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506B1 - 캐리어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506B1
KR100914506B1 KR1020070055378A KR20070055378A KR100914506B1 KR 100914506 B1 KR100914506 B1 KR 100914506B1 KR 1020070055378 A KR1020070055378 A KR 1020070055378A KR 20070055378 A KR20070055378 A KR 20070055378A KR 100914506 B1 KR100914506 B1 KR 100914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antenna frame
antenna
ba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671A (ko
Inventor
이준권
Original Assignee
이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권 filed Critical 이준권
Publication of KR2008007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45C13/385Luggage carriers with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을 설치하여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 없을 때에는 간단히 가방으로부터 분해하여 가방내부 또는 소정의 보관위치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간단히 가방에 조립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가방 또는 짐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도록 된 짐받침부재(110)와, 상기 짐받침부재에 설치되어 안테나식으로 신축되어 늘렸을 때 견인하기 용이하며 줄였을 때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손잡이를 갖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최외측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하부가 상기 짐받침부재(110)의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서 착탈가능 하도록 하는 착탈결합수단(122)이 구비되되,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은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의 외측면 소정위치에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잠금돌기(112d)와,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하부에 끼워져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 끼워져 안착되는 결합부재(122e)와, 이 결합부재(122e)의 측면 소정위치에 돌출되어 접혀지면서 상기 잠금돌기(112d)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잠금구멍(122f)이 형성된 락앤락 타입의 잠금레버(122g)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캐리어장치{CARRIER APPARATUS}
본 발명은 가방을 설치하여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 없을 때에는 간단히 가방으로부터 분해하여 가방 내부 또는 소정의 보관위치에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간단히 가방에 조립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캐리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생활하는 중에는 여행 또는 등산을 하거나 유아와 함께 나들이를 해야 할 때가 있고, 이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각각의 경우를 대비해서 여행 가방과 등산 배낭과 그리고 유아 배낭 또는 멜빵 등을 각각 준비해 놓고서 필요할 때마다 여행 가방, 등산 배낭 및 유아 배낭 또는 멜빵 등을 찾아서 사용하고 있으며, 여행 가방은 들고 다닐 수만 있게 된 것과 끌고 다닐 수 있는 것이 있으며, 등산 배낭은 일반적으로 메고 다니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여행을 하는 경우에 캐리어장치에 의해 끌고 다닐 수 있게 제작된 가방으로는 종종 불편을 겪게 될 때가 있다. 즉, 버스 터미널 또는 공항터미널의 내부나 건물 내부의 바닥과 같이 노면 상태가 아주 좋은 곳에서는 끌고 다닐 수 있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요철이 심한 바닥 또는 도로 위를 끌고 다닐 경우에는 무거운 가방을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이에 대한 해결이 요구되어 왔다. 등산 배낭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등산 중에는 등에 메고 다니지만 버스, 열차 또는 공항 터미널이나 혹은 건물 내부 등에서는 굳이 무거운 배낭을 메고 다니면서 어깨에 피로를 가중시킬 이유가 없어서 이에 대한 해결 또한 요구되어 왔다. 또한, 휴식 또는 대기 중에는 이들을 안정되게 세워 놓을 수 있는 것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캐리어장치가 가방에 설치되었을 때 캐리어장치에서 안테나식 프레임을 간단하게 분리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안테나식 프레임을 제거한 경우에도 바퀴와 이 바퀴를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의 무게에 의해 가방의 무게가 무거운 결점이 있다.
또 기존의 캐리어장치는 안테나프레임이 바퀴가 설치된 프레임에 결합되어 짐을 운반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점에서만 강조하였다.
