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760B1 -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 Google Patents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760B1
KR100724760B1 KR1020060101516A KR20060101516A KR100724760B1 KR 100724760 B1 KR100724760 B1 KR 100724760B1 KR 1020060101516 A KR1020060101516 A KR 1020060101516A KR 20060101516 A KR20060101516 A KR 20060101516A KR 100724760 B1 KR100724760 B1 KR 10072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coupling portion
brake
shaf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준
Original Assignee
신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준 filed Critical 신현준
Priority to KR1020060101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목적으로 수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수문과 연결된 렉크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연동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며 원심브레이크가 설치된 제동축을 포함하는 수문권양기에 사용되며, 상기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동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동축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호형상의 라이닝부와 상기 라이닝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며 각각 관통공을 가진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며 좌나사선의 암나사부를 가지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두고, 상기 제1너트의 반대편 측에 배치되며 우나사선의 암나사부를 가지는 제2너트; 및 상기 제1결합부, 제2결합부의 관통공 및 제1너트 및 제2너트의 암나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너트와 결합하는 부분에는 좌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상기 제2너트에 결합하는 부분에는 우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문권양기의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고 상대이동은 불가능하게 결합된 봉형상의 조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라이닝부가 상기 제동축을 클램핑함으로써 라이닝부와 제동축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상기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 하거나 상기 라이닝부가 상기 제동축을 클램핑하는 것을 해제하여 상기 제동축의 회 전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Hand Brake for Hoist}
도 1은 수문 및 그 수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수문권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수문권양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수동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브레이크의 분리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동브레이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수동브레이크의 잠김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
10 : 브레이크 라이닝 15 : 라이닝부
11 : 제1결합부 12 : 제2결합부
111, 121 : 관통공 21 : 제1너트
22 : 제2너트 30 : 조임부재
본 발명은 수문권양기에 사용되는 수동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의 작동효율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동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수문 및 그 수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수문권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수문권양기(100)란 농업용 또는 산업용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그 수로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문(1)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수문권양기에는 수문에 로프를 연결하고, 그 로프를 이용하여 수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방식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에 렉크바(2)를 설치하고, 그 렉크바(2)를 이용하여 수문(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방식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렉크바(2)를 이용하는 수문권양기(1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1) 내에 작동축(3), 구동축(4), 제동축(5) 등 세 개의 축을 포함하고 있다. 작동축(3)은 렉크바(4)에 연결되어 그 회전에 의해 렉크바(4)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축이고, 구동축(4)는 구동장치(미도시)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축(4)의 회전력이 작동축(3)에 전달되어 작동축(3)이 작동하게 된다. 제동축(5)에는 원심브레이크(6)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동축(5)의 회전속도가 일정이상이면 안전브레크로 작용하도록 한다. 한편 제동축(5)에는 수동브레이크가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제동축(5)의 회전을 방지하거나 허용하여 제동축(5)과 연동하는 구동축(4) 및 작동축(5)의 회전을 방지하 거나 허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동브레이크는 도 2에 도시된 사각형의 박스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수동브레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수동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라이닝(110)과 한 쌍의 너트(121,122) 및 조임부재(130)를 포함하고 있다.
브레이크 라이닝(110)은 호형상의 라이닝부(115)와 라이닝부(115)의 양단에서 각각 연장된 제1결합부(111) 및 제2결합부(112)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너트 중 제1너트(121)는 조임부재(130)에 고정되어 있어서 조임부재(130)와 함께 회전 또는 이동하게 되며, 제2너트(122)는 제2결합부(112)에 용접되어 있다.
