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378B1 -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378B1
KR100912378B1 KR1020090008919A KR20090008919A KR100912378B1 KR 100912378 B1 KR100912378 B1 KR 100912378B1 KR 1020090008919 A KR1020090008919 A KR 1020090008919A KR 20090008919 A KR20090008919 A KR 20090008919A KR 100912378 B1 KR100912378 B1 KR 100912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ing
profile
mortar
roller
lining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점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090008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관의 보수, 보강에 사용되는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존 관 내주연에 라이닝 프로파일의 접합에 의한 라이닝과 동시에 몰탈의 주입에 의해 충실한 몰탈 주입이 가능하고, 이와 별도로 라이닝 프로파일의 접합에 의한 라이닝 부분과 몰탈이 주입된 부분에 다짐롤러에 의한 다짐을 함으로써 하중 등에 의한 라이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이닝 프로파일, 다짐롤러, 비굴착, 라이닝

Description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A Hardening Roller, Lining Profile and Method For No-Digging Lining Using Them}
본 발명은 기존 관의 보수, 보강에 사용되는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존 관 내주연에 라이닝 프로파일의 접합에 의한 라이닝과 동시에 몰탈의 주입에 의해 충실한 몰탈 주입이 가능하고, 이와 별도로 라이닝 프로파일의 접합에 의한 라이닝 부분과 몰탈이 주입된 부분에 다짐롤러에 의한 다짐을 함으로써 하중 등에 의한 라이닝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관의 보수, 보강에는 다양한 공법이 사용되나 이중에서 기존 관을 굴착하지 않고 보수, 보강하는 공법으로써 비굴착 보수공법이 제시되고 있는 바, 비굴착 보수공법은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기존 관에 부분적인 파손이 있거 나 이음부가 벌어지는 등에 의해 누수 등이 발생하는 경우 하자 부분을 보수, 보강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비굴착 보수공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바, 그 일 예로서 스파이럴 형상으로서 플라스틱 등 탄성재질을 사용한 띠 부재를 기존 관의 내주연에 안치하고 접하는 띠 부재간에 부착에 있어서는 본드부착, 열부착 등에 의해 부착하거나 각각 체결돌기 및 체결홈을 구성하여 가압에 의해 부착하고 기존 관과 나선 띄 부재(프로파일) 사이에는 몰탈(충진제)을 주입함으로써 기존 관의 내주연에 나선 띄(프로파일) 부재를 부착하는 공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공법은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후 관로 내주연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하수의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나선 띄(프로파일) 부재와 기존 관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는 경우에 밀실한 충진이 이루어 지지 않아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하중, 누수 등에 의해 나선 띄(프로파일) 부재에 변형이 발생하고 이러한 변형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선 띄(프로파일) 부재와 기존 관 사이에 몰탈을 주입함에 의해 몰탈의 하중, 몰탈 충진의 불균형 등에 의해 나선 띄(프로파일) 부재에 처짐 등에 의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 의해 이 또한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나선 띠(프로파일)와 기존 관 사이에 몰탈의 충진이 밀실하게 이루어지며 나선 띄, 기존관, 및 몰탈 간이 부착력을 강화하여 하중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다짐롤러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각각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관통공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돌출단을 구비한 체결부와; 상기 돌출단의 중공부에 삽입되며 상기 관통공에 대향하는 체결공이 복수개가 형성되는 길이조절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몸체부를 돌출단과 길이조절봉으로 구성하여 자유롭게 길이가 조절되도록 함에 있어 상기 길이조절봉의 끝단에는 롤러가 장착되는데, 상기 길이조절봉의 끝단에는 양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봉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봉 사이에 롤러가 장착되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의 라이닝 프로파일은 기존 관에 삽입되어 탄성에 의해 관 내주연에 밀착되는 띠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테두리와; 상기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테두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테두리는 상기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는 볼록테두리와, 타 측에 형성되며 접하는 몸체 측면에 형성된 볼록테두리가 삽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오목테두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록테두리는 상단에 상협하광의 머리가 구성되고 상기 오목테두리는 상기 공간부에 상기 머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머리수용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테두리와 지지테두리 사이에는 형상 유지용 탄성링이 삽입됨이 타당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짐롤러 및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은 기존 관에 스파이럴 형상의 프로파일을 인접하는 접합부를 상호 접합시킴으로써 설치하는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존 관에 일방향으로 라이닝 프로파일 간의 접합부를 접합시키는 단계와; 접합된 라이닝 프로파일과 기존 관의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와; 몰탈이 주입된 라이닝 프로파일 부분의 내주연을 상기 다짐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지는 단계를 반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몰탈을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 접합된 라이닝 프로파일과 기존 관의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에는 몰탈을 라이닝 프로파일과 기존 관 사이로서 상호 대향하는 2방향 이상에서 몰탈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몰탈이 주입된 라이닝 프로파일 부분의 내주연을 상기 다짐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지는 단계 후에 다짐롤러에 의해 다져진 부분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열화 등에 의해 보수, 보강이 필요한 기존 관에 굴착이 필요 없이 간단한 시공에 의해 기존 관을 보수,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라이닝 프로파일의 접합과 동시에 몰탈을 다방향으로 주입함으로써 라이닝 프로파일에 의한 라이닝과 기존관 사이에 몰탈이 밀실한 충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셋째, 라이닝 프로파일 접합, 몰탈 주입 부분에 대해 다짐롤러를 통해 다짐을 할 수 있으므로 라이닝 프로파일에 의한 라이링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다짐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라이닝 