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096B1 - 웹메트릭스시스템 - Google Patents

웹메트릭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096B1
KR100909096B1 KR1020080017046A KR20080017046A KR100909096B1 KR 100909096 B1 KR100909096 B1 KR 100909096B1 KR 1020080017046 A KR1020080017046 A KR 1020080017046A KR 20080017046 A KR20080017046 A KR 20080017046A KR 100909096 B1 KR100909096 B1 KR 100909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unit
cameras
camera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유니텍
Priority to KR1020080017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HUB)에 연결된 다수의 웹카메라(WEB CAMERA)들이 랜(LAN)선을 경유하여 웹카메라수신부에 접속된후 제어되고, 각 웹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다수의 모니터(MONITOR)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중앙제어부의 제어로써 다수의 회전형(回轉型) 또는 고정형(固定型) 웹카메라에 대하여 팬(P AN), 틸트(TILT) 또는 줌(ZOOM) 조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웹메트릭스시스템(W EB MATRIX SYSTEM)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웹카메라(100)들을 랜(L)선으로써 허브(200)를 경유하여 웹메트릭스장치(300)의 웹카메라수신부(320)에 접속시키고, 다수의 모니터(400)들을 모니터디스플레이부(350)에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100)들을 중앙제어부(330)에서 각각 제어토록 구성된다.
다수, 웹카메라, 모니터, 영상, 신호, 제어, 원격, 관제

Description

웹메트릭스시스템{Web Matrix System}
본 발명은, 허브(HUB)에 연결된 다수의 웹카메라(WEB CAMERA)들이 랜(LAN)선을 경유하여 웹카메라수신부에 접속된후 제어되고, 각 웹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다수의 모니터(MONITOR)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중앙제어부의 제어로써 다수의 회전형(回轉型) 또는 고정형(固定型) 웹카메라에 대하여 팬(PAN), 틸트(TILT) 또는 줌(ZOOM) 조작을 용이하게 구현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제어선 및 영상신호선 등의 배선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다수의 웹카메라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아 노이즈로 인한 제어장애를 배제할 수 있으며, 추후 다수의 웹카메라를 증설ㆍ설치함에 있어서 배선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여 확장성이 뛰어남은 물론, 인터넷을 통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수의 각 웹카메라를 어느 곳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웹메트릭스시스템(WEB MATRIX SYSTEM)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메트릭스시스템(Web Matrix System)이라 함은, 규모가 큰 빌딩, 공항, 항만, 공장 등과 같이 감시카메라가 수 백대 이상씩 설치되는 곳에서 사용하는 장비로써, 모든 감시카메라를 하나의 기기에 접속하고 이들 다수의 감시카메라를 하나의 제어기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품을 통칭한다.
이때, 제어기는 설치된 어느 모니터의 화면으로든지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회전형 카메라의 경우 조작하고자 하는 특정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이를 통상 'N 대(對) N 방식'이라 칭한다.
반면, 이와 다른 경우에 있어서는, 한 대의 카메라당 하나의 모니터를 설치ㆍ제어(통상적으로, 1 대(對) 1 방식'이라 칭함)해야 하므로, 규모가 큰 장소에서는 상기 웹메트릭스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게 되면, 정상적이고 효과적인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메트릭스시스템(Matrix System)은, 개개 카메라의 일측에 연결ㆍ접속된 동축케이블을 이용하되, 이들 케이블을 개별로 모두 관제센터로 인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에 따라 제어선 및 영상신호선 등의 배선에 따른 공사비의 부담이 가중되는 원인이 되며, 또한 메트릭스시스템에 아나로그(ANALOG) 타잎의 카메라를 다수 연결하면 카메라의 상호간섭으로 인한 노이즈(noise)의 증가로 관제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회전형 카메라의 경우 제어선(Control line)이 각각의 카메라에 연결되어야 하므로, 설치가 복잡하고 이에 따르는 인건비의 증가는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최근에 들어서, 원격지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카메라 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등이 제안된바, 국내 특허공개 2003-15051호에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렌즈를 통해 투과된 피사체의 광원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를 통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노이즈 제거부와, 상기 노이즈 제거부에 의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를 화상 데이터로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연산하며, 메모리의 정보 및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부터의 영상 신호와 다수의 외부 카메라로부터의 외부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원하는 영상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 및 선택부와, 상기 디코더 및 선택부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영상 신호 압축부와, 상기 영상 신호 압출부에 의해 압축된 영상 신호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모듈(41)과,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일반 전화선을 통해 상기 주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암호화모듈(41)에 의해 암호화된 영상 신호를 일반 