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088Y1 - 키홀더 - Google Patents

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088Y1
KR200315088Y1 KR20-2003-0002271U KR20030002271U KR200315088Y1 KR 200315088 Y1 KR200315088 Y1 KR 200315088Y1 KR 20030002271 U KR20030002271 U KR 20030002271U KR 200315088 Y1 KR200315088 Y1 KR 200315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lder
guide rail
suppor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상용
Original Assignee
육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상용 filed Critical 육상용
Priority to KR20-2003-0002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0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0Key holders; Key boards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가 홀더의 내측으로 출입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간단한 버튼 동작에 의해 상기 홀더의 내측에서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출되고, 다시 버튼 동작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키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 상단 부위로 양측을 관통하여 소정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된 키; 상기 키의 손잡이 또는 보호커버의 역할을 하는 케이스 형태의 홀더; 상기 홀더의 길이에 대응하여 내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가이드날개가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홈부에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를 구성하는 중심 스프링;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놓여지며 상기 키의 인출시 인출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키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걸림턱이 구비되는 제1지지대;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놓여지며 상기 키의 인입시 인입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키의 관통구에 지지되는 제2걸림턱이 구비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하이동시켜 상기 키의 인출동작과 인입동작을 유발시키고 상기 홀더의 외부로 구비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키홀더{A Key Holder}
본 고안은 키에 구비되는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가 홀더의 내측으로 출입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간단한 버튼 동작에 의해 상기 홀더의 내측에서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출되고, 다시 버튼 동작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인입되는 키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자동차나 집 또는 사물함 등에는 도난을 방지하게 위해 필수적으로 잠금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키를 갖고 있는 주인만이 문을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키는 주인이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한다.
이러한 키는 대부분 소정길이를 갖는 황동과 같은 금속재로서 소정의 굴곡이나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키는 열쇠고리등을 이용하여 소지하고 다니는데 개수가 많은 경우는 꾸러미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상기 키는 생활의 필수 소지품으로서 싫든 좋든 주머니나 허리끈 또는 가방에 넣고서라도 지니고 다녀야 한다. 키를 소지하고 다니는 사람은 때론 이러한 키를 귀찮게 여겨지기도 하는데 이는 키가 단순히 문을 열고 닫는데에만 한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키를 보관하여 소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홀더의 개발이 있어왔다.
그러나 종래의 키홀더는 홀더내에 키를 넣고 사용시 꺼내는데 번거로움이 많아 점차로 사용자로 하여금 외면을 받아 왔다.
이러한 종래의 키홀더의 기능 및 구조를 예를 들면 상자와 같이 뚜껑을 열고 닫거나 가죽등을 이용한 주머니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홀더의 외측에 내부의 키와 연결된 버튼을 구비하여 수동으로 밀거나 당겨서 사용하는 키홀더로서 모두 사용에 있어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
물론, 종래의 키홀더도 단순히 키를 보관하는 목적의 홀더로서는 키를 소지하는 소유자로 하여금 충분한 가치를 갖고 있다. 즉, 뻑뻑한 잠금장치에 기름이나 그리이스 등을 칠한 경우 어쩔수 없이 키에도 이물질이 묻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키홀더는 더없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용에 있어 불편하거나 소유자로 하여금 소유의 욕구를 느끼지 못하는 물건은 사용자로 하여금 점차적으로 외면을 받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따라서, 간단하게 하나의 버튼 조작만으로도 홀더의 외측으로 키가 자동으로 튀어 나오고, 반대로 상기 버튼을 다시 조작하여 튀어나온 키가 자동으로 내측에 들어가는 키홀더의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사용에 있어 더욱 편리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기능을 갖는 키홀더의 개발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는 키를 사용함에 있어 편리함을 느낄 것이고, 휴대시에도 일종의 장난감과 같이 지루하지 않은 물건을 지니고 다니게 될 것이다.
