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110Y1 - 영정사진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영정사진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110Y1
KR200467110Y1 KR2020120001500U KR20120001500U KR200467110Y1 KR 200467110 Y1 KR200467110 Y1 KR 200467110Y1 KR 2020120001500 U KR2020120001500 U KR 2020120001500U KR 20120001500 U KR20120001500 U KR 20120001500U KR 200467110 Y1 KR200467110 Y1 KR 200467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ing device
picture
picture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629U (ko
Inventor
노경수
Original Assignee
노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경수 filed Critical 노경수
Priority to KR2020120001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11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6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1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7Photograph stands with illumin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정사진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정사진을 끼워넣는 액자와 상기 액자의 후방에 설치되어 조명을 비추는 조명장치에 있어서,상기 액자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과 영정사진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조명장치에서 방사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영정사진을 투과하는 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확산 판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액자를 상기 확산 판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액자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액자와 별개로 이루어져 상기 액자를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정사진 조명장치{lighting device for picture of the deceased}
본 발명은 영정사진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정사진의 후방에 설치되어 영정사진을 투사하도록 하여 반사 없이 영정사진 속의 인물이 잘 보이도록 하는 영정사진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정사진은 제사나 장례를 지낼 때 위패 대신 쓰는 사람의 얼굴을 찍은 사진으로서, 통상 사각형의 액자에 넣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빈소나 분향소 제단에 모셔지는 영정사진은 천정에 설치된 형광등 빛이나 영정사진의 전방에 설치된 조명에서 나오는 빛이 액자의 유리판에 반사되어 사진 속의 인물이 잘 보이지 않게 된다. 특히 빈소나 분양소의 조명이 어두운 경우에는 영정사진의 모습이 어둡게 보이거나 초라해져 보이는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정사진에 조명을 비추기 위한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영정사진 속의 인물이 돋보이도록 하고 빈소나 분양소의 분위기를 더욱 엄숙하고 고인을 생각할 수 있는 분위기로 만드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도 액자의 후면에 각종 광원을 설치하여 사진에 조명을 비추는 조명액자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액자는 사진을 부착하기 위한 액자에 조명장치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 액자의 가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액자 자체의 무게가 무겁게 되고 구조가 복잡하여 휴대하기가 불편하였다.
특히, 영정사진의 경우, 장례식 때에는 빈소나 분향소에 모시고, 발인 때에는 장지에 가지고 가며, 장례식이 끝나면 후손들이 장기간 보관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조명액자와 같이 복잡한 구조의 액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저렴하고 휴대하기 편리한 액자를 제공하면서도 영정사진 속의 인물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10652호 '엘이디 조명액자'(공개일 2011.11.15.)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77709호 '엘이디 조명 액자'(등록일 2007.11.13.)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영정사진이 부착된 액자의 후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되 액자와 조명장치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한 영정사진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 따른 영정사진 조명장치는, 영정사진을 끼워넣는 액자와 상기 액자의 후방에 설치되어 조명을 비추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과 영정사진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조명장치에서 방사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영정사진을 관통하는 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영정사진과 유사한 크기를 갖는 확산 판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액자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액자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액자와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영정사진 조명장치에 따르면, 영정사진이 부착된 액자의 후면에 조명이 비추기 때문에 전면 유리판에 의한 빛 반사가 없어 사진 속의 인물이 선명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면 발광하는 확산 판에서 방사되는 빛이 영정사진을 투과하여 앞으로 방사되기 때문에 엄숙하고 장엄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영정사진 조명장치는, 영정사진을 부착하는 액자를 조명장치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또 액자에 광원이나 확산 판과 같은 부품들이 부착되지 않으므로 가벼워 휴대하기가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영정사진 조명장치는, 액자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조명장치는 빈소나 분향소의 제단에 미리 설치하여 둠으로써 소비자는 저렴한 비용으로 영정사진에 조명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정사진 조명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일 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의 액자고정수단을 보여주는 개략적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영정사진 조명장치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영정사진 조명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정사진 조명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영정사진 조명장치(1)는 크게 영정사진(35)을 끼워넣는 액자(30)와, 상기 액자(30)의 후방에 설치되어 영정사진(35)을 투과하는 조명을 비춰주는 조명장치(5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자(30)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32)과 영정사진(35)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32)에 끼워지는 두 개의 고정판(31,3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한 고정판(31,33)은 조명장치(50)에서 방사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장치(50)는, 상기 액자(30)를 고정하거나 지지하고 위한 본체(59)와,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영정사진(35)을 관통하는 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영정사진(35)과 유사한 크기를 갖는 확산 판(31)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액자(30)를 확산 판(31)의 전방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액자고정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액자(30)와 조명장치(50)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의 관점은, 액자(30)의 후방에 조명장치(50)를 설치하는 것이다. 