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323B1 -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323B1
KR101902323B1 KR1020170031951A KR20170031951A KR101902323B1 KR 101902323 B1 KR101902323 B1 KR 101902323B1 KR 1020170031951 A KR1020170031951 A KR 1020170031951A KR 20170031951 A KR20170031951 A KR 20170031951A KR 101902323 B1 KR101902323 B1 KR 101902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hannel
proxy
registere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968A (ko
Inventor
김종훈
정용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연테크
Priority to KR1020170031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32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04L67/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로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감시영상에 대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과 그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에 대해서 IP등록만으로 플렉서블(flexible)하고 스캐일러블(scalable)한 감시망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로 구성되는 멀티채널 영상들에 대해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감시망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카메라의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과 그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A MULTI-CHANNEL PROXY BASED IP-CAMERA AND THE VIDEO SURVEILLANCE SYSTEM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로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감시영상에 대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과 그 감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에 대해서 IP등록만으로 플렉서블(flexible)하고 스캐일러블(scalable)한 감시망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로 구성되는 멀티채널 영상들에 대해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감시망에서 획득되는 영상을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카메라의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과 그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넓은 대역폭이 소요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기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영상보안감시 분야에서 범죄를 예방하거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해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부호화하여 IP 패킷으로 변환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저장하는 IP카메라 기반의 CCTV 시스템이 각광을 받고 있다.
기존의 CCTV 시스템은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데이터를 동축 케이블을 통해 전송하여 DVR(Digital Video Recorder)에 저장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거나, 이미 DVR에 저장되어 있던 영상데이터를 중앙관제서버에 별도로 전송, 저장 및 관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하지만, 네트워크의 성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점차 IP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카메라 단에서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상에서 전송하는 IP카메라 기반의 CCTV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IP카메라는 사설 감시망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감시망으로부터 원격지에 위치해 있는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서 IP카메라에 접속하여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수신 받는다. 그러나 사설 감시망 내의 IP카메라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설 감시망을 감싸고 있는 공유기나 라우터를 통과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IP주소와 포트를 변경하여 패킷을 전달해 주는 방식이 적용되나, 실제 이는 부가적인 네트워크 노드가 필요할 수 있고, 복잡한 설정과정이 필요하여 그 적용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안성이 뛰어나고, 복수의 IP카메라에 대해 외부에서 하나의 IP카메라에만 접속하여도 멀티채널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에 대해서 대표 IP카메라(본 발명의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IP등록만으로 플렉서블(flexible)하고 스캐일러블(scalable)한 감시망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감시망에서 획득된 영상을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카메라의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종래의 NVR(Network Video Recorder)과 달리 복수의 IP카메라로 멀티채널을 용이하게 구성하되, 플랙시블하고 스캐일러블한 감시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성된 멀티채널의 IP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프록시 릴레이할 수 있도록 하여, 멀티채널의 IP카메라를 하나의 IP주소나 URL로 접속할 수 있으며, 각 IP카메라에 대한 보안성이 한층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과 유사한 기술분야에서 국내외에 공지된 선행기술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241736호(2013.03.11.공고)는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를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에 상응하는 아이피 및 통신 포트를 할당하여 포트 포워딩을 실행하며, 상기 포트 포워딩이 실행된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사설 네트워크상에 위치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로 전송되는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72191호(2015.11.27.공고)는 내부망에서 IP카메라 라우터가 다른 IP카메라의 접근을 중계함으로써 외부망의 사용자가 IP카메라의 직접적인 접근을 막기 위한 것으로, IP카메라 라우터가 주기적으로 IP카메라에 할당된 포워딩 포트를 변경한 후 사용자가 특정 IP카메라의 데이터 전송을 요청시마다 가상 IP주소와 통신 포트에 할당된 포트 포워딩용 통신포트를 알려주며, IP카메라 라우터를 통해 패킷은 전송된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각각 메인 네트워크 단말장치를 통해서 서브 네트워크 단말장치의 데이터에 접근하거나 내부망에서 IP카메라 라우터가 다른 IP카메라의 접근을 중계하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 유사한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포트 포워딩의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브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에 대해서 IP만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하면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와 상기 프록시 IP카메라의 영상으로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클라이언트는 상기 프록시 IP카메라의 IP나 URL을 이용하여 상기 프록시 IP카메라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멀티채널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릴레이 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점이 상당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로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감시영상에 대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과 그 감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망 또는 외부망을 구분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에 대해서 IP등록만으로 플렉서블(flexible)하고 스캐일러블(scalable)한 감시망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제공하고,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과 그 감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네트워크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에 대해서 IP만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하면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와 상기 프록시 IP카메라의 영상으로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로 구성되는 멀티채널 영상들에 대해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록시 IP카메라의 IP나 URL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프록시 IP카메라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멀티채널 영상을 클라이언트 단말로 릴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된 IP카메라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록시 IP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된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장치나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가능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고려하여 