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321B1 -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 Google Patents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321B1
KR100911321B1 KR1020080101154A KR20080101154A KR100911321B1 KR 100911321 B1 KR100911321 B1 KR 100911321B1 KR 1020080101154 A KR1020080101154 A KR 1020080101154A KR 20080101154 A KR20080101154 A KR 20080101154A KR 100911321 B1 KR100911321 B1 KR 100911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shaft
band
contact
sens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동근한
Original Assignee
동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근한 filed Critical 동근한
Priority to KR102008010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에서 수문을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인양수문의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공급에 의해 가동되는 주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과,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동작부와, 상기 주축의 회전구동의 제동에 관여하는 제동장치부와, 상기 제동장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제동장치부의 작동유무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Winch for pulling up floodgate with double safety device}
본 발명은 제방에서 수문을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인양수문의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공급에 의해 가동되는 주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과,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동작부로 구성된 기존의 인양수문의 권양기에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주축의 회전력을 잃어 인양수문의 동작이 중단된 상태에서 상기 주축의 회전구동의 제동에 관여하는 1차적인 안전장치로서 제동장치부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동장치부가 주축을 제동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강제적으로 주축을 회전시 제동장치부의 파손 및 전원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동장치부가 제동위치에 있으면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이중의 안정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문헌 1] 특허등록제 0518329호(수문제어용 권양기) 2005. 09. 23.
[문헌 2] 특허등록제 0570703호(권양기 과부하 방지용 안전장치) 2006. 04. 06.
[문헌 3] 특허등록제 0521250호(수문용 권양기의 토오크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2005. 10. 06.
[문헌 4] 특허등록제 0647425호(자중강하식 액추에이터) 2006. 11.13.
상기 열거된 선행기술은 모두 수문이 승·하강시 본래 설계된 동력이상의 과부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거나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었을 때 동력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서 수동안전장치에 의해 주축이 제동되어 있더라도 동력을 가동시키면 일정수준 이상의 과부하가 감지되어야 동력이 중단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이중의 안정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는 주축에 제동장치가 접촉되어 있으면, 미연에 동력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여 권양기의 사용되는 모터의 과부하방지 및 그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본 발명의 권양기는 수문의 점검과 같이 필요에 의해 수문의 동작을 중간에 멈추게 한 뒤, 재가동할 때 동력이 전달되는 주축에 수동의 제동장치가 접촉되어 있으며, 미연에 동력원이 주축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제동장치의 수명연장 및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권양기제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작업자가 수문의 청소와 같이 수문밑에서 작업을 할 때 실수로 인한 작동스위치를 건드려도 제동장치의 접촉유무에 의해 주축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인해 안전하게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제방에서 수문을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인양수문의 권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공급에 의해 가동되는 주동력원인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과,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동작부와, 상기 주축의 회전구동의 제동에 관여하는 제동장치부와, 상기 제동장치부의 일측에 구성되어 제동장치부의 작동유무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권양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권양기(1)는 일반적으로 모터(2)의 구동 또는 직접적인 수동핸들을 조작하여 수문의 상부측과 결합한 인양봉 및 래커기어(41)를 구동시켜 수문을 승·하강 시키게 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을 승·하강 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인양수문의 권양기(1)는 전원공급에 의해 가동되는 주동력원인 모터(2)와, 상기 모터(2)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3)과, 상기 주축(3)의 회전에 의해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동작부(4)와, 상기 주축(3)의 회전구동의 제동에 관여하는 제동장치부(5)와, 상기 제동장치부(5)의 일측에 구성되어 제동장치부(5)의 작동유무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6)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동장치부(5)는 