종래의 영정사진은 액자의 전면이나 상부에 설치된 조명장치로 조명이 이루어짐으로써 액자의 전면 유리판에서 빛이 반사되어 영정사진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액자(30)의 후방에 영정사진(35)을 투과하는 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유리판에 의한 빛 반사가 없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정사진(35) 자체에서 빛이 발광하는 효과가 생겨서 영정사진 속의 인물이 선명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인물 주변으로 후광이 발생하여 더욱 엄숙하고 장엄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고안의 제2의 관점은 액자(30)의 후방에 조명장치(50)를 설치하되, 액자(30)를 분리하기 쉽도록 별개로 설치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액자의 후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한 조명액자가 개시되었는데, 종래의 조명액자는 액자 자체에 확산 판이나 광원 그리고 전기공급수단이 부착되므로, 액자의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지며 가격이 비싸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영정사진과 같이 휴대성이 요구되고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만 사용하는 액자에 고가의 조명장치를 적용하기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액자(30)와 조명장치(50)가 별개로 구성되고, 광원이나 확산 판 그리고 전원공급수단과 같은 부품 들은 조명장치(50)에만 설치되고 액자(30)에는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액자(30)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여 가격을 낮추고 가볍게 하여 휴대성이 좋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액자(30)와 조명장치(50)를 결합하여 영정사진을 조명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되, 소비자에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액자(30)만을 판매하고, 장례식 등에서 액자(30)에 조명을 하고자 할 때는 액자판매자가 미리 장례식장에 설치한 조명장치(50)를 이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액자(30)는, 조명장치(50)에서 방사되는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고정판(3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액자(30)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에 끼워져 영정사진(35)을 고정하는 두 개의 고정판(31,33)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개의 고정판(31,33)은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유리판이나 아크릴 판으로 이루어진다. 즉, 종래에는 영정사진의 배면을 고정하는 고정판이 나무판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빛이 투과할 수 없었으나, 본 고안의 고정판(33)은 빛이 투과하는 유리판이나 아크릴 판으로 이루어져 후방에서 방사되는 빛이 영정사진을 투과하여 전방으로 방사되게 된다. 이때 사기 영정사진(35)은 통상의 인화지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인화지는 확산 판에서 방사되는 빛의 일부를 투과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영정사진은 인화지로 한정되지 않으며 유리,비닐,종이 등 빛을 어느 정도 투과시킬 수 있는 두께를 갖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조명장치(50)는, 면 발광이 가능하도록 확산 판(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장치(50)는 사각 판이나 사각 상장 형태의 본체(59)와 상기 본체(59)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영정사진(35)과 유사한 크기를 갖는 확산 판(51)과 상기 확산 판(51)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53)과, 상기 광원(53)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한 액자(30)를 확산 판(51)의 전방에 설치하기 위한 액자고정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59)는 목재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59)는 액자(30)를 지탱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59)의 전면에는 상기 확산 판(53)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홈(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광원(53)은 형광등이나 엘이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53)은 설치 홈(52)을 통해 본체(59)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53)은 다수 개의 엘이디가 일렬 또는 다수의 열로 배열된 기판일 수 있으며, 이러한 기판은 확산 판(53)의 측면이나 배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 판(53)의 배면에는 엘이디 등의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면 광원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홈이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산 판(51)은 나사등의 체결수단이나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을 통해서 상기 본체(59)의 전면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광원(53)의 일 측에는 상기 광원(53)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광원(53)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스위치(157)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공급수단과 스위치 등의 구성은 당해 분야에서 널이 알려진 기술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거나 재현하는데 특별히 어려운 것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광원장치(50)의 전면에는 액자(30)를 확산 판(51)의 전방에 고정하기 위한 액자고정수단(60)이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고정수단(50)은 본체(59)의 하단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지지대(55)와 상기 지지대(55)의 상면에 설치된 이탈 방지 턱(5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대(55)는 본체(59)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액자(30)의 하단을 상기 지지대(55)의 상면에 지지하고 액자(30)의 상단을 비스듬하게 기울여서 본체(59)의 전면에 닿도록 하여 상기 액자(30)를 확산 판(51)의 전방에 비스듬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59)의 전면을 경사지게 형성하면, 본체(59)의 전면이 액자(40)와 밀착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체(59)의 하단에 액자(30)를 지지하는 지지대(55)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있고 그 상면에는 액자(30)의 하단을 측면에서 끼워넣을 수 있는 슬라이드 홈(5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홈(57)은 액자(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슬라이드 홈(57)의 형태에 따라서 액자(30)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비스듬하게 기울여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고정수단(6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9)의 전면에 액자(30)의 측면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 개의 클립 수단(58)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클립 수단(58)은 확산 판(51) 주위에 고정되어 액자(30)의 측면을 고정하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선단에는 걸리 턱이 구비된다. 따라서 액자(30)를 다수 개의 클립 수단(58) 사이로 밀어 넣으면 쉽게 설치할 수 있고 필요 시 쉽게 분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영정사진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액자(30)와 조명장치(50)를 별개로 형성하되, 상기 조명장치(50)를 액자(30)를 올려놓는 제단(100)의 수직 벽(150)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더욱 사용하기 편리하게 한 것이다.
