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044B1 - 소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044B1
KR100912044B1 KR1020080015833A KR20080015833A KR100912044B1 KR 100912044 B1 KR100912044 B1 KR 100912044B1 KR 1020080015833 A KR1020080015833 A KR 1020080015833A KR 20080015833 A KR20080015833 A KR 20080015833A KR 100912044 B1 KR100912044 B1 KR 100912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incinerator
heat supply
combustible was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이병선
이재구
정의복
송미라
김혜숙
정부숙
배진관
장봉기
천명원
Original Assignee
정부숙
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숙, 김혜숙 filed Critical 정부숙
Priority to KR102008001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044B1/ko
Priority to PCT/KR2009/000569 priority patent/WO200910487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30Pyrolysing
    • F23G2201/301Treating pyro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30Pyrolysing
    • F23G2201/303Burning pyro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소각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소각 장치는 가연성 폐기물을 제공받으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는 소각로; 소각로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연소되는 가스 연소부; 및 소각로 및 가스 연소부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각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INCINERATION}
본 발명은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한 소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산업분야 및 일상 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타이어, 비닐,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로 만든 제품은 사용 후에 극히 일부분만이 재활용되고, 대부분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매립되거나 또는 소각 처리되고 있다.
상기 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 문제뿐만 아니라 매립된 폐기물에 의해 지하수 오염이라는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상기 폐기물의 대부분을 소각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경우에는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각종 유해 가스와 매연이 발생하여 대기오염이라는 2차적인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기물을 이용하여 고체 연료나 액화 연료와 같은 대체 연료를 생산하면, 에너지 측면 및 환경 보호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는 소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소각잔재물을 고체 연료로 활용할 수 있는 소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를 이용하여 액화 연료를 제조할 수 있는 소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는 가연성 폐기물을 제공받으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는 소각로; 상기 소각로로부터 발생되는 제1 가스가 연소되는 가스 연소부; 및 상기 소각로 및 상기 가스 연소부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스가 상기 가스 연소부에 의하여 연소된 후 상기 가스 연소부로부터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제2 가스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각로는 상기 소각로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상에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적재하는 선반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각로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각로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들간의 간격이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각로 내부의 온도는 600 내지 65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각로는 상기 제1 가스를 냉각시켜 액화 연료로 분류하는 증류탑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 연소부는 상기 액화 연료로 분류되지 않은 제3 가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증류탑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연소부 내부의 온도는 800 내지 85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 연소부 내부의 압력은 0.01 내지 0.5기압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가스 연소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공급부는, 열공급부 몸체; 및 상기 열공급부 몸체 외주면에 감겨진 발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공급부 몸체에는 상기 열공급부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방법은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를 연소시키기 전에, 상기 가스를 냉각시켜 액화 연료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온도는 600 내지 65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온도는 800 내지 850℃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에서 불완전 연소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가스를 가스 연소부에서 연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각종 유해 가스의 배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소각잔재물은 탄소 성분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그 소각잔재물을 고체 연료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소각 장치를 증류탑과 연결할 경우, 가연성 폐기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를 이용하여 액화 연료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는 소각로(110), 가 스 연소부(120) 및 열공급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각 장치는 가스 포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각로(110)는 가연성 폐기물을 제공받으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킬 수 있다. 상기 소각로(110)는 상기 소각로(110)로부터 배출되는 제1 가스를 냉각시켜 액화 연료로 분류하는 증류탑(15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증류탑(150)은 공지되어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증류탑(150)의 세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소각로(110)가 상기 증류탑(150)과 연결될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는 에너지 측면 및 환경 보호적인 측면에서 유용성이 있다. 