전화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가입자 라인 모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40)와,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40) 각각의 상기 디지털 가입자 라인 모뎀(42)과 연결된 다수의 일반 전화선으로 구성된 구내 전화망(43)과, 상기 일반 전화선을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모듈(46)을 포함하여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40)를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한 중앙 관제 시스 템(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된 원격지제어시스템(4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씨씨티브이(CCTV) 카메라나 웹카메라(WEB CAMERA)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케이블을 전화선으로 통합하여 설치 비용이 절감되고, 유지 및 보수가 편리하며, 데이터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는, 상.하.좌.우.줌.촛점 등의 제어가 가능하여 일정 지역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며, 영상신호를 수집하는 감시 카메라(11)와;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19)와 연결되어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14)과 상기 감시 카메라(11)와 연결되어 그 감시 카메라(11)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수단(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19)를 통해 수신된 감시 카메라의 제어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11)의 상.하.좌.우 방향제어와 줌 및 초점제어를 함과 아울러 그 감시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입력받아 압축하여 저장함과 아울러 영상데이타를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고 감시 카메라 제어신호를 전송한 목적지 주소 및 발신지 주소를 헤더 정보로서 생성하여 상기 전송 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제어수단(18)과; 상기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19)와 연결되어 통신하기 위한 통신수단(11a)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거리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송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목적지 주소와 발송지 주소를 헤더에 포함시켜 상기 전송 데이터 패킷에 삽입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 제어수단으로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19)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19)를 통해 압축 영상에 대한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헤더 영상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복원하여 감시영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원거리 제어수단(17a)과, 상기 원거리 제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카메라에서 수집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한 출력수단(11m)과, 상기 원거리 제어수단(17a)으로 감시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18a,19a)과, 상기 감시 카메라 제어수단과 원거리 제어수단을 연결하며, 상기 감시 카메라에서 수집된 영상신호를 감시 카메라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원거리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원거리 제어수단의 제어신호를 상기 감시카메라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19)로 구성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시카메라 원격 제어장치는,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거리의 제한없이 원하는 곳에 대한 원격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에도 불구하고, 중앙제어부의 제어로써 다수의 회전형 또는 고정형 웹카메라에 대하여 팬, 틸트 또는 줌 조작을 용이하게 구현토록 하되, 제어선 및 영상신호선 등의 배선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다수의 웹카메라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아 노이즈로 인한 제어장애를 배제할 수 있으며, 추후 다수의 웹카메라를 증설ㆍ설치함에 있어서 배선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여 확장성이 뛰어남은 물론, 인터넷을 통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수의 각 웹카메라를 어느 곳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꾸준하게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중앙제어부의 제어로써 다수의 회전형 또는 고정형 웹카메라에 대하여 팬, 틸트 또는 줌 조작을 용이하게 구현토록 하는 '웹메트릭스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다수의 웹카메라들을 랜(LAN)선으로써 허브(HUB)를 경유하여 웹메트릭스의 웹카메라수신부에 접속시키고, 다수의 모니터들을 모니터디스플레이부에 접속시켜,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들을 중앙제어부에서 각각 제어토록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선 및 영상신호선 등의 배선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다수의 웹카메라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아 노이즈로 인한 제어장애를 배제할 수 있으며, 추후 다수의 웹카메라를 증설ㆍ설치함에 있어서 배선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여 확장성이 뛰어남은 물론, 인터넷을 통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수의 각 웹카메라를 어느 곳에서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웹메트릭스시스템'은, 전방의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변환하여 디지털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웹카메라와: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에 각각 연결되는 랜선 등의 신호선이 인입되는 허브와: 케이싱부와; 상기 허브로부터 인출되는 랜선 등의 신호선이 인입되는 웹카메라수신부와; 상기 웹카메라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암호화하는 이미지인코딩부와; 상기 이미지인코딩부에서 암호화된 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모니터디스플레이부와; 각종 명령 및 키값을 입력하는 다수개의 키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각 웹카메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 상기 웹카메라수신부, 이미지인코딩부, 모니터디스플레이부, 키입력부 및 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웹메트릭스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이들 구성요소를 살펴본다.