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110B1 - 다이얼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얼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110B1
KR101048110B1 KR1020110012069A KR20110012069A KR101048110B1 KR 101048110 B1 KR101048110 B1 KR 101048110B1 KR 1020110012069 A KR1020110012069 A KR 1020110012069A KR 20110012069 A KR20110012069 A KR 20110012069A KR 101048110 B1 KR101048110 B1 KR 10104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main body
bundle
opening
clos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102011001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1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2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with tumbler discs or rings arranged on a single axis, each disc being adjustable independently of the ot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05B37/0034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actuated by either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본체와, 본체 내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이 내장되는 다이얼뭉치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봉을 유동시키고, 빗장편을 작동시킬 수 있는 개폐작동부 및 개폐작동부의 회전과 연동되어 다이얼뭉치의 번호를 가릴 수 있는 노출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얼식 잠금장치{DIAL TYPE LOCK DEVICE}
본 발명은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작동과 동시에 비밀번호를 차단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이얼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함은 자물쇠와 손잡이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거나 손잡이에 실린더 자물쇠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손잡이와 자물쇠가 된 것은 사용이 불편하고, 실린더 자물쇠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열리는 불편이 있으므로 안전성이 희박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학교 사물함, 스포츠센터, 목욕탕 등의 공공장소에서 열쇠가 없이 자기만의 비밀번호를 지정하여 사물함 도어를 개폐할 수 있게 한 다이얼식 자물쇠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이얼식 자물쇠는 도어에 부착되는 본체(1)와, 본체(1) 내에 장치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이 내장된 다이얼뭉치(2)와, 다이얼뭉치(2)의 잠금봉에 의해 빗장편(6)을 작동 할 수 있는 레버(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 따른 다이얼식 자물쇠에 의하면, 사용자가 다이얼뭉치를 조작하여 비밀번호을 지정하고, 레버를 돌려 도어를 개방할 때, 비밀번호는 노출된 상태임으로 사용자외에 다른 사람이 비밀번호를 볼 수 있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도어의 개폐작동시 노출되는 비밀번호를 개폐작동부와 연동되어 차단됨으로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다이얼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본체와, 본체 내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이 내장되는 다이얼뭉치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봉을 유동시키고, 빗장편을 작동시킬 수 있는 개폐작동부 및 개폐작동부의 회전과 연동되어 다이얼뭉치의 번호를 가릴 수 있는 노출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폐작동부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잠금봉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연결자와, 연결자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연결자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열쇠뭉치와, 열쇠뭉치의 후단에 연결되어 다이얼뭉치의 잠금봉 또는 마스터키에 의해 빗장편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회전자 및 열쇠뭉치와 연결되어 열쇠뭉치를 작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출차단부는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의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차단막과, 개폐작동부에 구비되어 개폐작동부의 회전에 의해 차단막과 접촉되어 차단막을 이동시키는 가압편 및 가압편의 접촉이 해제되면, 차단막을 최초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노출차단부는 차단막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는 차단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단유지부는 차단막의 닫힘 이동에 의해 본체의 내측으로 후퇴되는 스톱퍼와, 스톱퍼가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탄동지지되게 하는 탄성부재 및 탄성부재의 반발력에 의해 복원되는 스톱퍼가 수용되도록 차단막에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폐작동시 개폐작동부의 회전에 의해 노출차단부가 연동되어 다이얼뭉치의 비밀번호 노출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타인에게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막아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다이얼 자물쇠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그장치의 다이얼뭉치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노출차단부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노출차단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검출부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검출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그장치의 다이얼뭉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노출차단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노출차단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검출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비밀번호검출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100)는 본체(110), 다이얼뭉치(120), 개폐작동부(130), 노출차단부(140) 및 비밀번호검출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전면케이스(111)와 후면케이스(115)로 이루어진다.
전면케이스(111)에는 개폐작동부(130)가 일부 노출되는 개구홀(112)과, 다이얼뭉치(120)가 일부 노출되는 노출홀(113)이 형성되고, 후면케이스(115)에는 다이얼뭉치(120)와 개폐작동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면케이스(111)는 도어의 설치공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면케이스(115)는 도어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지며, 도어의 후면에는 후면케이스(115)와 도어에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118)가 구비된다.
다이얼뭉치(120)는 본체(110) 내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125)이 내장된다.