또한 기존에도 짐을 싣기 위한 캐리어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캐리어장치는 여행가방이나 배낭등에 설치하기가 곤란함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높은 한편, 휴대에도 불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요할 때에 간단히 가방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없을 때 가방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간단히 가방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한편, 휴대도 간편하도록 된 캐리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가방 또는 짐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도록 된 짐받침부재와, 상기 짐받침부재에 설치되어 안테나식으로 신축되어 늘렸을 때 견인하기 용이하며 줄였을 때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손잡이를 갖춘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을 구성하는 최외측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의 하부와 상기 짐받침부재의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에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과 짐받침부재를 착탈가능 하도록 하는 착탈결합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착탈결합수단은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의 외측면 소정위치에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잠금돌기와,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하부에 끼워져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에 끼워져 안착되는 결합부재와, 이 결합부재의 측면 소정위치에 돌출되어 접혀지면서 상기 잠금돌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잠금구멍이 형성된 락앤락 타입의 잠금레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캐리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1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3부분으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1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배낭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1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배낭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100)는, 바퀴(1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가방 또는 짐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도록 된 짐받침부재(110)와, 상기 짐받침부재에 설치되어 안테나식으로 신축되어 늘렸을 때 견인하기 용이하며 줄였을 때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손잡이(121)를 갖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짐받침부재(110)는, 상기 바퀴(1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안테나프레임베이스(112)와, 이 캐리어안테나프레임베이스(11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방 또는 짐을 지지하도록 된 받침부(11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베이스(112)는 상기 짐받침부재(110)에 적재된 가방 또는 짐이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를 기준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어 지지하는 지지벽부(11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벽부(112a)에는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된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가 내측면에 밀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부(112a)와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는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의 고정핀(122a)이 끼워지는 구멍(112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받침부(113)는 본 실시예에서 파이프형태로 절곡성형된 것으로 파이프의 양단이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베이스(112)로 끼워지도록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경첩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절첩식으로 접철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100)를 구성하는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은, 최외측에 설치된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와, 이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하부에 고정된 착탈결합수단(122)을 구비하여,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의 고정핀(122a)이 상기 짐받침부재(110)쪽으로 탄력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멍(112c)에 끼워져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이 짐받침부재(110)에 장착되는 한편,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의 고정핀(122a)을 눌러서 짐받침부재(110)의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 형성된 구멍(112c)으로 일정한 높이로 함몰시키면,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최외측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를 잡고 짐받침부재(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의 고정핀(122a)를 누르게 되면 상기 구멍(112c)으로 함몰되어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면서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가 끼워진 짐받침부재(110)로부터 뽑아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100)를 구성하는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은, 다단으로 이루어진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손잡이(121)를 밀게 되면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에서 짐받침부재(110)로 돌출되어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짐받침부재(110)에 끼워져 있던 착탈결합수단(122)의 고정핀(122a)이 일정한 높이로 함몰되고,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손잡이(121)를 밀고 있는 상태로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를 잡고 짐받침부재(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은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내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밀착설치된 제1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4)와, 이 제1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탄력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손잡이(121)의 버튼(121a)를 누르면 함몰되고 상기 제1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4)의 내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밀착설치된 제2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5)를 가압하면 돌출되도록 된 안테나신장제어핀(126)과, 상기 안테나신장제어핀(126)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안테나신장제어핀(126)이 돌출된 상태로 끼워져 하부로는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의 고정핀(122a)이 함몰되도록 가압할 수 있게 제1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4)가 하부로 일정길이 내려가도록 되는 한편, 상부로는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에 제1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4)와 그외 제2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5)가 안테나식으로 줄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된 장공(127)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100)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최외측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과, 이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하부에 위치하여 고정핀(122a)을 갖춘 착탈결합수단(122)이 구비되고, 이 착탈결합수단(122)이 상기 짐받침부재(110)의 캐리어안테나프레임베이스(112)에 형성된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외측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하부가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에 의해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서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를 잡고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뽑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은,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22b)와, 이 고정부재에 끼워져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고정핀(122a)과,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고정핀을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의 상부로 돌출시키도록 된 탄발부재(122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은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를 상기 짐받침부재(110)에 고정하고 분리하기 위한 나사못과 같은 체결부재인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나사못과 같은 착탈결합수단(122)은 망실의 우려가 있고, 또 조립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필요하여 불편하다. 또 후크와 같이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착탈결합수단(122)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장치(100)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은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 하부가 끼워져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지지되는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과, 이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상기 손잡이(121)를 조작하게 되면 안테나식으로 뽑혀져 길어지게 되고 또는 안테나식으로 접혀지도록 된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과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을 포함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다.