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웹카메라'는, 전방의 렌즈를 통하여 감시대상의 피사체로부터 획득한 영상에 따른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촬상소자를 포함함으로써 디지털영상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인바, 허브를 사용하여 수십 혹은 수백개의 상기 웹카메라가 연결되어, 하나의 랜(LAN)선 만으로도 웹카메라수신부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허브'는,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를 본체인 웹메트릭스장치와 연결시켜 주는 인터페이스장치로서, 상기 각 웹카메라로부터 다수의 랜선이 인입된 후, 다시 웹메트릭스장치로 단일의 랜선이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케이싱부'는, 본체인 웹메트릭스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그 내부에 웹카메라수신부를 비롯하여 중앙제어부, 이미지인코딩부, 모니터디스플레이부, 키입력부, 외부인터페이스부, 시스템확장부 및 데이터저장부가 견고하게 장착됨으로써,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이들 구성요소들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웹카메라수신부'는, 상기 허브와 본체인 웹메트릭스장치를 연결시켜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허브로부터 인출되는 다수의 랜(LAN)선이 인입된 후, 웹메트릭스장치로 인출되는 단일의 랜(LAN)선이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각 웹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가 지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중앙제어부'는, 본 발명의 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 웹카메라수신부, 이미지인코딩부, 다수의 모니터를 구비한 모니터 디스플레이부, 키입력부 및 데이터저장부를 제어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웹카메라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으면서도, 인터넷을 통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수의 각 웹카메라를 다수의 사용자가 어느 곳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웹메트릭스 시스템은 자체에 외부 신호 장치 연결 및 네트워크 연결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어서, 다수의 웹카메라는 다수의 사용자가 다수의 모니터를 통해 선택, 확인 및 제어될 수 있는 것인바, 다수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웹메트릭스 시스템을 통해 각자의 웹카메라를 장소에 구애됨 없이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이미지인코딩부'는 상기 웹카메라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암호화하여 이를 모니터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중앙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며, '모니터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미지인코딩부에서 암호화된 신호를 모니터로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중앙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리고,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키입력부'는 모니터와 연동되는 명령입력수단으로서, 사용자가 모니터를 이용하여 다수의 웹카메라 중에서 특정 웹카메라를 지정하거나, 지정된 웹카메라에 대하여 팬(PAN), 틸트(TILT) 또는 줌(ZOOM) 등을 조작하기 위하여, 명령이 입력되도록 상기 키입력부를 작동시키면, 최종적으로 상기 중앙제어부에 의하여 처리되는바,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이 관리하는 웹카메라를 공통의 웹메트릭스 시스템(DVR이나 별도의 네트워크 콘트롤러 없이)을 통해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여 장치구성비용 및 관리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외부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 웹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외부에서 상기 중앙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특히 외부 인터넷 또는 랜(LAN)선을 통하여 연결되고, '시스템확장부'는 다수의 웹메트릭스장치를 상호연결하여, 각 웹메트릭스장치에 연결된 다수의 웹카메라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데이터저장부'는 상기 각 웹카메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고, '모니터'는 상기 각 웹카메라가 획득한 감시대상구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구성요소이며, 이들 데이터저장부와 모니터도 상기 중앙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데이터저장부'에 따르면,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웹카메라로부터 들어오는 디지털영상신호를 각각의 웹카메라별로 저장함으로써, 외부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요청이 들어오면, 웹브라우저(WEB BROWSER)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CLIENT APPLICATION PROGR AM)에 의해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여 보여 준다.
