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655B1 - 다이얼식 자물쇠 - Google Patents

다이얼식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655B1
KR100912655B1 KR1020090002024A KR20090002024A KR100912655B1 KR 100912655 B1 KR100912655 B1 KR 100912655B1 KR 1020090002024 A KR1020090002024 A KR 1020090002024A KR 20090002024 A KR20090002024 A KR 20090002024A KR 100912655 B1 KR100912655 B1 KR 100912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bundle
connector
main body
passwo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09000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65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4Spring arrangements in locks
    • E05B2015/0403Wound spring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이얼식 자물쇠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이얼식 자물쇠는: 도어에 부착되는 본체와, 본체 내에 설치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이 내장된 다이얼뭉치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상기 잠금봉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한 연결자와, 연결자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연결자와 분리 또는 연결되는 열쇠뭉치와, 열쇠뭉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다이얼뭉치의 잠금봉 또는 마스터키에 의해 빗장편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회전자와, 열쇠뭉치와 연결되어 열쇠뭉치를 작동시키는 레버와,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비밀번호 분실시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다이얼뭉치와 연결되어 다이얼뭉치의 설정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비밀번호 검출장치 및 본체의 내부에 연결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연결자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써, 비밀번호 재설정이 가능한 리셋장치를 포함한다.
다이얼식 자물쇠, 리셋장치, 비밀번호 검출장치, 탄성핀 뭉치

Description

다이얼식 자물쇠{Dial type lock}
본 발명은 다이얼식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후면에 비밀번호 검출장치를 구비하여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전면에서 손쉽게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고, 위치가 고정되는 리셋버튼부에 의해 간편하게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다이얼식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물함은 자물쇠와 손잡이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거나 손잡이에 실린더 자물쇠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손잡이와 자물쇠가 별도로 된 것은 사용이 불편하고, 실린더 자물쇠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열리는 불편이 있으므로 안전성이 희박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학교 사물함, 스포츠센터, 목욕탕 등 공공 장소에서 열쇠가 없이 자기만의 비밀 번호를 지정하여 사물함 도어를 개폐 할 수 있게한 다이얼식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이얼식 자물쇠는 도어에 부착되는 본체(1)와, 본체 내에 장치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이 내장된 다이얼뭉치(2)와 다이얼뭉치(2)의 잠금봉에 의해 빗장편(6)을 작동 할 수 있게 하는 레버(4)부로 이루어진다.
종래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는 항상 자물쇠는 항상 비밀번호를 재설정할때 레버를 "열림"위치 즉, 도어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자칫 부주의로 비밀번호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문이 닫혀 난감한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마스터키로 도어를 개방한 후 비밀번호 검출장치에 의해 분실한 비밀번호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리셋버튼에 의해 새로운 비밀번호변경을 "열림" 내지 "닫힘" 위치에서 변경하지 않고 별도의 "리셋"위치에서만 변경할 수 있는 다이얼식 자물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는 도어에 부착되는 본체와, 본체 내에 설치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이 내장된 다이얼뭉치와, 본체 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잠금봉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한 연결자와, 연결자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연결자와 분리 또는 연결되는 열쇠뭉치와, 열쇠뭉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다이얼뭉치의 잠금봉 또는 마스터키에 의해 빗장편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회전자와, 열쇠뭉치의 전측에 연결되어 열쇠뭉치를 작동시키는 레버와,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비밀번호 분실시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다이얼뭉치와 연결되어 다이얼뭉치의 설정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비밀번호 검출장치 및 본체의 내부에 연결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연결자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써, 비밀번호 재설정이 가능한 리셋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비밀번호 검출장치는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다수의 핀이 스프링에 의해 탄동지지되어 전측으로 돌출된 탄성핀 뭉치와, 탄성핀 뭉치와 접하여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접촉되어 이동되고 탄성핀 뭉치를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밀착부재 및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접촉해제시 탄성핀 뭉치와 밀착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탄성핀 뭉치는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밀착부재는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밀착부재의 수평이동시 각각의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탄성핀 뭉치가 전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원부재는 성핀 뭉치의 전면과 본체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와 밀착부재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개재되는 보조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리셋장치는 연결자의 둘레에 형성되어 다이얼뭉치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다이얼뭉치의 결합을 해체시켜 다이얼만 별도로 회전되게 하는 리셋홈부 및 연결자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리셋홈부에 다이얼 뭉치의 일부가 수용되는 것을 단속하는 리셋버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리셋버튼부는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버튼과, 버튼과 연결자에 각각 형성되어 회전자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제한편과, 버튼이 본체 내부에서 탄동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버튼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킹부를 포함한다.
