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964B1 - 모빌기구 - Google Patents

모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964B1
KR100425964B1 KR10-1999-0058375A KR19990058375A KR100425964B1 KR 100425964 B1 KR100425964 B1 KR 100425964B1 KR 19990058375 A KR19990058375 A KR 19990058375A KR 100425964 B1 KR100425964 B1 KR 100425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infant
specific
controller
inf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654A (ko
Inventor
김영호
이도헌
Original Assignee
이도헌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헌, 김영호 filed Critical 이도헌
Priority to KR2019990028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986Y1/ko
Priority to KR10-1999-0058375A priority patent/KR1004259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12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또는 영아의 특정한 행동양상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특정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는 작동시스템을 가지는 모빌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의 행동에 따라 반응을 하는 모빌기구에 있어서, 조작방식의 상이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손잡이 형태의 콘트롤러(9)와, 상기 콘트롤러의 특정 조작에 의해 특정한 방식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기동될 수 있는 모빌구동부와, 상기 모빌 구동부에 연결되어 그의 기동에 따라 동작되는 모빌구성요소로 구성됨에 의해 유아의 특정한 행동에 대응하여 특정한 반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유아기 또는 영아기에 충분히 가능한 '시ㆍ청각-인지-운동'의 협응능력의 향상을 지원함으로써, 방치ㆍ간과되고 있던 유아기 또는 영아기의 감각-인지-운동 협응능력의 발달 및 교육에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모빌기구{Mobile apparatus}
본 발명은 유아 또는 영아용 모빌(mobil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유아 또는 영아의 특정한 행동양상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특정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는 작동시스템을 가지는 모빌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신생아들은 0-4개월 중 그 초기에는 왼팔, 오른팔을 똑 같이 움직이는 좌우대칭형 동작과 같은 미 분화된 동작을 수행한다. 이 후 3개월 정도되면 대근육 동작(예로 팔 뻗기, 다리 들기 등)으로부터 소 근육 동작(두 손 모아 장난감 잡기 등)으로, 미 분화된 소근육 동작에서 분화된 소근육 동작(왼손드로 잡고 오른 손으로 건드리기)으로 발달하게 된다.또한, 신생아기의 신체감각의 발달은 외부대상에 대한 신체접촉에서 오는 외부형 감각에서부터 출발하여 3-4개월 경에는 외부 대상 없이 스스로 움직이는 것에 따라 오는 자기 신체감각이 서서히 분화되어 발달하게 된다. 상술한 외부형 감각은 장난감을 손으로 건드리는 경우 피부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그 일예가 된다. 또한, 상술한 자기 신체감각은 허공으로 손을 뻗는 경우에는 외부 대상 접촉에 따른 감각이 없더라도, 팔 자체의 근육변화에 의하여 느껴지는 감각이 그 예가 된다.또한, 이러한 운동능력 또는 지각능력의 발달을 위한 자기 신체의 자극은 선명히 지각되고 접촉하기 용이한 대상이 있을 때 훨씬 더 강력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 신생아기의 초기에 신체적 외부물체에 대한 신체적 접촉은 신생아의 운동능력 및 지각능력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따라서, 신생아들의 지능개발을 위한 자극이 주된 기능을 하는 기간은 기어다니기 시작하기 까지의 0-4개월 정도이며, 이 기간동안 신생아의 운동능력 및 지각 발달을 위해서 모빌이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상술한 목적을 위한 종래 기술에서의 모빌(mobil)은 가느다란 철사 또는 실에 금속, 나무, 종이 또는 천 재질의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지는 조각들을 매달아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조형품의 형태를 가진다.종래의 모빌은 상기한 바와 같은 단순한 구조 이상의 것으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부착되는 조각의 형상, 모양, 또는 부착 방식만이 변형 또는 개발되어 왔다.또한, 근래에는 이러한 종래의 모빌의 단순성에서 탈피하고자 새로운 제품들이 개발되어 왔다. 즉, 구동장치를 장착하여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는 구조, IC회로에 의해 특정시간 동안 일정한 멜로디 또는 동물울음소리를 발생하는 음향수단을 가지는 구조, 또는 풍력을 발생하여 모빌을 동작시키는 구조 등이 개발 보급되어 왔다. 