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546Y1 -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 Google Patents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546Y1
KR200436546Y1 KR2020060028826U KR20060028826U KR200436546Y1 KR 200436546 Y1 KR200436546 Y1 KR 200436546Y1 KR 2020060028826 U KR2020060028826 U KR 2020060028826U KR 20060028826 U KR20060028826 U KR 20060028826U KR 200436546 Y1 KR200436546 Y1 KR 200436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rame
upper support
support
bag
movab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권
Original Assignee
이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권 filed Critical 이준권
Priority to KR2020060028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3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A45C13/22Detachable handles; Handles foldable into the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1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the rolling means being formed by the trunk itself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방등에 설치되어 가방을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장치가 필요 없을 때에는 간단히 가방으로부터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동시에 분리될 뿐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간단히 가방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캐리어장치는, 가방몸체(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지지대(210)와, 가방몸체(1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지지대(220)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부가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부지지대에 상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지지대(220)에는 상기 안테나프레임(240)을 구성하는 가장 외측의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하부가 하부지재대(210)와 상기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을 상부지지대(220)의 상부로 당기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이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캐리어, 가방, 안테나프레임, 손잡이

Description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CARRIER APPARATUS AND BAG INCORPORATING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캐리어장치를 구비한 가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가방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캐리어장치가 가방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안테나프레임이 길어지도록 연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설명도,
도 5는 도 2에서 캐리어장치의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도 2에서 캐리어장치의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하부지지대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도 3의 B - B선 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방으로 도 2의 대응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캐리어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3의 대응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가방몸체 111: 안테나프레임노출부
210: 하부지지대 220: 상부지지대
221: 고정부재 232: 가동핀부재
233: 탄발부재 240: 안테나프레임
241: 손잡이 242: 외피안테나프레임
본 고안은 가방등에 설치되어 가방을 끌고 다닐 수 있도록 한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장치가 필요 없을 때에는 간단히 가방으로부터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동시에 분리될 뿐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간단히 가방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여러가지 물품들을 넣어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프레임을 일부 포함하고 여기에 천이나 가죽으로 외관을 이루는 가방몸체와, 상기 가방몸체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는 두 개의 어깨끈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가방에 사용자(주로, 학생들)가 가방몸체내에 여러 가지의 학교생활용품을 넣은 상태에서 상기 두 개의 어깨끈을 이용해 어깨에 멘 다음 필요한 곳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초등학생들은 상기 가방의 전체 무게가 자신이 지탱할 수 있는 허용 무게 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자주 일어나면서 결국 가방의 지나친 무게로 인해 신체구조에 이상이 생기거나 심한 경우 허리통증 및 어깨근육통 등을 호소하는 어린이들이 날로 증가되어 사회적 문제로 야기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가방에 바퀴를 달아 필요에 따라서는 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끌고도 다닐 수 있도록 캐리어장치와 바퀴가 구비된 가방이 출시되어 학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물론 캐리어장치의 하부지지대와 바퀴는 분리될 수도 있고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캐리어장치(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방몸체(10)의 하부에 리벳 또는 나사못과 같은 체결수단(21)으로 설치된 하부지지대(22)와, 가방몸체(10)의 상부에 체결수단(21)으로 설치된 상부지지대(23)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부지지대에 의해 안테나프레임(24)의 외피안테나프레임(24a)이 나사못과 같은 고정수단(26)으로 고정되어 상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손잡이(25)를 조작하게 되면 제1안테나프레임(24b) 또는 제2안테나프레임(24c)을 길게 뽑아서 끌고 다니는 한편, 가방(1)을 메고 다닐 때에는 손 잡이(25)를 조작하여 제1안테나프레임(24b) 또는 제2안테나프레임(24c)을 밀어넣어 접어서 다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캐리어장치(20)는 우천시와 같이 가방(1)을 끌고 다니지 않을 경우에는 비에 의해 가방(1)이 젖을 염려가 있어 어깨에 메고 다녀야 하는데, 가방(1)에 구비된 캐리어장치(20)가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가방의 무게에 캐리어장치의 무게가 가중되어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캐리어장치가 필요 없을 때에는 가방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간단히 가방으로부터 캐리어장치의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동시에 분리가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가방에 설치된 캐리어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 제1목적이다.