프로파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라이닝 프로파일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기존 관과 라이닝 프로파일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 관의 보수를 위해 사용되는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다짐롤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다짐롤러(100)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롤러(120)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히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는 체결부(111)와 상기 체결부(111)에서 방사형으로 체결되는 길이조절봉(112)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체결부(111)는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단(111a)이 구성되며, 상기 돌출단(111a)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길이조절봉(112)이 삽입될 수 있는 중공(11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단(111a)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111c)이 형성되는 바, 상기 관통공(111c)은 상기 중공(111b)에 상기 길이조절봉(112)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결합(130)에 의해 길이조절봉(112)의 삽입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단(111a)의 수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데 도 1 등에서는 방사형으로 8개가 구성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돌출단(111a)에는 각각 길이조절봉(112)을 삽입하여 기존 관(10)에 라이닝 된 이하에서 설명할 라이닝 프로파일(200)(이하에서는 라이닝 프로파일(200)의 접합부가 부착된 부분을 "라이닝"이라한다.)과 그 사이에 몰탈(20)을 다지는 것으로 상기 돌출단(111a)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봉(112)의 수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기존 관(10)의 형상에 따라 다짐각도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등에서는 각각 90도가 형성되도록 하여 기존 관(10)의 상, 하, 좌, 우를 향하도록 구성된 형상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길이조절봉(112)은 직봉형상으로 상기 돌출단(111a)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11c)에 대향하는 체결공(112a)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렇게 체결공(112a)이 형성되어 볼트결합(130)에 의해 상기 관통공(111c) 및 상기 체결공(11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방식에 의해 상기 돌출단(111a)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봉(112)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돌출단(111a)에 삽입되는 길이조절봉(1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관(10)의 다양한 형상, 직경에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봉(112)의 끝단에는 롤러(120)가 장착되는데, 상기 길이조절봉(112)의 끝단에 다양한 형상으로 상기 롤러(120)가 장착될 수 있는 바, 도 1에서는 그 일 실시예로서 상기 길이조절봉(112)의 끝단에 양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단(113)을 구성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단(113) 사이에 롤러(120)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단(113)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지지단(113)을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기존 관(10), 몰탈(20) 및 나선띄(30)에 상기 지지단(113)의 탄성력에 의해 다짐이 밀실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또한 미세한 굴곡이 있을 시에 도 이러한 굴곡의 영향 없이 다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롤러(12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길이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체결홀을 구성하여 상기 지지단(11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롤러(120)는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해 형성되는 라이닝에 있어 미세한 굴곡 등에도 다짐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러(120)의 길이(라이닝과 접하는 곡면)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1개의 길이조절봉(112)에 1개의 롤러(120)가 구성된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1개의 길이조절봉(112)에 복수의 롤러(12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롤러(120)의 장착 수가 증가할 수록 다짐롤러(100)가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한 라이닝의 내주연에서 안정적인 슬라이드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존 관의 보수를 위해 사용되는 관 보수용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관해서도 게시하고 있는 바, 라이닝 프로파일(20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관에 삽입되어 탄성에 의해 관 내주연에 밀착되는 스파이럴 형상의 띠 부재인 몸체(1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라이닝 프로파일(200)은 스파이럴 형상에 의해 외압을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 내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기존 관에 삽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그 외압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복원됨으로써 관의 내주연에 밀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재질은 탄성복원력이 있는 플라스틱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이닝 프로파일(20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10) 일면에 길이방향 즉 스파이럴이 진행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지지테두리(220)가 형성되는 데 이러한 지지테두리(220)의 구성에 의해 관 내주연과 몸체(2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공간에 몰탈 등 충진제가 충진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스파이럴 형상의 라이닝 프로파일(200)은 기존 관(10)에 설치 시 라이닝 프로파일(200)의 몸체(210) 간에 접하는 측면을 수밀하도록 부착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필요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몸체(210)의 양측 가장자리로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체결테두리를 제시한다. 상기 체결테두리는 몸체(210) 간에 상호 접하는 측면을 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일 측에 볼록테두리(230)가 구성되며 타 측에는 접하는 라이닝 프로파일(200) 측면에 형성된 상기 볼록테두리(230)가 삽입되는 공간부(242)가 형성된 오목테두리(240)가 구성된다.
