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934B1 -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 Google Patents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934B1
KR101441934B1 KR1020140019046A KR20140019046A KR101441934B1 KR 101441934 B1 KR101441934 B1 KR 101441934B1 KR 1020140019046 A KR1020140019046 A KR 1020140019046A KR 20140019046 A KR20140019046 A KR 20140019046A KR 101441934 B1 KR101441934 B1 KR 101441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plate
fixing
bolt
fixing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거희
정재원
정한기
박점옥
조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140019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a pipe being formed inside the old pipe by winding strip-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설된 관로의 내주연에 나선형상으로 배치된 프로파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상기 프로파일이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과 상호 접합되고, 상기 상호 접합 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고정 슬리브, 상기 고정 슬리브의 양 끝단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편 및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을 제어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슬리브와 상기 탄성편이 원통 형상이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이 최대로 증가시켜 상기 프로파일의 내주연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Fixing member for non-excavating type reinforcing pipeline and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된 관로의 내주연에 프로파일을 접합하는 것과 동시에 몰탈을 주입하는 라이닝 시공을 한 후 고정 슬리브로 프로파일을 고정하면서 관로의 강도를 보강하는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관로, 하수관로 등과 같이 지중 매설된 관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되었거나, 외부 하중에 의하여 균열 또는 파손이 생긴다. 상기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한 부위에는 막대한 량의 물이 누수 되거나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된 매설 관로를 보수하는 방법에는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균열 또는 파손이 생긴 매설 관로를 직접 굴착하여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직접 굴착하는 방법은 공사비 및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주변의 미관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 문제점으로 최근에는 굴착작업 없이 균열 또는 파손 부위를 보수하는 비굴착 보수 공법이 선호되고 있다. 상기 비굴착 보수 공법에는 라이닝 보수공법 및 보강링 공법 등이 있다.
상기 라이닝 보수공법은 접착수지액과 유리섬유를 이용하여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된 부위만을 대상으로 유리섬유에 접착수지액을 도포하여 함침 시킨 후 경화시켜 보수하는 공법이다. 또한 상기 라이닝 보수공법은 접착수지액과 유리섬유 외에 이 보수재료의 내측에 원통형으로 감기도록 형성된 스테인리스 강판을 보강 지지관로로 하여 손상부분만을 대상으로 경화시켜 보수하는 개량형 라이닝 부분보수공법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링공법은 원통형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스테인리스 스틸의 비굴착 보수부재를 관로 내에 밀착시켜 설치하여 보수하는 공법이다.
도 1은 상기 비굴착 보수공법의 일예로, 나선 형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프로파일(30)을 보수가 필요한 기존 관로(10)의 내주연에 접하도록 부착시킨다. 상기 프로파일(30)은 기존 관로에 본드로 부착되거나 기존 관로(10)과 프로파일(30) 사이에 몰탈(70)을 주입하여 부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프로파일(30) 및 몰탈(70)은 맨홀(20)을 통하여 지상에서 기존 관로(10)까지 안내된다. 상기 프로파일(3)과 기존 관로(10)의 사이에 몰탈(70)이 주입되는 상태는 몰탈 주입기(50)의 일측에 부착된 카메라(40)를 통하여 지상에 설치된 모니터(60)로 확인한다.
