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403B1 -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 Google Patents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403B1
KR100909403B1 KR1020090033123A KR20090033123A KR100909403B1 KR 100909403 B1 KR100909403 B1 KR 100909403B1 KR 1020090033123 A KR1020090033123 A KR 1020090033123A KR 20090033123 A KR20090033123 A KR 20090033123A KR 100909403 B1 KR100909403 B1 KR 10090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ess
siphon
varia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원종칠
Original Assignee
박철웅
원종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웅, 원종칠 filed Critical 박철웅
Priority to KR1020090033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울(10), 상기 보울(1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변 사이펀 관(140), 및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의 후방에 배치되는 주름관 형태의 누름관(120)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은 상기 누름관(1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관의 용량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높이가 낮은 저상 변기의 설계가 가능하다.
가변 사이펀 관, 고정 사이펀 관, 누름관, 누름관 케이스

Description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TOILET STOOL HAVING SIPHON TUBE}
본 발명은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는 등록특허 제0479678호에서 제시된 바 있고, 본 명세서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1)의 후방측에 급수 유로(1a)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누름관(110); 누름관(110)의 상측을 급수 유로(1a)의 연결목에 조임 결합되게 하며, 양쪽에 제1 걸이편(121)을 갖는 조임링(120); 누름관(110)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양쪽에 제2 걸이편(131)을 가짐과 함께 하단에 끼움홀을 갖는 브라켓(130); 제1 걸이편(121)과 제2 걸이편(131)에 연결되는 복원 스프링(140); 일측 상하부에는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되 이 유입구는 보울(1)의 배출구와 주름관에 의해 연결되고 유출구는 분뇨 배출관과 주름관에 의해 연결되며, 또한 타측에는 절곡부를 갖되 이 절곡부의 양측에는 끼움홀에 끼움 결합되는 힌지축이 형성된 가변 사이펀 관(150); 및 누름관(110)과 가변 사이펀 관(150)을 연결하되, 유입단은 누름관(110)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배출단은 가변 사이펀 관(150)의 최고 수위 이내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연결관(17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 적된다.
첫째, 누름관(110)이 가변 사이펀 관(150)의 상부에 배치되어, 누름관(110)에 물이 채워지면 누름관(110)이 하방으로 처지면서 가변 사이펀 관(150)을 누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보울(1) 후방측에 누름관(110)과 가변 사이펀 관(150)을 상하로 수용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변기의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고, 변기의 높이를 낮추려면 부득이하게 누름관(110)의 크기를 줄여 용량을 적게 하는 수 밖에 없었다.
둘째,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누름관(110)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부 조건에 의해 쉽게 손상될 수 있고, 누름관(110)에 물이 채워질 때 잘못하여 한쪽으로 기울어 오작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셋째, 가변 사이펀 관(150)이 U자형으로 길이가 길어서, 이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탄성력이 큰 스프링(140)의 설치가 필수적이고, 또한 스프링(140)의 탄성력이 크기 때문에 가변 사이펀 관(150)을 하강시킬 때 스프링(140)을 인장시키기 위한 누름관(110)의 용량도 커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누름관의 용량을 줄이지 않으면서도 높이가 낮은 저상 변기의 설계가 가능하게 하고, 누름관이 외부 벽 등에 걸리지 않고 균일하게 신장 수축 가능하게 하며, 작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가변 사이펀 관을 상승시킬 수 있는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보울, 상기 보울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변 사이펀 관, 및 상기 가변 사이펀 관의 후방에 배치되는 주름관 형태의 누름관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 사이펀 관은 상기 누름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상기 누름관의 하단에 누름관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누름관 받침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가변 사이펀 관은 상기 연결 부재에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르면, 상기 누름관의 둘레에는 누름관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누름관 케이스는 상하 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다단식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관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접힘 또는 펴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에 따르면, 상기 누름관 케이스의 다단 중 최하단에 상기 누름관 케이스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가변 사이펀 관은 상기 연결 부재에 힌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변 사이펀 관의 하방에 분뇨 배출관과 연통하는 고정 사이펀 관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변 사이펀 관은 주름관에 의해 상기 고정 사이펀 관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 사이펀 관의 상하 이동시 상기 주름관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신장 수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름관이 가변 사이펀 관의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누름관이 가변 사이펀 관의 상측에 배치되는 종래의 변기보다 높이를 낮출 수 있고, 따라서 유아에게도 적합한 저상식 변기의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누름관이 누름관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누름관은 외부 벽 등에 걸리지 않고 균일하게 신장 수축 가능하다.