즉, 본 발명의 다수의 웹카메라는 각기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는 것이어서, 자체적으로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어려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웹메트릭스시스템에 자신의 웹카메라를 연결하여 자신의 웹카메라만을 별도로 관리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웹카메라의 네트워크 상의 제어를 위하여 종래 DVR이나 네트워크 콘트롤러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요하지 아니하므로 장치의 연결 및 확장이 용이한 반면, 각 사용자는 자신의 웹카메라에 대하여 자신만의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처럼 본 발명의 웹메트릭스 시스템에 연결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은, 전방의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변환하여 디지털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웹카메라(100)와: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100)에 각각 연결되는 랜(LAN)선 등의 신호선이 인입되는 허브(200)와: 상기 허브(200)로부터 인출되는 랜(LAN)선 등의 신호선이 인입되는 웹카메라수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암호화하여 이를 다수의 모니터(400)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330)가 구비된 웹메트릭스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웹카메라(100)의 디지털영상신호를 랜(LAN)선을 이용하여 허브(200)로 인입시키고, 이로써 다수의 모니터(400)로 디스플레이시킴과 동시에, 중앙제어부(330)의 제어로써 다수의 회전형 또는 고정형 웹카메라(100)에 대하여 용이하게 팬(PAN), 틸트(TILT) 또는 줌(ZOOM) 조작을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에 따르면, 랜(LAN)선을 이용함으로써 제어선 및 영상신호선 등의 배선에 따른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다수의 웹카메라(100)간에 간섭이 발생치 않아 노이즈로 인한 제어장애를 배제할 수 있으며, 추후 다수의 웹카메라(100)를 증설ㆍ설치함에 있어서 배선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여 확장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은, 전방의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변환하여 디지털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웹카메라(100)와: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100)에 각각 연결되는 랜(LAN)선 등의 신호선이 인입되는 허브(200)와: 케이싱부(310)와; 상기 허브(200)로부터 인출되는 랜(LAN)선 등의 신호선이 인입되는 웹카메라수신부(320)와; 상기 웹카메라수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암호화하는 이미지인코딩부(340)와; 상기 이미지인코딩부(340)에서 암호화된 신호를 모니터(400)로 출력하는 모니터디스플레이부(350)와; 각종 명령 및 키값을 입력하는 다수개의 키(361)를 포함하는 키입력부(360)와; 상기 각 웹카메라(10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90)와;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10 0), 상기 웹카메라수신부(320), 이미지인코딩부(340), 모니터디스플레이부(350), 키입력부(360) 및 데이터저장부(390)를 제어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330)와; 외부 인터넷 또는 랜(LAN)선을 통하여 상기 각 웹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외부에서 상기 중앙제어부(3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접속시켜주는 외부인터페이스부(370)가 구비되는 웹메트릭스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다수의 웹메트릭스장치(300)를 상호연결하여, 각 웹메트릭스장치(300)에 연결된 다수의 웹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공유할 수 있도록 접속시켜주는 시스템확장부(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에 따르면, 랜(LA N)선을 이용하여 허브(200)에 접속된 다수의 웹카메라(100)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고 처리하여 다수의 모니터(400)로 디스플레이시켜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웹카메라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제어부(330)의 제어로써 다수의 회전형 또는 고정형 웹카메라(100)에 대하여 팬(PAN), 틸트(TILT) 또는 줌(ZOOM) 기능을 구현하게 됨은 물론, 외부인터페이스부(370)에 접속되는 외부 인터넷 또는 랜(LAN)선을 통하여 상기 각 웹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외부에서 상기 중앙제어부(330)를 제어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수의 각 웹카메라(100)를 전세계 어느 곳에서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웹메트릭스시스템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웹메트릭스시스템'은, 다수의 웹메트릭스장치(300)를 상호연결되도록 하는 시스템확장부(3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각 웹메트릭스장치(300)에 연결된 다수의 웹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공유할 수 있어, 실제적으로 각 웹메트릭스장치(300)간에 최대 RJ45선(100M bps)을 10가닥까지 연결시킴으로써,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지에서도 다른 웹메트릭스장치(300)에 접속된 다수의 웹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관제실로부터 이격된 원격지에서 웹메트릭스시스템이 가동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웹메트릭스시스템'은, 상기 각 웹카메라(100) 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외부에서 상기 중앙제어부(3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한바, 외부에서 노트북 등의 컴퓨터를 이용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외부인터페이스부(370)를 경유하여 상기 중앙제어부(330)를 원격제어하여, 관제구역의 각 웹카메라(100)를 어느 곳에서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미설명부호 C는 노트북 등 외부컴퓨터이고, I는 인터넷라인이다.