또한, 시각적 효과를 위해 다이오드 등을 이용한 발광수단이 제공되기도 하였다.상술한 종래의 모빌의 단순성을 탈피하기위한 모빌이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3706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의 모빌은 모빌을 불규칙적으로 진동 및 회전시키는 모터구동부, 회전발생부, 멜로디발생부, 발광LED, 제어부 등을 가지고 구성되어, 불규칙 적인 진동 및 회전운동과 발광되는 빛에 의하여 유아의 시각을 자극하고, 출력되는 멜로디에 의하여 유아의 청각을 자극하도록 동작한다.그러나 상술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에 기재된 모빌은 유아에게 일방적으로 표현되는 방식으로서 유아는 이러한 종래의 모빌에 대해 단지 수동적인 반응만을 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 것은 유아의 성장에 필요한 지적능력을 포함한 여러 가지 능력 배양을 위해서, 보다 개선된 모빌을 필요로 하게 되는 이유가 된다.이러한 필요에 부응하여, 미국특허 제4984380호에는 유아의 행동에 반응하여 동작되는 모빌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특허는 유아의 행동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적외선 센서에 의하면, 유아의 행동뿐만이 아닌 다른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모빌이 동작되므로 유아에 대한 어떠한 교육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즉, 모빌이 규정되어 있는 방식에 의해 규칙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학습능력의 배양을 기대하기 곤란하였다.또한, 0-3개월 정도의 신생아들은 시각능력이 발달하지 않은 상태에 있게 됨으로, 상술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및 미국특허에 개시된 모빌은, 신생아의 시각적 자극 및 신체접촉에 의한 자극을 제공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신생아의 운동능력 및 지각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자극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일방향 표현수단만을 가지는 것으로부터 탈피하여 유아의 행동에 따라 특정적으로 동작되는 모빌을 제공함에 의해 주의능력, 인지능력, 환경통제능력 등 각종 능력을 효과적으로 배양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또한, 단지 형태적인 움직임만이 아닌 시각적 또는 음향적 요소를 첨가함에 의해 보다 다양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모빌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빌의 작동방식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부 3 ; 회전부
5 ; 모빌조각 7 ; 제어부 박스(box)
9 ; 콘트롤러
상기한 목적은, 유아의 행동에 따라 반응을 하는 모빌기구에 있어서, 조작방식의 상이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손잡이 형태의 콘트롤러(9)와, 상기 콘트롤러의 특정 조작에 의해 특정한 방식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기동될 수 있는 모빌구동부와, 상기 모빌구동부에 연결되어 그의 기동에 따라 동작되는 모빌구성요소로 구성됨에 의해 유아의 특정한 행동에 대응하여 특정한 반응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호작용을 하는 모빌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빌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그것과 유사하다. 즉, 그 기본적인 구성은 천정 등에 매달기 위한 고정부(1)와, 고정부로부터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환상의 회전부재(3)와, 회전부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다수 설치되어 중력에 의해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모빌조각(5)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고정부는 회전부재(3)의 양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메인모터(2)를 가진다. 다수의 모빌조각(5)은 회전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서보모터(도시생략)에 의해 각각 소정구간 상하방향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는 양방향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릴(reel)과, 릴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유연한 모빌끈재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모빌의 여러 곳에 소정의 조명수단 또는 음향출력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작동수단 즉, 메인모터, 서보모터, 조명수단 및 음향출력수단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내재하는 제어박스(7)가 회전부재에 제공된다. 제어부는 입력되는 특정한 신호를 기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작동수단을 작동하게 된다.