상기 프로파일(30)은 기존 관로(10) 사이에 몰탈(70)을 주입하는 경우에 밀실한 충진이 이루어지지 않아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하중, 누수 등에 의해 프로파일(30)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프로파일(30)의 변형은 관로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이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관로에서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한 관로의 내주연에 프로파일을 접합하는 것과 동시에 몰탈을 주입하는 라이닝 시공을 한 후 고정 슬리브로 프로파일을 고정하면서 관로의 강도를 보강하는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매설된 관로의 내주연에 나선형상으로 배치된 프로파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상기 프로파일이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과 상호 접합되고, 상기 상호 접합 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고정 슬리브, 상기 고정 슬리브의 양 끝단 사이에 배치된 탄성편 및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을 제어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가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이 최대로 증가시켜 상기 프로파일의 내주연에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슬리브는 두 쌍의 마주보는 변의 길이가 동일한 사각형의 금속판이 원통 형상으로 가공된 판형부, 상기 판형부의 외주연에서 각 끝단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단차 및 상기 판형부의 내주연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부의 각 끝단과 상기 탄성편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이 라운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판형부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1 지지부, 상기 판형부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볼트헤드부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볼트헤드부의 회전으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거리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볼트로 연결된 고정 슬리브의 직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에 있어서, 매설된 관로에서 균열 또는 파손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균열 또는 파손이 감지되면, 보수가 필요한 구간을 설정하는 보수 구간 설정단계, 상기 보수 구간을 설정한 후 상기 관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형상으로 프로파일을 배치하면서 상기 관로의 내주연에 배치시키는 라이닝 시공 단계, 상기 라이닝 시공 후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이 상호 접합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탄성편이 연결된 고정 슬리브를 위치시키는 고정 슬리브 배치단계 및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을 최대로 증가시켜 프로파일에 압착시킨 후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고정 슬리브에 볼트로 연결된 클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을 최대로 늘린 후 상기 클램프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수 구간 설정단계는 균열 또는 파손이 감지되는 관로에서 가장 인접한 맨홀을 선택하여 보수가 필요한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닝 시공 단계는 상기 프로파일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가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 홈부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프로파일과 상기 관로의 사이에 몰탈을 주입시켜 상기 관로의 내주연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클램프를 분리한 후 상기 고정 슬리브와 상기 탄성편을 용접으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은 관로의 내주연에 프로파일을 접합하는 것과 동시에 몰탈을 주입하는 라이닝 시공을 한 후 고정 슬리브로 프로파일을 고정하여 프로파일의 변형을 방지하여 관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고정 슬리브와 클램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보강용 고정 슬리브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수방법으로 보수된 관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부재(100)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고정 슬리브(110)와 클램프(1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고정 슬리브(110), 탄성편(120) 및 클램프(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지하에 매설된 기존 관로(10)에서 프로파일(30) 보강이 필요한 영역의 내주연에 고정 슬리브(110)가 부착된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클램프(130)를 통하여 고정 슬리브(110)의 반경을 최대로 증가시킨다. 상기 고정 슬리브(110)의 양 끝단 사이는 탄성편(120)으로 보강하고, 고정 슬리브(110)의 반경이 최대로 증가한 지점에서 클램프(130)를 제거한 후 탄성편(120)과 고정 슬리브(11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한다.
상기 고정 슬리브(110)는 판형부(111)와 상기 판형부(111)의 끝단에 볼트(B)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볼트 삽입부(116, 117)를 포함한다.
상기 판형부(111)는 두 쌍의 마주 보는 변의 길이가 같은 사각형 형상이다. 상기 판형부(111)는 용접이 가능한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형부(111)는 한 쌍의 길이가 기존 관로의 내측 둘레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판형부(111)는 수직하게 위치된 변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직사각형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형부(1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형부(111)는 원통 형상으로 가공되어 인접하게 위치되는 각 끝단(112, 113)에 단차(114, 115)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114, 115)는 홈의 형상일 수 있으며, 판형부(111)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되거나, 판형부(111)의 끝단에 보강편(미도시)이 추가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114, 115)에는 탄성편(12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볼트 삽입부(116, 117)는 클램프(130)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B)를 삽입하기 위한 홈 또는 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 삽입부(116, 117)는 홈 또는 홀의 내주연에 볼트(B)가 나사 결합 될 수 있도록 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편(120)은 판형부(111)의 각 끝단(112, 113) 사이를 보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121, 12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편(120)은 단차(114, 115)에 끼워지는 내측 판(121)이 완만한 굴곡이 형성되도록 가공된다.
