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401B1 - 광학필름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401B1
KR100912401B1 KR1020080008968A KR20080008968A KR100912401B1 KR 100912401 B1 KR100912401 B1 KR 100912401B1 KR 1020080008968 A KR1020080008968 A KR 1020080008968A KR 20080008968 A KR20080008968 A KR 20080008968A KR 100912401 B1 KR100912401 B1 KR 100912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planes
clamp
uni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038A (ko
Inventor
박창언
백진태
김경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008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4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 H01L21/6871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 H01L21/6872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mechanical means, e.g. chucks, clamps or pinches the wafers being placed on a susceptor, stage or support characterised by a plurality of separate clamping members, e.g. clamping fin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는 광학필름의 불량요소를 검출하기 위한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평면과, 상기 광학필름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평면들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필름을 평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평면들 사이로 유입된 광학필름에 공기를 분사하면서 그 광학필름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유닛; 상기 클램핑유닛에 의해 클램핑된 광학필름의 불량요소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유닛; 및 상기 분사구들 중 상기 평면들 사이로 유입된 광학필름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분사구들을 가리기 위한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필름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optical film}
본 발명은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필름의 클램핑시 광학필름의 전면(全面)에 걸쳐 공기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에 주로 사용되는 광학필름은 제조 공정 또는 취급 과정에서 불량요소가 발생하게 되며, 광학필름의 불량요소는 LCD 패널이나 PDP 모듈의 불량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불량인 광학필름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필름 제조사들은 검사 공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작업자의 육안 검사 및 기술의 발전으로 비전을 이용한 자동검사장치 사용을 병행하고 있다.
광학필름의 검사에서는 광학필름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불량요소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다양한 불량요소에 대응하기 위해서, 불량요소의 종류에 따라 조명과 카메라의 배치를 다르게 하거나 불량요소의 영상 획득을 위한 광학계 수량을 변경하는 등의 다양한 영상 획득 방법을 이용한다.
시트 상태의 광학필름을 순차적으로 검사장비에 투입하면 컨베이어, 롤 등에 의해 광학필름이 이송되며, 이송 도중 복수 개의 광학계를 통과하면서 각 광학계가 전담하고 있는 광학필름의 일정 부분이 포함하고 있는 불량요소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상기 불량요소의 영상 획득을 위하여 광학 필름의 네 모서리를 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1~2 mm 잡은 후 일정한 압력으로 당겨주는 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는, 광학필름을 고정하고 검사를 위해 평평하게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클램핑 수단을 이용하여 광학필름의 네 모서리를 동시에 클램핑하고 클램핑된 광학필름을 동시에 바깥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광학필름 및 클램핑 수단이 동시에 이동하는 일련의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20초 길게는 60초까지 소요되어 전체 검사 공정 시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램핑 수단의 조립 상태 및 가공 상태에 따라 영상 획득 조건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검사 대상이 되는 광학필름의 종류에 따라 클램핑 수단의 위치, 클램핑 수단의 압력, 클램핑 수단 간의 간격, 사용하는 공압 배관, 광학필름을 클램핑한 후 당기는 거리 등의 조건을 모두 재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학필름의 모서리 부위를 직접 접촉하지 않고 광학필름의 상하면에 공기를 분사하면서 광학필름을 클램핑함으로써, 광학필름의 불량요소 여부를 검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광학필름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검사되는 광학필름의 폭방향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광학필름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공기 분사구를 가변적으로 차단함으로써, 광학필름의 클램핑시 광학필름의 전면(全面)에 걸쳐 공기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광학필름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학필름 검사장치는, 광학필름의 불량요소를 검출하기 위한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평면과, 상기 광학필름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평면들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필름을 평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평면들 사이로 유입된 광학필름에 공기를 분사하면서 그 광학필름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유닛; 상기 클램핑유닛에 의해 클램핑된 광학필름의 불량요소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유닛; 및 상기 분사구들 중 상기 평면들 사이로 유입된 광학필름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분사구들을 가리기 위한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평면들 사이에서 상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차폐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차폐판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차폐판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와, 상기 차폐판의 타단부가 감겨진 롤러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지지부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고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핑유닛은, 그 하면이 상기 평면들 중 하나의 평면이고 그 내부에 상기 분사구에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상부 패드와, 그 상면이 상기 평면들 중 다른 하나의 평면이고 그 내부에 상기 