하우징(7)의 내측에 구성된 요소로서, 후술할 도 2 및 도 3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상술한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동작부(4)는 모터(2)의 구동에 의해 주축(3)이 구동되고 주축(3)의 구동에 의해 수문의 상단과 연결된 인양봉이나, 래커기어(41)를 승·하강시킴으로 인해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구조로서 일반적인 기술적 내용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인양수단으로는 인양봉을 대신해 래커기어(41)를 사용하고 있는 권양기(1)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부 및 제어부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도 1의 권양기의 측면에서 본 제동장치부의 단면모습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장치부(5)는 주축(3)의 둘레를 감싸는 접촉밴드(58) 및 상기 접촉밴드(58)의 외측면을 압착하는 압착밴드(59)가 적층되어 이등분된 형태로서 이등분된 적층구조의 접촉밴드(58) 및 압착밴드(59)가 주축(3)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대칭되게 구성된 압착밴드(59)의 상측 단부의 외측면은 각각 스윙핀(55a, 55b)의 일측면과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스윙핀(55a, 55b)의 타측은 힌지(54a, 54b)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54a, 54b)는 각각 외주연이 나사산으로 형성된 축볼트(52) 및 상기 축볼트(52)상을 핸들(51)에 의해 전·후진하는 중공축(53)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압착밴드(59)의 서로 대칭하는 하측 단부의 외측면은 하나의 힌 지(56)를 중심축으로 하는 한 쌍의 회동핀(57a, 57b)과 각각 결합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동장치부 및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해 제동장치부(5)가 동작이 되는 과정 및 센싱로드(61), 리미트스위치(62), 제어박스(63)로 구성된 제어부(6)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51)을 회전시켜 중공축(53)을 축볼트(52)상에서 화살표방향으로 전진시키면 중공축(53)의 외측면에 구성된 힌지(54b)에 일측이 고정된 스윙핀(55b)은 자연스럽게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스윙핀(55b)의 타측은 주축(3)을 감싸는 접촉밴드(58)를 압착하는 압착밴드(59)의 일측에 용접으로 결합하여 있는 관계로 압착밴드(59)당기게 되고, 상기 압착밴드(59)의 대칭하는 타측의 단부는 하나의 힌지(56)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한 쌍의 회동핀(57a, 57b)에 각각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인해 주축(3)을 감싸도록 압착밴드(59)형태가 오므라들며 이때 접촉밴드(58)는 압착밴드(59)의 압착에 의해 주축(3)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주축(3)을 제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화살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중공축(53)을 진행시키도록 핸들(51)을 회전시키면 힌지(54b)에 고정된 스윙핀(55b)은 중공축(53)과 함께 후진하게 되고, 하나의 힌지(56)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한 쌍의 회동핀(57a, 57b)은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되고, 이때 접촉밴드(58) 및 압착밴드(59)에 의해 제동되어 있던 주축(3)은 자유롭게 회전구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축(53)의 외측면에 힌지(56)를 중심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스윙핀(55b)의 일측에는 막대형의 센싱로드(61)가 구비되고, 상기 센싱로드(61)는 스윙핀(55b)에 결합하여 있는 관계로 중공축(53)이 전·후진 하는 동작이 된다면 센싱로드(61) 또한 전진 또는 후진의 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싱로드(61)의 최대 후진되는 거리에 위치하는 리미트스위치(62)가 하우징(7)에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1)의 회전력은 중공축(53)을 축볼트(52)상에서 전·후진을 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게 되고, 상기 중공축(53)의 전·후진하는 상태는 중공축(53)에 힌지(54b)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스윙핀(55b)을 동작시키게 되고, 상기 스윙핀(55b)의 전·후진 동작은 스윙핀(55b)과 용접으로 결합하여 있는 압착밴드(59)를 동작시키게 되고, 압착밴드(59)의 동작은 내측에 적층되어 있는 접촉밴드(28)가 내측에 구성된 주축(3)을 압착 또는 해제시키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중공축(53)의 전·후진 운동은 스윙핀(55b)에 고정되어 있는 센싱로드(61)를 전·후진 할 수 있도록 하며, 센싱로드(61)는 리미트스위치(62)를 터치(touch) 또는 노터치(no touch)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62)가 센싱로드(61)에 의해 터치(touch)인 상태에 놓이게 되면 주축(3)의 회전은 상술한 동작과정에 의해 자유로운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리미트스위치(62)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박스(63)에서 모터(2)의 구동력이 주축에 전달되도록 신호를 보내게 되고, 반대로 리미트스위치(62)가 센싱로드(61)에 의해 노터치(no touch)인 상태에 놓이게 되면 주축(3)은 접촉밴드(58) 및 압착밴드(59)에 의해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센싱로드(61)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박스(63)에서 모터(2)의 구동력이 주축(3)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신호를 보내게 되어 미연에 주축(3)이 제동장치부(5)에 의해 제동된 상태에서 운행되어 모터에 과부하가 생기는 경우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박스(63)는 권양기(1)의 일측부분에 구성되어 리미트스위치(62)의 신호를 감지하여 모터(2)의 구동력을 주축(3)에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신호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외부로 도출되게 표현하였다.