상기 클램프(130)는 제1 지지부(131), 제2 지지부(134) 및 나사부(137)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130)는 판형부(111)의 각 끝단(112, 113)에 연결되어 고정 슬리브(110)의 반경을 제어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제1 연결홈(131a), 제1 수직 연장부(132) 및 제1 나사 삽입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부는 제2 연결홈(134a), 제2 수직 연장부(135) 및 제2 나사 삽입부(1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131)는 판형부(111)의 일측 끝단(112)에 연결되고, 제2 지지부(134)는 판형부(111)의 타측 끝단(113)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지지부(131) 및 제2 지지부(134)는 동일한 형상 및 작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기에는 제1 지지부(131)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연결홈(131a)은 판형부(111)의 끝단(112)에 고정된 볼트(B)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연결홈(131a)은 볼트(B)의 수와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직 연장부(132)는 제1 지지부(131)의 일측에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1 수직 연장부(132)는 제1 나사 삽입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나사 삽입부(133)는 나사부(137)가 삽입 및 고정되고, 나사부(137)의 회전으로 제1 수직 연장부(132)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나사산(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직 연장부(132)는 제1 지지부(131)와 나사부(137)를 연결하고, 나사부(137)가 판형부(111)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나사부(137)는 볼트헤드부(138) 및 나사산(139)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부(137)는 볼트헤드부(138)를 중심으로 나사산(139)의 형상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볼트헤드부(138)는 외주연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139)은 볼트헤드부(138)를 기준으로 대칭이기 때문에, 나사산(139)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나사 삽입부(133)와 제2 나사 삽입부(136) 사이의 거리가 좁혀지거나 넓혀질 수 있다.
상기 클램프(130)는 나사산(139)의 회전으로 제1 나사 삽입부(133)와 제2 나사 삽입부(136) 사이 거리를 조절하여 기존 관로(10)에서 프로파일(30) 보강이 된 영역의 내주연에 고정 슬리브(110)를 부착시킨다. 상기 고정 슬리브(110)는 프로파일(30)의 연결부분을 고정하기 때문에 보수된 관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보강용 고정 슬리브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수방법으로 보수된 관로의 단면도이다.
상기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110)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은 감지단계(S100), 보수 구간 설정단계(S200), 라이닝 시공 단계(S300), 고정 슬리브 배치단계(S400) 및 고정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단계(S100)는 지하에 매설된 기존 관로(10)에서 균열 또는 파손 등의 불량요소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단계(S100)는 카메라, 진동 센서, 수압감지 센서 등을 이용하여 관로(10)를 보수해야 하는지 검사한다. 특히, 상기 감지단계(S100)는 관로(10)의 일부분에 보수 감지센서를 부착하고, 상기 센서의 신호를 외부에서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관로(10)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보수 구간 설정단계(S200)는 감지단계(S100)에서 불량요소가 감지되면, 불량요소를 포함하는 관로(10)에서 가장 인접한 맨홀을 선택하여 보수가 필요한 구간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보수 구간 설정단계(S200)는 불량요소가 감지된 보수 구간의 양단을 차단한 후 보수구간을 세척하는 라이닝 준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라이닝 시공 단계(S300)는, 도 5a를 참조하면, 관로(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형상으로 프로파일(30)을 관로(10)의 내주연에 배치시킨다. 이 경우, 상기 프로파일(30)은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30)과 상호 접합된다.
상기 프로파일(30)은 베이스(31), 지지부(32), 돌기(33) 및 홈부(3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31)는 관로(10)에 인접한 일측면에 지지부(3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굴곡이 없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31)는 지지부(32)를 기준으로 일단에 돌기(33)가 형성되고 타단에 홈부(43)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홈부(34)는 인접한 프로파일(30)의 돌기(33)가 삽입 체결되었을 때, 베이스(31)의 타측면에 굴곡이 형성되지 않도록 베이스(31)의 두께 만큼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33)가 홈부(34)에 압착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R)가 프로파일(3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라이닝 시공 단계(S300)는 상기 프로파일(30)이 관로(10)의 내주연에 수밀하게 밀착되도록 프로파일(30)과 관로(10) 사이에 몰탈(70)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파일(30)은 관로(10)의 내주연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일측이 다수의 지지부(32)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파일(30)은 다수의 지지부(32) 사이 공간에 몰탈(70)이 위치되고, 몰탈(7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관로(10)과 프로파일(30)의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라이닝 시공 단계(S300)는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30)을 상호 접합시기 위하여 종래의 제관로기(미도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관로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으며, 상세 구성은 공지기술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관로기는 관로(10)의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프로파일(30)의 돌기(33)와 홈부(34)가 관로(10)의 내주연에 수밀하게 라이닝 된다.
