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101B1 -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101B1
KR100912101B1 KR1020080126262A KR20080126262A KR100912101B1 KR 100912101 B1 KR100912101 B1 KR 100912101B1 KR 1020080126262 A KR1020080126262 A KR 1020080126262A KR 20080126262 A KR20080126262 A KR 20080126262A KR 100912101 B1 KR100912101 B1 KR 10091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hea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환희
Original Assignee
최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환희 filed Critical 최환희
Priority to KR102008012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단순화된 구성에 의해 내부의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제작과정 상의 작업공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제작원가를 낮춤과 동시에 단열재가 관체 내에서 보다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관과 내관이 결합되고, 내관의 내측에 단열관이 배치되어 그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며, 상기 단열재와 접촉되는 단열관의 외측으로 단열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제작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단열재를 충진하여 이중관 연통을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관과 내관을 배치하여 이중관 형태를 형성하고, 내관의 내측에 배치될 단열관의 외면으로 지지돌부를 돌출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돌부가 형성된 단열관의 외면에 단열재를 부착하고 단열재가 부착된 단열관을 내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Figure R1020080126262
이중관 연통

Description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Has a heat insulator support function the tube chimney and the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은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보다 단순화된 구성에 의해 내부의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제작과정 상의 작업공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제작원가를 낮춤과 동시에 단열재가 관체 내에서 보다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통은 보일러를 비롯한 각종 열원기기(이하, 열원기기)에 설치되어 연소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통로이다. 이와 같은 연통은 각종 열원기기의 종류, 규격등에 따라 다양한 직경으로 제작되어 그 용량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연통 중 특히, 이중관 연통은 연소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건축물의 내,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혹한기의 동파나 외력에 대한 강성을 향 상시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외관과 내관으로 구분된 이중의 관체로 제작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이중관 연통의 종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중관 연통은 외관(1)과 내관(2)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외관(1)과 내관(2)의 사이는 연통의 단열을 수행하기 위한 단열공기층이 된다.
특히, 상기 연통의 단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관(2)의 내측에는 단열관(10)이 배치되고, 내관(2)과 단열관(10)의 사이에는 주로 솜 등의 섬유로 된 단열재(4)가 충진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관(10)은 그 내, 외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관(2)의 단열관(10) 측면에는 열원기기의 구동진동에 의해 단열재(4)가 하측으로 처져 밀도가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브래킷(5)을 접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브래킷(5)은 단열재(4)를 최대한 정위치 지지하게 되며, 브래킷(5)의 접합은 용접등의 과정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관 연통에서 내관(2)과 단열관(10)의 사이에 단열재(4)를 충진하기 위해서는 외관(1)과 내관(2)을 결합하여 이중관 연통을 제작한 상태에서 다수의 브래킷(5)을 내관의 내주면에 접합한다.
이 후, 단열재(4)를 내관(2)의 내주면에 부착하고, 단열재(4)의 내측으로 단열관(10)을 끼워넣어 구성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중관 연통은 단열재를 충진하기 위한 구성에서 다수의 브래킷을 요구하게 되어 제작원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브래킷은 내관의 내면에 다수개 용접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시간의 지연 및 작업에 따른 제작원가를 더욱 상승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내관의 내측에 단열재 부착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내관의 내측으로 상체를 숙인 후 불편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와 생산성을 낮추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상기 단열재는 주로 솜 등의 섬유로 제작되어 간헐적으로 배열되어 부착된 브래킷과 브래킷 사이에 구간에서는 여전히 단열재의 처짐이 발생되어 여러 구간에서 편중된 밀도구간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처짐이 발생된 지점에는 목적하는 단열효율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단순화된 구성에 의해 내부의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제작과정 상의 작업공수를 감소시켜 제품의 제작원가를 낮춤과 동시에 단열재가 관체 내에서 보다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중관 연통을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제작하기 위한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외관과 내관이 결합되고, 내관의 내측에 단열관이 배치되어 그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며, 상기 단열재와 접촉되는 단열관의 외측으로 단열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부는 단열관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속되어 돌출형성된다. 특히, 상기 단열관은 끝단부 내주면에 탄성력을 갖는 지지체가 결합되어 내관 측으로 가압지지되며, 상기 지지체는 단열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개방되어 단열관에 탄력적으로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단열재(4)를 충진하여 이중관 연통을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 외관과 내관을 배치하여 이중관 형태를 형성하고, 내관의 내측에 배치될 단열관의 외면으로 지지돌부를 돌출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돌부가 형성된 단열관의 외면에 단열재를 부착하고 단열재가 부착된 단열관을 내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화된 구성에 의해 내부의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 도록 하여 제품의 제작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제작과정 상의 작업공수가 단축되어 제품의 보다 신속한 제작에 따른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재가 단열관의 둘레에 걸쳐 형성된 지지돌부에 의해 보다 안정되게 지지되어 보다 우수한 단열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연통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연통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연통의 탄성고정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연통은 외관(1), 내관(2), 단열관(10), 단열재(4)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이 때, 상기 단열관(10)은 내, 외주면을 관통하여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단열재(4)는 솜 등의 섬유로 채택함은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외관(1)과 내관(2)은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외관(1)과 내관(2) 사이의 공간은 단열공기층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외관(1)은 내관(2)의 외측에서 일정한 구간만 형성되어 단열 및 보강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단열관(10)은 내관(2)의 내측에 일정간격(단열재의 두께와 대응하는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며, 상기 단열재(4)는 단열관(10)과 내관(2)의 간격 사이에 충진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단열관(10)에는 단열재(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비드 즉, 지지돌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부(11)는 단열관(10)의 외면에 돌출형성되며, 이 지지돌부(11)는 작업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열관(10) 제작시 프레스 가공 등의 과정에 의해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돌부(11)는 단열재(4)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연속되어 돌출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돌부(11)는 상, 하로 다수개 형성되어 단열재(4)를 구간별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단열재(4)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중관 연통은 단열관(10)의 끝단부 내주면에 탄성력을 갖는 지지체(2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지지체(20)는 단열관(10)을 내측으로부터 가압지지하여 단열관(10), 단열재(4), 내관(2)이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지지체(20)는 자체 탄력을 갖는 내연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20)는 도 4와 같이 설치전 단열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개방되어 단열관(10)에 높은 효율의 탄성력을 제공하며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20)는 단열관(10)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이 내관(2) 측으로 절곡되어 내관(2)과 단열관(10) 사이의 단열재(4)를 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중관 연통은 상, 하로 다수개 연접시켜 목적하는 길이의 연통으로 제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중관 연통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외관(1)과 내관(2)을 통상의 이중관 연통의 구성에서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하여 이중관 형태를 형성한다. 이 후, 상기 단열관(10)의 외면으로 지지돌부(11)를 돌출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지지돌부(11)는 단열관(10)을 관체의 형태로 형성하기 이전에 플레이트 형태의 구성에서 전술한 프레싱 과정을 수행하여 돌출형성한다.
이와 같이 이중관 형태와 단열관(10)의 지지돌부(11) 구성이 제작되면, 상기 단열관(10)의 외면에 단열재(4)를 부착한다. 이 때, 상기 단열재(4)는 두루마리 형태로 공급되어진 자재를 풀어 단열관(10)의 외면에 둘러 접착시킨 후 재단하여 부착시키게 된다.
이 후, 상기 단열재(4)가 부착된 단열관(10)을 내관(2)의 내측으로 삽입하면 이중관 연통이 완성되며, 추가되는 구성으로 제시된 지지체(20)를 단열관(10)의 내주면에 끼워 결합시키게 되면 단열재(4)가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이 중관 연통이 완성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이중관 연통의 종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연통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연통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관 연통의 탄성고정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외관 2: 내관
4: 단열재 10: 단열관
11: 지지돌부 20: 지지체