한편, 상기 소각로(110)는 상기 증류탑(150)과 연결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에 상기 소각로(110)는 상기 가스 연소부(12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연소부(120)에서는 상기 소각로(110)로부터 배출되는 제1 가스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연소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스 연소부(120)는 상기 제1 가스 중에서 상기 증류탑(150)에서 액화 연료로 분류되지 않은 제2 가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증류탑(150)과 연결되어 상기 제2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가스 연소부(120)는 상기 증류탑(150)과 미연결된 채로 상기 제1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소각로(110)와 상기 가스 연소부(120)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130)는 상기 소각로(110) 및 상기 가스 연소부(12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집부(140)는 상기 가스 연소부(1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연소부(12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즉, 상기 가스 연소부(120)에 의하여 연소된 후 상기 가스 연소부(120)로부터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제3 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상기 가스 포집부(14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스 포집부(140)는 상기 가스 연소부(12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포함하는 용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가스 포집부(140)는 상기 가스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포집부(140)는 상기 두 구성의 조합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 포집부(140)의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거나 제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면,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200)는 소각로(210), 가스 연소부(220) 및 열공급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각 장치(2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가스 포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상기 소각로(210) 내부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각로(210)는 가연성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소각로(210)의 전면측에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투입 및 밀폐를 위해 개폐 가능한 폐기물 출입문(21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은 소정의 열에 의해 연소될 수 있는 물질이면 되므로, 그 종류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상기 가연성 폐기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하여 폐타이어, 폐비닐 등과 같은 합성 수지 및 각종 폐유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소각로(210)에서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이 불완전 연소될 수 있으며, 상기 불완전 연소후 남은 소각잔재물은 고체 연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소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합성 수지 등이 상기 소각로(210)에서 불완전 연소되면, 그 소각잔재물은 탄소 성분 등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소각잔재물을 고체 연료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소각로(210)에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이 불완전 연소되기 위해서는 상기 소각로(210)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소각로(210) 내부의 온도는 600 내지 650℃일 수 있으나, 이는 가연성 폐기물의 종류, 즉, 가연성 폐기물의 연소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소각로(210)는 상기 소각로(210)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14)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214)들 간격(I)은 상기 소각로(210) 하부로부터 상기 소각로(210) 상부로 갈수록 커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인접하는 돌출부(214)들 간 격(I)은 상기 소각로(210) 하부로부터 상기 소각로(210) 상부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또는 일정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4) 상에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적재하는 선반(216)이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보다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돌출부(214)에 의해 상기 선반(216)은 상호 이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선반(216) 사이를 통해 열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반(216)은 열전달이 우수한 물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216)은 용기 또는 그물망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반(216)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200)에서는 상기 선반(216)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상기 소각로(210)에 직접 투입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소각로(210)에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는, 상기 소각로(210) 상부와 연결된 제1 가스 배출구(218a, 218b, 218c, 218d)를 통해,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증류탑(150)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류탑(150)에서 액화 연료로 분류되지 않고 상기 증류탑(150)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가스 투입구(222)를 통해 가스 연소부(220)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연소부(220)는 상기 소각로(210) 측벽을 에워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 투입구(222)를 통해 상기 가스 연소부(220)로 투입되는 가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제2 가스 배출구(224)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나, 상기 가스 연소부(220)의 배치 구조 및 상기 가스 이동 경로는 요 구되는 조건 및 설계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스 연소부에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가스 연소부(220) 내부의 온도는 800 내지 85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는 상기 가스 연소부(220)를 통과하는 동안 완전 연소될 수 있으므로,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각종 유해 가스의 배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연소부(220)에서 원활한 가스 이동을 위해 상기 가스 연소부(220) 내부의 압력을, 예를 들어, 0.01 내지 0.5 기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230)는 소각로(210) 및 상기 가스 연소부(22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230)가 배치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에너지 절감 측면을 고려하여, 예를 들어, 상기 가스 연소부(2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열공급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열공급부(230)는 