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849B1 -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 Google Patents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849B1
KR100911849B1 KR1020090043997A KR20090043997A KR100911849B1 KR 100911849 B1 KR100911849 B1 KR 100911849B1 KR 1020090043997 A KR1020090043997 A KR 1020090043997A KR 20090043997 A KR20090043997 A KR 20090043997A KR 100911849 B1 KR100911849 B1 KR 100911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vibration
infant
bas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은
Original Assignee
문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은 filed Critical 문영은
Priority to KR102009004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6Infant exercisers, e.g. for attachment to a crib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6Air-filled or inflatable to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은, 일정 하중을 구비한 상태로 유아가 붙잡거나 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어 제 1 바디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스트링;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충진되어 자체 부양 성질을 가지되, 상기 스트링에 의해 일정 높이로 고정되어 공중 부양된 상태를 지니는 제 1 바디;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충진되어 자체 부양 성질을 가지되 상기 제 1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중앙 부위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상기 스트링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 바디의 하부에서 무고정식 자유 상태로 부양되어 있는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를 흔들었을 때 상기 스트링이 진동하면서 상기 제 2 바디의 자유 운동을 유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에 의하면, 유아 스스로 보다 다양하고 다이내믹한 상태로 모빌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풍부하고 다채로운 시각적 자극 및 지능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SELF-FLOATING TYPE MOBILE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모빌을 구성하는 바디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주입하여 공중 부양할 수 있도록 하되 유아가 붙잡고 있거나 물고 있는 베이스와 바디를 스트링에 의해 연결을 하여 유아가 베이스를 흔들 때 바디가 출렁거리면서 움직여 유아에게 신선한 자극을 부여함과 동시에 사물 인지 능력과 시각적 기능을 발달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에 관한 것이다.
모빌(mobile)은 움직이는 오브제라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움직이는 조각이나 공예품 등의 여러 종류의 대상이 실 또는 철사 등에 의해 매달려 있는 것을 총칭하는 바, 현재에는 미술품이란 의미보다 유아용 교육 제품 중 하나를 지칭하는 의미로서 더 잘 알려져 있다.
즉 유아용 모빌은 신생아 내지 출생 후 얼마 되지 않은 유아가 침대 내지 바닥에 누워있는 경우 침재 내지 주변 시설물에 모빌을 고정하여 모빌에 부착되어 있는 조각품이 유사의 상부 위치에서 회전하거나 움직이면서 유아에게 시각적 자극을 촉진하여 유자의 지능 발달을 이루고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다양한 유아용 모빌 종류가 출시되어 있고 이에 부응하여 국내외 특허공보를 참조하면 다양한 기능을 부가한 모빌이 게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모빌은 국내 특허 제 425964호와 같이 유아의 상부에서 유아의 손으로 모빌 조각을 접촉하도록 하여 모빌이 움직이는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모빌 조각이 모빌 지지대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움직임이 수평선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정도에 그치지 않아 획일적이고 정형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더불어,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0-0048412호 '유아용 모빌'에서는 모빌 본체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한 줄 끝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유아가 손잡이를 잡고 흔들면 모빌 조각이 일정하게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유아 스스로 모빌을 보다 재미있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그런데 상기 기술에 의하면, 역시 모빌이 안정성을 고려하여 모빌 지지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선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정도에 그치지 않아 유아에게 보다 신선하고 재미있는 모빌 움직임을 보여주는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유아 스스로 모빌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하되, 모빌 본체 및 조각을 자체적으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하여 모빌이 낙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성은 물론 보다 다이내믹하고 역동적으로 모빌의 움직임을 조장함으로써 유아의 시각적 재미와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유아용 모빌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충진한 모빌 바디를 상하식으로 분리하여 구분하되 상부에 위치한 모빌은 스트링에 의해 유아가 파지할 수 있는 베이스에 연결함으로써 직접적으로 흔들릴 수 있도록 하고 하부에 위치한 모빌 바디는 스트링에 연결하지 않고 상부 모빌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부 모빌 바디 및 스트링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다채로운 움직임을 