따라서, 키를 보관하는 홀더의 목적외에 키의 출입이 간단한 버튼조작으로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여 사용시 불편을 주지않는 키홀더의 개발이 꼭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키를 홀더의 내부에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인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필요시에 키를 상기 홀더의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홀더의 내부로 인입시켜 휴대시에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키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2목적은 하나의 버튼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키의 출입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키홀더를 제공함으로서 키홀더로서의 외관미와 기능을 더하여 새로운 수요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키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하단의 소정위치에 일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측 상단 부위로 양측을 관통하여 소정크기의 관통구가 형성된 키;
상기 키의 출입이 이루어져 외부로 인출시 키의 손잡이가 되며, 내부로 인입시 상기 키의 보호커버의 역할을 하는 케이스 형태의 홀더;
상기 홀더의 길이에 대응하여 내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가이드날개가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홈부에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탄지부와 제2탄지부를 구성하여 장력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단에 각각 걸쳐 구비되는 중심 스프링;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을 구성하는 가이드날개의 일측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홀더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키의 인출시 인출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키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걸림턱이 구비되는 제1지지대;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을 구성하는 가이드날개의 타측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홀더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키의 인입시 인입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키의 관통구에 지지되는 제2걸림턱이 구비되는 제2지지대; 및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상하이동시켜 상기 키의 인출동작과 인입동작을 유발시키고 상기 홀더의 외부로 돌출하여 구비되는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더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대에 구비되는 제1걸림턱은 상기 제1지지대의 일측 중앙에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에 삽입되어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고 일단이 탄성지지됨으로서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키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키를 인출상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에 구비되는 제2걸림턱은 상기 제2지지대의 일측 중앙에 제2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에 삽입되어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고 일단이 탄성지지됨으로서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키의 관통구에 끼워져 상기 키를 인입상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버튼을 소정거리 상부로 미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상부로 이동하며 가이드날개가 상기 제2걸림턱의 하단부를 누름에 따라 타단이 관통구에 끼워져 고정됨이 해제되고 상기 중심 스프링에 연결된 제2탄지부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키를 홀더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기 버튼을 소정거리 하부로 미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부로 이동하며 가이드날개가 상기 제1걸림턱의 하단부를 누름에 따라 타단이 상기 키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고정됨이 해제되고 상기 중심 스프링에 연결된 제1탄지부가 상기 돌출부를 미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키를 홀더의 내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의 분해 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에서 키의 인입동작을 나타내는 도 2의 A-A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에서 키의 인출동작을 나타내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12 : 돌출부
14 : 관통구 20 : 홀더
30 : 가이드레일 32 : 홈부
34 : 가이드날개 40 : 중심 스프링
42 : 제1탄지부 44 : 제2탄지부
50 : 제1지지대 55 : 제1걸림턱
56 : 제1홈 60 : 제2지지대
65 : 제2걸림턱 66 : 제2홈
70 : 지지대 스프링 80 : 버튼
82 : 버튼연결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키(10)를 보관하는 홀더(2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홀더(2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8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키(10)가 상기 홀더(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20)는 상기 키(10)의 출입이 이루어져 외부로 인출시 키(10)의 손잡이가 되며, 내부로 인입시 상기 키(10)의 보호커버의 역할을 하는 케이스의 형태로 상부와 하부로 분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홀더(20)의 일측으로는 상기 키(1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로는 내측의 가이드레일(30)과 외측의 버튼(80)이 연결가능하도록 소정크기로 관통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의 분해 상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키홀더를 구성하는 상기 홀더(20)의 내부는 상기 버튼(80)의 동작에 