또한, 로킹부는 버튼을 수용하고 내측면 하단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로킹케이스와, 버튼과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의 누름시 눌려짐과 동시에 일정각도 회전되어 로킹케이스의 걸림돌기에 걸림과 해체를 반복하도록 상단부 둘레에 요철돌기를 형성한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는 종래 발명과 달리 레버가 "열림" 내지 "닫힘"의 두 동작에서는 도어가 개폐될 수 있게 하되 비밀번호의 재설정을 할 수 없게 하고, 별도의 "리셋"위치에서만 비밀번호 재설정을 할 수 있게 하므로서 부주의로 인해 비밀번호를 인지 못한 상태에서 문이 닫힐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비밀번호 리셋시 버튼의 위치가 로킹부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종래와 달리 버튼을 누르고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밀번호 검출장치를 구비하여 비밀번호 분실시 마스터키로 도어를 개방하고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는 비밀번호 검출장치로 인해 간편하게 잊어버린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다이얼뭉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비밀번호 검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비밀번호 검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비밀번호 검출장치를 보인 배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리셋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100)는 크게 본체(110), 다이얼뭉치(120), 레버회전부(130), 리셋장치(140) 및 비밀번호 검출장치(170)로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후면케이스(112)와 전면커버(115)로 이루어진다.
후면케이스(112)의 내부에는 다이얼뭉치(120)와, 레버회전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113)가 형성되고, 전면커버(115)에는 손잡이부(116)와 인식부(1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식부(117)는 투명커버에 의해 커버되어 보호된다.
다이얼뭉치(120)는 수개의 다이얼(121)을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하여 다이얼지지구(122)에 의해 본체(110)에 지지시키고 다이얼중심부에 안내공(121a)과 결합홈(121b)을 형성시켜서 안내공(121a)에 작동자(123)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작동자(123) 상단 외측연결돌기(123a)가 다이얼(121)의 안내공(121a)에서 승강될 수 있게 하고 작동자(123)의 중심공내에는 정면측에 수직안내홈(123b)을 형성하여 각 작동자(123)의 중심공으로 걸림돌기(125a)가 있는 잠금봉(125)을 관통되게 삽입하여 걸림돌기(125a)가 작동자(123)의 중심공에 있는 수직안내홈(123b)에 안내되게 하며, 수직안내홈(123b)과 반대측 하단에 탐지공(124)을 형성하고 잠금봉(125) 하단은 고정판(128) 중심공에 끼워 코일스프링(126)에 의거 위로 탄발되게 하며 잠금봉(125) 상단은 안내구(127)의 중심공을 통해 돌출되어 레버회전부(130)의 외면에 접촉되게 하고 안내구(127)의 하단은 작동자(123) 상단에 접촉케하여 최하측에 있는 작동자(123)가 코일스프링(126)에 탄발되게 하므로서 다이얼(121) 안내공(121a) 에 삽입된 작동자(123)가 연접하여 외측연결돌기(123a)가 다이얼(121)의 결합홈(121b)에서 접촉,이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레버회전부(130)는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잠금봉(125)을 수용하는 수용홈(132a)을 형성한 연결자(132)와, 연결자(132)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연결자(132)와 분리 또는 연결되는 열쇠뭉치(134)와, 열쇠뭉치(134)의 후단에 연결되어 다이얼뭉치(120)의 잠금봉(125) 또는 마스터키에 의해 빗장편(139)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회전자(136)와 열쇠뭉치(134)와 연결되어 상기 열쇠뭉치(134)를 작동시키는 레버(138)로 이루어진다.
열쇠뭉치(134)의 내부에는 연결부재(135)가 구비되어 연결자(132)의 내측홈에 끼워져 열쇠뭉치(134)와 연결자(132)는 함께 회전된다.
반면에 열쇠뭉치(134)의 내부에 마스터키가 삽입되면, 연결부재(135)가 열쇠뭉치(134) 내측으로 이동되어 열쇠뭉치(134)와 연결자(132)는 연결되지 않아 열쇠뭉치(134) 단독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의 후면에는 비밀번호 분실시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다이얼뭉치(120)와 연결되어 다이얼뭉치(120)의 설정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비밀번호 검출장치(170)가 구비된다.