상기 고정 슬리브 배치단계(S400)는 프로파일(30)의 상호 접합 부분을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고정 슬리브(110)을 위치시킨다. 상기 고정 슬리브(110)는 나선형상으로 배치된 프로파일(30)의 상호 접합 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 슬리브(110)는 프로파일(30)이 위치된 양 끝단 또는 보강이 필요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 슬리브(110)가 배치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라이닝 시공 단계(S300)에서 프로파일(30)은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30)과 상호 접합되는데 시간이 경과하면서 돌기(33)가 홈부(34)에서 이탈되면 나선형으로 연결된 프로파일(30) 전체의 수밀성에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돌기(33)와 홈부(34)의 수밀성을 지속시키기 위하여 고정 슬리브(1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단계(S500)는 클램프(130)를 이용하여 고정 슬리브(110)를 배치된 위치에 고정한다. 상기 고정 슬리브(110)가 고정된 이후에는 클램프(130)와 고정 슬리브(110)에 고정된 볼트(B)를 분리하고 판형부(111)와 탄성편(120)을 연결한다.
상기 고정 슬리브(110)는 직사각형의 판형부(111)가 원통형으로 가공된 것이다. 상기 판형부(111)는 각 끝단(112, 113)에 단차(114, 115)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114, 115)에는 탄성편(120)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 슬리브(110)는 각 끝단에서 볼트(B)가 고정된다. 상기 볼트(B)에는 클램프(130)가 고정된다. 상기 클램프(130)는 볼트(B)가 돌출된 몸체를 적어도 2/3 수용하도록 제1 연결홈(131a) 및 제2 연결홈(134a)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130)는 판형부(111)의 각 끝단(112, 113)에 연결되어 고정 슬리브(110)의 반경을 제어한다. 상기 클램프(130)는 볼트헤드부(138)를 중심으로 나사산(139)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헤드부(138)의 회전으로 고정 슬리브(110)의 직경을 최대로 늘릴 수 있다. 고정 슬리브(110)의 직경이 최대로 늘어나면 판형부(111) 및 탄성편(120)이 프로파일(30)에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압착된 판형부(111)와 탄성편(120)은 용접으로 접합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은 라이닝 시공을 한 후 고정 슬리브(110)로 프로파일(30)을 고정하여 프로파일(30)의 변형을 방지하여 보수된 관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고정부재 110: 고정 슬리브
111: 판형부 114, 115: 단차
120: 탄성편 130: 클램프
131: 제1 지지부 132: 제1 수직 연장부
133: 제1 나사 삽입부 134: 제2 지지부
135: 제2 수직 연장부 136: 제2 나사 삽입부
137: 나사부 138: 볼트헤드부
139: 나사산

Claims (9)

  1. 매설된 관로의 내주연에 나선형상으로 배치된 프로파일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상기 프로파일이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과 상호 접합되고, 상기 상호 접합 부분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두 쌍의 마주보는 변의 길이가 동일한 사각형의 금속판을 통해 원통 형상으로 가공된 판형부, 상기 판형부의 외주연에서 각 끝단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 단차, 상기 판형부의 내주연에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 삽입부를 포함하는 고정 슬리브;
    상기 고정 슬리브의 양 끝단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판형부의 각 끝단에 중첩되고, 상기 판형부의 각 끝단 사이를 보강하도록, 각각 라운드 성형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판들 중 상기 단차에 끼워지는 내측 판이 완만한 굴곡으로 형성되어 있는 탄성편; 및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이 최대로 증가되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내주연에 압착되도록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을 제어하고, 용접 이후 분리되는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판형부의 일측 끝단의 상기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한 제1 연결홈;
    상기 제1 연결홈이 형성된 제1 지지부;
    상기 판형부의 타측 끝단의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한 제2 연결홈을 갖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볼트헤드부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나사부;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서 각각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수직 연장부와 제2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제1 수직 연장부와 상기 제2 수직 연장부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제1 나사 삽입부와 제2 나사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의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를 이용한 관로 보수 방법에 있어서,
    매설된 관로에서 균열 또는 파손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균열 또는 파손이 감지되면, 보수가 필요한 구간을 설정하는 보수 구간 설정단계;
    상기 보수 구간을 설정한 후 상기 관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나선형상으로 프로파일을 배치하면서 상기 관로의 내주연에 배치시키는 라이닝 시공 단계;