보다 자세하게 다이얼뭉치(12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개의 다이얼(121)을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하여 다이얼지지구(122)에 의해 본체(110)에 지지시키고 다이얼(121)의 중심부에 안내공(121a)과 결합홈(121b)을 형성시켜서 안내공(121a)에 작동자(123)를 수직으로 삽입하여 작동자(123) 상단 외측연결돌기(123a)가 다이얼(121)의 안내공(121a)에서 승강될 수 있게 하고 작동자(123)의 중심공내에는 정면측에 수직안내홈(123b)을 형성하여 각 작동자(123)의 중심공으로 걸림돌기(125a)가 있는 잠금봉(125)을 관통되게 삽입하여 걸림돌기(125a)가 작동자(123)의 중심공에 있는 수직안내홈(123b)에 안내되게 하며, 수직안내홈(123b)과 반대측 하단에 탐지공(124)을 형성하고 잠금봉(125) 일단은 고정판(128) 중심공에 끼워 코일스프링(126)에 의거 타측으로 탄발되게 하며 잠금봉(125) 타단은 안내구(127)의 중심공을 통해 돌출되어 개폐작동부(130)의 외면에 접촉되게 하고 안내구(127)의 일단은 작동자(123)에 접촉케하여 최외측에 있는 작동자(123)가 코일스프링(126)에 탄발되게 하므로서 다이얼(121) 안내공(121a)에 삽입된 작동자(123)가 연접하여 외측연결돌기(123a)가 다이얼(121)의 결합홈(121b)에서 접촉, 이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개폐작동부(13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잠금봉(125)을 유동시키고, 빗장편(139)을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둘레에 잠금봉(125)을 수용하는 수용홈(132a)이 형성되는 연결자(132)와, 연결자(132)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연결자(132)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열쇠뭉치(134)와, 열쇠뭉치(134)의 후단에 연결되어 다이얼뭉치(120)의 잠금봉(125) 또는 마스터키에 의해 빗장편(139)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회전자(136) 및 열쇠뭉치(134)와 연결되어 열쇠뭉치(134)를 작동시키는 레버(138)를 포함한다.
열쇠뭉치(134)의 내부에는 연결부재(135)가 구비되어 연결자(132)의 내측홈에 끼워져 열쇠뭉치(134)와 연결자(132)는 함께 회전된다.
반면에 열쇠뭉치(134)의 내부에 마스터키가 삽입되며, 연결부재(135)가 열쇠뭉치(134) 내측으로 이동되어 열쇠뭉치(134)와 연결자(132)는 연결되지 않아 열쇠뭉치(134) 단독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10)는 개폐작동부(130)의 회전과 연동되어 다이얼뭉치(120)의 번호를 가릴 수 있는 노출차단부(140)를 포함한다.
노출차단부(140)는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42)과, 가이드레일(142)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4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차단막(144)과, 개폐작동부(130)에 구비되어 개폐작동부(130)의 회전에 의해 차단막(144)과 접촉되어 차단막(144)을 이동시키는 가압편(147) 및 가압편(147)의 접촉이 해제되면, 차단막(144)을 최초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148)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42)은 전면케이스(111)의 노출홀(113) 내측 상하단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차단막(144)의 상하단에는 가이드레일(142)에 결합되도록 가이드돌기(145)가 형성되고, 다이얼(121)이 개별적으로 노출되도록 개구되고, 다이얼(121)의 사이 틈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차단막(144)에는 가압편(147)과 접하도록 연장되는 접촉편(146)이 형성된다.
이때, 상하단으로 나뉘어져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42)은 다이얼(121)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복수개의 연결편(143)에 의해 연결된다.
즉, 개폐작동부(130)의 회전에 의해 가압편(147)이 접촉편(146)을 가압하여 차단막(144)을 이동시키면, 차단막(144)은 다이얼(121)의 번호를 가리게 되고, 차단막(144)의 후측에 위치하는 연결편(143)은 다이얼(121)의 사이 틈새를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복원부재(148)는 가이드레일(142)과 차단막(144)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개재되어 가압편(147)에 의해 이동된 차단막(144)의 가압력 해제 시 최초위치로 복원시킨다.
노출차단부(140)는 차단막(144)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는 차단유지부(150)를 포함한다.