즉, 전술한 실시 예의 경우, 제단(100) 위에 조명장치(50)를 올려놓고, 조명장치(50)의 전방에 액자(30)를 설치하여 사용하여야 하므로 다소 사용이 불편할 수있으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제단(100)의 수직 벽(159)에 확산 판(51)이 부착되어 있으로 제단(100) 위에 바로 액자(30)를 올려놓기만 하면 조명을 사용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이 경우 본 고안의 액자판매자는 제단(100)의 수직 판(150) 내부에 광원이나 전원공급장치를 미리 설치하여 둠으로써 사용자들이 조명장치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영정사진의 후방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되, 영정사진이 끼워지는 액자와 조명장치를 별개로 구성하여 쉽게 분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액자를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고 또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영정사진을 올려놓는 제단에 조명장치를 일체로 설치하거나 별개로 설치해 둠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조명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영정사진 조명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제시된 도면이나 실시 예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영정사진 조명장치 30: 액자
31,33: 고정판 32: 프레임
35: 영정사진 50: 조명장치
51: 확산 판 53: 광원
54: 전원공급수단 55: 지지대
56: 이탈 방지 턱 57: 가이드 홈
58: 클립 수단 59: 본체
100: 제단 150: 수직 판
155: 엘이디 156: 케이블
157: 스위치

Claims (7)

  1. 영정사진을 끼워넣는 액자와 상기 액자의 후방에 설치되어 조명을 비추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과 영정사진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조명장치에서 방사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영정사진을 투과하는 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확산 판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액자를 상기 확산 판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액자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액자와 별개로 이루어져 상기 액자를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의 고정판은 유리나 아크릴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영정사진은 후방에서 비추어지는 빛의 일부가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확산 판이 고정되는 전면 판이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전면 하단에는 상기 액자를 고정하기 위한 액자고정수단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영정사진 조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고정수단은 액자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이탈 방지 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 조명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고정수단은 액자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자를 옆 방향으로 밀어서 끼울 수 있는 가이드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 조명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된 확산 판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액자의 측면을 고정하는 다수 개의 클립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 조명장치.
  7. 영정사진을 끼워넣는 액자와 상기 액자의 후방에 설치되어 조명을 비추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자는, 사각 틀 형상의 프레임과 영정사진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고정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조명장치에서 방사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명장치는, 광원에서 방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상기 영정사진을 투과하는 면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확산 판과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액자를 상기 확산 판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액자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장치는 제단의 수직 판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액자를 자유롭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정사진 조명장치.
KR2020120001500U 2012-02-27 2012-02-27 영정사진 조명장치 KR200467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00U KR200467110Y1 (ko) 2012-02-27 2012-02-27 영정사진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500U KR200467110Y1 (ko) 2012-02-27 2012-02-27 영정사진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29U KR20120005629U (ko) 2012-08-06
KR200467110Y1 true KR200467110Y1 (ko) 2013-05-31

Family

ID=4687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500U KR200467110Y1 (ko) 2012-02-27 2012-02-27 영정사진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1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371B1 (ko) * 2012-09-24 2014-08-20 이성윤 운구용 교의
KR20180003274U (ko) 2017-05-11 2018-11-22 주식회사 영진프레임 조명 액자
KR101997390B1 (ko) * 2018-02-08 2019-07-05 김휘향 영사기능을 갖는 상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29U (ko) 201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293B2 (en) Lamp having interchangeable decorative panels
US5722754A (en) Full spectrum light source for computer monitor
TW200606525A (en) Backlight assembly with simplified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CN102300489A (zh) 包括镜表面和照明单元的镜单元
KR200473864Y1 (ko) 발광 액자
KR200467110Y1 (ko) 영정사진 조명장치
US8418385B2 (en) Lighting device
JPH03254006A (ja) 装飾用照明器具
KR20090074848A (ko) 피난문 손잡이 유도조명장치
KR20200085622A (ko) 시선유도수단을 갖는 광고장치
JP5936074B2 (ja) 照明付き鏡
KR20120102268A (ko) 이미지 조경 겸용 보도블록
US20090086467A1 (en) Lighted background for fish tanks and the like
KR20100041046A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트로피
US20120262910A1 (en) Light Refraction Religious Lamp Device
KR200485482Y1 (ko) 종교상징물용 조명등
KR100377574B1 (ko) 전자식 면발광 표시물
KR20170016766A (ko) 조명 장치
KR200370433Y1 (ko) 투광식 메시지 전달장치
KR200487234Y1 (ko) 사진을 이용한 조명등
JP2009066206A (ja) 照明付きの装飾装置
KR100911791B1 (ko) 조명시계
CN216556643U (zh) 一款二用自然光台灯
US20130343049A1 (en) User configured illuminated display stand
KR200415072Y1 (ko) 조명액자 부착형 어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