제어부에 특정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은 회전부재의 중심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트롤러(9)가 될 수 있다. 콘트롤러(9)는 손잡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1개 이상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몸체에는 1개 이상의 버튼 또는 감지센서(8)가 제공된다. 콘트롤러(9)는 양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개 이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수단은 유아에 의한 콘트롤러 자체의 당겨짐 또는 감지센서의 접촉이며, 이들의 조합에 의해 많은 종류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모빌의 작동방식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입력수단(10)은 유아에 의해 콘트롤러에 가해지는 각종의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각기 다른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한다. 제어부(20)는 마이크로칩에 내장된 1개 이상의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수단(30)을 제어한다. 작동수단은 모터(40), 조명수단
(50) 및 음향출력수단(6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40)는 모빌조각의 상하운동 또는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조명수단(50)은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빛을 발할 수 있다. 음향출력수단(60)은 스피커 또는 벨 등을 통해 소정의 멜로디, 자연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작동수단(30)은 프로그램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복합되어 특정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모빌의 각종 동작상태의 구체적인 예 및 이로부터 획득 가능한 교육적 효과를 설명한다.
유아가 왼쪽 콘트롤러(9a)를 당기게 되면, 모빌의 왼쪽부에 부착되는 모빌조각들이 하강하게 된다. 역도 마찬가지이다. 양쪽 콘트롤러(9a,9b)를 동시에 당기게 되면, 모빌조각 전체가 하강하게 된다. 하강하는 방식은 센서감지 1회 마다 1회에 걸쳐 하강 및 상승하는 방식일 수 있으며, 수회에 걸쳐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외에, 유아가 콘트롤러의 몸체에 제공되는 센서(8)를 터치하게 되면, 소정의 멜로디 또는 동물의 소리가 흘러 나오게 된다. 유아의 특정한 동작이 복합적으로 일어나게 되면, 모빌은 이에 따라 복합적인 반응(예를 들면, 좌우방향으로 수회의 회전과 조명의 점등 및 멜로디의 출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유아로 하여금 환경통제능력을 습득하게 할 수 있으며, 환경통제의 즐거움, 성취감, 숙달감, 호기심을 충족시키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모빌의 반응양태는 보호자에 의해 새롭게 구성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모빌은 전술한 실시예를 포함하여 후술되는 제 2 실시예로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보호자는 본 발명의 모빌을 수동 또는 자동적으로 기동되도록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전술된 실시예가 유아의 행동에 따라 작동되는 수동방식이라면, 본 실시예는 보호자가 특정모드를 지정해 놓으면, 모빌이 자동적으로 특정한 동작을 일회적 또는 반복적으로 실시하도록 하는 자동방식이다.
이와 같은 작동을 위한 모빌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모빌은 수 개의 동작방식을 입력해 놓는 프로그램을 가진다. 제어부는 프로그램에 따라 모빌의 각종 구성요소를 작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수 개의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여 모빌을 기동하게 된다.
프로그램은 단순동작에서 점차적으로 복잡한 동작에 걸쳐 여러 단계의 동작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전혀 상이한 동작이 산발적으로 일어나도록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모빌의 규칙적인 동작은 유아로 하여금 규칙성을 지각하게 하며,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안구 추적운동 능력의 연습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모빌조각의 단계적인 하강 또는 상승은 유아로 하여금 집중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모빌은 일정한 테마에 따라 구성된 모빌조각을 가진다. 상기 테마는 특정 지역 또는 환경에 관한 것일 수 있으며, 수많은 종류의 테마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특정 테마에 따른 음향이 제공될 수 있다.