IP카메라의 영상 품질을 제어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프록시 IP카메라와 이에 등록된 IP카메라 영상의 접속 권한을 다르게 할당함으로써 선택적으로 IP카메라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록시 IP카메라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과도하거나 네트워크의 상태가 불안정하여 IP카메라의 동영상이 지연되는 경우 해당 IP카메라 영상을 저장하고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나 사용자 단말기가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된 특정 한 개의 영상채널을 구성하는 IP카메라와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포함하여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멀티채널 생성부 및 상기 구성한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각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음향,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릴레이하는 프록시 릴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는,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IP카메라를 등록하는 멀티채널 등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IP카메라의 등록은,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는 물론이고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채널 생성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멀티채널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서 생성된 상기 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IP 패킷을 구성하며,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는, 상기 IP카메라의 IP주소, 해상도,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는,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에 등록된 조건,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된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IP카메라를 제어하는 IP카메라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에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는,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를 통해서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상기 IP카메라의 목록과 각 IP카메라의 감시조건을 설정하며, 상기 목록과 감시조건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 생성부를 통해서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조건은,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 대한 영상품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는,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매체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HDD, SSD, CDROM 또는 US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IP카메라(여기서 IP 카메라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와 호환되는 소스 영상 데이터를 포함함), 상기 IP카메라를 추가함에 따라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멀티채널 영상, 음향,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에 대해 프록시 릴레이를 지원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로부터 상기 멀티채널 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IP카메라를 등록하는 것은,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는 물론이고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도 가능하며, 상기 IP카메라의 IP주소,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멀티채널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서 생성된 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IP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채널로 등록된 조건,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된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IP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에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상기 IP카메라의 목록과 각 IP카메라의 감시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목록과 감시조건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 대한 영상품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방법은,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추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등록한 IP카메라를 기반으로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구성된 멀티채널의 감시 데이터에 대해 프록시 릴레이를 지원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로부터 멀티채널 감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방법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IP카메라를 등록하는 것은,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는 물론이고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도 가능하며, 상기 IP카메라의 IP주소, 해상도, 인코딩 파라미터(조건),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멀티채널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서 생성된 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IP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채널로 등록된 조건,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된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IP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매체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HDD, SSD, CDROM 또는 US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방법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상기 IP카메라의 목록과 각 IP카메라의 감시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목록과 감시조건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 대한 영상품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된 IP카메라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를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시키기만 하면 물리적 공간상에서 떨어져 있는 IP카메라에 대해서도 멀티채널을 구성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각 IP카메라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 인해서 각 IP카메라의 추가 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멀티채널 등록정보의 갱신만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추가된 IP카메라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IP카메라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장치나 클라이언트 단말장치가 가능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고려하여 IP카메라의 영상품질을 제어하고, IP카메라의 동영상이 지연되는 경우 해당 IP카메라 영상을 저장하였다가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카메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의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에서 IP카메라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에서 사용자 권한에 따른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감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IP카메라,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IP카메라를 기반으로 일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IP 이외의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고, 일부 카메라가 시리얼(serial)이나 패럴렐(parallel)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으므로, 카메라가 네트워크에 접속되기만 하면 동작이 가능하며,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가진 직접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간접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카메라(구체적으로는 지정된 규격으로 전송이 가능한 모든 소스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연동 가능한 비디오 소스(예, NVR에서 전송되는 특정 영상채널의 비디오 소스)도 포함)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실제 IP카메라에서 수집되는 감시데이터는 영상, 음향(음성, 음악(사운드) 포함),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감시환경에서 따라 영상, 음향, 텍스트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하여 양방향 통신과 해당 감시데이터를 릴레이할 수도 있다.