분사구에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하부 패드와, 상하측으로 상기 상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를 각각 구비하는 제1클램프와, 상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하측으로 상기 상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를 각각 구비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클램프의 상류 및 상기 제2클램프의 하류 중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지지부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제1클램프의 상류 및 상기 제2클램프의 하류 중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필름의 모서리 부위를 직접 접촉하여 광학필름을 클램핑하지 않고 광학필름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광학필름의 상하면에 공기를 분사하면서 그 광학필름을 클램핑함으로써, 광학필름의 이미지 획득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광학필름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분사구를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폐판을 구비하여, 검사되는 광학필름의 폭방향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광학필름과 차폐판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 모두를 차단함으로써, 광학필름의 클램핑시 광학필름의 전면(全面)에 걸쳐 공기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광학필름 검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제1,2수평이동수단 및 제1,2승강수단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차폐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차폐유닛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학필름 검사장치(100)는, 광학필름(1)의 상하면을 향해 공기를 분사하면서 그 광학필름(1)을 클램핑하며, 광학필름(1)의 폭이 변경되더라도 광학필름(1)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분사구를 가변적으 로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클램핑유닛과, 조명유닛과, 촬상유닛과, 차폐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광학필름 검사장치(100)는, 아직 검사되지 않은 광학필름(1)을 장치 내측으로 이송하는 공급 컨베이어(10)와, 공급 컨베이어(10)로부터 공급받은 광학필름(1)과 접촉하여 광학필름(1)에 직선운동력을 전달하는 공급 롤러(12)를 포함한다. 또한, 광학필름 검사장치(100)는, 검사가 완료된 광학필름(1)과 접촉하여 광학필름(1)에 직선운동력을 전달하는 배출 롤러(22)와, 배출 롤러(22)로부터 배출된 광학필름(1)을 장치 외측으로 이송하는 배출 컨베이어(20)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유닛은,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평면들 사이로 유입된 광학필름(1)의 상면 및 하면에 공기를 분사하면서 그 광학필름(1)을 평평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클램프(110)와, 제2클램프(120)와, 제1수평이동수단과, 제2수평이동수단과, 제1승강수단과, 제2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제1클램프(110)는, 광학필름(1)의 이송방향(A)을 따라 공급 롤러(1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평면(113)과, 광학필름(1)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제1평면들(113)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114)와, 하면이 제1평면(113)들 중 하나의 평면이고 그 내부에는 분사구(114)에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상부 패드(111)와, 상면이 제1평면(113)들 중 다른 하나의 평면이고 그 내부에는 분사구(114)에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하부 패드(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2클램프(120)는, 광학필름(1)의 이송방향(A)을 따라 제1클램프(110) 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2평면(123)과, 광학필름(1)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제2평면들(123)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124)와, 하면이 제2평면(123)들 중 하나의 평면이고 그 내부에는 분사구(124)에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상부 패드(121)와, 상면이 제2평면(123)들 중 다른 하나의 평면이고 그 내부에는 분사구(124)에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하부 패드(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평이동수단은, 제1클램프(110)를 광학필름의 이송방향(A)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141)와, 구동모터(1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142)과, 구동모터(141)의 회전축과 종동축(142)에 감아걸리는 벨트(14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수평이동수단은, 종동축(142)에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수평이동캠(143)을 포함하고, 제1클램프(110)에 연결되며 수평이동캠(143)과 접촉하여 수평이동캠(14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수평이동 캠팔로우어(14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이동 캠팔로우어(144)는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이동캠(143)이 회전하면 수평이동캠(143)의 측면의 굴곡의 형상을 따라 수평이동 캠팔로우어(144)는 광학필름의 이송방향(A)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제1클램프(110)와 수평이동 캠팔로우어(144)는 그 하부에서 직선운동가이드(146)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수평이동 캠팔로우어(144)의 왕복 운동은 제1클램프(110)측으로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 제2수평이동수단은, 제2클램프(120)를 광학필름의 이송방향(A)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수평이동수단과 동일하게 구 성되고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승강수단은, 제1평면(113)들이 서로 이격되거나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상부 패드(111) 및 하부 패드(112)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모터(141)와, 구동모터(14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축(142)과, 구동모터(141)의 회전축과 종동축(142)에 감아걸리는 벨트(14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41), 종동축(142) 및 벨트(145)는 제1수평이동수단의 구동모터(141), 종동축(142) 및 벨트(145)와 동일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승강수단은, 종동축(142)에 동축적으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승강캠(153)을 포함하고, 제1평면(113)들에 각각 연결되며 승강캠(153)과 접촉하여 승강캠(15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승강 캠팔로우어(1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 캠팔로우어(154)들 각각은 롤러로 구성된다.