자랑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감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가 부상형 유아용 모빌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빌 바디에 복수 개의 보조 모빌 바디를 장착하여 모빌 바디의 풍성한 움직임을 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스트링에 충격을 가하여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부재를 장착함으로 유아가 보다 손쉽게 모빌 바디에 움직임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유아가 파지하거나 물고 있는 베이스에 자동으로 진동을 발생하거나 진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장착하여 모빌 바디의 움직임 상태를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은, 일정 하중을 구비한 상태로 유아가 붙잡거나 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어 제 1 바디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스트링;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충진되어 자체 부양 성질을 가지되, 상기 스트링에 의해 일정 높이로 고정되어 공중 부양된 상태를 지니는 제 1 바디;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충진되어 자체 부양 성질을 가지되 상기 제 1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중앙 부위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상기 스트링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 바디의 하부에서 무고정식 자유 상태로 부양되어 있는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를 흔들었을 때 상기 스트링이 진동하면서 상기 제 2 바디의 자유 운동을 유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아의 손이 미칠 수 있는 높이에서의 상기 스트링의 일 부위에는, 특정 입체 형상을 구비한 충격 제공 부재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충격 제공 부재에는 스프링을 매개로 특정 입체 형상을 지닌 접촉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는, 타이머; 상기 스트링 주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 변위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움직임이 일어날 때 상기 스트링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하는 진동 발생부; 상기 타이머와 연동되어 특정 시간대에 상기 진동 발생부의 구동을 이루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진동 발생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에 의하면,
1) 모빌이 지지대에 의하여 획일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탈피하여 유아 스스로 보다 다양하고 다이내믹한 상태로 모빌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에게 보다 풍부하고 다채로운 시각적 자극 및 지능 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2) 힘이 약한 유아를 위하여 모빌 바디의 움직임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유아에게 일정 수준 이상으로 모빌이 운동되는 상태를 보장할 수 있으며,
3) 시각적 자극은 물론 청각, 촉각적 자극을 야기하여 유아의 균형적인 감각 발달을 촉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제작이 손쉬운 특성을 가짐과 동시에,
5) 유아의 행동 성향 내지 외부 요인에 의하여 자동으로 모빌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은 제 1,2 바디(10,20)가 상부, 하부의 위치 차이를 가지고 공중 부상되어 있는 상태를 취하되 제 1 바디(10)는 스트링(30)에 고정되어 있되 제 2 바디(20)는 중공부(21) 사이로 스트링(30)이 지나가도록 하여 보다 자유로운 공중 부양 상태를 취하도록 하며, 스트링(30)은 하단 부위에 형성된 베이스(40)에 연결이 되어 유아가 베이스(40)를 흔들 때 제 1,2 바디(10,20)가 역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제 1 바디(10) 및 제 2 바디(20)는 기본적으로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예를 들어 헬륨 가스)가 충진되어 있어 자체적으로 공중 부상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제 1,2 바디(10,20)는 내부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의하여 내부 중공 구조가 감싸여 있되 하우징은 가볍지만 질기고 튼튼한 소재로 이루어져 제 1,2 바디(10,20)가 쉽사리 터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일정 수준 이상의 내구성을 보장하도록 한다.
더불어, 제 1,2 바디(10,20)는 기체 주입구를 구비하여 장시간 흘러 제 1,2 바디 내에서 기체가 새어나갔을 때 추가 기체를 충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반대로 기체 주입구를 구비하지 않고 밀폐형으로 이루어져 있되 기체가 새어나가지 않을 정도로 하우징 재질의 두께 내지 밀폐 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처리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바디(10)는 예를 들어 원반형 형상 내지 종축이 횡축보다 짧은 타원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입체 형상을 가지고 있어 안정적인 시각적 움직임 상태를 보이며 공중 부상될 수 있도록 하며, 제 2 바디(20) 역시 제 1 바디(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되, 중앙 부위에 중공부(21)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물론, 제 1,2 바디(10,20)는 상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보다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바디(10)의 하단 중앙 부위에는 스트링(30)을 고정 연결하기 위한 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11)는 제 1 바디(10)의 부상력에 의하여 수직 상태로 연장되어 있는 스트링(30)의 상단 부위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접착 방식, 실링 방식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스트링(30)을 제 1 바디(10)의 하측 부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한다.