모빌조각 또는 조명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요소는 유아로 하여금 음악의 이해 내지 감각을 깨우치도록 하기 위한 기초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테마를 가지고 작동 또는 구성되는 모빌은 유아로 하여금 초보적인 범주지식, 인과지식 및 사건지식을 함양하도록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도출되는 단지 몇가지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일실시에에서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단지 소정의 기구적인 구성에 의해 유사한 효과를 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특정 손잡이가 움직임에 따라 특정의 벨을 울리거나 특정 모빌조각을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모빌은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가능함으로써, 유아의 지능발달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모빌은 단순한 시각, 청각효과만을 위한 구성이 아닌 각각 테마 또는 연관성을 가짐으로써, 유아에게 목표되는 교육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전인교육 또는 인성교육의 커다란 밑밭침이 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유아의 행동에 따라 반응을 하는 모빌기구에 있어서; 조작방식의 상이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손잡이 형태의 콘트롤러(9)와, 상기 콘트롤러의 특정 조작에 의해 특정한 방식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기동될 수 있는 모빌구동부와, 상기 모빌구동부에 연결되어 그의 기동에 따라 동작되는 모빌구성요소로 구성됨으로써 유아의 특정한 행동에 대응하여 특정한 반응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빌구성요소는 다수의 유연한 끈부재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모빌조각, 조명수단 및 음향출력수단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1999-0058375A 1999-12-16 1999-12-16 모빌기구 KR100425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476U KR200188986Y1 (ko) 1999-12-16 1999-12-16 모빌기구
KR10-1999-0058375A KR100425964B1 (ko) 1999-12-16 1999-12-16 모빌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8375A KR100425964B1 (ko) 1999-12-16 1999-12-16 모빌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476U Division KR200188986Y1 (ko) 1999-12-16 1999-12-16 모빌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654A KR20000012654A (ko) 2000-03-06
KR100425964B1 true KR100425964B1 (ko) 2004-04-13

Family

ID=196264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476U KR200188986Y1 (ko) 1999-12-16 1999-12-16 모빌기구
KR10-1999-0058375A KR100425964B1 (ko) 1999-12-16 1999-12-16 모빌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476U KR200188986Y1 (ko) 1999-12-16 1999-12-16 모빌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89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49B1 (ko) 2009-05-20 2009-08-14 문영은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250A (ko) * 2002-09-30 2004-04-03 전자부품연구원 센서 감응형 상하운동 장난감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10122803A (ko) * 2011-10-20 2011-11-11 김성진 모빌 작동 장치
KR200495221Y1 (ko) * 2020-02-26 2022-04-04 임영희 애완 동물용 놀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380A (en) * 1989-07-17 1991-01-15 Anderson Rodney D Body-motion activated crib mobile
KR960004118U (ko) * 1994-07-26 1996-02-14 이택현 모 빌
KR19990037064U (ko) * 1999-06-21 1999-10-05 이남용 자동으로움직이는모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4380A (en) * 1989-07-17 1991-01-15 Anderson Rodney D Body-motion activated crib mobile
KR960004118U (ko) * 1994-07-26 1996-02-14 이택현 모 빌
KR19990037064U (ko) * 1999-06-21 1999-10-05 이남용 자동으로움직이는모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49B1 (ko) 2009-05-20 2009-08-14 문영은 유아용 자가 부상 모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986Y1 (ko) 2000-07-15
KR20000012654A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2107B1 (en) Electronic toy,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7183929B1 (en) Control of toys and devices by sounds
US4984380A (en) Body-motion activated crib mobile
AU722816B3 (en) Interative toy
US6769952B1 (en) Mobi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7070870A1 (zh) 多模式控制声光互动儿童逻辑、感统训练游戏垫
US20190130775A1 (en) Interactive device for object, playpen enclosure for child, and crib
KR100425964B1 (ko) 모빌기구
KR20080075268A (ko)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동작하는 로봇 완구
US6746299B1 (en) Infant-operable remote controlled entertainment and education device and system
US6645036B1 (en) Walking toy figure
JP2023155303A (ja) ロボット、表現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54701A1 (en) Intentionally annoying toy with an interactive shut-off mechanism
US2021038371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to develop infant hand-eye coordination and spatial awareness while interacting with a caretaker
CN208598954U (zh) 多感官综合训练室
US20150017873A1 (en) Intentionally annoying toy with an interactive shut-off mechanism
KR20000017806A (ko) 모빌기구
KR200375086Y1 (ko) 센서 감응형 상하운동 장난감
KR200375085Y1 (ko) 센서 감응형 장난감
US20200342786A1 (en) Asthma Doll with Toy Breathing Machine
Lund et al. Modular robotic system as multisensory room in children’s hospital
US20240181367A1 (en) Interactive motorized rotating toy
Bonarini Existing Robotic Toys
KR20040028259A (ko) 센서 감응형 장난감 및 이의 동작 방법
US9782689B1 (en) Integrated hand-held catch ne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