비밀번호 검출장치(170)는 본체(1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172)와,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다수의 핀(176)이 스프링에 의해 탄동지지되어 전측으로 돌출된 탄성핀 뭉치(175)와, 탄성핀 뭉치(175)와 접하여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접촉되어 이동되고 탄성핀 뭉치(175)를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밀착부 재(177)와,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접촉해제시 탄성핀 뭉치(175)와 밀착부재(177)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179)로 이루어진다.
탄성핀 뭉치(175)는 일측에 경사면(175a)을 형성하고, 밀착부재(177)는 경사면(175a)에 접하는 경사면(177a)을 형성하여 밀착부재(177)의 수평이동시 각각의 경사면(175a,177a)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탄성핀 뭉치(175)가 전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회전자(136)의 둘레에는 접촉돌기(136a)가 돌출 형성되어 밀착부재(177)의 측면을 가압하여 밀착부재(177)를 수평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밀착부재(177)의 측면에는 접촉홈(178)이 형성되어 접촉돌기(136a)가 접촉홈(178)에 수용되어 가압상태를 위지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172)의 내부에는 밀착부재(177)의 수평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가이드홈(173)에 형성된다.
복원부재(179)는 탄성핀 뭉치(175)의 전면과 본체(110)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172)와 밀착부재(177)의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개재되는 보조스프링(18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셋장치(140)는 다이얼(121)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하는 것으로서, 연결자(132)의 둘레에 형성되어 다이얼뭉치(120)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다이얼뭉치(120)의 결합을 해체시켜 다이얼(121)만 별도로 회전되게 하는 리셋홈부(150) 및 연결자(13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리셋홈부(150)에 다이얼뭉치(120)의 일부가 수 용되는 것을 단속하는 리셋버튼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리셋홈부(150)에 수용되는 다이얼뭉치(120)의 일부는 잠금봉(125)의 단부와 잠금봉(125) 끝단에 구비되는 안내구(127)의 단부이다.
리셋홈부(150)는 잠금봉(125)의 단부와 안내구(127)의 단부를 수용함으로써, 안내구(127)가 이동에 의해 작동자(123)가 다이얼(121)의 안내공(121a)에서 일부 이탈되어 다이얼(121)만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리셋버튼부(160)는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버튼(162)과, 버튼(162)과 연결자(132)에 각각 형성되어 연결자(13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제한편(163)과, 버튼(162)이 본체(110) 내부에서 탄동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164) 및 버튼(162)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킹부(165)로 이루어진다.
로킹부(165)는 버튼(162)을 수용하고 내측면 하단에 걸림턱(166a)를 형성한 로킹케이스(166)와, 버튼(162)과 탄성부재(164) 사이에 개재되어 버튼(162)의 누름시 눌려짐과 동시에 일정각도 회전되어 로킹케이스(166)의 걸림턱(166a)와 걸림과 해제를 반복하도록 둘레에 요철돌기(167a)를 형성한 회전부재(167)로 이루어진다.
버튼(162)의 하단면은 지그재그 형상이고, 요철돌기(167a)와 걸림턱(166a)에는 각각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어 버튼(162)의 누름시 요철돌기(167a)에 의해 회전부재(167)가 회전되고, 회전된 요철돌기(167a)에 의해 걸림턱(166a)에 걸림과 해제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 도록 한다.
먼저, 다이얼식 자물쇠(100)의 기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이얼식 자물쇠(100)의 잠김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이얼(121)을 회전시켜 설정된 비밀번호로 정렬하게 되면, 다이얼뭉치(120)의 잠금봉(125)이 유동가능하여 사용자는 레버(138)를 돌리게 되면, 연결자(132), 열쇠뭉치(134),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빗장편(139)을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마스터키를 삽입하게 되면, 열쇠뭉치(134)에 구비된 연결부재(135)가 열쇠뭉치(134)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연결자(132)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열쇠뭉치(134)만 회전되게 되어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빗장편(139)을 회전시켜 개방한다.