따라 중심 스프링(40)의 탄성력으로 상기 키(10)가 자동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기 키(10)는 하단의 소정위치에 일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12)와 상기 돌출부(12)의 일측 상단 부위로 양측을 관통하여 소정크기의 관통구(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키(10)가 상기 홀더(20)에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홀더(20)의 내측은 상기 키(10)가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키(10)의 폭에 대하여 형상적으로 대응하여 가이드하는 단을 이루고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홀더(20)에 키(10)를 구비한 후, 상기 홀더(20)의 내측에 장착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서 쌍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동작하는 제1지지대(50) 및 제2지지대(60)가 상기 키(10)의 상부에 밀착되어 나란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대(50)는 상기 홀더(20)에 끼워짐으로서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키(10)의 인출시 인출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키(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걸림턱(55)이 일측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대(50)의 일측 중앙에는 제1홈(56)이 형성되어 소정형태로만곡된 제1걸림턱(55)이 삽입된 채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고 일단이 상기 제1지지대(50)에 탄성지지됨으로서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걸림턱(55)의 돌출되는 타단은 상기 키(10)의 하단부를 지지함으로서 상기 키(10)를 인출상태로 고정시키는 동작을 이루게 된다. (상기 키(10)의 출입에 대한 동작설명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5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지지대(60)는 상기 홀더(20)의 내측에 끼워짐으로서 고정되고 상기 키(10)의 인입시 인입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키(10)의 관통구(14)에 지지되는 제2걸림턱(65)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걸림턱(65)의 형상은 상기 제1걸림턱(55)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지지대(60)의 일측 중앙에 형성된 제2홈(66)에 소정형태로 만곡된 제2걸림턱(65)이 삽입된 채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고 일단이 탄성지지됨으로서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2걸림턱(65)의 돌출되는 타단은 상기 키(10)의 관통구(14)에 끼워져 지지함으로서 상기 키(10)를 인입상태로 고정시키는 동작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턱(65)은 상기 제1걸림턱(55)의 위치에 비하여 보다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로써 상기 키(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키(10)를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레일(30)이 상기 홀더(20)의 길이에 대응하여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지지대(50)와 제2지지대(60)를 양측에 두고 상기 제1지지대(50)와 제2지지대(60)의 사이에 구비되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홈부(32)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가이드날개(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날개(34)는 상기 제1지지대(50) 및 제2지지대(60)에 밀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을 상기 홀더(20)의 내측에 가이드레일(30)이 장착되는 구조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하이동시 상기 제1걸림턱(55) 또는 제2걸림턱(65)을 누르는 동작으로 키(10)의 출입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상하이동을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홀더(20)의 외측에 구비되는 버튼(80)과 연결되는 버튼연결부(82)가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중앙부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80)이 홀더(20)의 외부로 돌출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과 상기 버튼연결부(82)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을 상하이동시킴으로서 상기 키(10)의 인출동작과 인입동작을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키(10)의 출입을 작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탄성력을 갖고 있는 중심 스프링(40)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홈부(32)에 구비되며, 상기 중심 스프링(40)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제1탄지부(42)와 제2탄지부(44)를 구성하여 장력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양단에 각각 걸쳐 구비된다.
동시에, 상기 제1탄지부(42)는 상기 키(10)의 돌출부(12)에 맞물려 있고, 상기 제2탄지부(44)는 상기 키(10)의 하단부에 맞물려서 상기 키(10)의 인출 및 인입시에 상기 중심 스프링(40)의 탄성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에서 키가 인출입되는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에서 키의 인입동작을 나타내는 도 2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10)가 홀더(20)에서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키(10)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걸림턱(55)의 일단이 지지대 스프링(70)으로 탄성지지됨으로서 타단이 상기 하단부에 맞물리도록 돌출된다.
이로써, 상기 키(10)는 상기 홀더(20)에서 인출된 상태로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키(10)의 돌출부(12)의 상단에 제1탄지부(42)가 맞물려 있는 구조로서, 상기 키(10)가 흔들거림이 없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2)에 맞물려 있는 제1탄지부(42)는 상기 키(10)를 홀더(20)의 내측으로 인입 동작시 중심 스프링(40)의 탄성력을 상기 키(10)에 전달시키게 된다.