또한, 사이펀 관은 가변 사이펀 관과 고정 사이펀 관으로 구분되고, 누름관과 스프링은 가변 사이펀 관만 승강시키면 되므로, 누름관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작은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의 동작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의 동작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변기(100)는 보울(10), 보울(1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변 사이펀 관(140), 및 가변 사이펀 관(140)의 후방에 배치되는 누름관(120)을 구비한다.
누름관(120)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누름관(120)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 형태이며 급수 유로(12)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 누름관(120)은 급수 유로(12)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 유로(12)를 통해 보울(10)에 물이 공급될 때 일부의 물이 누름관(120) 내부로 유입된다.
누름관(120)의 상단은 급수 유로(12)의 개구부(14)에 설치되고, 누름관(120)의 하단에는 누름관 받침대(122)가 설치된다.
누름관(120)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인 스프링(124)이 장착된다. 스프링(124)의 상단은 개구부(14) 부근에 설치된 걸이편에 연결되고, 스프링(124)의 하단은 누름관 받침대(122)에 연결된다. 스프링(124)은, 누름관(120)에 물이 채워지면 물의 무게에 의해 충분히 신장될 수 있어야 하고, 누름관(120) 내에 물이 없으면 누름관(120), 누름관 받침대(122), 및 후술하는 누름관 케이스(126)와 가변 사이펀 관(140)을 들어 올리는 탄성 복원력이 있어야 한다.
누름관(120)의 둘레에는 누름관 케이스(126)가 설치된다. 누름관 케이스(126)는 상하 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구성된다. 즉, 누름관 케이스(122)는 상하 방향으로 2단 이상의 다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예에서는 4단으로 구성하였다. 누름관 케이스(126)의 복수의 단 중 최상단은 급수 유로(12)의 하부 외벽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누름관 케이스(126)의 최하단은 누름 관 받침대(122)에 부착되어 누름관 받침대(122)와 함께 움직인다. 따라서, 누름관(120) 내에 물이 채워져서 물의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신장되면, 누름관 받침대(122)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누름관 받침대(122)에 부착된 누름관 케이스(126)의 최하단도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관 케이스(126)가 펼쳐지게 된다. 반대로, 누름관(120) 내에 물이 없을 때에는 누름관(120)이 상방으로 수축되고, 누름관 받침대(122)에 부착된 누름관 케이스(126)의 최하단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누름관 케이스(126)는 다시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누름관 케이스(126)는 누름관(120)의 둘레에서 누름관(120)의 신장 수축에 따라 함께 신장 수축하면서, 누름관(120)이 외부 벽에 스치거나 걸리는 일 없이 균일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사이펀 관(140, 144)에 대해 설명한다.
사이펀 관(140, 144)은 가변 사이펀 관(140)과 가변 사이펀 관(140)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 사이펀 관(144)을 구비한다. 가변 사이펀 관(140)의 일측은 주름관(142)을 통해 보울(10)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가변 사이펀 관(140)의 타측은 주름관(146)을 통해 고정 사이펀 관(144)의 일측에 연결된다. 고정 사이펀 관(144)의 타측은 분뇨 배출관과 연통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즉, 보울(10)의 배출구는 가변 사이펀 관(140)에 연결되고 가변 사이펀 관(140)은 고정 사이펀 관(144)에 연결되며 고정 사이펀 관(144)은 분뇨 배출관에 연결된다. 가변 사이펀 관(140)은 양측이 신축성 있는 주름관(142, 146)으로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고정 사이펀 관(144)은 분뇨 배출관에 고정 설치되므로 이동하지 못한 다.
다음으로, 누름관(120)과 가변 사이펀 관(140)의 연결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누름관 받침대(122)와 가변 사이펀 관(140)은 연결 부재(16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부재(160)는 누름관 받침대(12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고정 설치되고, 그 단부가 가변 사이펀 관(140)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누름관 받침대(122)가 상하 이동함에 따라 연결 부재(160)도 상하 이동하고, 연결 부재(160)가 상하 이동하면 연결 부재(160)에 힌지 결합된 가변 사이펀 관(140)도 이동된다. 가변 사이펀 관(140)의 이동시, 보울(10)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주름관(142) 측은 선회 이동을 하며, 고정 사이펀 관(144)에 연결되는 주름관(146) 측은 거의 수직 방향의 상하 이동을 한다. 따라서, 주름관(142, 146)은 각각의 이동 변위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신축성이 있어야 한다.