승강캠(153)이 회전하면 승강캠(153)의 측면의 굴곡의 형상을 따라 승강 캠팔로우어(154)들 각각은 제1평면(113)들이 서로 이격되거나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는데, 상부 패드(111)와 승강 캠팔로우어(154)들 중 상측에 배치된 하나는 직선운동가이드(156)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 패드(112)와 승강 캠팔로우어(154)들 중 하측에 배치된 하나 역시 직선운동가이드(156)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승강 캠팔로우어(154)들의 왕복 운동은 상부 패드(111) 및 하부 패드(112) 측으로 그대로 전달된다.
상기 제2승강수단은, 제2평면(123)들이 서로 이격되거나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상부 패드(121) 및 하부 패드(122)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승강수단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더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유닛(131)은, 광학필름(1)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필름(1)의 상면의 상측에 설치되어 광학필름(1) 측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광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유닛(131)은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메탈 할라이드(metal hallide) 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촬상유닛(132)은, 광학필름(1)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광학필름(1)의 불량요소를 촬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학필름(1)의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촬상유닛(132)은 에어리어스캔(area scan) 카메라를 포함하지만, 단일의 촬상유닛이 설치되는 경우 라인스캔(line scan)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차폐유닛(160)은, 제1평면(113)들 또는 제2평면(123)들 사이로 유입된 광학필름(1)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분사구(114,124)를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차폐판(161)과, 지지부(162)와, 롤러부(163)와, 직선운동부(165)와, 구동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판(161)은, 제1평면(113)들 및 제2평면(123)들 사이에 배치되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광학필름의 이송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B,C)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차폐판(161)에 의해 제1평면(113)들에 형성된 분사구(114)들 및 제2평면(123)들 상에 형성된 분사구(124)들 중 임의의 분사구들이 가변적으로 가려질 수 있다. 차폐판(161)은 연성을 가지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박판 또는 합 성수지 재질의 박판으로 제작된다.
상기 지지부(162)는 차폐판(161)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B,C)으로 제1평면(113)들 및 제2평면(123)들과 평행하게 슬라이딩한다.
상기 롤러부(163)에는 차폐판(161)의 타단부가 감겨진다. 차폐판(161)이 분사구(114,124)들이 가려지는 "B" 방향으로 이동하면 롤러부(16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겨진 차폐판(161)은 풀리게 되고, 차폐판(161)이 분사구(114,124)들이 노출되는 "C" 방향으로 이동하면 롤러부(16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폐판(161)은 다시 감겨진다.
상기 직선운동부(165)는 차폐판(161)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차폐판(161)은 직선운동부(165)에 의해 평행하게 배치된 제1평면(114)들 및 제2평면(124)들에 충돌되지 않고 그 사이에서 왕복 직선운동 할 수 있다. 직선운동부(165)는 지지부(162)를 지지하는 너트부재와, 너트부재에 나사결합되는 긴 축 형상의 스크류부재와, 너트부재가 스크류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운동시 그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동부(164)는 광학필름의 이송방향(A)과 교차하는 방향(B,C)으로 지지부(162)를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전기모터가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판(161)이 감겨져 있는 롤러부(163)가 제1클램프(110) 및 제2클램프(1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지지부(162), 직선운동부(165) 및 구동부(164)가 광학필름의 이송방향(A)에 대하여 제1클램프(110)의 상류에 함께 설치된다. 또한, 광학필름의 이송방향(A)에 대하여 제2클램프(120)의 하류에는 구동부(164) 없이 지지부(162) 및 직선운동부(165)가 설치된다. 