제 2 바디(20)는 중앙 부위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중공부(21)에 의하여 마치 도우넛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중공부(21로 스트링(30)이 지나가도록 되어 있는바, 제 2 바디(20)는 제 1 바디(10)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충진된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부상 성질을 가지고 있다.
중공부(21)의 체적은 제 1 바디(10)의 체적보다는 크지 않게 형성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제 2 바디(20)가 자가 부상을 하되 제 1 바디(10)의 하부위에 걸려 더 이상 부상을 하지 않고 제 1 바디(10)의 하부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취하고 있게 된다.
놀이 부재(25)는 제 2 바디(2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보조 스트링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제 2 바디(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직접 제 2 바디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해서 보조 스트링(26)에 의하여 제 2 바디(2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놀이 부재(25)는 다양한 형상, 모양(예를 들어 캐릭터 형상, 해, 달과 같은 자연물 형상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이 역시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를 충진하여 부상될 수 있는 성질을 갖게 하거나 아니면 하우징 내 공기를 충진하여 부상 성질을 갖지 않되 제 2 바디(20)의 부상력보다는 약한 수준으로 낙하 성질을 가져 공중에서 자유 비행을 할 수 있는 기반을 갖도록 한다.
복수 개의 놀이 부재(20) 중 특정 놀이 부재에는 모션 감지 센서(또는 중력 센서) 및 음향 발생 수단(멜로디가 데이터베이스로 탑재되어 있고 더불어 스피커를 구비한 음향 출력 수단)을 구비하여, 놀이 부재의 진동 내지 움직임이 있음을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경우 음향 발생 수단을 통해 다양한 음향(저장되어 있는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이러한 놀이 부재(25)는 비단 제 2 바디(20) 뿐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제 1 바디(10) 또는 스트링(30)에도 복수 개로서 장착되어 있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놀이 부재(25)는 제 2 바디(20)에 충격을 가하였을 때 제 2 바디(20) 자체가 상하로 일정 범위 이동되는 순간에 놀이 부재(25)에도 그 충격이 전달되어 자유로이 유동되거나 움직이도록 하여, 마치 제 2 바디(20) 및 놀이 부재(25)가 춤을 추듯이 공중에서 움직이는 상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유아에게 시각적인 재미와 즐거움을 선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30)은 하 측에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40)와 상측에서 부양되어 있는 제 1 바디(10)를 연결하는 매개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바, 다시 말해 공기보다 가벼운 성질을 갖는 제 1 바디(10)가 상부로 날라가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링(30)의 길이만큼 일정 높이에서 고정 부상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스트링(30)은 고무줄과 같이 일정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바, 즉 충격을 가하였을 때 탄성이 부족한 재질보다 진동을 보다 많이 발생시켜 제 1,2 바디(10,20)를 보다 역동적으로 흔들 수 있는 기반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트링(30)은 제 1 바디(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은 물론, 후술하겠지만 충격 제공 부재(40)의 충격 내지 진동 발생 모듈(50)의 진동 발생에 의하여 진동을 하면서 제 2 바디(20)에 일정 수준 이상의 충격을 전달하는 매체로서의 기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40)는 스트링(30)의 하단에서 일정 하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의 무게중심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유아가 이를 잡거나 문 상태에서 모빌을 흔들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40)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유아가 이를 잡고 모빌을 흔들 수 있도록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치발기로 이루어져 유아가 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에 베이스(40)는 조명 내지 소리가 발생하는 장난감 또는 딸랑이로서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하고, 유아의 촉각 발달을 위해 베이스(40) 표면에 복수 개의 미세 돌기가 돌출 형성된 즉 엠보싱 처리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이 진동에 의해 움직이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아가 베이스(40)를 잡거나 문 상태에서 유아가 베이스(40)를 흔들 경우 스트링(30)이 진동을 하게 되고, 스트링(30)의 진동이 상부에까지 미치게 되어 제 1 바디(10)가 흔들림과 동시에 제 2 바디(20)를 흔들게 되며, 특히 제 2 바디(20)의 경우 스트링(3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보다 다이나믹(dynamic)하고 자유로운 운동 상태를 가지게 된다.
