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791B1 - 조명시계 - Google Patents

조명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791B1
KR100911791B1 KR1020070090225A KR20070090225A KR100911791B1 KR 100911791 B1 KR100911791 B1 KR 100911791B1 KR 1020070090225 A KR1020070090225 A KR 1020070090225A KR 20070090225 A KR20070090225 A KR 20070090225A KR 100911791 B1 KR100911791 B1 KR 100911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lock
reflector
coupling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403A (ko
Inventor
박영곤
Original Assignee
박영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곤 filed Critical 박영곤
Priority to KR102007009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79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04B19/32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by luminescent substan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84Pictures or inscriptions on the case or parts thereof, attaching complete pi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시계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상기 시계를 결합할 수 있는 제1 결합부를 형성한 투명재질의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하측으로는 빛을 반사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 삽입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시계를 결합할 수 있는 제2 결합부를 형성한 반사지와; 상기 반사지의 삽입부에 결합하는 전등과 상기 전등의 일측으로 전선에 의해 연결된 전원부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형성한 조명시계에 있어서, 삽입부는 발광부의 전등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되, 전등 삽입 후 전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연질의 재질로 구성된 조명시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등으로 반사지에 빛을 조사하여 야간에도 시계를 잘 볼 수 있으며, 특히, 반사지의 상측으로 다양한 로고나 사진과 같은 그림을 형성하여 광고효과 및 집안의 장식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명, 시계, LED, 광고

Description

조명시계{LIGHT CLOCK}
본 발명은 조명시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등으로 반사지에 빛을 조사하여 야간에도 시계를 잘 볼 수 있으며, 특히, 반사지의 상측으로 다양한 그림 및 광고지를 형성하여 광고효과 및 집안의 장식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조명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에는 야간에도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시침, 분침 등에 야광물질을 도포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시계를 단순한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용도가 아닌 장식용이나 광고, 홍보용 판촉물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시계의 유리 전면에 특정업체나 단체의 로고를 입혀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시침, 분침 등에 형광물질을 형성한 통상의 시계의 경우 형광물질이 일정시간이 되면, 그 효력을 잃어버림으로써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특히, 홍보 판촉물로 이용할 경우 외측의 유리전면에 입힌 로고가 자주 지워지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색바랜 로고가 있는 시계는 장식용으로 하기에는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불쾌감을 조성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명시계는 중앙에 상기 시계를 결합할 수 있는 제1 결합부를 형성한 투명재질의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하측으로는 빛을 반사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 삽입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시계를 결합할 수 있는 제2 결합부를 형성한 반사지와; 상기 반사지의 삽입부에 결합하는 전등과 상기 전등의 일측으로 전선에 의해 연결된 전원부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형성한 조명시계에 있어서, 삽입부는 발광부의 전등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되, 전등 삽입 후 전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시계는 전등으로 반사지에 빛을 조사하여 야간에도 시계를 잘 볼 수 있으며, 특히, 반사지의 상측으로 다양한 로고나 사진과 같은 그림을 형성하여 광고효과 및 집안의 장식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보호판(10)은 시계(C)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제1 결합부(1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보호판(10)의 하측에 형성되되 보호판(10)의 제1 결합부(11)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제2 결합부(22)를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삽입부(21)를 형성한 반사지(20)와, 상기 반사지(2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21)에 결합되는 전등(31)과 상기 전등(31) 일측으로 전선(L)에 의해 연결된 전원부(32)를 구성한 발광부(3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10)은 투명하게 이루어진 아크릴판이나 유리 일반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지(20)의 상측으로는 다양한 로고나 사진과 같은 그림(p)을 형성하여, 홍보용이나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반사지(2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21)는 상기 발광부(30)의 전등(31)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하되, 상기 전등(31)의 삽탈이 용이하면서, 결합 후 이탈되지 않도록 연질의 재질로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사지(20)의 삽입부(21)는 상측이나 양 측면, 하측 등 다양한 곳에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30)에 형성되어 있는 전등(31)은 다양한 형태의 발광수단을 사용할 수 있지만, LED램프와 같이 고휘도의 발광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전원부(32)는 어뎁터나 통상의 220V 전원의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판(10)과 반사지(20)에 결합하는 시계(C)는 보호판(10)과 반사지(20)에 결합 시 이탈되지 않도록, 시계(C)의 초가 있는 부분에 통상의 결합수 단(1)에 의해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조명시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조명시계(5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반사지(20)의 상측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광고용 문구, 로고 등와 같은 그림(p)을 결합한 후, 시계(C)가 결합할 수 있도록 보호판(10)과 삽입부(21)를 형성한 반사지(20)의 중앙에 각각 제1, 2 결합부(11, 22)를 타공한 후, 상기 제1, 2 결합부(11, 22)에 시계(C)를 결합한 후 시계(C)의 초에 형성된 통상의 결합수단(1)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10)과 반사지(20)의 측면으로는 보호판(10)과 반사지(2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도록 통상의 결합부재(도면에 도시되자 않음)를 더 사용하여 결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상기 반사지(20)의 삽입부(21)에 발광부(30)의 전등(31)을 삽입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이때에, 상기 반사지(20)에 형성된 삽입부(21)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광부(30)의 전등(31)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전등(31)의 삽입 시 전등(31)과 동일한 크기의 삽입부(21)가 전등(31)에 의해 벌어지면서 전등(31)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짐과 동시에, 전등(31)이 삽입되는 순간에 삽입부(21)에서 일정한 힘으로 전등(31)을 가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분리하기 전에는 삽입부(2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런 후,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본 발명의 조명시계(50)를 배치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배치가 완료되면, 발광부(30)의 전원부(32)를 전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전원부(32)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통상의 220V전원의 형태나 어뎁터의 형태 등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형태로 하여 제작되어 있다.
그런 후, 상기 발광부(30)의 전원부(32)에서 전원을 인가받은 전등(31)이 발광을 하게 되면서, 발광된 빛을 반사지(20)에 조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반사지(20)에 조사된 빛은 반사지(20)의 전체에 빛을 전달하여 광고용 간판과 같이 본 발명의 조명시계(50)의 전면에 퍼지게 되면서, 야간에도 시간을 자세히 볼 수 있으며, 특히, 다양한 로고나 사진과 같은 그림(p)이 형성된 반사지(20)에 의해 실내 장식용이나 홍보용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30)의 전등(31)을 고휘도의 LED램프로 사용하게 되면, 발광되는 휘도가 높아지면서, 본 발명의 조명시계(50)가 더욱 밝아보여지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시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시계의 분리사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시계 L : 전선
p : 그림 10 : 보호판
11 : 제1 결합부 20 : 반사지
21 : 삽입부 22 : 제2 결합부
30 : 발광부 31 : 전등
32 : 전원부 50 : 조명시계