또한 상기 캐리어장치(100)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길게 할 경우에는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먼저 도 5의 손잡이(121)에 구비된 버튼(121a)을 스프링(121b)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누르면 상기 버튼(121a)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있던 로드(121c)가 밀리면서 가동부재(121d)를 밀게되고, 이때 가동부재의 전방 경사부가 상기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의 하측 내부에 설치된 제1걸림부(121e)를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에서 이탈시키게 되어 상기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의 상부에 나사못(121f)으로 고정된 손잡이(121)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가 뽑히게 된다.
이후 상기 손잡이(121)를 계속해서 당기게 되면 상기 제1걸림부(121e)가 상기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의 상부에 걸려서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을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로부터 인출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상기 제1내측안테나프래임부재(124)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2걸림부(121g)가 걸치게 되어 일정한 길이로 인출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121h는 상기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의 상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스톱퍼마개이다.
다음 상기 캐리어장치(100)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짧게 할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6의 손잡이(121)에 구비된 상기 버튼(121a)을 스프링(121b)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누르면 상기 버튼(121a)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있던 로드(121c)가 밀리면서 가동부재(121d)를 밀게되고, 이때 가동부재(121d)의 전방 경사부가 상기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의 하측 내부에 설치된 제1걸림부(121e)를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의 상부에서 이탈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의 상부에 나사못(121f)으로 고정된 손잡이(121)를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가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의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접히게 된다.
이후 상기 손잡이(121)를 계속해서 밀게 되면 상기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의 하부가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2걸림부(121g)를 밀도록 된 해제핀부(121j)를 밀어서 제2걸림부(121g)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가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하부로 들어가게 되어 일정한 길이로 접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걸림부(121g)의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안테나신장제어핀(126)이 안내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에 장공(127)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에는 상기 고정핀(122a)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도록 고정부재(122b)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핀(122a)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고정핀(122a)이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로 돌출된 상태에서 함몰되는 한편,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고정핀(122a)에 의해 밀려나가도록 된 고정핀작동부재(122d)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은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에 나사못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고, 또 콕킹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21)를 잡고 밀게 되면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에 제1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4)와 제2내측안테나프레임부재(125)가 접철되면서 해제핀부(121j)에 의해 제2걸림부(121g)의 안테나신장제어핀(126)이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에 형성된 장공(127)으로 돌출되고, 계속해서 밀게되면 상기 장공(127)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걸림부(121g)가 상기 고정핀작동부재(122d)를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고정핀작동부재(122d)는 고정핀(122a)을 함몰되도록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를 상기 짐받침부재(110)를 잠고 당기게 되면 상기 짐받침부재(110)의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이 뽑혀지게 되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상기 캐리어장치(100)에 설치되되, 상기 캐리어장치(100)에 구비된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이 하부로부터 위에서 아래쪽으로 끼워진 뒤 상기 짐받침부재(110)의 캐리어안테나프레임베이스(112)에 구비된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로 장착되면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에 의해 세워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일면에 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210)가 가방(20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하부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로 뾰족한 돌기(131)를 형성하고 상부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하부에 끼우기 위한 수용부(132)를 형성한 캡(130)을 씌우게 되면 신장시켜 응급상황에서 지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100)가 가방(200)에 설치된 다음, 상기 캐리어장치(100)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이 길게 인출되어 견인할 수 있도록 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은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4단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2단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2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2개 