조임부재(130)에는 상기 한 쌍의 너트(121,122)의 암나사부에 대응되는 수나사부(131)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단부에는 손잡이(135)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제동축(5, 도 3 및 도 4에서 제동축은 그 중심축만 도시되어 있음)의 회전을 방지한 상테 즉 제동축(5)을 잠근 상태인데, 라이닝부(115)가 제동축(5)을 클램핑하여 그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축(5)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태에서 손잡이(135)를 이용하여 조임부재(130)를 회전시키면, 조임부재(130)가 제1너트(121)와 함께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12) 사이가 벌어지면서 라이닝부(115)에 의한 제동축(5)의 클램핑이 해제되어 제동축(5)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동브레이크의 경우 조임부재(130)을 회전시키는 것을 사용자가 해야되는데 장비자체가 무겁고, 기본적으로 존재하는 조임부재(130)의 수나사 부(131)와 너트들의 암나사부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그 회전에 큰 토크가 요구되므로, 큰 힘을 작용시켜야 조임부재(130)의 회전이 가능해 사용자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결합부(111)과 제2결합부(112)의 사이를 벌리기 위해 조임부재(3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제1너트(121)의 중심축(C2)과 조임부재(130)의 중심축(C1)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틀어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조임부재(130)를 회전시키기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축의 틀어짐은 제1결합부(111)와 제2결합부(112) 사이의 거리가 벌어지면 벌어질수록 커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그 축들(C1, C2)이 틀어진 상태에서 제동축(5)를 잠그기 위해 조임부재(130)를 도면상의 우측으로 옮기는 것도 매우 힘들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임부재(130)와 너트의 중심축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에 의해 조임부재(130)의 회전만 힘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임부재(130)가 휘어지거나, 제1너트(111) 및 조임부재(13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가 손상되는 문제점까지 발생하였다.
한편, 수동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제동축(5)을 잠근 상태에서, 이를 혼동하여 수문을 작동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구동축(4)의 회전 역시 방지된 상태이므로 구동장치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종래의 수동브레이크 장치가 가진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조임부재의 회전에 의한 결합부들의 이동을 증가시켜 조임부재의 회전수를 줄이더라도 용이하게 결합부들간의 거리를 넓게하게나 좁게할 수 있는 수동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결합부들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에도 너트들의 중심축과 조임부재의 중심축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조임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축들이 틀어짐에 따라 생기는 나사부의 손상이나 조임부재의 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브레이크의 잠김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혼동을 미연에 방지하여 구동장치의 과부하를 막을 수 있는 수동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목적으로 수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수문과 연결된 렉크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연동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며 원심브레이크가 설치된 제동축을 포함하는 수문권양기에 사용되며, 상기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동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동축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호형상의 라이닝부와 상기 라이닝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며 각각 관통공을 가진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브레이 크 라이닝;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며 좌나사선의 암나사부를 가지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두고, 상기 제1너트의 반대편 측에 배치되며 우나사선의 암나사부를 가지는 제2너트; 및
상기 제1결합부, 제2결합부의 관통공 및 제1너트 및 제2너트의 암나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너트와 결합하는 부분에는 좌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상기 제2너트에 결합하는 부분에는 우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문권양기의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고 상대이동은 불가능하게 결합된 봉형상의 조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라이닝부가 상기 제동축을 클램핑함으로써 라이닝부와 제동축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상기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 하거나 상기 라이닝부가 상기 제동축을 클램핑하는 것을 해제하여 상기 제동축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를 제공한다.
