너트들을 이송시킬 수 있게 한 공급용 이송레일;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하는 너트들을 상기 가공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상기 호퍼들의 대응위치에서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함과 아울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킬 수 있게 설치한 실린더로 이루어진 작동수단; 및 상기 각 호퍼에 채워지는 너트들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실린더와 공급용 이송레일 및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너트 탭핑장치{nut ta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너트 탭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들을 무인화 시스템에 의한 완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공급된 너트들을 자동으로 각 가공장치들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너트 탭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트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는, 탭이 형성된 탭봉을 회전시키고, 그 탭봉에 너트를 연속적으로 끼워지도록 밀어주는 것에 의해 너트의 내주면에 암나사를 가공한다.
이와 같이 너트의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를 도 6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10)는 탭봉(11), 클램프(12), 회전수단(13) 및 푸셔수단(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탭봉(11)은 선단에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탭(11a)이 형성되고 후단에 절곡부(1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13)에는 탭봉(11)이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끼워지는 슬리브(13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10)에서, 너트의 탭핑 작업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클램프(12)에는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16)가 놓여진다. 이 클램프(12)는 상기 푸셔수단(14)에 의해 상기 탭봉(11)의 선단쪽으로 슬라이드 이송된다.
또한, 상기 탭봉(11)은 상기 회전수단(13)에 의해 고속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너트(16)가 상기 탭봉(11)의 탭(11a)을 통과하면서 그 너트(16)의 내경에는 암나사가 가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탭봉(11)의 탭(11a)을 통과한 가공된 너트(16)들은 상기 탭봉(11)을 따라 이송되어 상기 탭봉(11)의 끝단에 형성된 절곡부(11b)를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 따른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는, 하나의 가공장치에 의해서만 너트의 암나사 가공이 이루어짐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너트의 암나사 가공장치를 다수개 설치하여 가공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다수개의 가공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다수개의 가공장치에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를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공급해 주어야 함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들을 완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공급된 너트들을 자동으로 각 가공장치들에 선택적으로 공급함에 의해 무인화 시스템이 가능하게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너트 탭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탭이 형성된 회전하는 탭봉에 호퍼로부터 이송된,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들을 연속적으로 끼워지게 밀어주어, 상기 탭으로 하여금 상기 너트에 암나사를 가공할 수 있게 되어, 기체 위에 일렬로 밀집되게 배치한 2개 이상의 가공장치들로 이루어진 가공부; 상기 가공부의 일측에서 그 가공부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피가공물인 너트들을 상기 가공장치들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가공부의 상부에서 상기 가공장치들과 이송컨베이어를 연락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너트들을 상기 가공장치의 각각에 공급하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공급용 이송레일;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하는 너트들을 상기 가공장치들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상기 호퍼들의 대응위치에서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함과 아울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을 회동시킬 수 있게 설치한 실린더로 이루어진 작동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의 회동판을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도록 상기 각 호퍼에는 너트들이 채워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실린더와 공급용 이송레일 및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공장치들에 의해 암나사가 가공되어 배출되는 너트들을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가공장치들의 배출구에 인접되게 배출용 이송레일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들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각 가공장치에 선택적으로 공급함에 의해 작업성의 향상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에 구비되는 작동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a ~도 5b는 도 4표시의 자동수단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너트 탭핑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표시의 너트 탭핑장치에서 탭봉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너트 탭핑장치 110 - 기체
120 - 수용함 130 - 이송컨베이어
140 - 공급용 이송레일 150 - 작동수단
152 - 회동판 154 - 실린더
160 - 제어수단 170 - 배출용 이송레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100)는, 너트의 암나사를 가공할 수 있는 가공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공부는 가공장치(100a,100b..)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은 상부에 구비된 호퍼(102a,102b..)로부터 이송된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180)들을, 탭이 형성된 회전하는 탭봉(104)에 상기 너트(180)들을 연속적으로 끼워지게 밀어주어서 상기 탭으로 하여금 상기 너트(180)들에 암나사를 가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공장치는 통상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100)는,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이 적어도 2개 이상 일렬로 배열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기체(110)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이 3개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가공장치들을 4개, 5개 혹은 그 이상의 개수를 배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110)에 인접 위치에는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180)들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함(120)이 설치된다. 상기 수용함(120)은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180)들을 수용할 수 있는 상부가 개구된 공간부를 갖는다.