이상 여러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개가 일체로 미싱등에 의해 바느질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방(200)의 하부에는 상기 캐리어장치(100)에 장착된 상태로 멜빵(220)등이 지져분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부로부터 인출되어 등받이부(230)를 감싸도록 된 감춤커버를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가방 또는 짐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도록 된 짐받침부재(110)와, 상기 짐받침부재에 설치되어 안테나식으로 신축되어 늘렸을 때 견인하기 용이하며 줄였을 때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손잡이를 갖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이 착탈결합수단(122)에 의해 짐받침부재(110)로 부터 착탈가능하도록 되되,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은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의 외측면 소정위치에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잠금돌기(112d)와,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하부에 끼워져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 끼워져 안착되는 결합부재(122e)와, 이 결합부재(122e)의 측면 소정위치에 돌출되어 접혀지면서 상기 잠금돌기(112d)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잠금구멍(122f)이 형성된 락앤락 타입의 잠금레버(122g)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레버(122g)와 잠금돌기(112d)를 적용한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원형으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사각형 타입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하부에 끼워져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 끼워져 안착되는 결합부재(122e)는 상하 방향으로 불필요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핀이나 나사못 등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짐받침부재(110)로부터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거나 또는 가방의 내부에 넣을 때에는 상기 잠금레버(122g)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돌기(112d)로 부터 분리한 후, 상기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하부에 설치된 결합부재(122e)를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서 뽑게 되면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과 짐받침부재(110)가 분리되어 상기 가방(200)에서 제거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가방에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을 역순으로 결합하게 되면 락앤락 타입의 잠금돌기(112d)와 잠금레버(122g)가 안착되어 수작업에 의해 간단히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300)가 캐리어안테나프레임(320)이 2개인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2개의 캐리어안테나프레임(320)이 손잡이(330)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짐받침부재(340)에 착탈결합수단(122)의 고정핀(122a)(350)을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착탈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가방(400)도 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410)도 2열로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도 12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장치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는, 가방 또는 짐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도록 된 짐받침부재(510)와, 상기 짐받침부재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이송이 편리하도록 된 이송바퀴(520)와, 상기 짐받침부재의 양단에 접철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방 또는 짐의 하부를 받침은 물론 짐에 의해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보조짐받침부재(530)를 포함하되, 상기 짐받침부재(510)의 상부에 안테나식으로 신축되어 늘렸을 때 견인하기 용이하며 줄였을 때 분리하여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손잡이(541)를 포함하는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밀어넣어서 결합되도록 된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와, 상기 짐받침부재(510)의 하부에 스프링(561)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설치된 푸쉬버튼(560)과, 상기 푸쉬버튼(560)을 가압하면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로 돌출되지 않고 푸쉬버튼(560)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의 삽입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로 끼워진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빠지지 않게 스프링(57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안테나착탈결합핀(570)과, 상기 짐받침부재(510)의 하부에 체결수단(580)으로 결합되어 상기 짐받침부재(510)의 하부에 안착된 푸쉬버튼(56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푸쉬버튼가이드덮게(59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양측에 상기 스프링(57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안테나착탈결합핀(570)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짐받침부재(510)의 하부에서 끼워지되, 상기 안테나착탈결합핀(570)으로 푸쉬버튼(560)을 가압하면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로 돌출되지 않고 푸쉬버튼(560)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의 삽입방향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로 끼워진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빠지지 않게 스프링(571)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된 안테나착탈결합핀(570)이 빠지지 않도록 안착시키는 안테나착탈결합핀설치부재(5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의 하부에 돌출된 연결핀(542)이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에 삽입될 때 간섭에 의해 삽입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에 결합안내홈(551,552)이 일정깊이와 폭으로 