본 고안은 하부지지대로 부터 간단히 안테나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 제2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캐리어장치는, 가방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지지대와, 가방몸체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부지지대에 상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손잡이를 갖춘 안테나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지지대에는 상기 안테나프레임을 구성하는 가장 외측의 외피안테나프레임의 하부가 하부지재대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손잡이를 갖춘 안테나프레임을 상부지지대의 상부로 당기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이 상기 상부지지대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캐리어장치는,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끼워져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가동핀부재와, 상기 가동핀부재의 일단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가동핀부재를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상부로 돌출시키도록 된 탄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결합수단의 가동핀부재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을 통해 상부로 뽑혀질 때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는 걸림방지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가방은, 슬라이드파스너에 의해 뒤쪽의 몸체덮개를 열고 닫아서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가방몸체와; 상기 가방몸체의 내측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지지대와, 가방몸체의 내측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지지대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부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부지지대에 상부가 끼워져 지지되면서 안테나식으로 신축가능하도록 된 손잡이를 갖춘 안테나프레임으로 구성된 캐리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가방몸체는 상부에 내부와 슬라이드파스너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된 안테나프레임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장치는 상기 상부지지대가 상기 안테나프레임을 구성하는 가장 외측의 외피안테나프레임의 하부가 하부지재대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손잡이를 갖춘 안테나프레임을 상부지지대의 상부로 당기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이 상기 상부지지대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가방은,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끼워져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가동핀부재와, 상기 가동핀부재의 일단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가동핀부재를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상부로 돌출시키도록 된 탄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결합수단의 가동핀부재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을 통해 상부로 뽑혀질 때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는 걸림방지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의한 캐리어장치를 구비한 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가방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캐리어장치가 가방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 2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손잡이를 조작하여 안테나프레임이 길어지도록 연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설명도이며, 도 5는 도 2에서 캐리어장치의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캐리어장치의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하부지지대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손잡 이와 안테나프레임이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캐리어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방몸체(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지지대(210)와, 가방몸체(1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지지대(220)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부가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부지지대에 상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지지대(220)에는 상기 안테나프레임(240)을 구성하는 가장 외측의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하부가 하부지재대(210)와 상기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을 상부지지대(220)의 상부로 당기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이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뽑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230)은,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1)와, 이 고정부재에 끼워져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가동핀부재(232)와, 상기 가동핀부재의 일단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가동핀부재를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상부로 돌출시키도록 된 탄발부재(2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외피안테나프레임수용구멍(222)인 내주면에는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결합수단(230)의 가동핀부재(232)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을 통해 상부로 뽑혀질 때 상부지지대(220)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도록 걸림방지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장치(200)의 안테나프레임(240)은 상기 하부지지대(210)에 하부가 끼워져 상기 결합수단(230)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상부지지대(220)에 의해 지지되는 외피안테나프레임(242)과, 이 외피안테나프레임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상기 손잡이(241)를 조작하게 되면 안테나식으로 뽑혀져 길어지게 되고 또는 안테나식으로 접혀지도록 된 제1안테나프레임(243)과 제2안테나프레임(244)을 포함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다.
따라서 상기 캐리어장치(200)의 안테나프레임(240)을 길게 할 경우에는 상기 결합수단(230)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 먼저 도 3의 손잡이(241)에 구비된 보턴(241a)을 스프링(241b)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누르면 상기 보턴(241a)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있던 로드(241c)가 밀리면서 가동부재(241d)를 밀게되고, 이때 가동부재의 전방 경사부가 상기 제2안테나프레임(244)의 하측 내부에 설치된 제1걸림부(241e)를 제1안테나프레임(243)에서 이탈시키게 되어 상기 제2안테나프레임(244)의 상부에 나사못(241f)으로 고정된 손잡이(241)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제2안테나프레임(244)이 뽑히게 된다.