이와 같은 수용함(120)의 하부와 상기 가공장치(100a,100b..)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이송컨베이어(130)를 설치하여, 상기 수용함(120)에 수용된 너트(180)들을 상기 가공장치(100a,100b..)의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130)에 의해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의 상부로 이송된 너트(180)들을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의 상부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의 상부에는 공급용 이송레일(140)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급용 이송레일(140)에는 작동수단(150)이 설치되어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타고 이송하는 너트(180)들을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에 구비되는 각각의 호퍼(102a,102b..)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에 구비되는 작동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a ~도 5b는 도 4표시의 자동수단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작동수단(150)은 호퍼(102a,102b..)들에 대응위치에서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함과 아울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회동판(152)과 상기 회동판(152)을 회동시킬 수 있게 설치한 실린더(154)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타고 이송되는 너트들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가공장치들에 구비되는 각 호퍼(102a,102b..)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면 부호 (156)은 상기 실린더(154)에 의해 상기 회동판(152)을 회동시킬 경우 상기 회동판(152)이 회동되게 하기 위한 힌지축(156)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힌지축(156)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회동판(152)이 회동된다. 도 4를 통해 실린더(154)에 의한 회동판(152)의 회동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회동판(152)은 일단부에 회동중심을 이루는 힌지축(156)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156)이 형성된 측의 단부로부터 공급용 이송레일(14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장편(152a)이 형성되어 상기 각 호퍼들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54)는 직선 왕복운동하는 작용로드(154a)가 상기 연장편(152a)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의 외측면에서 공급용 이송레일(140)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이 공급용 이송레일(140)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즉, 도 4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린더(154)의 작용로드(154a)가 수축된 상태에서는 연장편(152a)이 작용로드(154a)에 의해 실린더측으로 당겨진 상태가 되면서 힌지축(156)을 중심으로 연장편(152a)의 대향측에 마련된 회동판(152)이 공급용 이송레일(140)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너트들이 회동판(152)에 의해 회동판(152)에 대응되는 위치의 호퍼측으로 안내된다. 또한,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린더(154)의 작용로드(154a)가 연장된 상태에서는 연장편(152a)이 실린더(152)의 작용로드(154a)에 의해 밀려진 상태가 되면서 상기 회동판(152)이 공급용 이송레일의 상부일측에 배치되므로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는 너트들이 회동판(152)에 간섭받지 않고 다음 호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100)는 제어수단(16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수단(160)은 상기 작동수단(150)의 회동판(152)을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실린더(154)를 제어하도록 상기 각 호퍼(102a,102b..)에는 너트들이 채워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실린더(15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센서의 감지에 의해서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과 배출용 이송레일(170)과 상기 이송컨베이어(130)의 구동도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100)는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에 의해 암나사가 가공되어 배출되는 너트(180)들을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의 배출구(106)에 인접하여 배출용 이송레일(170)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너트 탭핑장치(100)에 구비되는 이송컨베이어(130), 공급용 이송레일(140), 배출용 이송레일(17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100)에 의해 너트의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수용함(120)의 공간부에 암나가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180)들을 수용한다.
상기 수용함(120)에 수용된 너트들은 상기 이송컨베이어(130)를 타고 가공장치들의 상부에 설치된 공급용 이송레일(140)로 이송되어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타고 가공장치(100a,100b..)들의 상부를 따라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상기 너트들은 상기 실린더(154)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판(152)에 의해 상기 가공장치들에 구비되는 각 호퍼(102a,102b..)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타고 이송되는 너트들이 상기 각 호퍼(102a,102b..)에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의 상부에 설치된 회동판(152)을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가로지르도록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타고 이송되는 너트들은 상기 회동판(152)에 의해 공급용 이송레일(140)로부터 상기 각 호퍼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동판(152)을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에 일직선이 되게 회동시키면 상기 너트들은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타고 계속 이송되며, 뒤에 설치되는 다른 회동판(152)에 의해 각 호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상기 회동판(152)은 상기 호퍼(102a,102b..)에 설치되는 센서(162)의 감지에 의해, 즉 호퍼(102a,102b..)에 너트들이 채워지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회동판(152)을 공급용 이송레일(140)과 일직선이 되도록 회동시키고, 상기 호퍼(102a,102b..)에 너트들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를 센서가 감지하면 상기 회동판(152)이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가로지르도록 회동하여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140)을 타고 이송되는 너트들이 상기 회동판(152)에 의해 각 호퍼(102a,102b..)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가공장치(100a,100b..)들에 구비된 호퍼(102a,102b..)로 공급되는 너트들은 상기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탭이 형성된 탭봉에 의해 너트의 암나사가 가공되고, 이와 같이 가공된 너트는 배출구(106)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와 같이 배출되는 너트들을 배출용 이송레일(170)을 타고 일측으로 이송되어 한곳에 모아지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100)는 상기 수용함(120)의 공간부에 암나가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180)들을 수용하는 작업만을 작업자가 할 뿐, 그 이외의 모든 작업은 자동화되어 무인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수용함(120)에 너트를 넣기만 하면, 상기 너트의 이송부터 공급, 가공 및 배출에 관한 일렬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너트 탭핑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탭이 형성된 회전하는 탭봉에 호퍼로부터 이송된, 암나사가 가공되지 않은 너트들을 연속적으로 끼워지게 밀어주어, 상기 탭으로 하여금 상기 너트에 암나사를 가공할 수 있게 되어, 기체 위에 일렬로 밀집되게 배치한 2개 이상의 가공장치들로 이루어진 가공부;
    상기 가공부의 일측에서 그 가공부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피가공물인 너트들을 상기 가공장치들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가공부의 상부에서 상기 가공장치들과 이송컨베이어를 연락되게 배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너트들을 상기 가공장치의 각각에 공급하는 이동로를 제공하는 공급용 이송레일;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하는 너트들을 상기 가공장치들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들의 대응위치에서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일단부에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이 형성된 측의 단부로부터 공급용 이송레일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장편이 형성된 회동판과, 상기 공급용 이송레일의 외측면에 공급용 이송레일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직선 왕복운동하는 작용로드가 상기 연장편에 연결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작동수단; 및
    상기 작동수단의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도록 상기 각 호퍼에는 너트들이 채워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실린더와 공급용 이송레일 및 이송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너트 탭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장치들에 의해 암나사가 가공되어 배출되는 너트들을 일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상기 가공장치들의 배출구에 인접 위치에 배출용 이송레일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탭핑장치.