도 1은 종래의 네트워크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네트워크 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본 발명 웹메트릭스시스템의 주요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웹메트릭스시스템을 확장하여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관제실로부터 이격된 원격지에서 웹메트릭스시스템이 가동되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웹카메라 200 : 허브
300 : 웹메트릭스장치 310 : 케이싱부
320 : 웹카메라수신부 330 : 중앙제어부
340 : 이미지인코딩부 350 : 모니터디스플레이부
360 : 키입력부 361 : 키
370 : 외부인터페이스부 380 : 시스템확장부
390 : 데이터저장부 400 : 모니터

Claims (3)

  1. 전방의 렌즈를 통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변환하여 디지털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웹카메라(100)와;
    상기 다수의 웹카메라(100)에 각각 연결되는 신호선이 인입되는 허브(200)와;
    케이싱부(310), 상기 허브(200)로부터 인출되는 신호선이 인입되는 웹카메라수신부(320), 상기 웹카메라수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암호화하는 이미지인코딩부(340), 상기 이미지인코딩부(340)에서 암호화된 신호를 모니터(400)로 출력하는 다수의 모니터를 구비한 모니터디스플레이부(350), 각종 명령 및 키값을 입력하는 다수개의 키(361)를 포함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360), 상기 각 웹카메라(10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영상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390) 및 상기 구성요소가 상호 연동되어 각 웹카메라별로 별도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중앙제어부(330)를 구비하는 웹메트릭스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메트릭스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메트릭스장치(300)는 상기 중앙제어부(330)에 외부 인터넷 또는 랜(LAN)선을 통하여 상기 각 웹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외부에서 상기 중앙제어부(3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370)를 더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메트릭스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메트릭스장치(300)는 상기 중앙제어부(330)에 다수의 웹메트릭스장치(300)를 상호연결하여, 각 웹메트릭스장치(300)에 연결된 다수의 웹카메라(100)로부터 획득한 디지털영상신호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확장부(380)를 더 연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메트릭스시스템.
KR1020080017046A 2008-02-26 2008-02-26 웹메트릭스시스템 KR10090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46A KR100909096B1 (ko) 2008-02-26 2008-02-26 웹메트릭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46A KR100909096B1 (ko) 2008-02-26 2008-02-26 웹메트릭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096B1 true KR100909096B1 (ko) 2009-07-23

Family

ID=4133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046A KR100909096B1 (ko) 2008-02-26 2008-02-26 웹메트릭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0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468A (ko) * 2004-07-28 2006-02-02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네트워크기반 씨씨티브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0468A (ko) * 2004-07-28 2006-02-02 주식회사 원우이엔지 네트워크기반 씨씨티브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323B1 (ko)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611956B1 (ko) 다채널용 카메라 장치
JP2007053717A (ja) 静止画像を共に出力する保安監視システム
CN101232603A (zh) 可控网络监控系统
KR101692430B1 (ko) 경찰청 영상 관제 시스템
KR20090001699A (ko) 다기능 멀티 종합상황실 운용시스템
KR19990034151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0069455A (ja) 遠隔監視装置
KR100909096B1 (ko) 웹메트릭스시스템
GB2384933A (en) Wireless CCTV system
KR101204081B1 (ko) 감시 시스템
KR101113801B1 (ko) 고성능 무인 감시장치의 영상 멀티 전송체계 시스템
KR100764088B1 (ko) 감시 영상 전송장치
KR100869150B1 (ko) 네트워크 비디오 서버 시스템
KR100259548B1 (ko) 디지털다중화상감시시스템
KR20090056423A (ko) 버추얼 매트릭스 시스템 및 제어방법
GB2475279A (en) Transmitting a camera signal over a power line and a peer-to-peer internet connection
KR20080100858A (ko) 화상감시장치 및 그에 따른 영상전송방법
JP4901160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映像監視方法
KR101667288B1 (ko) 댁내에서의 cctv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100981591B1 (ko) Dvr 시스템
KR100964846B1 (ko) 다기능 파노라마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0481520B1 (ko) 설치가 용이한 감시 시스템
KR101045502B1 (ko) 집합형 영상 선택 장치
KR101178889B1 (ko)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