상기 제1탄지부(42)의 동작은 상기 제1걸림턱(55)의 상기 키(10)에 대한 고정동작이 해제될 때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버튼(80)을 조작함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소정거리 하방향 이동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도 4의 점선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80)과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이드레일(30)이 소정거리 하방향 이동하면 상기 지지대 스프링(70)에 의하여 돌출된 제1걸림턱(55)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가이드날개(34)에 의하여 눌리게 된다. 이는 곧 상기 제1걸림턱(55)의 돌출된 타단이 상기 키(10)의 하단에 맞물림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턱(55)의 지지대 스프링(70)으로 탄성지지된 일단을 누르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30)이 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됨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제1탄지부(42)에서 이격되고 이때의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제1탄지부(42)가 탄발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1탄지부(42)가 상기 키(10)의 돌출부(12)를 탄성으로 밀어냄으로서 상기 키(10)를 상기 홀더(2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에서 키의 인출동작을 나타내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키(10)가 상기 홀더(20)의 내측에 인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걸림턱(65)의 일단이 지지대 스프링(70)으로 탄성지지됨으로서 타단이 돌출되어 상기 키(10)의 관통구(14)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키(10)는 상기 홀더(20)에서 인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동시에 상기 키(10)의 하단에 제2탄지부(44)가 맞물려 있는 구조로서, 상기 키(10)가 흔들거림이 없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키(10)의 하단에 맞물려 있는 제2탄지부(44)는 상기 키(10)를 홀더(20)의 외측으로 인출 동작시 중심 스프링(40)의 탄성력을 상기 키(10)에 전달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키(10)를 인출시키는 상기 제2탄지부(44)의 동작은 상기 제2걸림턱(65)의 상기 키(10)에 대한 고정동작이 해제될 때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버튼(80)을 조작함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소정거리 상방향 이동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도 5의 점선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80)과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이드레일(30)이 소정거리 상방향 이동하면 상기 지지대 스프링(70)에 의하여 돌출된 제2걸림턱(65)의 일단이 상기 가이드레일(30)의 가이드날개(34)에 의하여 눌리게 된다. 이는 곧 상기 제2걸림턱(65)의 돌출된 타단이 상기 키(10)의 관통구(14)에 맞물림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턱(65)의 지지대 스프링(70)으로 탄성지지된 일단을 누르기 위해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됨으로서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제2탄지부(44)에서 이격되고 이때의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제2탄지부(44)가 탄발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2탄지부(44)가 상기 키(10)의 하단부를 탄성으로 밀어냄으로서 상기 키(10)를 상기 홀더(20)의 외측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상기 키(10)가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는 곧 도 4에서 도시된 바로써 이상에서 설명한 키(10)의 인출과 인입 동작을 상기 버튼(80)의 상하 조작으로서 자동으로 손쉽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제시한 키홀더는 각종의 자동차키, 일반 자물쇠키, 현관문 키 등과 같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키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심 스프링(40)이나 지지대 스프링(70)등은 고무와 같은 탄성채를 이용해도 무관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키홀더에 의하면,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키(10)를 홀더(20)의 내부에 인입시키거나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키(10)의 인출과 인입이 간단하게 손가락 동작만으로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필요시에 키(10)를 상기 홀더(20)의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홀더(20)의 내부로 인입시켜 키(10)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고, 상기 키(10)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에도 상기 홀더(20)에 안전하게 보관함으로서 옷을 더럽힐 염려가 없게 되었다.