이후 상기 손잡이(241)를 계속해서 당기게 되면 상기 제1걸림부(241e)가 상기 제1안테나프레임(243)의 상부에 걸려서 제1안테나프레임(243)을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으로부터 인출하여 일정한 위치에서 상기 제1안테나프렘(243)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2걸림부(243a)가 걸치게 되어 일정한 길이로 인출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243b는 상기 제1안테나프렘(243)의 상부에 끼워져 고정되 스톱퍼마개이다.
다음 상기 캐리어장치(200)의 안테나프레임(240)을 짧게 할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의 손잡이(241)에 구비된 보턴(241a)을 스프링(241b)의 탄발력에 대향하여 누르면 상기 보턴(241a)에 축방향으로 끼워져 있던 로드(241c)가 밀리면서 가동부재(241d)를 밀게되고, 이때 가동부재의 전방 경사부가 상기 제2안테나프레임(244)의 하측 내부에 설치된 제1걸림부(241e)를 제1안테나프레임(243)의 상부에서 이탈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제2안테나프레임(244)의 상부에 나사못(241f)으로 고정된 손잡이(241)를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제2안테나프레임(244)이 제1안테나프레임(243)의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접히게 된다.
이후 상기 손잡이(241)를 계속해서 밀게 되면 상기 제2안테나프레임(244)의 하부가 제1안테나프레임(243)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제2걸림부(243a)를 밀도록 된 해제핀부(243c)를 밀어서 제2걸림부(243a)가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상기 제1안테나프레임(243)이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하부로 들어가게 되어 일정한 길이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230)은 나사못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상기 결합수단(230)이 나사못인 경우에 상기 나사못을 풀어서 제거한 다음 상기 캐리어장치(200)의 안테나프레임(240)을 상부지지대(220)의 상부로 들어올려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23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1)와, 이 고정부재에 끼워져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가동핀부재(232)와, 상기 가동핀 부재의 일단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가동핀부재를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상부로 돌출시키도록 된 탄발부재(23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230)에 가동핀부재(232)가 설치된 경우에,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결합수단(230)의 가동핀부재(232)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을 통해 상부로 뽑혀질 때 상부지지대(220)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대의 외피안테나프레임수용구멍(222)인 내주면의 소정위치에는 걸림방지홈(221)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수단(230)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가동핀부재(232)를 탄발부재(233)의 탄발력에 대향하게 눌러서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을 상부로 잡아 당기게 되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동핀부재(232)가 전면이 구형태로 되어서 속으로 들어기면서 상부로 뽑히게 되고, 계속해서 윗쪽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하부에 돌출된 가동핀부재(232)가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외피안테나프레임수용구멍(222)인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방지홈(221)을 통해서 상부로 빠져 나가게 되어 상기 안테나프레임(240)이 상기 가방몸체(110)에 설치된 하부지지대(210)와 상부지지대(220)로 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분리되게 된다.
상기한 캐리어장치를 설치한 가방은, 슬라이드파스너(112)에 의해 뒤쪽의 몸체덮개(113)를 열고 닫아서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가방몸체(110)와; 상기 가방몸체(110)의 내측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지지대(210)와, 가방몸체(110)의 내측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지지대(220)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부가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부지지대에 상부가 끼워져 지지되면서 안테나식으로 신축가능하도록 된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으로 구성된 캐리어장치(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가방을 구성하는 상기 가방몸체(110)는 상부에 내부와 슬라이드파스너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된 안테나프레임노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장치(200)는 상기 상부지지대(220)이 상기 안테나프레임(240)을 구성하는 가장 외측의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하부가 하부지재대(210)와 상기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을 상부지지대(220)의 상부로 당기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이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뽑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가방의 가방몸체(110)에서 상기 결합수단(230)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이 간단하게 상부로 해체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230)이 탄발부재(23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가동핀부재(232)가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1)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결합수단(230)의 가동핀부재(232)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방지홈(221)에 의해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을 통해 상부로 뽑혀질 때 상부지지대(220)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고 쉽게 뽑혀지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 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캐리어장치가 필요 없을 때에는 가방의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간단히 가방으로부터 캐리어장치의 손잡이와 안테나프레임이 동시에 분리가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할 때에는 가방에 설치된 캐리어장치를 구성하는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부지지대로부터 간단히 안테나프레임을 분리할 수 있어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방몸체(110)의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지지대(210)와, 가방몸체(110)의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지지대(220)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부가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부지지대에 상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을 포함하는 캐리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220)에는 상기 안테나프레임(240)을 구성하는 가장 외측의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하부가 하부지재대(210)와 상기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을 상부지지대(220)의 상부로 당기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이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30)은,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1)와, 이 고정부재에 끼워져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가동핀부재(232)와, 상기 가동핀부재의 일단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가동핀부재를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상부로 돌출시키도록 된 탄발부재(233)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결합수단(230)의 가동핀부재(232)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을 통해 상부로 뽑혀질 때 상부지지대(220)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는 걸림방지홈(22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장치.