상기 제2결합부의 관통공은 그 관통공 내에서 상기 조임부재가 그 직경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너트는 상기 제1결합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2결합부에 대해 회전은 불가능하고 상대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너트의 외주면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평면부가 마련되 어 있으며,
상기 제2너트는, 그 외주면의 상기 한 쌍의 평면부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제2결합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볼트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에 대한 회전은 불가능하고 상대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동축의 잠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잠김확인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김확인수단은,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마련된 접촉판과,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의 결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접촉판과의 근접정도를 감지하기 근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브레이크의 외부에서 상기 제동축의 잠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브레이크가 잠긴 상태에서는 상기 렉크바의 하강이 방지되도록 렉크바 하강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임부재에는, 그 조임부재의 제2결합부측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조임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축방향의 이동은 제한하기 위한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브레이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수동브레이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브레이크는 수문권양기에 설치된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라이닝(10), 제1너트(21), 제2너트(22), 조임부재(30), 잠김확인수단, 스프링(5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 라이닝(10)은 라이닝부(15), 제1결합부(11), 제2결합부(12)를 포함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라이닝부(15)는 제동축(도 5에는 제동축의 중심축선만 도시되어 있음)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부분으로 호형상을 취하고 있고,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12)는 상기 라이닝부(15)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라이닝부(15)의 내주면에는 마찰계수가 큰 라이닝패드(151)가 마련되어 있다.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12)에는 각각 관통공(111,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제2결합부(12)에 형성된 관통공(121)은 그 관통공 내에서 상기 조임부재(30)가 그 직경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121)은 한 쌍의 반원과 그 한 쌍의 반원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육상경기의 트랙형상을 취하고 있어서, 상기 제동축(30)이 한 쌍의 직선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제1너트(21)는 좌나사선의 암나사부(211)를 가지며, 상기 제1결합부(121)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너트(22)는 상기 제1너트(21)와의 사이에 상기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12)를 두고 상기 제1너트(21)의 반대편 측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2결합부(12)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제1너트(21)의 사이에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가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너트(22)에는 상기 제1너트(21)와는 반대방향인 우나사선의 암나사부(2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너트(22)의 외주면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평면부(222)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너트(22)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12)의 관통공과 같이 트랙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제2너트(22)는 상기 한 쌍의 평면부(222)과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제2결합부(12)에 체결되는 한 쌍의 볼트(41)에 의해 제2결합부(12)에 대한 상대회전은 불가능하고, 상대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조임부재(30)는 봉형상으로서, 상기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의 관통공(111,121) 및 제1너트(21)의 암나사부(211), 제2너트(22)의 암나사부(22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너트(21)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그 암나사부(211)의 좌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부(31)가, 상기 제2너트(22)와 결합되는 부분에는 그 암나사부(221)의 우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부재(30)는 수문권양기의 케이싱(101)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고, 이동은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조임부재(30)가 수문권양기의 케이싱(101)에 설치되는 부분에는 베어링(36)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임부재(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조임부재(30)의 제2결합부(12)측의 단부에는 상기 조임부재(30)를 회전시키기에 용이하도록 손잡이(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김확인수단은 제동축의 잠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판(61)과 근접센서(62)로 이루어진다. 접촉판(61)은 제1결합부(11) 또는 제2결합부(12) 중의 하나에 마련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0에 마련되어 있다. 근접센서(62)는 제2결합부(12)에 마련되어서 상기 접촉판(61)과의 근접정도를 감지하여 제동축의 잠김여부를 확이하게 되는데,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 사이가 일정거리 이하이면 잠김상태로 일정거리 이상이면 풀림상태로 인식하게 된다. 근접센서(62)의 상세한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프링(50)은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가압을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은 라이닝부(15)의 내주면과 제동축(5)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때 라이닝부(15)의 내주면에 마련된 라이닝패드(151)에 의해 제동축과의 마찰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5에서 상기 제동축은 그 중심선만이 도시되어 있다.
조임부재(30)를 손잡이(35)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면, 조임부재(30)는 베어링(36)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제1너트(21)와 제2너트(22)만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너트(21)와 제2너트(22)의 암나사부는 서로 방향이 다르므로, 종래에 사용되던 수동브레이크의 나사부와 피치가 동일하다면 종래의 수동브레이크에 비하여 조임부재(30)를 1회전시켰을 때 제1결합부재(11)와 제2결합부재(12)의 상대적인 이동거리가 2배가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제동축을 잠그거나 제동축의 잠김을 풀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한다.