상기 볼록테두리(2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테두리(220)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몸체(210)에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할 오목테두리(240)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볼록테두리(230) 상단에는 상협하광의 머리(231)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테두리(240)는 상기 지지테두리(210)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공간부(241)에 상기 머리(231)가 수용될 수 있도록 머리수용부(242)가 구성되어 체결된 볼록테두리(230)가 오목테두리(240)에서 이탈이 용이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볼록테두리(230)와 오목테두리(240)의 체결은 단순히 가압함으로서 그 체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본드접착 등이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목테두리(24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210)간 접하는 측면에 상기 볼록테두리(230)와 체결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210) 측면에 일체로 단차를 형성하면서 적층단(270)을 구성하고 상기 적층단(270)의 일면에 상기 오목테두리(240)가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호 접하는 몸체(210)의 측면 즉 볼록테두리(230)가 형성된 측면이 상기 적층단(270)의 하면 즉 오목테두리(240)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 삽입되어 접하는 몸체(210)간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외압이 없을 시 관 내주연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부과하기 위해 상기 지지테두리(220)와 지지테두리(220) 사이에 형상유지를 위한 구성으로써 탄성링(260)이 제시된다. 상기 탄성링(260)은 상기 지지테두리(220)와 지지테두리(220)사이에 형성된 링수용부(222)에 삽입된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기존 관(10) 내주연에 라이닝 프로파일(200)을 설치 시 원상태로 탄성복원함에 있어 몸체(210) 등의 재질보다 더욱 큰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링(260)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강하게 하고 이러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압의 작용 없이 기존 관(10)의 내주연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몰탈주입기(30)를 라이닝 프로파일(200)과 기존 관(10) 사이에 삽입하여 몰탈(20)을 주입하는 경우에 몰탈주입기(30)를 기존 관(10)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몰탈(20)을 주입할 시에 상기 탄성링(260)의 탄성에 의해 라이닝 프로파일(200)이 원형으로 복원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짐롤러 및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 방법은 도 6a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관에 스파이럴 형상의 라이닝 프로파일(200)을 인접하는 접합부를 상호 접합시키는 단계(S1)를 갖는다. 스파이럴 형상의 라이닝 프로파일(200)을 인접하는 접합부를 상호 접합시키는데 있어 기존 관(10)의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접합부를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해 기존 관(10)의 내주연을 라이닝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합부를 접합시키는 방법은 상기에서 기 언급한 바이고, 또한 이렇게 접합부를 접합시키는 구성은 종래의 기술로써 제관기(40)가 사용될 수 있는 바, 상기 제관기(40)는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으며 그 상세 구성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한다. 상기 제관기(40)를 기존 관(10)의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상기 제관기(4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라이닝 프로파일(200)의 접합부가 부착됨에 의해 라이닝 프로파일(200)이 기존 관(10)의 내주연을 수밀하게 라이닝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접합부가 접합된 라이닝 프로파일(200) 즉 라이닝 된 부분에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관(10)의 사이에 몰탈(20)을 주입하는 단계(S2)를 갖는다. 즉 제관기(40)가 기존 관(10)의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라이닝 프로파일(200)의 접합부가 부착이 되며 이렇게 라이닝 프로파일(200)에서 접합부가 부착된 라이닝 부분에 몰탈(20)을 주입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 프로파일에 의해 먼저 기존 관(10) 전체에 걸쳐 라이닝을 하고 라이닝 후 기존 관(10)과 프로파일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라이닝 프로파일(200)에서 접합부가 순차적으로 부착됨에 따라 동시에 접합부가 부착된 부분에 모탈(20)을 주입하는 것이다. 