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022B1 -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022B1
KR100911022B1 KR1020070085233A KR20070085233A KR100911022B1 KR 100911022 B1 KR100911022 B1 KR 100911022B1 KR 1020070085233 A KR1020070085233 A KR 1020070085233A KR 20070085233 A KR20070085233 A KR 20070085233A KR 100911022 B1 KR100911022 B1 KR 100911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case
sold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0722A (ko
Inventor
김용익
유경우
Original Assignee
김용익
유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익, 유경우 filed Critical 김용익
Priority to KR102007008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022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1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ables or wi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8Soldered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oldering tip or sock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T자형 또는 다방향으로 전선을 연결함에 있어서 단선이나 단락 또는 쇼트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절연성 기판(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땜납(20)을 형성하는 땜납 도포 단계(S1)와, 상기 각 땜납(20)에 복수 개의 전선(30)을 연결하여 복수 방향의 전선 연결체(101)를 제조하는 전선 고정 단계(S2)와, 상기 전선 연결체(101)를 보호하기 위해 그 외면에 절연성 케이스(40)를 피복하는 케이싱 단계(S3)를 포함함으로써 절연성 기판(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땜납(20)으로 심선(31)이 고정된 복수 개의 전선(30)과, 상기 기판(10) 및 땜납(20)의 외부에 케이스(40)로 피복된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Structure of wiring connector and processing thereof}
본 발명은 크리스마스 트리나 실내/외 장식용으로서 다수 개의 전구가 연결되어 순차적 또는 교번적으로 점등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전구의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에 관한다.
크리스마스용 트리나 실내/외 장식을 위해서 사용되는 점등 기구는 복수 개의 전구가 전선에 의해서 다수 연결되어 형형색색의 빛깔로 빛을 발하면서 순차적으로 또는 교번적으로 점등하여 분위기를 고취시킴과 동시에 시선을 주목하게 한다.
이와 같은 점등 기구는 복수 개의 전구가 설치되므로 각 전구는 3방향의 전선이 연결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전선이 고정되어야 한다. 즉 2개 방향의 전선은 이웃한 다른 전구로 연결되기 위한 배선이며, 나머지 하나의 전선은 전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T자형 배선 연결 구조는, 일반적으로 전선 내의 전도성 심선을 외부로 노출시킨 뒤 이들을 연결하기 위해 각 심선을 서로 맞대어 꼬아서 고정시키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이었으나, 이 경우 심선의 꼰 정도에 따라, 너무 과도하면 심선이 단선되고, 꼰 회수가 너무 적으면 쉽게 풀려서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점등 기구나 전기 용품 등에 사용되는 전선을 T자형 또는 다방향으로 분기 연결하는 T자형 또는 다방향 연결부에서 방수는 물론 단선이나 단락이 발생하지 않고 연결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절연성 기판(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땜납(20)을 형성하는 땜납 도포 단계(S1)와, 상기 각 땜납(20)에 복수 개의 전선(30)을 연결하여 복수 방향의 전선 연결체(101)를 제조하는 전선 고정 단계(S2)와, 상기 전선 연결체(101)를 보호하기 위해 그 외면에 절연성 케이스(40)를 피복하는 케이싱 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선 연결 방법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단계를 통해서 절연성 기판(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땜납(20)으로 심선(31)이 고정된 복수 개의 전선(30)과, 상기 기판(10) 및 땜납(20)의 외부에 피복된 케이스(40)의 배선 연결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T자형 또는 다방향으로 연결된 각 전선이 각각 기판의 정면과 배면에서 납땜으로 고정됨은 물론, 그 연결 및 고정이 사출 성형에 의해서 피복된 절연성 합성수지 내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방수는 물론, 단선이 나 단락 없이 연결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자형 배선 구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일부 확대도와 같이 T자형 배선 연결부(100)는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에서 각각 3개 방향으로 인출된 전선(30)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상기 T자형 배선 연결부(100)를 연설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2개 방향의 전선(30)은 다른 이웃한 케이스(40)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전선(30)은 전구(미도시)와 같이 다른 전기기구에 연결된다.