상기 텍스트는 영상에 포함하여 송수신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패킷으로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며, 영상이나 음향에 대한 메타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감시하고 있는 현장에서 송신되는 텍스트 메시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영상 데이터 대신에 실제로 영상, 음향,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 서브 IP카메라(200), 클라이언트 단말장치(300)이나 사용자 단말장치(500), 네트워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하나의 IP카메라로써 촬영되는 영상을 압축하여 IP패킷을 네트워크(400)를 통해 전송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브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IP카메라(200)를 등록시키면, 자신의 카메라 영상 데이터뿐만 아니라 등록된 다른 IP카메라(200)의 영상에 대해서도 멀티채널을 형성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록시 릴레이를 지원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장치(300)나 사용자 단말장치(5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한 IP카메라(210) 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IP카메라(220, 230)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상기 등록된 IP카메라(200) 중 해당 사용자의 권한 내에서 선택된 IP카메라(2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멀티채널을 형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자신의 IP카메라(100) 뿐만 아니라 등록된 다른 IP카메라(200)에 대한 카메라 제어명령 및 카메라의 영상품질을 포함한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해상도, 타겟 비트율, 프레임율 등을 포함한 감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 등) 등에 대한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본 발명에서 서브 네트워크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접속된 IP카메라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서 유무선 근거리통신망(LAN)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네트워크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외부에 속한 스위치나 라우터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로서 다른 서브 네트워크나 인터넷을 말한다.
서브 네트워크의 IP카메라(200)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IP 패킷화하여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전송한다. 상기 IP카메라(200)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와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P카메라(210)일 수도 있으며, 다른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P카메라(220, 230)일 수도 있다. IP카메라(2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직접적으로 자신 IP카메라 정보(IP주소, MAC주소,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파라미터), 위치 등)를 제공하지 않으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게 관련 IP카메라 정보를 등록한다. 한편, IP카메라(200)의 IP주소는 고정된(fixed) 것이 아닌 동적으로(dynamic) 할당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IP카메라(200)는 자신의 IP카메라 정보를 등록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의해 원격에서 연결제어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영상품질에 대한 제어도 받는다. 상기 IP카메라(200)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지속적인 영상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경우에만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영상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접속하여 멀티채널로 전송된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로써, IP주소 또는 URL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접속이 가능하며, 네트워크(400)에 접속 가능한 장치라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는 IP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5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PDA 뿐만 아니라 영상 플레이어를 탑재한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모든 종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접속하거나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며, 등록된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거나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 제어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접속시 아이디 및 비밀번호 입력 등을 포함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사용자 권한에 따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IP카메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목록에 등록된 IP카메라 중 획득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IP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로부터 멀티채널로 구성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IP카메라 목록에는 서브 IP카메라(200) 뿐만 아니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의 IP카메라를 포함하여 사용자 권한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이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와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한 IP카메라(210) 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IP카메라(220, 23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로부터 수신 받은 하나 이상의 선택한 IP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는 등록된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멀티플랙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선택된 다수의 IP카메라 영상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분활하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는 자신의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카메라 제어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포함된 IP카메라에 대해서도 원격에서 명령을 송신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네트워크(400)는 유무선 인터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을 포함한 현재 공지되어 있는 각종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 IP카메라(200),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영상 데이터는 물론이고 관련 데이터에 대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장치)(100)는 카메라부(110), 제1 통신부(120), 제2 통신부(130), 메모리부(140), 데이터베이스(150), 저장부(170) 및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카메라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카메라 영상을 디지털 영상정보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영상정보는 다시 이미지 인코더를 통해서 압축 및 부호화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미지 센서는 디지털 카메라 렌즈를 통해서 촬영된 정보를 입력받아, 디지털 영상정보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디지털 영상정보는 이미지 인코더를 통해서 압축하고 부호화한다. 상기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IP 전송이 가능하도록 IP패킷으로 변환되어 통신부(120, 130)를 통해서 전송된다.
상기 제1 통신부(120)는 IP카메라(2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와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P카메라(210)뿐만 아니라, 다른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P카메라(220, 230)와도 연결된다. 제1 통신부(120)는 IP카메라(200)로부터 IP패킷 및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IP카메라(200)에게 제어명령을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13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멀티채널을 형성한 영상 데이터, 채널을 형성한 IP카메라 목록을 포함한 채널정보 등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및 사용자 단말기(500)에 송신하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및 사용자 단말기(500)로부터 인증을 요청받거나 카메라 제어명령을 수신 받는다.