  3. 슬라이드파스너(112)에 의해 뒤쪽의 몸체덮개(113)를 열고 닫아서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가방몸체(110)와; 상기 가방몸체(110)의 내측 하부에 체결되는 하부지지대(210)와, 가방몸체(110)의 내측 상부에 체결되는 상부지지대(220) 및, 상기 하부지지대에 하부가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상부지지대에 상부가 끼워져 지지되면서 안테나식으로 신축가능하도록 된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으로 구성된 캐리어장치(200);를 포함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몸체(110)는 상부에 내부와 슬라이드파스너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된 안테나프레임노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장치(200)는 상기 상부지지대(220)이 상기 안테나프레임(240)을 구성하는 가장 외측의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하부가 하부지재대(210)와 상기 결합수단(230)에 의해 결합이 해제되면 상기 손잡이(241)를 갖춘 안테나프레임(240)을 상부지지대(220)의 상부로 당기면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이 상기 상부지지대(220)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되어 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30)은,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31)와, 이 고정부재에 끼워져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축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설치된 가동핀부재(232)와, 상기 가동핀부재의 일단에 끼워져 탄력적으로 가동핀부재를 외피안테나프레임의 상부로 돌출시키도록 된 탄발부재(233)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안테나프레임(242)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결합수단(230)의 가동핀부재(232)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을 통해 상부로 뽑혀질 때 상부지지대(220)의 내주면에 걸리지 않도록 상기 상부지지대의 내주면에는 걸림방지홈(22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KR2020060028826U 2006-11-01 2006-11-01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KR200436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826U KR200436546Y1 (ko) 2006-11-01 2006-11-01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826U KR200436546Y1 (ko) 2006-11-01 2006-11-01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546Y1 true KR200436546Y1 (ko) 2007-09-06

Family

ID=4163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826U KR200436546Y1 (ko) 2006-11-01 2006-11-01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68B1 (ko) 2008-10-20 2009-10-27 이준권 캐리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568B1 (ko) 2008-10-20 2009-10-27 이준권 캐리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581B2 (en) Fast detachable slide bracket
US20060119057A1 (en) Backpack with removable handle and wheel assembly
US20010030405A1 (en) Folding structure of a scooter
KR20200020663A (ko) 자석 후크
US11412711B2 (en) Pet leash having a loop handle and sliding cinch member to adjust loop size of loop handle
US20110006090A1 (en) Backpack
US7546753B1 (en) Key chain attachment and lo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436546Y1 (ko) 캐리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방
US5799967A (en) Golf trolley
KR100914506B1 (ko) 캐리어장치
EP0775845A2 (en) External single handed closure and release mechanism
US20140263494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373632B1 (ko) 낚시용 뜰채
US2987230A (en) Hip-quiver
KR100923568B1 (ko) 캐리어장치
CN210670185U (zh) 单手操作装置、自拍杆、手机支架、车载支架和移动电源
CN103507679B (zh) 一种latch系统固定装置
US9072289B1 (en) Bear repellant device mounted on a backpack
CN212260704U (zh) 一种防滑易握拉链头
CN216358371U (zh) 一种新型背包
KR200479166Y1 (ko) 의복에 부착된 손이 닿지 않는 지퍼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
CN2504938Y (zh) 折伞手开安全扣
KR102575884B1 (ko) 힌지탈착구를 갖는 배낭용 버클
KR970005447Y1 (ko) 혁대
EP1832834B1 (en) Baton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