이송바퀴(520)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의 하부에 돌출되어 안테나를 길게 인출할 때 사용되는 안테나인출제어핀(546)이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에 삽입될 때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에 결합안내홈(553)이 일정깊이와 폭으로 이송바퀴(520)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일정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의 손잡이(541) 반대쪽을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에 끼우게 되면,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의 손잡이(541) 반대쪽에 끼워진 캡(543)의 경사진 면취(543a)부분이 상기 안테나착탈결합핀(570)의 단부에 형성된 곡면과 미끄러지면서 안으로 들어가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의 안테나인출제어핀(546)에 안착되게 되어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도 20과 같이 견인하여 끌고 다니기 용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짐받침부재(510)와 보조짐받침부재(530)의 위에 가방이나 짐등을 올려 놓고 끌고 다닐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은 사람의 신장에 따라 신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캐리어장치(5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먼저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접거나 또는 바로 상기 푸쉬버튼(560)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잡고 인출하게 되면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후 상기 보조짐받침부재(530)를 회동시켜 짐받침부재(510)로 수용되도록 접철시키고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도 신축시켜 함께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캐리어장치(500)를 가방에 넣고 다니는 경우에는 필요시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게 되면 매우 편리하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580)은 본 실시예에서 나사못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후크 타입이나 락앤락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장치를 이용하는 가방을 도시한 것으로, 캐리어장치(500)를 이용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600)의 사람등과 접촉되는 등받이(610)의 길이방향에 손잡이(541)를 갖춘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이 끼워지도록 된 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620)가 구비되고, 상기 가방의 하부에는 캐리어장치의 짐받침부재(510) 또는 보조짐받침부재(530)중 적어도 하나를 착탈가능하게 감싸도록하여 캐리어장치(500)가 가방(600)으로부터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된 캐리어분리방지부재(6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620)와 캐리어분리방지부재(630)는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620)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끼운 다음 상기 캐리어안테나수용부(550)에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끼우게 되면 가방(600)이 캐리어장치로 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또 상기 캐리어분리방지부재(630)에 의해 캐리어장치의 짐받침부재(510)와 보조짐받침부재(530)를 감싸는 상탤 결합되어 있어서 가방(6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등받이(610) 최상부에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이 끼워지도록 된 보조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640)가 구비되어, 상기 가방(600)의 상부가 짐에 의해 하중이 발생할 때 뒤쪽으로 눕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방(600)의 등받이(610)이 상부에 설치된 어깨끈(650)의 바로 하부에 좌우측으로 열고 닫히는 어깨끈수납부(660)가 설치되어 상기 어깨끈(65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수용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장치(500)에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이용하여 가방(600)을 끌고 다닐 수 있고, 또 가방(600)을 끌고 다니는 것이 불편할 때에는 상기 캐리어장치(500)와 캐리어안테나프레임(540)을 가방(600)으로 부터 분리하여 가방(600)에 넣고 다니게 되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 공지의 허리끈 수납부를 갖춘 상태로 어깨끈수납부(660)를 갖추게 되면 가방을 끌고 다닐때 어깨끈이나 허리끈이 땅에 끌리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방은 베낭가방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트렁크형태의 여행용 가방나 다양한 형태의 가방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캐리어장치에 의하면, 필요할 때에 간단히 가방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없을 때 가방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가방으로부터 간단히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는 한편, 휴대도 간편한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캐리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1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3부분으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1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배낭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1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배낭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1실시예의 캐리어장치중에서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의 하부에 지팡이캡이 끼워진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도 4에서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이 길게 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1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배낭의 일체로된 캐리어안테나프레임지지부에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2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배낭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A - A선 단면도,
도 11은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이 2개인 2실시예의 캐리어장치가 배낭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캐리어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는 도 12의 배면도,