여기서 제1 통신부(120)와 제2 통신부(130)는 하나의 통신부로 통합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제1 통신부(120)와 제2 통신부(130)는 하나의 통신부로 구성되어 패킷 필터링과 각각의 IP카메라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에 대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통신서비스가 수행된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플래시와 DRAM, SRA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플래시에는 주로 설정정보나 인증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SRAM이나 DRAM에는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160)에서 영상 데이터나 IP패킷을 처리할 때 임시 저장소로 활용되는 공간이다. 그밖에 다른 필요한 용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 활용하기 위한 버퍼링 공간이다.
다음으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160)는 멀티채널로 등록된 IP카메라에 대해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들에 대해서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16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의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160)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160)는 멀티채널 등록부(161), 멀티채널 생성부(162), 프록시 릴레이부(163), IP카메라 제어부(164) 및 웹서버(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160)는 먼저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를 위한 모듈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IP카메라 제어부(164) 및 웹서버(165)로 나누어 진다.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161)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와 등록된 IP카메라의 IP주소,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프레임률, 비트율, 압축률, 해상도 등),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161)는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IP카메라를 등록한다. 상기 IP카메라의 등록은,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는 물론이고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도 등록만 되어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와 사용자 단말기(500)에서 하나의 채널로 인식하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생성부(16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포함하여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멀티채널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IP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방법으로, 시간적으로 멀티채널을 서로 교번적으로 멀티플랙싱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간적으로 하나의 화면을 복수의 화면으로 분할한 다음 각 분할된 화면에 각 채널을 할당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멀티채널의 구성은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며, 아울러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서 각 채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따라 전체 채널의 영상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으며, 스케일링된 일부 프레임이나 다운 샘플링된 해상도가 낮은 복수의 채널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록시 릴레이부(163)는 상기 구성한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각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릴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록시 릴레이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가 자체 IP카메라와 등록된 IP카메라(200)로 멀티채널을 형성한 다음 외부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때,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가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지 못하는 것을 대신에 릴레이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서브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가 IP패킷으로써 외부 네트워크에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달되기 위해서, 각 멀티채널을 형성한 IP카메라(200)로부터 수집된 각각의 IP패킷을 하나의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서 발생하는 IP패킷으로 변환한 다음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및 사용자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IP카메라 제어부(164)는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161)에 등록된 조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서 제공된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IP카메라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에는 각 IP카메라의 줌, 포커스, 팬, 틸트를 포함하여, 영상의 화질, 해상도, 압축률, 부호화 모드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제어에는 위에서 열거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격에서 IP카메라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즉, 멀티채널을 지원하기 위한 각 IP카메라 간의 상대적인 압축, 부호화, 패킷전송과 관련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웹서버(165)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편리하게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웹서버를 통해서 사용자는 손쉽게 인터넷으로 멀티채널의 영상 데이터를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환경과 조건하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161)를 통해서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상기 IP카메라의 목록과 각 IP카메라의 감시조건을 설정하며, 상기 목록과 감시조건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 생성부(162)를 통해서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조건은,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 대한 영상품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HDD, SSD, CDROM 또는 USB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저장매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의 로컬에 접속되거나 혹은 클라우드 상에 접속되어도 무관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IP카메라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테이블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에서 IP카메라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채널 등록부(161)에서 등록하고 관리하는 테이블은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한 제1 IP카메라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워크에 위치한 제2 IP카메라, 제3 IP카메라, 제4 IP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사에 있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공장이나 지사에 있는 제2 내지 제4 IP카메라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네트워크 또는 외부 네트워크에 있는 IP카메라(200)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관련 정보를 등록함으로써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및 사용자 단말기(500)는 서로 물리적 공간상에서 떨어져 있는 IP카메라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이나 스트림을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다.