KR1020070092274A 2007-09-11 2007-09-11 너트 탭핑장치 KR10091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74A KR100914584B1 (ko) 2007-09-11 2007-09-11 너트 탭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74A KR100914584B1 (ko) 2007-09-11 2007-09-11 너트 탭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739A KR20070112739A (ko) 2007-11-27
KR100914584B1 true KR100914584B1 (ko) 2009-08-31

Family

ID=3909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274A KR100914584B1 (ko) 2007-09-11 2007-09-11 너트 탭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187B1 (ko) 2010-03-25 2010-07-14 (주)용우 단판 적층제용 절연너트 가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385B1 (ko) * 2007-08-17 2009-06-05 최동철 히트싱크의 탭 가공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439Y1 (ko) * 1994-06-02 1998-04-16 박문덕 다열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물 마찰 감소장치
KR0138401Y1 (ko) * 1996-07-10 1999-05-01 주종학 탭핑기의 미가공 암나사 분배장치
KR100233337B1 (ko) * 1997-10-18 2000-03-02 박세락 수도관 연결용 너트 성형기
KR20010002291A (ko) * 1999-06-14 2001-01-15 진삼하 너트 탭핑 시스템
KR100757772B1 (ko) * 2006-03-29 2007-09-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연속적인 시트고무 절단 및 이송 장치와 절단 및 이송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4439Y1 (ko) * 1994-06-02 1998-04-16 박문덕 다열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물 마찰 감소장치
KR0138401Y1 (ko) * 1996-07-10 1999-05-01 주종학 탭핑기의 미가공 암나사 분배장치
KR100233337B1 (ko) * 1997-10-18 2000-03-02 박세락 수도관 연결용 너트 성형기
KR20010002291A (ko) * 1999-06-14 2001-01-15 진삼하 너트 탭핑 시스템
KR100757772B1 (ko) * 2006-03-29 2007-09-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연속적인 시트고무 절단 및 이송 장치와 절단 및 이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187B1 (ko) 2010-03-25 2010-07-14 (주)용우 단판 적층제용 절연너트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739A (ko)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08584B (zh) 一种管材运输机
CN1738755A (zh) 用于将空塑料容器或瓶子供给到机器或将其从机器输出的星形传送器和具有所述星形传送器的定位与对准机
CN105836427A (zh) 一种上料频率可控的上料机构
KR100914584B1 (ko) 너트 탭핑장치
JP2015171944A (ja) 搬送装置
CN103803292B (zh) 一种瓶子转向机构
JP2007269477A (ja) 搬送物姿勢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0719492B1 (ko) 환봉소재의 자동정렬 및 공급장치
KR101678165B1 (ko) 로딩 장치
KR200421132Y1 (ko) 환봉소재의 자동정렬 및 공급장치
CN108483316A (zh) 一种物料的转运装置
CN103639823A (zh) 转子定向输送机构
KR20120123803A (ko) 소재의 로딩 및 언로딩을 자동으로 하는 자동선반용 로더
US20090095596A1 (en) Workpiece transfer apparatus
KR101216534B1 (ko) 정제검사기용 정제 공급장치
JP4499632B2 (ja) 自動プレス設備
CN111386234B (zh) 改道设备
US11292673B2 (en) Switch device
KR100213725B1 (ko) 제품 기상 및 회전이송장치
CN202907412U (zh) 零件吸附嘴及零件安装装置
CN107498099B (zh) 一种全自动换向器铣槽设备
JP2002331444A (ja) 製造装置
CN111644884A (zh) 一种优化下料空间的机床结构
CN218947040U (zh) 一种副轴上料装置
CN115069569B (zh) 星轮实时加工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