아울러, 하나의 버튼(80)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키(10)의 출입을 컨트롤 할 수 있게 됨으로서 키홀더의 외관미를 향상 시키고 기능적인 향상을 더하여 새로운 수요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5)

  1. 하단의 소정위치에 일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12)와 상기 돌출부(12)의 일측 상단 부위로 양측을 관통하여 소정크기의 관통구(14)가 형성된 키(10);
    상기 키(10)의 출입이 이루어져 외부로 인출시 키(10)의 손잡이가 되며, 내부로 인입시 상기 키(10)의 보호커버의 역할을 하는 케이스 형태의 홀더(20);
    상기 홀더(20)의 길이에 대응하여 내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홈부(32)가 형성되고 양측으로 가이드날개(34)가 구비되는 가이드레일(30);
    상기 가이드레일(30)의 홈부(32)에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탄지부(42)와 제2탄지부(44)를 구성하여 장력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양단에 각각 걸쳐 구비되는 중심 스프링(40);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양측을 구성하는 가이드날개(34)의 일측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홀더(20)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키(10)의 인출시 인출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키(1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제1걸림턱(55)이 구비되는 제1지지대(50);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0)의 양측을 구성하는 가이드날개(34)의 타측 상부에 놓여지며 상기 홀더(20)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키(10)의 인입시 인입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키(10)의 관통구(14)에 지지되는 제2걸림턱(65)이 구비되는 제2지지대(60); 및
    상기 가이드레일(30)과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0)을 이동시켜 상기키(10)의 인출동작과 인입동작을 유발시키고 상기 홀더(20)의 외부로 돌출하여 구비되는 버튼(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50)에 구비되는 제1걸림턱(55)은 상기 제1지지대(50)의 일측 중앙에 제1홈(56)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56)에 삽입되어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고 일단이 지지대 스프링(70)으로 탄성지지됨으로서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키(1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키(10)를 인출상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대(60)에 구비되는 제2걸림턱(65)은 상기 제2지지대(60)의 일측 중앙에 제2홈(66)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홈(66)에 삽입되어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회동하고 일단이 지지대 스프링(70)으로 탄성지지됨으로서 타단이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키(10)의 관통구(14)에 끼워져 상기 키(10)를 인입상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80)을 소정거리 상부로 미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레일(30)이 상부로 이동하며 가이드날개(34)가 상기 제2걸림턱(65)의 하단부를 누름에 따라 타단이 관통구(14)에 끼워져 고정됨이 해제되고 상기 중심 스프링(40)에 연결된 제2탄지부(4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키(10)를 홀더(20)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버튼(80)을 소정거리 하부로 미는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레일(30)이 하부로 이동하며 가이드날개(34)가 상기 제1걸림턱(55)의 하단부를 누름에 따라 타단이 상기 키(1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고정됨이 해제되고 상기 중심 스프링(40)에 연결된 제1탄지부(42)가 상기 돌출부(12)를 미는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키(10)를 홀더(20)의 내부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더.
KR20-2003-0002271U 2003-01-24 2003-01-24 키홀더 KR200315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71U KR200315088Y1 (ko) 2003-01-24 2003-01-24 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271U KR200315088Y1 (ko) 2003-01-24 2003-01-24 키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088Y1 true KR200315088Y1 (ko) 2003-06-02

Family

ID=4940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271U KR200315088Y1 (ko) 2003-01-24 2003-01-24 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0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2290B1 (en) Child safety lock
US5581847A (en) Handle device of a wheeled trunk extensible and retractable by a single hand
KR101978907B1 (ko) 사물함용 도어 잠금장치
KR200315088Y1 (ko) 키홀더
KR100642550B1 (ko) 차량용 컵 홀더
KR20040065599A (ko) 사물함의 잠금장치
KR100931262B1 (ko) 차량용 트레이 잠금장치
KR200445240Y1 (ko) 잠금보조장치
KR20050088850A (ko) 수납방식을 이용한 배터리 팩의 록킹장치
KR200486949Y1 (ko) 1회용 원터치 페트병
KR200292259Y1 (ko) 서랍 잠금장치
KR200199411Y1 (ko) 포터블피시의 자동열림장치
KR0117533Y1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키
JP2557823Y2 (ja) ロック機構
KR200155980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열쇠 보관함
KR200177913Y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KR100369009B1 (ko) 자동차의 트레이 록킹장치
WO2001000055A1 (en) Holder for a key or similar
KR200235127Y1 (ko) 키이홀더
KR200228857Y1 (ko) 바인더
KR100398116B1 (ko) 자동차용 핸들 노브
KR0180192B1 (ko) 위성방송수신장치의 카드삽탈장치
KR970000710Y1 (ko) 자동차의 트레이 원터치 개, 폐 장치
KR100916256B1 (ko) 차량용 인출식 키 유닛
KR1004548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