이렇게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한 라이닝과 동시 에 몰탈(20)을 주입함에 의해 몰탈(20)이 밀실하게 충진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은 몰탈을 주입하는 방법에 있어 몰탈(20)을 라이닝 프로파일(200)과 기존 관(10) 사이에 주입하되 상호 대향하는 2방향 이상에서 몰탈(20)을 동시에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몰탈(20)을 라이닝 프로파일(200)과 기존 관(10) 사이에 주입함에 있어 상호 대향하는 2방향 이상에서 몰탈(20)을 동시에 주입함에 의해 밀실한 몰탈(20) 주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1방향에서 몰탈(20)을 주입함에 의해 몰탈(20)이 편중에 의해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한 라이닝의 일부분에 집중하중이 작용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서는 라이닝 프로파일(200)과 기존 관(10) 사이로써 상, 하, 좌, 우 4방향에서 몰탈(20)이 주입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몰탈주입기(30)를 4방향에서 기존 관(10)의 원주를 따라 각각 회전시키면서 몰탈(20)을 주입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몰탈주입기(30)를 회전시키면서 몰탈(20)을 주입함에 따라 더욱 밀실한 충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에서 언급 바와 같이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구성된 탄성링(260)의 탄성에 기해 몰탈주입기(30)가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삽입되어 회전하더라도 라이닝 프로파일(200)은 원형으로 복원이 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라이닝 프로파일(200)의 접합부가 부착되고 몰탈(20)이 주입된 부분의 내주연을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짐롤러(100)에 의해 다지는 단계(S3)를 갖는다. 즉 제관기(40)의 이동에 따라 라이닝 프로파일(200)에서 접합부가 순차적으로 부착되고, 이와 동시에 접합부가 부착된 부분에 모탈(20)을 주입하 며, 이렇게 접합부(31)가 부착되고 몰탈(20)이 주입된 부분에 상기 다짐롤러(100)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라이닝 프로파일(200)과 기존 관(10)의 사이에서 몰탈(20)이 충분한 부착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라이닝 프로파일(200)이 몰탈(20)의 주입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상기 다짐롤러(100)를 슬라이드 시킴에 의해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다짐롤러(100)는 상기 길이조절봉(112)을 상기 돌출단(111a)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선택적으로 삽입하여 길이를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한 라이닝의 직경에 맞추어 조절하고 라이닝 프로파일(200)의 접합부가 접합되고 몰탈(20)이 충진 됨에 따라 슬라이드 시킴에 의해 다짐롤러(100)에 형성된 롤러(113)에 의해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한 라이닝 부분이 몰탈(20)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체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길이조절봉(112)의 길이를 조절함에 있어 상기 지지단(1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러(113)가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해 형성된 라이닝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다짐롤러(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관기(40)와 일정 거리가 유격된 상태에서 일체거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관기(40)의 이동과 동시에 일정거리가 유격되도록 하여 제관기(40)의 동력원으로 상기 다짐롤러(1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은 상기 S1, S2, S3단계를 반복함으로써 기존 관(10)의 내주연 전체를 라이닝 및 충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접합부 부착, 몰탈 주입, 다짐롤러에 의한 다짐을 반복하면서 기존 관(10)을 순차적으로 라인닝 및 충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은 상기 S3단계에서 몰탈이 주입된 라이닝 프로파일(200) 부분의 내주연을 상기 다짐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지는 단계 후에 다짐롤러에 의해 다져진 부분에 지지대(50)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5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종방향, 횡방향에서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한 라이닝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지지대(50)에 의한 지지에 의해 다짐롤러(100)에 의한 다짐과 더불어 라이닝 프로파일(200)에 의한 라이닝을 지지함으로써 2중으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다짐롤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라이닝 프로파일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라이닝 프로파일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기존관과 라이닝 프로파일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요 도면부호>
10 : 기존 관 20 : 몰탈
30 : 몰탈주입기 40 : 제관기
50 : 지지대 100 : 다짐롤러
200 : 라이닝 프로파일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기존 관에 스파이럴 형상의 프로파일을 인접하는 접합부를 상호 접합시킴으로써 설치하는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에 있어서,
    기존 관에 일방향으로 라이닝 프로파일 간의 접합부를 접합시키면서 라이닝 하는 단계와;
    접합된 라이닝 프로파일과 기존 관의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와;
    몰탈이 주입된 라이닝 프로파일 부분의 내주연을 다짐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라이닝 프로파일은 기존 관에 삽입되어 탄성에 의해 관 내주연에 밀착되는 띠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테두리와; 상기 몸체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테두리로 구성되며,