만약 나머지 하나의 배선(30)에 전구가 연결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전구가 동시에 점등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크리스마스용 트리 또는 실내/외의 장식용 전구로 이용시 유용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상기 T자형 배선 연결부(100)의 내부 구조 및 그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땜납 도포 단계를 보인 작업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단계를 보인 작업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단계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먼저 T자형 전선 연결체(101)를 제조하기 위한 각 공정은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이 사각 또는 직사각형의 기판(10)이 제공되고, 상기 기판(10)은 절연성 재질로서, PCB(printed circuit board)기판이며, 그 형상은 사각 형태뿐 아니라 원형이나 다변형 등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기판(10)의 제조는 복수 개를 한번에 성형, 제조한 뒤 일부분씩 절취하여 사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T자형 배선 연결을 위해 먼저 상기 기판(10)의 정면과 배면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땜납(20)을 도포한다(S1: 땜납 도포 단계).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전선(30) 내부에 있는 심선(31)을 상기 땜납(20) 부위에 고정시키는데, 이때 인두와 같이 가열성 도구를 이용하여 땝납을 액화시킨 다음, 심선을 꽂은 상태에서 경화시키면 T자형 전선 연결체(101)를 제조할 수 있다(S2: 전선 고정 단계). 여기서, 일직선의 전선(30)은 기판(10)의 폭에 맞게 심선(31)이 절단 또는 손상되지 않도록 피복을 벗겨낸 다음에, 벗겨낸 부분의 2가닥의 전선(30) 사이에 기판(10)을 끼운다. 그 다음에 T자형으로 전선(30)을 연결하기 위해서 또 다른 전선(30)의 심선(31)을 기판(10)의 땜납(20) 중앙부위에 놓고 땜납을 가열도구로 액화하고 경화시킨다.
즉,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1방향의 전선(30)은 2개의 심선(31)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심선(31)은 기판(10)의 정면 측 땜납(20)에 고정하고, 다른 하나의 심선(31)은 기판(10)의 배면 측 땜납(20)에 고정하여 이러한 형태로 3개의 전선(30)을 3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T자형으로 연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이에 한정함이 없이 다양한 변경, 예컨대 기판(10)에 다양한 방향으로 다수의 전선을 연결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단계를 보인 작업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단계를 보인 측단면도로서, 상기 전선 연결체(101)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출성형에 의한 케이싱 단계(S3)가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이 개시되며, 상기 금형은 상측 몰드(41)와 하측 몰드(42)로 분리되며, 이들은 사출 성형기에 장착되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다.
상기 금형 내에는 용융된 합성수지가 충진되어 소정 형상으로 성형되기 위한 캐비티(46)가 존재하며,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46) 내에 전술한 전선 연결체(101)가 안착된다.
이때 금형 내에는 상기 전선 연결체(101)의 전선(30)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들이 도출될 수 있으며, 생산성을 위해 상기 캐비티(46)는 하나의 금형 내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사출 성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출 성형기에 금형을 장착하고, 상측 몰드(41)와 하측 몰드(42)를 분리시킨 다음, 상기 캐비티(46) 내에 전선 연결체(101)를 안착하고, 상측 몰드(41)와 하측 몰드(42)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후, 용융된 사출 재료(합성수지)를 노즐을 통해 고압으로 사출하면, 액상 사출물이 스프루(spur)(43)를 통해 금형 내에 유입되어 런너(44)를 경유하는데, 이때 복수 개의 캐티비(46)가 형성된 경우 상기 런너(44)에서 각 캐비티(46)로 분기되어 흐르고, 이후 통로가 좁은 게이트(45)를 통해 각 캐비티(46) 내에 충진되면서 상기 전선 연결체(101)의 외부 면을 피복한다.
이후, 일정 시간(수초 내지 수십초)이 지나면 액상 사출 용액이 경화되고, 상측 몰드(41)와 하측 몰드(42)를 분리하면, 캐비티(46)로부터 케이스(40)가 피복된 전선 연결체(30)를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 배선 연결부(100)를 상호 연결할 때, 최단 위치에 형성된 T자형 연결부는 2개 방향으로만 전선(30)이 인출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2개 방향으로만 전선이 연결된 전선 연결체(101)를 상기 금형의 캐비티(46) 내에 안착하여 사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액상 사출 용융물이 전선(30)이 인출되지 아니한 부분의 성형 공간 내에 충진, 경화된다. 즉 전선(30)이 2개 방향으로 인출되더라도 사출 성형된 케이스(40)는 전선(30)이 인출되지 아니한 부분까지 폐쇄된 상태가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출 성형된 케이스(40)는 기판(10)과 땝납(20)은 물론, 전선(30)의 단부와 심선(31) 부분을 모두 접하면서도 각 사이의 공간이 없게 충진되어 있어서 배선 연결 부분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자형 배선 구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땜납 도포 단계를 보인 작업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단계를 보인 작업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고정 단계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단계를 보인 작업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단계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T자형 배선 연결부 101 : 전선 연결체
10 : 기판 20 : 땜납
30 : 전선 31 : 심선
40 : 케이스 41 : 상측 몰드(mold)
42 : 하측 몰드(mold) 46 : 캐비티(cavity)

Claims (7)

  1. 절연성 기판(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땜납(20)으로 심선(31)이 고정된 복수 개의 전선(30)과,
    상기 기판(10) 및 땜납(20)의 외부 면에 케이스(40)가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연결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에 연결된 전선(30)은 T자형 또는 다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연결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0)가 복수 개 마련되되, 각 케이스(40)에서 인출된 2개 방향의 전선(30)이 각각 다른 케이스(40)에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연결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0)는 절연성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연결 구조.