제1클램프(110)의 상류 및 제2클램프(120)의 하류에 구동부(164)가 모두 설치되면 차폐판(161)의 단순한 왕복이동에 2개의 전기모터를 동기화시켜야 하는 제어가 필요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100)의 작동원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광학필름의 폭에 맞춰 도 4의 차폐유닛의 차폐판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광학필름(1)이 제1클램프(110) 및 제2클램프(120)에 의해 클램핑되는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본원의 출원인이 2007년 10월 4일에 출원한 한국특허출원 제10-2007-99975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개시는 본문 전체로서 본원에 참조문헌으로 포함된다. 따라서, 여기서는 차폐유닛(160)의 작동원리에 대해서만 언급하기로 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필름(1)이 제1클램프(110) 및 제2클램프(120) 측으로 유입되기 전, 일정 폭방향 길이(L1)를 가지는 광학필름(1)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제1평면(113)들의 분사구(114)들 및 제2평면(123)들의 분사구(124)들을 가리기 위해 차폐판(161)이 이동한다. 차폐판(16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 지부(162)가 분사구(114,124)들이 가려지는 "B" 방향으로 이동하고 롤러부(16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감겨진 차폐판(161)은 풀리게 된다. 차폐판(161)은 광학필름(1)의 폭에 맞춰 "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광학필름(1)에 의해 가려질 분사구(114,124)들을 제외한 나머지 분사구(114,124)들을 가리게 된다. 이후, 광학필름(1)이 제1클램프(110) 및 제2클램프(120) 측으로 유입되면 광학필름(1) 및 차폐판(161)에 의해 제1평면(113)들의 분사구(114)들 및 제2평면(123)들의 분사구(124)들 모두가 가려지게 된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필름(1)의 폭방향 길이가 "L1"에서 "L2"로 변경되면 차폐판(161)은 그 광학필름(1)의 폭에 맞춰 이동한다. 광학필름(1)은 일정 기준선(2)에 정렬되어 유입되므로, 폭방향 길이(L1,L2)가 더 긴 광학필름(1)이 유입되면 차폐판(16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62)가 분사구(114,124)들이 노출되는 "C" 방향으로 이동한다. 롤러부(16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폐판(161)은 다시 감겨진다. 차폐판(161)은 광학필름(1)의 폭에 맞춰 "C"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광학필름(1)에 의해 가려질 분사구(114,124)들을 제외한 나머지 분사구(114,124)들을 가리게 된다. 이후, 광학필름(1)이 제1클램프(110) 및 제2클램프(120) 측으로 유입되면 광학필름(1) 및 차폐판(161)에 의해 제1평면(113)들의 분사구(114)들 및 제2평면(123)들의 분사구(124)들 모두가 가려지게 된다.
만약 상술한 바와 같은 차폐판(161)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광학필름(1)의 전면(全面)에 걸쳐 공기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폭방향 길이가 다른 광학필름(1)에 따라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전체 분사구(114,124)들 중 광학필름(1)에 의해 가려지는 분사구(114,124)들의 개수와 광학필름(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분사구(114,124)들의 개수는 폭방향 길이가 다른 광학필름(1)에 따라 변경된다. 이와 같이 가려지는 분사구(114,124)들의 개수와 가려지지 않는 분사구(114,124)들의 개수가 변경됨에 따라, 각각의 분사구(114,124)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이 변경되는데, 이는 광학필름(1)을 클램핑하는 압력을 변경시키게 된다.
광학필름(1)을 클램핑하는 압력이 변경되면, 폭방향 길이가 다른 광학필름(1)을 제외한 나머지 조건들, 즉 장치의 하드웨어 및 광학필름(1)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매개변수 조건 등을 동일하게 하더라도, 광학필름(1)의 불량요소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광학필름(1)을 클램핑하는 압력의 변경으로 상부 패드(111,121)와 하부 패드(112,122)의 사이에서 광학필름(1)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고, 광학필름(1)에 의해 가려지는 분사구(114,124)와 가려지지 않는 분사구(114,124)의 경계 부위에서 압력의 차이로 인해 광학필름(1)의 측부에 굴곡이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는, 공압실린더 등을 이용하여 광학필름의 모서리 부위를 직접 접촉하는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광학필름을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광학필름의 상하면에 공기를 분사하면서 그 광학필름을 클램핑함으로써, 광학필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전단계로서 광학필름을 클램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 다.