조임부재(30)를 상기 제1너트(21)와 제2너트(22)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너트(21)와 제2너트(22)의 움직임에 의해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22) 역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러한 움직임에 의해 라이닝부(15)가 제동축을 클램핑함으로써 라이닝부(15)와 제동축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하게는 상태 즉 잠김상태가 된다. 이러한 잠김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잠김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제1결합부(11)와 제2결합부(12)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라이닝부(15)에 의한 제동축의 클램핑을 해제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조임부재(30)를 제1너트(21)와 제2너트(2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키면 된다. 제1너트(21)와 제2너트(22)가 서로 이 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제1결합부(11) 및 제2결합부(12)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스프링(50)에 의해 그러한 움직임이 더욱 강화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제2너트(22)는 제2결합부(12)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제2결합부(12)에 대한 회전은 제한되고, 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제2결합부(12)의 관통공(121)은 그 관통공(121) 내에서 조임부재(30)의 지름방향의 이동은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종래의 수동브레이크의 문제점이었던 나사부가 손상되는 일이나 조임부재(30)가 휘어지는 일의 발생을 막게 된다. 종래의 경우에 제2너트(122, 도 3참조)는 제2결합부(112)에 고정되어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제2결합부(12)에 대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서, 제1너트(21)와 제2너트(22)가 충분히 이격된 상태에서 제2너트(22)의 상부는 제2결합부(12)와 접촉한 상태이지만, 제2너트(22)의 하부는 제2결합부(12)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취함으로써 조임부재(30)의 중심축(D1)과 제2너트(22)의 암나사부(221)의 중심축(D2)가 서로 일치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종래와 같이 나사부가 손상되는 일이나 조임부재(30)가 휘어지는 일 등이 전혀 발생할 우려가 없으며, 제동축이 풀린상태에서 잠김상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조임부재(30)를 회전시켜 제1너트(21) 및 제2너트(22)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물론 조임부재(30)가 제2결합부(12)의 관통공(121)내에서 그 직경방향의 이동, 도 7에서 상하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근접센서(62)는 접촉판(61)과의 근접정도를 감지함으로써 제동축의 잠 김을 확인하게 되는데, 제동축이 잠긴 상태에서 접촉판(61)과 근접센서(62)의 근접정도를 측정한 후, 근접거리가 그 측정된 거리에서 오차범위 이내이면 제동축이 잠긴 상태로, 그 측정된 거리보다 크면 풀린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근접센서(62)에 의해 확인된 제동축의 잠김상태를 결과를 케이싱(101)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브레이크의 콘트롤 패널에 브레이크 잠김 표시등(65)을 마련하여, 수동브레이크의 사용자가 수동브레이크가 브레이크 잠김 표시등(65)의 점등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동브레이크이 잠김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상기에서는 제2결합부의 관통공이 조임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구성을 취해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제1너트가 제2결합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제2너트는 제2결합부에 대하여 회전은 불가능하고 상대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구성을 취해야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제2너트의 외주면에 한 쌍의 평면부가 마련되고, 그 평면부에 맞닿은 상태로 제2결합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볼트에 의해 제2너트의 제2결합부에 대한 회전이 제한되고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구성을 취해야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제동축의 잠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잠김확인수단을 구비하고, 그 잠김확인수단은 접촉판과 근접센서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잠김확인수단을 반드시 구비해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며, 잠김확인수단을 구비한 경우에도 접촉판과 근접센서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잠김확인수단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위배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스프링이 구비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스프링이 구비되어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는 손잡이와 베어링이 구비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손잡이와 베어링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동브레이크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임부재의 회전수를 종래에 비하여 반으로 줄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수동브레이크를 제공한다.
둘째, 나사산의 손실이나 조임부재의 휨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그러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수동브레이크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부수적인 효과로서 조임부재의 회전이 용이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배가할 수 있는 수동브레이크를 제공한다.