도 15는 도 12의 좌측면도,
도 16은 도 12의 평면도,
도 17은 도 12의 저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서 보조짐받침부재를 회동시켜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캐리어안테나수용부에 끼우도록 된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서 캐리어안테나프레임을 길게 신장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1은 도 17의 B - B선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서 짐받침부재의 하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예에 따른 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리어장치
110 : 짐받침부재 111 : 바퀴
112 : 캐리어안테나프레임베이스 112a : 지지벽부
112c : 구멍 113 : 받침부
120 : 캐리어안테나프레임 121 : 손잡이
121a : 버튼 121g : 제2걸림부
121j : 해제핀부 122 : 착탈결합수단
122a : 고정핀 122b : 고정부재
122c : 탄발부재 122d : 고정핀작동부재
123 :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 124 : 제1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
125 : 제2내측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 126 : 안테나신장제어핀
127 : 장공
200 : 가방 210 : 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
220 : 멜빵 240 : 감춤커버
300, 500 : 캐리어장치 400, 600 : 가방
510 : 짐받침부재 520 : 이송바퀴
530 : 보조짐받침부재 540 : 캐리어안테나프레임
541 : 손잡이 542 : 연결핀
550 : 캐리어안테나수용부 560 : 푸쉬버튼
570 : 안테나착탈결합핀 580 : 체결수단
590 : 푸쉬버튼가이드덮게 595 : 안테나착탈결합핀설치부재
610 : 등받이 620 : 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
630 : 캐리어분리방지부재 640 : 보조캐리어안테나프레임끼움부
650 : 어깨끈 660 : 어깨끈수납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가방 또는 짐의 하부를 받쳐서 지지하도록 된 짐받침부재(110)와, 상기 짐받침부재에 설치되어 안테나식으로 신축되어 늘렸을 때 견인하기 용이하며 줄였을 때 보관이 용이하도록 된 손잡이를 갖춘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최외측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의 하부가 상기 짐받침부재(110)의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서 착탈가능 하도록 하는 착탈결합수단(122)이 구비되되,
    상기 착탈결합수단(122)은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의 외측면 소정위치에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잠금돌기(112d)와, 상기 캐리어안테나프레임(120)의 외피캐리어안테나프레임부재(123)하부에 끼워져 상기 안테나하부지지수용부(112b)에 끼워져 안착되는 결합부재(122e)와, 이 결합부재(122e)의 측면 소정위치에 돌출되어 접혀지면서 상기 잠금돌기(112d)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된 잠금구멍(122f)이 형성된 락앤락 타입의 잠금레버(122g)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70055378A 2007-02-16 2007-06-07 캐리어장치 KR100914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473 2007-02-16
KR1020070016473 2007-02-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473A Division KR100923568B1 (ko) 2008-10-20 2008-10-20 캐리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671A KR20080076671A (ko) 2008-08-20
KR100914506B1 true KR100914506B1 (ko) 2009-09-02

Family

ID=3987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378A KR100914506B1 (ko) 2007-02-16 2007-06-07 캐리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792Y1 (ko) 2011-06-21 2011-11-23 김대웅 해먹 설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81368B (zh) * 2013-05-23 2017-02-15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天线架
KR20160146604A (ko) * 2016-12-02 2016-12-21 오연주 가방세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618U (ko) * 1996-08-17 1998-05-25 강석금 가방밑판에 신축손잡이대의 착탈구조
US7143912B2 (en) * 2000-10-16 2006-12-05 Mary Ann Caneba Customizing pack carrier on whe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618U (ko) * 1996-08-17 1998-05-25 강석금 가방밑판에 신축손잡이대의 착탈구조
US7143912B2 (en) * 2000-10-16 2006-12-05 Mary Ann Caneba Customizing pack carrier on whee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792Y1 (ko) 2011-06-21 2011-11-23 김대웅 해먹 설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671A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9057B2 (en) Walking stick
US7597341B2 (en) Backpack with removable handle and wheel assembly
US5938230A (en) Foldable stroller
US20060225981A1 (en) Retractable handle of carry-on luggage
US8641056B1 (en) Shoulder-carriable wheeled cart assembly
US6012729A (en) Luggage system and folding dolly therefor
US20100150694A1 (en) Lifting device
US20170354218A1 (en) System For Securing Luggage
KR100914506B1 (ko) 캐리어장치
KR20200020663A (ko) 자석 후크
CN113556958A (zh) 形成支架的行李箱
KR100923568B1 (ko) 캐리어장치
US7469475B2 (en) Safe knife sheath
US20030014841A1 (en) Locking device for handle assembly with multiple stages
KR101251105B1 (ko)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KR102349461B1 (ko) 차량용 테이블 텐트
KR200436546Y1 (ko)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EP0941677A1 (en) Wheeled suitcase or traveling bag with a built-in handle and variable transport setting
KR101578852B1 (ko) 어깨 거치식 링거대
KR20130131188A (ko) 낚시용 뜰채
FR2722667A3 (fr) Structure de dispositif porte-bagage
KR200432905Y1 (ko) 바퀴가 구비된 가방
KR100756343B1 (ko) 바퀴가 구비된 가방
GB2451074A (en) Wheeled bag support and seat
KR200315088Y1 (ko) 키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