더불어 제 2 바디(20)에 매달려 있는 복수 개의 놀이 부재(25)까지 자유로이 움직이게 되어 보다 다양한 흔들림 상태를 유아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뿐 아니라 청각적(모션 감지 센서, 음향 발생 수단에 의하여 가능) 감각 자극도 유발하여 유아의 시각 발달과 청각 발달을 보다 다채롭고 신선하게 도모할 수 있는 특징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에 충격 제공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스트링(30)은 베이스(40)를 흔들게 될 때 진동이 일어날 수 있어 이로 인하여 제 1,2 바디(10,20)를 움직이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하는데, 유아가 신생아이거나 아직 물건을 흔드는 방법을 터득하지 못한 상태, 또는 베이스(40)를 일정 수준으로 흔들지 못하여 스트링(30)이 일정 수준 이상의 충분한 진동을 하지 못하게 되는 개연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링(30)의 충분한 진동 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유아의 손이 닿을 수 있는 높이에 해당하는 스트링(30)의 일정 지점에 충격 제공 부재(45)를 장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제공 부재(45)는 유아의 시선을 자극할 수 있는 특정 형상 내지 모양을 구비한 상태로 스트링(30)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유아가 이러한 충격 제공 부재(45)를 만지고 흔들게 될 때 베이스(40)를 흔들 때보다 직접적으로 스트링(30)의 진동 발생을 촉징하게 되어 스트링(30)의 진동 발생을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유발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도 3을 참조하면 충격 제공 부재(45)에는 접촉 부재(41)가 스프링(42)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접촉 부재(41) 역시 유아의 시선을 끌 수 있는 독특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되, 스프링(42)을 매개로 충격 제공 부재(45)에 부착되어 있는바, 유아가 접촉 부재(41)를 만졌을 경우 그 충격에 의하여 스프링(42)이 움직이되 스프링(42) 고유의 탄성 성질에 의하여 스프링(42)이 스트링(30)에 충분한 진동을 제공할 수 있는 역할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충격 제공 부재(45) 내지 접촉 부재(41)의 표면에는 야광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어, 밤에도 시인성과 식별성을 갖도록 하여 유아가 충격 제공 부재(45) 내지 접촉 부재(41)의 존재를 보다 알아보기 쉽게끔 이루어져 있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충격 제공 부재(45) 내지 접촉 부재(41) 역시 내부 공간을 구비한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 또는 공기가 충진되어 있어 스트링(30)에 하중을 부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스트링(30)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모듈(50)은 베이스(40)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타이머(90), 광센서(70), 진동 감지 센서(80), 진동 발생부(100), 컨트롤러(60)로 구성되어 있다.
광센서(70)는 베이스(40)의 일 측면에 부착이 되어, 특정 수준의 광량이 모빌 주변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함과 동시에 컨트롤러(60)에 광량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가진다.
진동 감지 센서(80) 역시 베이스(50)의 일 측면에 부착이 되어, 베이스(40)의 진동(흔들림) 상태를 감지함과 동시에 컨트롤러(60)에 진동 감지 신호를 전달하 는 역할을 가진다.