열공급부 몸체(232) 및 발열 코일(2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 몸체(232)에는 상기 열공급부 몸체(232) 길이 방향, 즉, 상기 가스 연소부(220)에서의 가스 이동 방향을 따라 몸체 관통공(2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스 연소부(220)를 통해 이동하는 가스가 상기 몸체 관통공(234)을 통과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상기 몸체 관통공(234)은 상기 가스가 투입되는 일단에서는 상기 가스 유입을 원활히 유도하도록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스가 배출되는 타단에서는 발열 코일(236)에 의한 부하를 억제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코일(236)은 열공급부 몸체(232) 외주면에 감겨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발열 코일(236)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상기 전원을 이용하여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방법은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210)에 투입하고,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킨 후,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를 연소시키기 전에 상기 가스를 냉각시켜 액화 연료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소각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선반(216)에 적재한 다음 상기 선반(216)을 상기 소각로(210)에 투입하거나, 또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선반(216)에 적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소각로(210)에 직접 투입한다. 이때, 상기 소각로(210)에는 폐유 등과 같은 액체 상태의 폐기물 및 타이어 등과 같은 고체 상태의 폐기물을 동시에 투입할 수 있으며, 이들을 서로 분리하여 투입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열공급부(230)를 이용하여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킨다. 이때,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소각로(210) 내부의 온도가 600 내지 650℃가 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가연성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가스를 제1 가스 배출구(218a, 218b, 218c, 218d), 증류탑 및 가스 투입구(22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한 후 가스 연소부(220)로 투입하거나, 또는 상기 증류탑을 경유하지 않도록 한 후, 즉, 제1 가스 배출구(218a, 218b, 218c, 218d) 및 가스 투입구(22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한 후 가스 연소부(220)로 투입할 수 있다. 이어, 열공급부(230)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 연소부(220)를 통해 이동하는 가스에 열을 가하여 상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킨다. 이때, 상기 가스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상기 가스 연소부(220) 내부의 온도가 800 내지 850℃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스 연소부(220) 내부 압력이 0.01 내지 0.5기압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가스 배출구(224)를 통해 상기 가스 연소부(220)에서 연소되어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한다. 이후, 추가적으로 상기 가스 포집부를 이용하여 상기 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200) 및 방법은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상기 소각로(210)에서 불완전 연소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가스를 가스 연소부(220)를 통해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각종 유해 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 후 남은 소각잔재물은 탄소 성분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소각잔재물을 고체 연료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소각 장치(200)를 증류탑과 연결할 경 우, 가연성 폐기물의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를 이용하여 액화 연료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스 연소부에서 가스가 이동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열공급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210: 소각로 120, 220: 가스 연소부
130, 230: 열공급부 140: 가스 포집부
150: 증류탑 200: 소각 장치

Claims (18)

  1. 가연성 폐기물을 제공받으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는 소각로;
    상기 소각로로부터 발생되는 제1 가스를 냉각시켜 액화 연료로 분류하는 증류탑;
    상기 증류탑에서 액화 연료로 분류되지 않은 제2 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 연소부; 및
    상기 소각로 및 상기 가스 연소부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
    를 포함하는 소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가 상기 가스 연소부에 의하여 연소된 후 상기 가스 연소부로부터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제3 가스를 포집하는 가스 포집부
    를 더 포함하는 소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는 상기 소각로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상에는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적재하는 선반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로는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소각로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들간의 간격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시, 상기 소각로 내부의 온도는 600 내지 6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연소부는 상기 제2 가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증류탑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의 연소시, 상기 가스 연소부 내부의 온도는 800 내지 8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의 연소시, 상기 가스 연소부 내부의 압력은 0.01 내지 0.5기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가스 연소부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는,
    열공급부 몸체; 및
    상기 열공급부 몸체 외주면에 감겨진 발열 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 몸체에는 상기 열공급부 몸체 길이 방향을 따라 몸체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13.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로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는 단계;
    상기 가연성 폐기물의 불완전 연소를 통해 발생되는 제1 가스를 증류탑을 이용하여 냉각시켜 액화 연료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증류탑에서 액화 연료로 분류되지 않은 제2 가스를 연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각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온도는 600 내지 6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온도는 800 내지 8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방법.