상술한 구성에서 압착밴드(59)는 스윙핀(55a, 55b) 및 회동핀(57a, 57b)과 용접으로 결합하여 있는 관계로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밴드(58)는 주축(3)을 감싸며 최대한의 마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재 및 석면의 일종인 아스베스토스(asbestos)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권양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동장치부를 나타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동장치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요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권양기 2. 모터 3. 주축
4. 동작부 5. 제동장치부 6. 제어부
7. 하우징
41. 래커기어
51. 핸들 52. 축볼트 53. 중공축
54a, 54b. 힌지 55a, 55b. 스윙핀 56. 힌지
57a, 57b. 회동핀 58. 접촉밴드 59. 압착밴드
61. 센싱로드 62. 리미트스위치 63. 제어박스

Claims (3)

  1. 제방에서 수문을 승·하강 시킬 수 있는 인양수문의 권양기에 있어서,
    상기 권양기(1)는 전원공급에 의해 가동되는 주동력원인 모터(2)와, 상기 모터(2)에 의해 구동되는 주축(3)과, 상기 주축(3)의 회전에 의해 수문을 승·하강시키는 동작부(4)와, 상기 주축(3)의 회전구동의 제동에 관여하는 제동장치부(5)와, 상기 제동장치부(5)의 일측에 구성되어 제동장치부(5)의 작동유무를 감지하여 전원공급의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부(6); 로 구성하되,
    상기 제동장치부(5)는 주축(3)의 둘레를 감싸는 접촉밴드(58) 및 상기 접촉밴드(58)의 외측면을 압착하는 압착밴드(59)가 적층된 형태로서 이등분되어 한 쌍을 이루며 서로 대칭되게 구성되되, 상기 이등분된 접촉밴드(59)의 서로 대칭하는 일측의 외측단부는 각각 핸들(51)의 회전에 의해 외주연이 나사산으로 형성된 축볼트(52)상을 전·후진 하는 중공축(53) 및 상기 축볼트(52)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 힌지(54b, 54a)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스윙핀(55b, 55a)에 결합하여 있고, 서로 대칭하는 타측의 압착밴드(59)의 외측단부는 하나의 힌지(56)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회동핀(57a, 57b); 에 결합하고,
    상기 제어부(6)는 축볼트(52)상을 전·후진하는 중공축(53)의 외측부에 고정된 힌지(54b)를 중심축으로 하는 스윙핀(55b)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스윙핀(55b)과 일체로 동작하는 센싱로드(61)와, 상기 센싱로드(61)의 전·후진 동작으로 인한 센싱로드(61)와의 접촉유무가 감지되는 리미트스위치(62)와, 상기 센싱로드(61)로 인한 리미트스위치(62)의 접촉유무에 의해 전원공급의 유무를 제어하는 제어박스(63);
    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2. 삭제
  3. 삭제
KR1020080101154A 2008-10-15 2008-10-15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KR100911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154A KR100911321B1 (ko) 2008-10-15 2008-10-15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154A KR100911321B1 (ko) 2008-10-15 2008-10-15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321B1 true KR100911321B1 (ko) 2009-08-11

Family

ID=41209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154A KR100911321B1 (ko) 2008-10-15 2008-10-15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3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06B1 (ko) 2010-11-12 2011-09-29 장태영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KR101348501B1 (ko) 2013-10-08 2014-01-15 김문석 복합수문 권양기