타이머(90)는 광센서(70) 내지 진동 감지 센서(80)와 연동되어 있거나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시간 계측 기능을 구비함은 물론 특정 수준의 광량이 감지되거나 특정 수준의 진동이 감지된 시점부터 진행되는 시간량을 계측함과 동시에 계측된 시간을 컨트롤러(60)에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진동 발생부(100)는 컨트롤러(6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스트링(30)에 진동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바, 구체적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 패턴으로 움직이거나 회전, 상하좌우로 일정 범위로서 회동될 수 있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움직이는 범위 내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태로 스트링(30) 주변에 장착이 되어 자체 움직임에 의하여 스트링(30)을 타격함으로 스트링(30)에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트롤러(60)는 상기 타이머(90)의 시간 계측 신호 및 센서들(70,8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진동 발생부(100)를 구동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시간 설정부(61), 진동 촉진부(62), 진동량 설정부(63)로 구성되어 있다.
시간 설정부(61)는 타이머(90)와 연동되어 특정 시간대에 진동 발생부(100)를 구동하도록 하거나 아니면 일정 주기마다 진동 발생부(100)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진동 촉진부(62)는 광센서(70)에 의하여 일정 수준의 광량이 존재하고 있음을 감지하였을 뿐 아니라 진동 감지 센서(80)에 의하여 베이스(30)의 일정 흔들림 이 감지될 때 비로소 진동 발생부(100)를 구동하도록 하는 것으로, 즉 광센서(70)에 의하여 일정 광량이 존재함으로 현재 시점이 밤이 아니라 낮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더불어 베이스(40)의 일정 진동이 있는 것을 미루어 유아가 잠을 자지 않고 베이스(40)를 만지고 있다는 것을 예측하여 이러한 상황에서 진동 발생부(100)를 구동시킴으로 스트링(30)의 진동을 보다 활성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진동량 설정부(63)는 진동 감지 센서(80)의 진동 수준이 스트링(30)에 충분한 진동을 제기할 정도까지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이 될 경우 진동 발생부(100)의 진동량을 강화하여 강제 진동시키는 기능을 가지는바, 이는 유아가 베이스(40)를 잡고 있기는 하되 베이스(40)를 움직이는 수준이 미미하여 스트링(30)의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진동 발생부(100)를 구동하여 스트링(30)의 진동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은 충격 제공 부재(45)에 의하여 유아 스스로, 아니면 진동 발생 모듈(50)에 의하여 특정 조건 하에서 자동적으로 스트링(30)의 진동을 촉진하도록 함으로써 제 2 바디(20) 및 놀이 부재(25)의 움직임 상태를 강화하여 유아에게 보다 신선하고 재미있는 시각적, 청각적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 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이 진동에 의해 움직이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링에 충격 제공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 바디 60: 컨트롤러
20: 제 2 바디 61: 시간 설정부
25: 놀이 부재 62: 진동 촉진부
26: 보조 스트링 63: 진동량 설정부
30: 스트링 70: 광센서
40: 베이스 80: 진동 감지 센서
41: 접촉 부재 90: 타이머
45: 충격 제공 부재 100: 진동 발생부
50: 진동 발생모듈

Claims (8)

  1.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로서,
    일정 하중을 구비한 상태로 유아가 붙잡거나 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어 제 1 바디와 고정 연결되어 있는 스트링;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충진되어 자체 부양 성질을 가지되, 상기 스트링에 의해 일정 높이로 고정되어 공중 부양된 상태를 지니는 제 1 바디;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충진되어 자체 부양 성질을 가지되 상기 제 1 바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중앙 부위에 중공부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상기 스트링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 바디의 하부에서 무고정식 자유 상태로 부양되어 있는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를 흔들었을 때 상기 스트링이 진동하면서 상기 스트링 및 제 1 바디 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제 2 바디의 자유 운동을 유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 중 어느 하나의 둘레를 따라 보조 스트링을 매개로 복수 개로 부착되어 있되, 하우징 내에 공기보다 가벼운 기체가 충진되어 자 체 부양 성질을 가지는 놀이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치발기 및 손잡이가 구비된 딸랑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는,