셋째, 제동축의 잠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제동축이 잠겨 있는데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구동장치를 작동하여 수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자 하는 행위에 의한 구동장치의 과부하를 막아 수문권양기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수동브레이크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목적으로 수문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수문과 연결된 렉크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작동축과 상기 작동축 및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와 연동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과 연동되며 원심브레이크가 설치된 제동축을 포함하는 수문권양기에 사용되며, 상기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동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제동축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호형상의 라이닝부와 상기 라이닝부의 양단부에서 연장되며 각각 관통공을 가진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라이닝;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며 좌나사선의 암나사부를 가지는 제1너트;
    상기 제1너트와의 사이에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를 두고, 상기 제1너트의 반대편 측에 배치되며 우나사선의 암나사부를 가지는 제2너트; 및
    상기 제1결합부, 제2결합부의 관통공 및 제1너트 및 제2너트의 암나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너트와 결합하는 부분에는 좌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상기 제2너트에 결합하는 부분에는 우나사선에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문권양기의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은 가능하고 상대이동은 불가능하게 결합된 봉형상의 조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라이닝부가 상기 제동축을 클램핑함으로써 라이닝부와 제동축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상기 제동축의 회전을 방지 하거나 상기 라이닝부가 상기 제동축을 클램핑하는 것을 해제하여 상기 제동축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결합부의 관통공은 그 관통공 내에서 상기 조임부재가 그 직경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너트는 상기 제1결합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2너트는 상기 제2결합부에 대해 회전은 불가능하고 상대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너트의 외주면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평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너트는, 그 외주면의 상기 한 쌍의 평면부와 맞닿은 상태로 상기 제2결합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볼트에 의해 상기 제2결합부에 대한 회전은 불가능하고 상대이동은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축의 잠김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잠김확인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김확인수단은,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의 결합부에 마련된 접촉판과,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 중 나머지 하나의 결합부에 마련되어 상기 접촉판과의 근접정도를 감지하기 근접센서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브레이크의 외부에서 상기 제동축의 잠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멀어지 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에는, 그 조임부재의 제2결합부측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조임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고, 축방향의 이동은 제한하기 위한 베어링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브레이크.
KR1020060101516A 2006-10-18 2006-10-18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KR10072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516A KR100724760B1 (ko) 2006-10-18 2006-10-18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516A KR100724760B1 (ko) 2006-10-18 2006-10-18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4760B1 true KR100724760B1 (ko) 2007-06-04

Family

ID=3835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516A KR100724760B1 (ko) 2006-10-18 2006-10-18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21B1 (ko) * 2008-10-15 2009-08-11 동근한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KR101068406B1 (ko) 2010-11-12 2011-09-29 장태영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49Y1 (ko) 2003-02-24 2003-05-16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수문권양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349Y1 (ko) 2003-02-24 2003-05-16 주식회사 우진산업개발 수문권양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190000940U (ko) * 2017-10-12 2019-04-22 김태연 이탈방지구를 갖는 볼체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21B1 (ko) * 2008-10-15 2009-08-11 동근한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KR101068406B1 (ko) 2010-11-12 2011-09-29 장태영 수문 권양기용 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52666A1 (zh) 动力绞车变速控制装置
CN102652029A (zh) 带有制动机构的脱落保护安全装置
KR100724760B1 (ko) 권양기의 수동브레이크
BRPI0614815A2 (pt) junta aparafusada com folga zero
CN105253799A (zh) 用于绞车的松弛绳线检测系统
US7784767B2 (en) Boat lift drive
CN1044895C (zh) 链式杠杆葫芦
WO2000031432A1 (de) Bremse mit spielverstellung
CN102834341B (zh) 扭锁绝对定位的集装箱起重吊具
KR20200079048A (ko) 와이어 풀림방지부가 구비된 윈치
KR100911321B1 (ko) 이중안전장치가 구성된 인양수문용 권양기
KR200461770Y1 (ko) 꼬임 방지용 슈벨
WO2018090427A1 (zh) 紧固件
US20180291981A1 (en) Deadline anchor pigtail clamp
CA2357125C (en) Improved overload protection device for a lever
US20210395055A1 (en) Systems for a braking assembly in a gear housing
CN214197519U (zh) 一种蝶阀柔性固定防误动装置
KR102013738B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활차
CN208166441U (zh) 一种起升机构
KR100686582B1 (ko) 정, 역회전이 자유로운 윈치장치
CN202337667U (zh) 一种带式刹车防松锁紧装置
JP2008280798A (ja) 連結軸の固定構造
CN220664739U (zh) 一种钢丝绳防逆转保护机构
KR20190129265A (ko)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US20070170006A1 (en) Screw drive mechanism for a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