    상기 라이닝 시공 후 인접한 위치의 프로파일이 상호 접합된 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탄성편이 연결된 고정 슬리브를 위치시키는 고정 슬리브 배치단계; 및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을 최대로 증가시켜 프로파일에 압착시킨 후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고정 슬리브에 볼트로 연결되도록, 판형부의 일측 끝단의 상기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한 제1 연결홈과, 상기 제1 연결홈이 형성된 제1 지지부와, 상기 판형부의 타측 끝단의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한 제2 연결홈을 갖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볼트헤드부를 기준으로 나사산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서 각각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수직 연장부와 제2 수직 연장부, 및 상기 제1 수직 연장부와 상기 제2 수직 연장부에 구비되고, 상기 나사부의 나사산과 결합되는 제1 나사 삽입부와 제2 나사 삽입부를 포함하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 슬리브의 직경을 최대로 늘린 후 상기 클램프 및 상기 볼트를 분리하고, 상기 고정 슬리브와 상기 탄성편을 용접으로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19046A 2014-02-19 2014-02-19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KR101441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046A KR101441934B1 (ko) 2014-02-19 2014-02-19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046A KR101441934B1 (ko) 2014-02-19 2014-02-19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934B1 true KR101441934B1 (ko) 2014-09-24

Family

ID=51760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046A KR101441934B1 (ko) 2014-02-19 2014-02-19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9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6396A (zh) * 2022-04-24 2022-05-24 中国石油大学胜利学院 石油管道断口封堵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4022U (ko) * 1975-10-17 1977-04-18
JPS6045992U (ja) * 1983-09-06 1985-04-01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管継手
JP2007113643A (ja) * 2005-10-19 2007-05-10 Taisei Kiko Co Ltd 管継手部の離脱防止構造及び管継手部の離脱防止強化方法
KR100912378B1 (ko) * 2009-02-04 2009-08-19 주식회사 뉴보텍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4022U (ko) * 1975-10-17 1977-04-18
JPS6045992U (ja) * 1983-09-06 1985-04-01 西武ポリマ化成株式会社 管継手
JP2007113643A (ja) * 2005-10-19 2007-05-10 Taisei Kiko Co Ltd 管継手部の離脱防止構造及び管継手部の離脱防止強化方法
KR100912378B1 (ko) * 2009-02-04 2009-08-19 주식회사 뉴보텍 다짐롤러, 라이닝 프로파일 및 이들을 이용한 비굴착 라이닝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6396A (zh) * 2022-04-24 2022-05-24 中国石油大学胜利学院 石油管道断口封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61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US6796334B2 (en) Duct repairing material, repairing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KR101025542B1 (ko) 관체 연결 장치
JP6458977B2 (ja) 既設管部分補修方法
KR101956018B1 (ko) 배관 내부 보수장치
KR100959303B1 (ko)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KR101928263B1 (ko) 직관을 이용한 비굴착식 도관보수장치 및 시공방법
KR101441934B1 (ko) 비굴착 관로 보강용 고정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보수방법
JP4390123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KR10103190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 보강을 위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424967B1 (ko) 경사면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보수방법
KR101879277B1 (ko) 지하구조물의 보수 보강공법
KR101188724B1 (ko) 반전탱크를 이용한 매설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체 보수 시공방법
KR101441936B1 (ko) 분할 보강부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식 관로 보수방법
KR20110103775A (ko) 파이프 커플링용 패킹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KR101580154B1 (ko) 탄성 클램프가 구비된 배관 보수용 커플링
KR200452669Y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pc 암거의 조립구조
KR20090042771A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CN108612313B (zh) 一种预应力智能张拉自动控制方法
KR101343522B1 (ko) 파이프 연결장치와 이를 갖는 복합 배관 및 복합 배관의 조립방법
KR101658739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장치
KR102181963B1 (ko) 방수 앵커 및 이를 이용하는 터널 방수공법
EP3084097B1 (en) A construction and a method of making a construction
JP4305803B2 (ja) 管路用内張り材端部の裏込め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