  5. 절연성 기판(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땜납(20)을 형성하는 땜납 도포 단 계(S1)와,
    상기 각 땜납(20)에 복수 개의 전선(30)을 연결하여 복수 방향의 전선 연결체(101)를 제조하는 전선 고정 단계(S2)와,
    상기 전선 연결체(101)를 보호하기 위해 그 외면에 절연성 케이스(40)를 피복하는 케이싱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연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연결체(101)의 전선(30)은 T자형 또는 다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연결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단계(S3)는, 금형 내의 캐비티(46)에 상기 전선 연결체(101)를 내입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연결 방법.
KR1020070085233A 2007-08-24 2007-08-24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 KR10091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33A KR100911022B1 (ko) 2007-08-24 2007-08-24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233A KR100911022B1 (ko) 2007-08-24 2007-08-24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722A KR20090020722A (ko) 2009-02-27
KR100911022B1 true KR100911022B1 (ko) 2009-08-05

Family

ID=4068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233A KR100911022B1 (ko) 2007-08-24 2007-08-24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5015A1 (pt) * 2022-09-28 2024-04-04 Berlitz Participações Societárias Ltda Bloco de isolamento anticondensação aplicado no cabo elétrico de luminári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216A (ja) 1997-11-20 1999-06-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02354628A (ja) 2001-05-29 2002-12-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へ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外装構造
JP2002352646A (ja) 2001-05-28 2002-12-06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78064A (ja) 2005-09-14 2007-03-29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ダクト付属品及び配線配管ダク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216A (ja) 1997-11-20 1999-06-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2002352646A (ja) 2001-05-28 2002-12-06 Yazaki Corp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4628A (ja) 2001-05-29 2002-12-06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へのコルゲートチューブ外装構造
JP2007078064A (ja) 2005-09-14 2007-03-29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ダクト付属品及び配線配管ダク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722A (ko) 200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763B2 (en) Weatherproof light string
US4937654A (en) Electronic part carrying str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228486A (en) Miniature electric light bulb sets for decorative illumination
US6981896B2 (en) Plug inner frame with twisted blades
CN101813263B (zh) 一种制作灯带的方法及灯带
CN101401263B (zh) 电线连接结构
KR100911022B1 (ko) 배선 연결 구조 및 그 연결 방법
KR101149201B1 (ko) 광고용 엘이디 모듈 및 광고용 엘이디 모듈 제조방법
CN104882695B (zh) 磁吸式连接器
US20140342615A1 (en) Method of producing flexible electrical cords and connector therefor
JP4631640B2 (ja) 光接続部品の製造方法及び光接続部品
US11581108B2 (en) Waterproof cable and waterproof cable manufacturing method
KR100769712B1 (ko) 간판용 발광다이오드 모듈과 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1167915A (ja) コネクター端子のインサート成形法
CN206637329U (zh) 一种发光鞋的发光条及发光鞋
JP7091665B2 (ja) ケーブル端末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TWI658950B (zh) 車載自動診斷系統及其端子及製造方法
CN212542723U (zh) Led七彩联接线
CN220672873U (zh) 线缆组件以及线缆连接器
KR102318526B1 (ko) 간판용 led 모듈의 제조방법
TWI577297B (zh) 發光鞋的製造方法及該發光鞋
CN213521243U (zh) 一种分线连接器
KR100642527B1 (ko) 전기콘넥터의 제조방법
CN2543224Y (zh) 一种电源线分枝接头
JP2590986B2 (ja) 絶縁体付き導体線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