KR101695593B1 (ko) * 2016-03-23 2017-01-11 동근한 이중제동장치가 구성된 하치식 인양수문용 권양기
CN106400749A (zh) * 2016-11-30 2017-02-15 济阳县水务局 移动式闸门启闭装置
KR102207828B1 (ko) 2020-08-31 2021-01-2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핀잭 권양기의 동력 전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55Y1 (ko) 2003-10-27 2004-01-13 금하기계공업(주) 수문권양기의 토크제어장치
KR200386588Y1 (ko) 2005-03-31 2005-06-13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원격 개도식 수문 개폐용 전동권양기
KR100594899B1 (ko) * 2004-04-14 2006-06-30 (주)금아 수문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수문 권양기
KR100724760B1 (ko) * 2006-10-18 2007-06-04 신현준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355Y1 (ko) 2003-10-27 2004-01-13 금하기계공업(주) 수문권양기의 토크제어장치
KR100594899B1 (ko) * 2004-04-14 2006-06-30 (주)금아 수문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수문 권양기
KR200386588Y1 (ko) 2005-03-31 2005-06-13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원격 개도식 수문 개폐용 전동권양기
KR100724760B1 (ko) * 2006-10-18 2007-06-04 신현준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406B1 (ko) 2010-11-12 2011-09-29 장태영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KR101348501B1 (ko) 2013-10-08 2014-01-15 김문석 복합수문 권양기
KR101695593B1 (ko) * 2016-03-23 2017-01-11 동근한 이중제동장치가 구성된 하치식 인양수문용 권양기
CN106400749A (zh) * 2016-11-30 2017-02-15 济阳县水务局 移动式闸门启闭装置
KR102207828B1 (ko) 2020-08-31 2021-01-26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핀잭 권양기의 동력 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321B1 (ko)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US7527243B2 (en) Platform lifting mechanism provided with a driving pulley and corresponding driving system
CN103939667B (zh) 阀促动器、阀装置以及阀促动器的控制方法
CN103697133B (zh) 一种提升装置减速机
KR101254767B1 (ko) 천정기중기의 와이어로프 탈선 감지장치
JP5165424B2 (ja) 補助モータ付きチェーンブロック
CN209758928U (zh) 自动控制位移补偿节的自锁千斤顶
CN203548769U (zh) 一种提升装置减速机
KR101068406B1 (ko)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KR101732673B1 (ko) 무대장치용 비상제동장치
KR200439519Y1 (ko) 크레인용 브레이크 유니트의 테스트장치
CN103663239B (zh) 一种防逆转装置绞车
JP2007154954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KR100991199B1 (ko) 양방향 토크 조절에 의한 수문의 과부하 방지장치
US3481387A (en) Door operator
CN203925249U (zh) 一种卷帘门机
CN206751259U (zh) 一种斗提式搅拌站钢丝绳三维限位装置
KR101609991B1 (ko) 클러치 및 이중제동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CN111822897A (zh) 一种管桩地下焊接仪
KR102576043B1 (ko) 크레인 일주 방지 장치
KR100497030B1 (ko) 드럼브레이크를 갖는 호이스트
KR101230609B1 (ko) 에어 브레이크가 구비된 용접용 매니퓰레이터
CN203412340U (zh) 升降横移无压板式卷筒装置
KR101398814B1 (ko) 과부하 슬라이딩장치를 갖는 수문 권양기
CN203624939U (zh) 一种防逆转装置绞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