이때,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접촉돌기(136a)가 밀착부재(177)의 접촉홈(178)에 안착되면서 밀착부재(177)를 수평이동시키게 되면, 수평이동된 밀착부재(177)가 각각의 경사면(175a,177a)에 의해 탄성핀 뭉치(175)를 전측으로 이동시켜 핀(176)이 다이얼뭉치(120)에 접촉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다이얼(121)을 돌려주게되면, 핀(176)이 탐지공(124)에 도달하게 되어 다이얼(121)의 설정된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설정된 비밀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접촉돌기(136a)와 접촉홈(178)의 결합이 해제되면, 탄성핀 뭉치(175)와 후면케이스(112) 사이에 개재된 복원부재(179)에 의해 탄성핀 뭉치(175)가 후측으로 복원되고, 탄성핀 뭉치(175)의 복원에 의해 경사 면(175a,177a)을 따라 밀착부재(177)도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밀착부재(177)는 케이스(172)의 가이드홈(173)에 의해 정확하게 직선운동하게 되고, 보조스프링(180)에 의해 정확한 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새로운 번호로 변경하고자 할때에는 전면의 다이얼 비밀번호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전면으로 돌출된 버튼(162)을 눌러주게 되면 버튼(162)이 로킹케이스(166) 내에서 후측을 슬라이드되고, 버튼(162)에 의해 회전부재(167)가 눌려지면서 회전부재(167)의 요철돌기(167a)가 로킹케이스(166)의 걸림턱(166a)에 걸리게 되어 버튼(162)의 눌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162)의 눌러진 상태가 유지됨으로 버튼(162)의 제한편(163)과 연결자(136)의 제한편(163)이 회피되어 연결자(132)가 회전될 수 있어 연결자(132)의 리셋홈부(150)에 잠금봉(125)과 다이얼뭉치(120)의 안내구(127)가 수용된다.
안내구(127)가 수용됨에 따라 다이얼(121)에서 작동자(123)가 이탈되어 다이얼(121)만 단독으로 회전할 수 있어 사용자는 다이얼(121)을 조작하여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새로운 비밀번호 설정이 끝나면 레버(138)를 회전시켜 연결자(132)의 회전시키고, 버튼(162)을 다시 눌러주게 되면, 회전부재(167)가 일정각도 회전되어 걸림턱(166a)와 요철돌기(167a)의 걸림이 해제되어 탄성부재(16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167)와 버튼(162)을 전측으로 이동시켜 제한편(163)에 의해 연결자(132)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를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다이얼뭉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비밀번호 검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비밀번호 검출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비밀번호 검출장치를 보인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리셋장치를 보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의 작동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다이얼식 자물쇠 110 : 본체
112 : 후면케이스 113 : 안착부
115 : 전면커버 116 : 손잡이부
117 : 인식부 120 : 다이얼뭉치
121 : 다이얼 121a : 안내공
121b : 결합홈 122 : 다이얼지지구
123 : 작동자 123a : 외측연결돌기
123b : 수직안내홈 124 : 탐지공
125 : 잠금봉 125a : 걸림턱
126 : 코일스프링 127 : 안내구
130 : 레버회전부 132 : 연결자
132a : 수용홈 134 : 열쇠뭉치
135 : 연결부재 136 : 회전자
136a : 접촉돌기 138 : 레버
139 : 빗장편 140 : 리셋장치
150 : 리셋홈부 160 : 리셋버튼부
162 : 버튼 163 : 제한편
164 : 탄성부재 165 : 로킹부
160 : 로킹케이스 166a : 걸림돌기
167 : 회전부재 167a : 요철돌기
170 : 비밀번호 검출장치 172 : 케이스
173 : 가이드홈 175 : 탄성핀 뭉치
175a. 177a : 경사면 176 : 핀
177 : 밀착부재 178 : 접촉홈
179 : 복원부재 180 : 보조스프링

Claims (9)

  1. 도어에 부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이 내장된 다이얼뭉치;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상기 잠금봉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한 연결자;
    상기 연결자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연결자와 분리 또는 연결되는 열쇠뭉치;
    상기 열쇠뭉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뭉치의 잠금봉 또는 마스터키에 의해 빗장편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회전자;
    상기 열쇠뭉치와 연결되어 상기 열쇠뭉치를 작동시키는 레버;
    상기 본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비밀번호 분실시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다이얼뭉치와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뭉치의 설정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비밀번호 검출장치;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연결자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자의 회전을 단속함으로써, 비밀번호 재설정이 가능한 리셋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비밀번호 검출장치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안착되고 내부에 다수의 핀이 스프링에 의해 탄동지지되어 전측으로 돌출된 탄성핀 뭉치;
    상기 탄성핀뭉치와 접하여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접촉되어 이동되고 상기 탄성핀 뭉치를 전측으로 이동시키는 밀착부재; 및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접촉해제시 상기 탄성핀 뭉치와 상기 밀착부재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식 자물쇠.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핀 뭉치는 일측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접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밀착부재의 수평이동시 각각의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탄성핀 뭉치가 전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자물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밀착부재의 수평이동이 가이드되도록 가이드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자물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탄성핀 뭉치의 전면과 상기 본체의 후면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자물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밀착부재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개재되는 보조스프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자물쇠.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장치는 상기 연결자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다이얼뭉치의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다이얼뭉치의 결합을 해체시켜 다이얼만 별도로 회전되게 하는 리셋홈부; 및
    상기 연결자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상기 리셋홈부에 상기 다이얼 뭉치의 일부가 수용되는 것을 단속하는 리셋버튼부를 포함하는 다이얼식 자물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 형성된 버튼;
    상기 버튼과 상기 연결자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연결자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제한편;
    상기 버튼이 상기 본체 내부에서 탄동지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버튼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다이얼식 자물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버튼을 수용하고 내측면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한 로킹케이스;
    상기 버튼과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의 누름시 눌려짐과 동시에 일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로킹케이스의 걸림턱에 걸림과 해체를 반복하도록 상단부 둘레에 요철돌기를 형성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다이얼식 자물쇠.