차단유지부(150)는 차단막(144)의 닫힘 이동에 의해 본체(110)의 내측으로 후퇴되는 스톱퍼(152)와, 스톱퍼(152)가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탄동지지되게 하는 탄성부재(154) 및 탄성부재(154)의 반발력에 의해 복원되는 스톱퍼(152)가 수용되도록 차단막(144)에 형성되는 걸림홈부(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톱퍼(152)의 경사면(152a)은 차단막(144)에 접하므로 차단막(144)의 수평이동 시 스톱퍼(152)는 본체의 내측으로 후퇴 가능하다.
그리고, 탄성부재(154)에 의해 복원되는 스톱퍼(152)는 차단막(144)에 형성되는 걸림홈부(156)에 수용되어 차단막(144)의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톱퍼(152)는 전측으로 연장되어 본체(110)의 전면케이스(111)의 전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는 다이얼뭉치(120)의 설정된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비밀번호검출부(160)를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개방한 후에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비밀번호검출부(160)는 본체(1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케이스(162)와, 케이스(162) 내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핀(165)이 스프링에 의해 탄동지지되어 다이얼뭉치(120)측으로 돌출되는 탄성핀뭉치(164)와, 탄성핀뭉치(164)의 핀(165)이 다이얼뭉치(120)에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70) 및 가압부(170)의 가압력 해제시 탄성핀뭉치(164)와 가압부(170)를 원위치로 복원하는 리턴부재(17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62)는 일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탄성핀뭉치(164)는 케이스(162) 내부에 수용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탄성핀뭉치(164)는 케이스(162) 내에서 형상에 의해 정확하게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는, 탄성핀뭉치(164)의 핀(165)이 다이얼뭉치(120)에 직선으로 접촉되고, 탐지공(124)에 직선으로 삽입되게 하는 것으로서, 핀(165)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리턴부재(179)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본체(110)의 배면과 탄성핀뭉치(164)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부(170)의 가압력이 해제되면 탄성핀뭉치(164)를 최초위치로 복원시킨다.
케이스(162)는 본체(110)의 후면에 착탈부(180)에 의해 결합된다.
착탈부(180)는 케이스(162)의 둘레에 형성되는 걸림부(182)와, 케이스(162)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본체(110)의 배면에 형성되는 안착리브(184) 및 걸림부(182)와 결속되도록 본체(110)의 배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탄동되는 후크(186)를 포함한다.
걸림부(182)는 케이스(162)의 선단 둘레에 형성되어 케이스(162)를 안착리브(184)에 안착시키면, 한 쌍의 후크(186)가 탄동되면서 걸림부(182)와 연결된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착탈이 용이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가압부(170)는 케이스(162) 내부에 구비되고, 탄성핀뭉치(164)의 배면에 접하는 가압판(172)과, 가압판(172)이 케이스 내에서 탄성핀뭉치(164)를 가압하여 탄성핀뭉치(164)를 이동시키는 조작부(175)를 포함한다.
조작부(175)는 가압판(172)의 배면에 형성되는 회전축(176)과, 회전축(17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스(162)의 배면으로 일부 돌출되는 조작레버(177) 및 조작레버(177)의 회전운동을 가압판(17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조작레버(177)와 가압판(172)의 접하는 면에 상호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는 빗면부(178)를 포함한다.
빗면부(178)는 회전축(176)을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형성되고, 조작레버(177)의 회전에 의해 가압판(172)을 이동시켜 탄성핀뭉치(16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식 잠금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이얼식 잠금장치(100)의 기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이얼식 잠금장치(100)의 잠김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이얼(121)을 회전시켜 설정된 비밀번호를 정렬하게 되면, 다이얼뭉치(120)의 잠금봉(125)이 유동가능하여 사용자는 레버(138)를 돌려 연결자(132), 열쇠뭉치(134),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빗장편(139)을 회전시킴으로써,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레버(138)의 회전에 의해 레버(138)에 형성되는 가압편(147)이 차단막(144)의 접촉편(146)을 가압함으로써, 차단막(144)은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된다.
차단막(144)의 이동에 의해 차단막(144)은 다이얼(121)의 번호를 가리게 되어 설정된 비밀번호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는다.