한편, 연결 부재(160)가 누름관 케이스(126)의 다단 중 최하단과 가변 사이펀 관(140)을 연결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연결 부재(160)가 누름관 케이스(126)의 최하단에 고정되어도 연결 부재(160)는 누름관 케이스(12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연결 부재(160)는 누름관 케이스(126)의 최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게 고정 설치하고, 그 단부가 가변 사이펀 관(140)에 힌지 결합되도록 설치하면 된다.
누름관(120)과 가변 사이펀 관(140)은 연결관(180)에 의해 유체 연통한다. 이 연결관(180)은 누름관(120)과 가변 사이펀 관(140)의 동작에 의해 길이의 변화 가 필요하므로 주름관으로 구성하며, 상단은 누름관(120)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하고, 하단은 가변 사이펀 관(140)에 연통되게 연결함으로써, 누름관(120) 내의 물이 보울(10)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기를 사용하기 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관(120)은 수축 상태, 누름관 받침대(122)는 상승된 상태, 누름관 케이스(126)는 접힌 상태에 있으며, 가변 사이펀 관(140)은 후방이 상향으로 비스듬히 올라간 상태에 있다. 그리고, 가변 사이펀 관(140)에는 보울(10) 내의 수위와 동일한 높이로 물이 채워져 있다.
용변을 본 후 용변을 내리기 위해 급수 유로(12)를 통해 물을 공급하면, 공급되는 물은 보울(10)로 공급됨과 동시에 일부의 물은 누름관(120)의 내부로 분할되어 공급된다.
누름관(120)의 내부에 물이 충진됨에 따라서 누름관(120)은 물의 무게에 의해 아래로 늘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누름관 받침대(122)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누름관 받침대(122)에 그 최하단이 연결된 누름관 케이스(126)가 펼쳐지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관 받침대(122)에 설치된 연결 부재(160)에 힌지 결합된 가변 사이펀 관(140)도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사이펀 관(140)이 하방으로 내려가서 거의 수평 상태가 됨으로써 분뇨의 자연 배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급수 유로(12)에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누름관(12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던 물은 연결관(180)을 통해 가변 사이펀 관(140)을 거쳐 보울(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렇게 누름관(120) 내의 물이 빠져나가게 되면 누름관(120)의 무게가 가벼워지므로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처음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의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름관(120)이 가변 사이펀 관(140)의 후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누름관(120)이 가변 사이펀 관(140)의 상측에 배치되는 종래의 변기보다 높이를 낮출 수 있고, 따라서 유아에게도 적합한 저상식 변기의 설계가 가능하다.
둘째, 누름관(120)이 누름관 케이스(126)에 의해 둘러싸이므로, 누름관(120)은 외부 벽 등에 걸리지 않고 균일하게 신장 수축 가능하다.
셋째, 사이펀 관은 가변 사이펀 관(140)과 고정 사이펀 관(144)으로 구분되고, 누름관(120)과 스프링(124)은 가변 사이펀 관(140)만 승강시키면 되므로, 누름관(120)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스프링(124)의 탄성력을 작은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변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의 동작 전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의 동작 후 상태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누름관 122 누름관 받침대
126 누름관 케이스 140 가변 사이펀 관
144 고정 사이펀 관 160 연결 부재

Claims (5)

  1. 보울(10), 상기 보울(10)의 후방에 배치되는 가변 사이펀 관(140), 및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의 후방에 배치되는 주름관 형태의 누름관(120)을 구비하고,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은 상기 누름관(1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관(120)의 하단에 누름관 받침대(122)가 설치되고,
    상기 누름관 받침대(122)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160)가 설치되며,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은 상기 연결 부재(160)에 힌지 결합되는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관(120)의 둘레에는 누름관 케이스(126)가 설치되고, 상기 누름관 케이스(126)는 상하 방향으로 절첩이 가능한 다단식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구성되어, 상기 누름관(1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접힘 또는 펴짐 가능한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누름관 케이스(126)의 다단 중 최하단에 상기 누름관 케이스(126)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160)가 설치되고,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은 상기 연결 부재(160)에 힌지 결합되는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의 하방에 분뇨 배출관과 연통하는 고정 사이펀 관(144)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은 주름관(146)에 의해 상기 고정 사이펀 관(144)에 연결되며,