또한, 분사구를 가변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폐판을 구비하여, 검사되는 광학필름의 폭방향 길이가 변경되더라도 광학필름과 차폐판에 의해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구 모두를 차단함으로써, 광학필름의 클램핑시 광학필름의 전면(全面)에 걸쳐 공기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판의 일단부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차폐판의 타단부는 롤러부에 감겨져 있으나, 차폐판의 타단부에는 롤러부가 배치되지 않고 장치의 일측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왕복 이동하지만, 장치의 운영자가 수동으로 지지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제1,2수평이동수단 및 제1,2승강수단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광학필름 검사장치의 차폐유닛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차폐유닛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광학필름의 폭에 맞춰 도 4의 차폐유닛의 차폐판이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학필름 100 : 광학필름 검사장치
110 : 제1클램프 111, 121 : 상부 패드
112, 122 : 하부 패드 113 : 제1평면
114, 124 : 분사구 120 : 제2클램프
131 : 조명유닛 132 : 촬상유닛
160 : 차폐유닛 161 : 차폐판
162 : 지지부 163 : 롤러부
164 : 구동부

Claims (5)

  1. 광학필름의 불량요소를 검출하기 위한 광학필름 검사장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며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평면과, 상기 광학필름에 공기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평면들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분사구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필름을 평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평면들 사이로 유입된 광학필름에 공기를 분사하면서 그 광학필름을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유닛;
    상기 클램핑유닛에 의해 클램핑된 광학필름의 불량요소를 촬상하기 위한 촬상유닛; 및
    상기 분사구들 중 상기 평면들 사이로 유입된 광학필름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분사구들을 가리기 위한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평면들 사이에서 상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차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검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차폐판의 일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차폐판의 직선왕복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부와, 상기 차폐판의 타단부가 감겨진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유닛은, 상기 지지부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발생하고 전달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유닛은, 그 하면이 상기 평면들 중 하나의 평면이고 그 내부에 상기 분사구에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상부 패드와, 그 상면이 상기 평면들 중 다른 하나의 평면이고 그 내부에 상기 분사구에 연결된 유로가 형성된 하부 패드와, 상하측으로 상기 상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를 각각 구비하는 제1클램프와, 상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제1클램프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하측으로 상기 상부 패드와 상기 하부 패드를 각각 구비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필름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클램프의 상류 및 상기 제2클램프의 하류 중 일측에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지지부가 함께 설치되고,
    상기 제1클램프의 상류 및 상기 제2클램프의 하류 중 타측에는 상기 지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름 검사장치.
KR1020080008968A 2008-01-29 2008-01-29 광학필름 검사장치 KR10091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68A KR100912401B1 (ko) 2008-01-29 2008-01-29 광학필름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68A KR100912401B1 (ko) 2008-01-29 2008-01-29 광학필름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38A KR20090083038A (ko) 2009-08-03
KR100912401B1 true KR100912401B1 (ko) 2009-08-14

Family

ID=4120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968A KR100912401B1 (ko) 2008-01-29 2008-01-29 광학필름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4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220A (ko) * 2005-05-12 2006-11-16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검사 장치
JP2007147571A (ja) 2005-11-30 2007-06-14 Hiroshi Akashi フィルム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7220A (ko) * 2005-05-12 2006-11-16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검사 장치
JP2007147571A (ja) 2005-11-30 2007-06-14 Hiroshi Akashi フィルム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38A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033B1 (ko) 광학 필름 검사장치
US6286202B1 (en) System for mounting a plurality of circuit components on a circuit substrate
KR102340012B1 (ko) 보호막 검출 장치 및 보호막 검출 방법
KR102131996B1 (ko) 비전검사장치
KR101454823B1 (ko) 외관 검사 장치
KR20140066551A (ko) 릴-투-릴 검사장치 및 릴-투-릴 검사방법
EP2797399B1 (en) Component imaging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equipped with component imaging device
JP2010266284A (ja) 非点灯検査装置
KR101032089B1 (ko) 기판검사장치
JP5344598B2 (ja) 基板保持装置、欠陥検査装置及び欠陥修正装置
KR100912401B1 (ko) 광학필름 검사장치
KR101621572B1 (ko)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1178403B1 (ko) 피시비 기판 검사장치
KR101078296B1 (ko) 백라이트용 엘이디 검사 장치
KR101178416B1 (ko) 피시비 기판 검사장치
KR101197709B1 (ko) 기판검사장치
KR100896199B1 (ko) 광학필름 검사장치
CN111565931B (zh) 丝网印刷装置
JP4637424B2 (ja) 基板コンベヤの幅合わせ方法
CN211374551U (zh) 基板检测装置
KR20190076719A (ko) 구멍 확장성 시험장치
KR102018955B1 (ko) 히든라벨 검사장치
KR100950438B1 (ko) 광학필름 검사장치
KR20060077176A (ko) 백라이트유닛의 이송용 트레이 자동 이송시스템
KR101197708B1 (ko) 기판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