이때, 차단막(144)의 이동에 의해 다이얼(121)과 다이얼(121) 사이 공간은 가이드레일(142)에 형성되는 연결편(143)이 차단하여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평이동된 차단막(144)은 스톱퍼(152)에 의해 번호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차단막(144)이 스톱퍼(152)의 경사면(152a)을 가압하므로 차단막(144)의 이동시 스톱퍼(152)는 후퇴되고, 탄성부재(154)에 의해 지지되는 스톱퍼(152)가 차단막(144)의 걸림홈부(156)에 삽입됨으로써 가능하다.
상기한 작동에 의해 사용자는 다이얼(121)을 조작할 때만 다이얼(121)의 번호를 개방시킴으로 타인에게 비밀번호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어를 닫고, 레버(138)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가압편(147)의 가압력을 해제되며, 스톱퍼(152)를 눌러 걸림홈부(156)로부터 분리시키면, 복원부재(148)에 의해 차단막(14)은 최초위치로 복원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이얼(121)을 돌려 번호를 흐트림으로써, 잠금상태를 유지시키면 된다.
한편,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마스터키를 삽입하게 되면, 열쇠뭉치(134)에 구비된 연결부재(135)가 열쇠뭉치(134)의 내측으로 인입되므로 연결자(132)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열쇠뭉치(134)만 회전된다.
따라서, 열쇠뭉치(134)와 연결되는 회전자(136)가 회전되고, 회전자(136)의 회전에 의해 빗장편(139)이 해제되어 도어는 개방된다.
이후,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레버(177)를 회전시켜 탄성핀뭉치(164)가 케이스(162) 내에서 전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는, 가압판(172)과 조작레버(177)의 대응되는 면에 형성된 빗면부(178)에 의해 조작레버(177)의 회전운동이 가압판(172)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가압판(172)과 접하는 탄성핀뭉치(164)를 이동시키는 것이며, 탄성핀뭉치(164)에 구비되는 핀(165)은 다이얼뭉치(120)에 접촉되게 된다.
탄성핀뭉치(164)의 내측에서 탄동지지되는 핀(165)은 다이얼뭉치(120)를 가압하므로 사용자가 다이얼(121)을 돌려주게 되면, 핀(165)이 탐지공(124)에 도달하게 되어 다이얼(121)의 설정된 위치를 찾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설정된 비밀번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작동과 연동되어 다이얼의 비밀번호 노출을 차단할 수 있어 타인에게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막아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할 경우, 비밀번호검출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검출할 수 있다.
특히, 비밀번호를 검출하는 핀이 다이얼뭉치에 직선으로 접촉됨으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다이얼식 잠금장치 110 : 본체
111 : 전면케이스 112 : 개구홀
113 : 노출홀 115 : 후면케이스
116 : 안착부 118 : 고정플레이트
120 : 다이얼뭉치 121 : 다이얼
121a : 안내공 121b : 결합홈
122 : 다이얼지지구 123 : 작동자
123a : 외측연결돌기 123b : 수직안내홈
124 : 탐지공 125 : 잠금봉
125a : 걸림돌기 126 : 코일스프링
127 : 안내구 128 : 고정판
130 : 개폐작동부 132 : 연결자
132a : 수용홈 134 : 열쇠뭉치
135 : 연결부재 136 : 회전자
138 : 레버 139 : 빗장편
140 : 노출차단부 142 : 가이드레일
143 : 연결편 144 : 차단막
145 : 가이드돌기 146 : 접촉편
147 : 가압편 148 : 복원부재
150 : 차단유지부 152 : 스톱퍼
152a : 경사면 154 : 탄성부재
156 : 걸림홈부 160 : 비밀번호검출부
162 : 케이스 164 : 탄성핀뭉치
165 : 핀 170 : 가압부
172 : 가압판 175 : 조작부
176 : 회전축 177 : 조작레버
178 : 빗면부 179 : 리턴부재
180 : 착탈부 182 : 걸림부
184 : 안착리브 186 : 후크

Claims (5)

  1. 본체(110);
    상기 본체(110) 내에 구비되어 비밀번호를 일치시키면 유동될 수 있는 잠금봉(125)이 내장되는 다이얼뭉치(120);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다이얼뭉치(120)의 비밀번호 일치 시 회전되어 빗장편(139)을 해제시킬 수 있는 개폐작동부(130); 및
    상기 개폐작동부(130)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다이얼뭉치(120)의 번호를 가릴 수 있는 노출차단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노출차단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142);
    상기 가이드레일(142)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4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차단막(144);
    상기 개폐작동부(130)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작동부(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차단막(144)과 접촉되어 상기 차단막(144)을 이동시키는 가압편(147); 및
    상기 가압편(147)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차단막(144)을 최초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1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작동부(130)는 상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에 상기 잠금봉(125)을 수용하는 수용홈(132a)이 형성되는 연결자(132);
    상기 연결자(132) 내부에 구비되어 마스터키에 의해 상기 연결자(132)와 분리 또는 결합되는 열쇠뭉치(134);
    상기 열쇠뭉치(134)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뭉치(120)의 잠금봉(125) 또는 마스터키에 의해 빗장편(139)을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회전자(136); 및
    상기 열쇠뭉치(134)와 연결되어 상기 열쇠뭉치(134)를 작동시키는 레버(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차단부(140)는 상기 차단막(144)의 닫힘상태를 유지시키는 차단유지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유지부(150)는 상기 차단막(144)의 닫힘 이동에 의해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 후퇴되는 스톱퍼(152);
    상기 스톱퍼(152)가 상기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탄동지지되게 하는 탄성부재(154); 및
    상기 탄성부재(154)의 반발력에 의해 복원되는 상기 스톱퍼(152)가 수용되도록 상기 차단막(144)에 형성되는 걸림홈부(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식 잠금장치.