KR1020090002024A 2009-01-09 2009-01-09 다이얼식 자물쇠 Expired - Fee Related KR100912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024A KR100912655B1 (ko) 2009-01-09 2009-01-09 다이얼식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024A KR100912655B1 (ko) 2009-01-09 2009-01-09 다이얼식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655B1 true KR100912655B1 (ko) 2009-08-17

Family

ID=4120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02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2655B1 (ko) 2009-01-09 2009-01-09 다이얼식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6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10B1 (ko) * 2011-02-10 2011-07-08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048109B1 (ko) * 2011-02-10 2011-07-08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CN107246186A (zh) * 2017-07-12 2017-10-13 利泰五金制品(东莞)有限公司 可变密码的圆型按键锁
CN109881985A (zh) * 2019-04-08 2019-06-14 浙江三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锁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199U (ja) * 2002-04-10 2002-10-11 捷祐有限公司 公共場所物置箱における錠の構造
KR20050113005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우창 아이토프 다이얼 자물쇠의 리셋장치
JP2008196139A (ja) * 2007-02-09 2008-08-28 Kyt:Kk 複合ロックアッセンブリ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199U (ja) * 2002-04-10 2002-10-11 捷祐有限公司 公共場所物置箱における錠の構造
KR20050113005A (ko) * 2004-05-28 2005-12-01 주식회사 우창 아이토프 다이얼 자물쇠의 리셋장치
JP2008196139A (ja) * 2007-02-09 2008-08-28 Kyt:Kk 複合ロックアッセンブリ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110B1 (ko) * 2011-02-10 2011-07-08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048109B1 (ko) * 2011-02-10 2011-07-08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CN107246186A (zh) * 2017-07-12 2017-10-13 利泰五金制品(东莞)有限公司 可变密码的圆型按键锁
CN107246186B (zh) * 2017-07-12 2023-08-01 利泰物联网科技(广东)有限公司 可变密码的圆型按键锁
CN109881985A (zh) * 2019-04-08 2019-06-14 浙江三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锁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75007B (zh) 一种具有电子密码锁定装置的手提箱
US20060213237A1 (en) Padlock having a storage chamber
JP3237415U (ja) 錠前
KR100912655B1 (ko) 다이얼식 자물쇠
CN104912395B (zh) 一种密码锁用边锁及密码锁
WO2019136788A1 (zh) 一种具有机械密码锁芯的智能挂锁
KR101160811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CN109209060A (zh) 一种带助力功能的机箱上盖锁装置
JP2001082017A (ja) 南京錠
TWI381090B (zh) 具有容納空間之掛鎖
KR101160810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CN203441213U (zh) 一种箱包密码锁
KR101048109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048110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CN102022036B (zh) 具有容纳空间的挂锁
CN206182574U (zh) 一种具有电子密码锁定装置的手提箱
KR100679309B1 (ko) 가구 일체형 서랍식 금고의 락킹장치
CN215671635U (zh) 一种箱包密码锁
CN211598120U (zh) 一种边锁及应用该边锁的箱包
CN210948089U (zh) 一种箱包锁
TWI375747B (en) Combination lock
JP3133904U (ja) アタッシュケース用プッシュボタン錠
CN216974449U (zh) 一种带侧边调码开关结构的密码锁
CN204139756U (zh) 号码锁的防窥装置
CN215803878U (zh) 一种箱体扣合闭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