    상기 가변 사이펀 관(14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주름관(146)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신장 수축하는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KR1020090033123A 2009-04-16 2009-04-16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KR10090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23A KR100909403B1 (ko) 2009-04-16 2009-04-16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123A KR100909403B1 (ko) 2009-04-16 2009-04-16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403B1 true KR100909403B1 (ko) 2009-07-24

Family

ID=4133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123A KR100909403B1 (ko) 2009-04-16 2009-04-16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4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48B1 (ko) * 2010-09-29 2011-02-25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WO2012081775A1 (ko) * 2010-12-14 2012-06-21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CN103898959A (zh) * 2014-04-11 2014-07-02 吴嘉文 花洒式冲水节能防溅水座厕
CN105113605A (zh) * 2015-09-22 2015-12-02 李武 一种坐便器的节水排泄管道
JP2021021304A (ja) * 2019-07-30 2021-02-18 株式会社ハマネツ 排水トラップ、洋式便器およびユニットトイレ
CN115045371A (zh) * 2022-07-27 2022-09-13 浙江喜尔康智能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负压式吸气节水智能坐便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791B2 (ja) * 1991-03-15 1997-08-20 松下電工株式会社 水洗便器
KR100425419B1 (ko) 2003-11-07 2004-04-08 임옥화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0714961B1 (ko) 2006-06-01 2007-05-04 이종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KR100776046B1 (ko) 2006-06-01 2007-11-16 이영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791B2 (ja) * 1991-03-15 1997-08-20 松下電工株式会社 水洗便器
KR100425419B1 (ko) 2003-11-07 2004-04-08 임옥화 가변식 사이폰 관을 구비한 절수형 수세식 변기
KR100714961B1 (ko) 2006-06-01 2007-05-04 이종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KR100776046B1 (ko) 2006-06-01 2007-11-16 이영호 양변기용 가변식 사이폰관의 구동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48B1 (ko) * 2010-09-29 2011-02-25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WO2012081775A1 (ko) * 2010-12-14 2012-06-21 인터바스 주식회사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CN103898959A (zh) * 2014-04-11 2014-07-02 吴嘉文 花洒式冲水节能防溅水座厕
CN105113605A (zh) * 2015-09-22 2015-12-02 李武 一种坐便器的节水排泄管道
JP2021021304A (ja) * 2019-07-30 2021-02-18 株式会社ハマネツ 排水トラップ、洋式便器およびユニットトイレ
CN115045371A (zh) * 2022-07-27 2022-09-13 浙江喜尔康智能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负压式吸气节水智能坐便器
CN115045371B (zh) * 2022-07-27 2023-11-14 浙江喜尔康智能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负压式吸气节水智能坐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403B1 (ko) 사이펀 관을 구비한 변기
KR101016248B1 (ko)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KR100714959B1 (ko)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
AU2010265067B2 (en) Dishwasher, especially domestic dishwasher
CN103874811B (zh) 冲洗式坐便器及其连接装置
KR101131810B1 (ko)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CN1890438B (zh) 用于运行座便器的可调虹吸管的装置
CN207405721U (zh) 一种能启动让位的排水阀控制机构
CN202653808U (zh) 一种气动升降衣帽架
CN207776035U (zh) 一种3寸轻触排水阀
KR200271585Y1 (ko) 양변기용 대소변 구분 절수기
CN201125444Y (zh) 新型双排阀
WO2013102787A1 (en) Toilet flushing device
CN203891162U (zh) 一种提高排水稳定性的排水阀
CN106153288A (zh) 一种风洞试验用攻角机构及其波纹管分段式支撑机构
JP6323516B2 (ja) 大小便に対応する洗浄水を排出する洗浄水排出装置
CN202214800U (zh) 一种带有可升降式s形连接软管的节水便器
CN201678863U (zh) 可伸展晾架
KR101085211B1 (ko) 부력으로 승강하는 트랩을 구비한 양변기
CN201080638Y (zh) 坐便器水箱
JP2002097697A (ja) 洋風便器装置
JP2007051542A (ja) 汚水攪拌バルブ及びこれを用いたポンプユニット
CN211862342U (zh) 一种可升降的椅子扶手支撑杆
CN113455373B (zh) 苗钵支撑落土装置
CN103806517A (zh) 座便器排水管道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