  5. 삭제
KR1020110012069A 2011-02-10 2011-02-10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048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69A KR101048110B1 (ko) 2011-02-10 2011-02-10 다이얼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069A KR101048110B1 (ko) 2011-02-10 2011-02-10 다이얼식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110B1 true KR101048110B1 (ko) 2011-07-08

Family

ID=4492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069A KR101048110B1 (ko) 2011-02-10 2011-02-10 다이얼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1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261B1 (ko) 2012-01-30 2012-12-24 장근대 사물함 잠금장치
KR101245184B1 (ko) 2011-10-07 2013-03-19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686769B1 (ko) * 2016-04-08 2016-12-15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 잠금장치
EP4306749A1 (en) * 2022-07-12 2024-01-17 Ojmar S.A. Safet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227U (ja) * 1991-10-24 1993-05-25 安光 石田 ドア−のスライド式文字合わせ錠
KR20050026444A (ko) * 2005-02-03 2005-03-15 박운기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KR20060003463A (ko) * 2004-07-06 2006-01-11 전병화 출입문용 잠금장치
KR100912655B1 (ko) * 2009-01-09 2009-08-17 장근대 다이얼식 자물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8227U (ja) * 1991-10-24 1993-05-25 安光 石田 ドア−のスライド式文字合わせ錠
KR20060003463A (ko) * 2004-07-06 2006-01-11 전병화 출입문용 잠금장치
KR20050026444A (ko) * 2005-02-03 2005-03-15 박운기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KR100912655B1 (ko) * 2009-01-09 2009-08-17 장근대 다이얼식 자물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84B1 (ko) 2011-10-07 2013-03-19 장근대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215261B1 (ko) 2012-01-30 2012-12-24 장근대 사물함 잠금장치
KR101686769B1 (ko) * 2016-04-08 2016-12-15 주식회사 퍼맥스 사물함 잠금장치
EP4306749A1 (en) * 2022-07-12 2024-01-17 Ojmar S.A. Safet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110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CN208618956U (zh) 拉链头锁
JP2017201128A (ja) バックセットが調整可能なドアズームアップラッチ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ドアロック装置
US7958757B1 (en) Cam lock for a cabinet
KR101160811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2052303B1 (ko) 사물함용 잠금장치
US20100313617A1 (en) Sliding padlock
KR101048109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958143B1 (ko) 잠금 및 개폐가 용이한 사물함
KR101160810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0912655B1 (ko) 다이얼식 자물쇠
TWI738559B (zh) 鎖具
KR200416926Y1 (ko) 사물함용 핸들 일체형 록킹장치
US8225630B1 (en) Dual-function padlock
KR101853837B1 (ko) 도어록 장치
JP4127712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1245184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121782B1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KR101963357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1215261B1 (ko) 사물함 잠금장치
KR20120124295A (ko) 다이얼식 잠금장치
CN111479978B (zh) 用于机动车辆的门把手组件
US11708658B2 (en) Self-adjusting lock system
KR101404431B1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US20150191940A1 (en) Multi-functional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