  17. 가연성 폐기물을 제공받으며 상기 가연성 폐기물을 불완전 연소시키는 소각로;
    상기 소각로의 측벽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소각로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가 연소되는 가스 연소부; 및
    상기 가스 연소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각로 및 상기 가스 연소부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
    를 포함하는 소각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는,
    열공급부 몸체; 및
    상기 열공급부 몸체 외주면에 감겨진 발열 코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 장치.
KR1020080015833A 2008-02-21 2008-02-21 소각 장치 및 방법 KR100912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33A KR100912044B1 (ko) 2008-02-21 2008-02-21 소각 장치 및 방법
PCT/KR2009/000569 WO2009104875A1 (ko) 2008-02-21 2009-02-05 소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833A KR100912044B1 (ko) 2008-02-21 2008-02-21 소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044B1 true KR100912044B1 (ko) 2009-08-12

Family

ID=4098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833A KR100912044B1 (ko) 2008-02-21 2008-02-21 소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2044B1 (ko)
WO (1) WO20091048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874B1 (ko) 2010-05-06 2012-08-29 황보기철 석유화학 폐기물의 열분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065U (ko) * 1989-09-07 1991-05-13
KR930010437A (ko) * 1991-11-04 1993-06-22 안병규 폐타이어 소각장치
KR980010111A (ko) * 1996-07-19 1998-04-30 강승정 폐기물연소방법 및 장치
KR20020068944A (ko) * 2001-02-22 2002-08-28 유인섭 교반 유동상 용융플라즈마소각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294B1 (ko) * 1997-10-08 2000-04-01 김재삼 폐기물 소각로용 폐타이어 연소장치
KR19990085244A (ko) * 1998-05-15 1999-12-06 김재숙 열분해식 폐기물 소각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19360A (ko) * 2000-09-05 2002-03-12 유용진 폐타이어의 소각열을 이용하는 소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9065U (ko) * 1989-09-07 1991-05-13
KR930010437A (ko) * 1991-11-04 1993-06-22 안병규 폐타이어 소각장치
KR980010111A (ko) * 1996-07-19 1998-04-30 강승정 폐기물연소방법 및 장치
KR20020068944A (ko) * 2001-02-22 2002-08-28 유인섭 교반 유동상 용융플라즈마소각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874B1 (ko) 2010-05-06 2012-08-29 황보기철 석유화학 폐기물의 열분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4875A1 (ko)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838B1 (ko) 물과 연소공기의 열분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연소장치
KR101546825B1 (ko)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KR100912044B1 (ko) 소각 장치 및 방법
JP2008057906A (ja) 低公害焼却処理装置
KR101160053B1 (ko) 수직형연소기
KR101215308B1 (ko) 폐타이어용 버너에 의한 금속용해로
KR102006957B1 (ko) 소각로 폐열 회수 시스템
KR101044841B1 (ko) 진공방식 탄화로를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808326B1 (ko) 고온 개질가스화 고속선회 소각로
KR102270907B1 (ko) 쓰레기의 열분해 소각로 및 이와 연계된 발전시스템
KR101191143B1 (ko) 가연성 폐자원 폐기물 연소장치
KR101060056B1 (ko) 플라즈마 소각 설비
KR100539728B1 (ko) 폐타이어 건류 소각 장치
Mosse et al. Plasma furnaces for toxic waste processing
KR101754784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200200512Y1 (ko) 고체 연료 연소 버너
KR102492110B1 (ko) 폐플라스틱 하향식 소각시스템
KR101967117B1 (ko) 사이클론 연소구조의 폐기물 소각장치
KR101128655B1 (ko) 플라즈마 토치 장치 및 플라즈마를 이용한 소각 설비
KR950007416B1 (ko) 폐타이어 소각장치
JP2015083892A (ja) 焼却装置
KR101023993B1 (ko) 고형연료제품의 연소열을 이용한 진공 증기보일러 장치
KR20190098343A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US20170176001A1 (en) Incineration of Bio-Hazard Material
KR19980078019A (ko) 복합형 소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