Claims (4)

  1. 중앙에 상기 시계를 결합할 수 있는 제1 결합부를 형성한 투명재질의 보호판과; 상기 보호판의 하측으로는 빛을 반사할 수 있으며 일측으로 삽입부를 형성하고, 중앙으로는 시계를 결합할 수 있는 제2 결합부를 형성한 반사지와; 상기 반사지의 삽입부에 결합하는 전등과 상기 전등의 일측으로 전선에 의해 연결된 전원부로 이루어진 발광부를; 형성한 조명시계에 있어서,
    삽입부는 발광부의 전등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되, 전등 삽입 후 전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조명시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지의 상측으로는 그림을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조명시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LED램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조명시계.
KR1020070090225A 2007-09-06 2007-09-06 조명시계 KR100911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225A KR100911791B1 (ko) 2007-09-06 2007-09-06 조명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225A KR100911791B1 (ko) 2007-09-06 2007-09-06 조명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03A KR20090025403A (ko) 2009-03-11
KR100911791B1 true KR100911791B1 (ko) 2009-08-12

Family

ID=40693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225A KR100911791B1 (ko) 2007-09-06 2007-09-06 조명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038B1 (ko) * 2012-04-16 2013-01-03 (주)한국킹유전자 시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500A (ko) * 2003-05-27 2003-06-25 정재현 백라이트가 구비된 시계
KR200326014Y1 (ko) * 2003-01-27 2003-09-13 이재훈 발광시계거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014Y1 (ko) * 2003-01-27 2003-09-13 이재훈 발광시계거울
KR20030051500A (ko) * 2003-05-27 2003-06-25 정재현 백라이트가 구비된 시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403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330B2 (en) Lighting structure having multi-functional support
TW200507298A (en) Phosphor based light sources having a reflective polarizer
TW200503293A (en) Phosphor based light sources having a non-planar long pass reflector
TW200716914A (en) Illumination device
WO2005038337A3 (en) Portable black light device
CA2360186A1 (en) Improvements in display signs, decorative lighting and ornaments for holiday seasons
RU83654U1 (ru) Художественное светящееся украшение (варианты)
KR100911791B1 (ko) 조명시계
RU95793U1 (ru) Светильник плоский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й
WO2006007544A3 (en) User wearable led display
KR200467110Y1 (ko) 영정사진 조명장치
EP1424524A1 (en) Decorative light
JP2007034246A (ja) 表示板
WO2004099666A3 (en) Lighting system having a light projector positioned inside a pole
TWM424435U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CN206398437U (zh) 一种多功能led平板灯
JP2009229757A (ja) オープン型ledチャンネル文字
KR20090089929A (ko) 발광 확산기능을 갖는 조명 장식판
JP3184349U (ja) 発光体付き飲料用透明ボトル
KR101548112B1 (ko) 풍선등
US8113676B2 (en) Illuminated book mark
KR101125959B1 (ko) 가로등용 보조 조명기구의 제조공정 및 그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된 보조 조명기구
CN2517139Y (zh) 多功能发光插头
JP2011031968A (ja) 発光体付き飲料用透明ボトル
CN2428831Y (zh) 背光源发光画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