    복수 개의 미세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엠보싱 처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의 손이 미칠 수 있는 높이에서의 상기 스트링의 일 부위에는,
    특정 입체 형상을 구비한 충격 제공 부재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충격 제공 부재에는 스프링을 매개로 특정 입체 형상을 지닌 접촉 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타이머;
    상기 스트링 주변에 구비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 변위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움직임이 일어날 때 상기 스트링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하는 진동 발생부;
    상기 타이머와 연동되어 특정 시간대에 상기 진동 발생부의 구동을 이루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진동 발생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모듈은,
    광량을 측정하는 광센서 및, 상기 베이스의 움직임 여부를 감지하는 진동 감지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광센서 및 진동 감지 센서로부터 일정 광량 및 진동 여부를 감지한 경우 상기 진동 발생부의 구동을 이루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진동 촉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 부재는,
    자체 움직임 상태를 감지하는 모션 감지 센서;
    상기 모션 감지 센서에 의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특정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KR1020090043997A 2009-05-20 2009-05-20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KR100911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997A KR100911849B1 (ko) 2009-05-20 2009-05-20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997A KR100911849B1 (ko) 2009-05-20 2009-05-20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849B1 true KR100911849B1 (ko) 2009-08-14

Family

ID=4120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997A KR100911849B1 (ko) 2009-05-20 2009-05-20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169A (ko) 2021-04-12 2022-10-19 이기호 입체자개 모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337U (ko) * 1997-03-29 1998-11-16 류광열 유아와 연결시킨 모빌형 장난감
JP2606931Y2 (ja) * 1993-12-24 2001-02-19 隆光 森▲崎▼ モビール
KR200269231Y1 (ko) 2001-12-29 2002-03-20 주식회사 초록배미디어 유아용 모빌
KR100425964B1 (ko) 1999-12-16 2004-04-13 이도헌 모빌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931Y2 (ja) * 1993-12-24 2001-02-19 隆光 森▲崎▼ モビール
KR19980062337U (ko) * 1997-03-29 1998-11-16 류광열 유아와 연결시킨 모빌형 장난감
KR100425964B1 (ko) 1999-12-16 2004-04-13 이도헌 모빌기구
KR200269231Y1 (ko) 2001-12-29 2002-03-20 주식회사 초록배미디어 유아용 모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1169A (ko) 2021-04-12 2022-10-19 이기호 입체자개 모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089B2 (en) Lighted trampoline
US8258663B2 (en) Magnetic levitation novelty device
CN207740993U (zh) 一种仿真蜡烛灯
CN102223825B (zh) 电磁式儿童摇椅
US1789333A (en) Toy
US3921331A (en) Weighted, musical roly-poly toy construction
CA2511947A1 (en) A toy building set with a vibration sensor
WO2010098702A1 (en) Infant motion and monitoring system
KR100911849B1 (ko)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KR100749790B1 (ko) 조립형 장난감 롤러코스터
US4563161A (en) Submersible toy
US20110301405A1 (en) Sleeping inducer
CN103025396B (zh) 具有声音模块的游乐设施配件
CN202723272U (zh) 新型婴儿床
JP4653855B1 (ja) 鐘体の鳴動装置
JPH07289394A (ja) 多方向揺動ベビーベッド
KR100425964B1 (ko) 모빌기구
KR101782801B1 (ko) 발전기가 설치된 시소 놀이기구
RU202139U1 (ru) Юла
CN106989355A (zh) 一种仿真蜡烛灯
CN102350058A (zh) 一种互动玩具娃娃及其控制方法
CN202191053U (zh) 智能摇摆式婴儿床
WO2020122710A1 (en) Sleep-inducing toy
JP3110565U (ja) 容器体に収納した吊下げ揺動玩具
US200201606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ausing a toy to simulate a condition, such as yawn or sle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