    상기 다짐롤러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짐롤러 및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접합된 라이닝 프로파일과 기존 관의 사이에 몰탈을 주입하는 단계에는 몰탈을 라이닝 프로파일과 기존 관 사이로서 상호 대향하는 2방향 이상에서 몰탈을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짐롤러 및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몰탈이 주입된 라이닝 프로파일 부분의 내주연을 상기 다짐롤러에 의해 일방향으로 다지는 단계 후에는 다짐롤러에 의해 다져진 부분에 지지대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짐롤러 및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KR1020090008919A 2009-02-04 2009-02-04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KR100912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19A KR100912378B1 (ko) 2009-02-04 2009-02-04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8919A KR100912378B1 (ko) 2009-02-04 2009-02-04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378B1 true KR100912378B1 (ko) 2009-08-19

Family

ID=41209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8919A KR100912378B1 (ko) 2009-02-04 2009-02-04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3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936B1 (ko) * 2014-02-19 2014-09-24 주식회사 뉴보텍 분할 보강부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방법
KR101441934B1 (ko) * 2014-02-19 2014-09-24 주식회사 뉴보텍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KR101907646B1 (ko) 2018-04-26 2018-10-16 주식회사 뉴보텍 투명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539A (ja) * 1991-12-26 1993-07-09 Sekisui Chem Co Ltd 管路内周面ライニング装置
JPH0861559A (ja) * 1994-08-25 1996-03-08 Adachi Kensetsu Kogyo Kk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装置
KR100538513B1 (ko) 2005-04-07 2005-12-22 (주)이알테크 스트립라이닝 관로 보수보강공법
KR20070063859A (ko) * 2005-12-15 2007-06-20 (주)이알테크 스트립라이닝 관로 보수보강 공법용 내진 조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9539A (ja) * 1991-12-26 1993-07-09 Sekisui Chem Co Ltd 管路内周面ライニング装置
JPH0861559A (ja) * 1994-08-25 1996-03-08 Adachi Kensetsu Kogyo Kk 管渠内のライニング施工装置
KR100538513B1 (ko) 2005-04-07 2005-12-22 (주)이알테크 스트립라이닝 관로 보수보강공법
KR20070063859A (ko) * 2005-12-15 2007-06-20 (주)이알테크 스트립라이닝 관로 보수보강 공법용 내진 조이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936B1 (ko) * 2014-02-19 2014-09-24 주식회사 뉴보텍 분할 보강부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방법
KR101441934B1 (ko) * 2014-02-19 2014-09-24 주식회사 뉴보텍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KR101907646B1 (ko) 2018-04-26 2018-10-16 주식회사 뉴보텍 투명 라이닝 프로파일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7297C (en) Duct repairing material, repairing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JP4261733B2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JPH0780238B2 (ja) 補強したリブ付構造体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手段
KR100912378B1 (ko)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CN108692101B (zh) 一种hdpe塑钢缠绕排水管的施工方法
JP6518354B2 (ja) 管渠用ライニング管の連結部材
KR10103190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을 위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JP4864067B2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JP5320262B2 (ja) マンホールと複合管と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JP5703093B2 (ja) プロファイル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JPH0515850B2 (ko)
JPH08277992A (ja) 管の内面ライニング工法
JP5227151B2 (ja) 下水道施設の再構築工事用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治具組立体
CN215633003U (zh) 一种用于盾构隧道的柔性密封环
JP4719303B1 (ja) 管補修方法
JP3896512B2 (ja) 管路内面の補修工法
JP4391672B2 (ja) 可撓性シール材およびその取付方法
JP4305803B2 (ja) 管路用内張り材端部の裏込め用構造
JP4540162B2 (ja) 空洞構造体曲がり部の覆工施工法
KR100735063B1 (ko) 관로갱생공법 및 그 보수재
JPH0197724A (ja) 馬蹄形既設トンネル内張補修方法
KR100452309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의 상,하수관 만곡부위의 보강용 거푸집
CN113446025A (zh) 用于盾构隧道的柔性密封环及其施工方法
CN220930446U (zh) 一种刚柔兼具的双承插自密封复合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