Claims (4)

  1. 외관(1)과 내관(2)이 결합되고, 내관(2)의 내측에 단열관(10)이 배치되어 그 사이에 단열재(4)가 충진되며, 상기 단열재(4)와 접촉되는 단열관(10)의 외측으로 단열재(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부(11)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단열관(10)은 끝단부 내주면에 탄성력을 갖는 지지체(20)가 결합되어 내측으로부터 가압지지되며, 상기 지지체(20)는 단열관(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일부가 개방되어 단열관(10)에 장착시 탄력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11)는
    단열관(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연속되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3. 삭제
  4. 삭제
KR1020080126262A 2008-12-12 2008-12-12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 KR10091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62A KR100912101B1 (ko) 2008-12-12 2008-12-12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262A KR100912101B1 (ko) 2008-12-12 2008-12-12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101B1 true KR100912101B1 (ko) 2009-08-13

Family

ID=412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262A KR100912101B1 (ko) 2008-12-12 2008-12-12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779A (ko) * 2019-11-25 2021-06-02 황인창 난로용 이중 연통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721A (ja) * 1993-11-16 1995-05-30 Osaka Gokou:Kk 燃焼装置の排気筒構造
KR100728137B1 (ko) 2006-05-26 2007-06-14 김동섭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0855218B1 (ko) 2008-04-08 2008-08-29 주식회사 제일테크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
KR100879770B1 (ko) 2008-09-29 2009-01-21 곽봉조 결로침입이 없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721A (ja) * 1993-11-16 1995-05-30 Osaka Gokou:Kk 燃焼装置の排気筒構造
KR100728137B1 (ko) 2006-05-26 2007-06-14 김동섭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0855218B1 (ko) 2008-04-08 2008-08-29 주식회사 제일테크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
KR100879770B1 (ko) 2008-09-29 2009-01-21 곽봉조 결로침입이 없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779A (ko) * 2019-11-25 2021-06-02 황인창 난로용 이중 연통구조
KR102302861B1 (ko) 2019-11-25 2021-09-29 황인창 난로용 이중 연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529B1 (ko) 진공복층유리 제조방법
BRPI1106542A2 (pt) membro para conexão de exaustor com tampa trançada pré-formada
US6942838B1 (en) Emission system pa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rt
KR100912101B1 (ko) 단열재 지지기능을 갖는 이중관 연통 및 그 제작방법
JP588052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129557Y (zh) 一种新型中空绝缘复合管
CN201925675U (zh) 隔断式固定支架
KR101339856B1 (ko)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CN201284682Y (zh) 一种消声器结构
KR101423435B1 (ko)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JP5031707B2 (ja) 断熱二重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断熱二重構造体
CN203857200U (zh) 高性能保温管
KR100855218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
CN209885277U (zh) 汽提塔
CN203795020U (zh) 热处理装置
CN219181163U (zh) 一种冷缩式终端电缆附件
KR20170120457A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hvac 덕트 및 그 연결체
CN206290911U (zh) 带有保温结构的管道
KR100799189B1 (ko) 지관을 이용한 도전성 콘크리트 접지봉 제조장치
JPH11132038A (ja) 触媒コンバータとその製造方法
JP2880320B2 (ja) 多重排気管の製造方法
CN216380103U (zh) 零碳建筑现浇混凝土墙内置保温系统装置
CN219062699U (zh) 一种便于安装的消音软管
CN216430056U (zh) 一种用于对动力设备保温降噪的装置及动力设备
CN103774238A (zh) 热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