등록 가능한 IP카메라와 관련된 정보는 IP주소, 위치, 채널ID, 다양한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는 단지 예시에 불과하고,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등록하고자 하는 정보와 취지가 동일하다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IP주소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정보로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개별 IP카메라(200)와 네트워크(400)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며, IP카메라에 영상 데이터를 요청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별 IP주소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직접적으로 접속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IP주소가 공유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IP주소는 각 IP카메라의 식별번호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개별 IP카메라(200)의 IP주소는 고정된(fixed) IP가 아닌 동적(dynamic) IP일 수 있으며, 동적 IP인 경우에는 각 IP카메라(200)의 IP주소는 주기적으로 갱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상기 IP카메라의 등록 테이블은 갱신되어야 한다. 이러한 IP카메라의 등록 테이블을 통해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 및 사용자 단말기(500)가 IP카메라(200)의 직접적인 접속이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개별 IP카메라(200)를 통합적으로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해상도는 해당 IP카메라가 제공할 타겟 해상도이며, 이는 해당 IP카메라의 카메라의 해상도가 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상기 해상도 정보를 지정하게 되면, 타겟 해상도에 맞추어 업샘플링되거나 다움샘플링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상기 해상도는 영상의 품질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IP카메라가 제공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의 해상도(품질) 등의 정보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가 원하는 영상의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가 제공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고려하여 IP카메라의 영상 품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IP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IP카메라의 위치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을 획득하여 영상감시를 수행하고자 하는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고 동시에 사용자가 자신만 알아볼 수 있도록 닉네임을 정하여 지정할 수 도 있다.
상기 채널ID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 및 각 개별 카메라(200)를 구분하기 위한 지시자이다.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로 송신하는 영상 데이터의 패킷에 상기 채널ID를 실어 IP카메라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며, IP카메라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데 있어 킷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위치, 채널ID 등은 닉네임으로 지정하여 사용자가 인식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닉네임은 사용자만 인식할 수 있는 넘버링이나 이름을 부가하여 보안을 더욱 강화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되는 사용자 권한에 따른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도 5에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에서 사용자 권한에 따른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 뿐만 아니라 모든 IP카메라(200)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지만, 일반 사용자는 자신과 관련된 구역에 대해서만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도 5에 나타난 사용자의 경우에는 도 4에서 등록된 IP카메라 중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제1 IP카메라, 제3 IP카메라, 제4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만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허용된 IP카메라 중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을 선택하여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별로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은 도 5와 같이 각 사용자별 제공 가능한 IP카메라에 대한 채널ID, 위치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가 네트워크(400)를 통해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접속 시 상기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제공받아 원하는 채널을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즉,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상기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 중 실제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으로 사용자 단말장치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별 IP카메라(200)에 대한 직접적인 영상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게 IP카메라(200)의 IP주소를 공유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는 자신이 획득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선택하고 그 정보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송신한다, 이 선택된 목록을 수신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선택된 IP카메라들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멀티채널을 형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 도 5에 나타난 사용자의 경우에는 제공 가능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제1 IP카메라, 제3 IP카메라, 제4 IP카메라 중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제3 IP카메라, 제4 IP카메라를 선택하였으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서는 해당 영상 데이터들을 멀티채널로 전송받게 된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멀티채널 생성부(162)는 사용자가 선택한 IP카메라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IP패킷을 수신한다.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서 선택된 IP카메라(200)로부터 수신한 패킷에는 IP카메라(200)의 IP주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멀티채널 생성부(16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해당 IP카메라(200)의 IP주소와 같은 직접적인 정보 대신에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200)에 등록된 닉네임이나 채널ID를 대체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에 대해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한다. 즉, 특정 영상 데이터가 어느 IP카메라에서 수집된 것인지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채널ID를 부가하여 패킷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패킷이 어느 IP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인지를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저장부(170)는 멀티채널 생성부(162)에서 형성된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의 패킷을 저장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170)는 IP카메라별로 움직임 리코딩, 이벤트 리코딩, 스케줄 리코딩, 타임랩스 리코딩 등이 가능하다. 특히, 네트워크상에서 전송 장애가 발생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려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에 구비된 스토리지에 각 IP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으로 복구된 다음에 재전송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SD 메모리 카드를 포함하는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저장부는 플래시, HDD, CDROM, USB 등 그 종류와 쓰기/읽기 방식에 제한이 없다.
또한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160)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각 개별 IP카메라(200)의 추가 등록 시 IP카메라(200)의 관련 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채널ID를 부여하고,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게도 채널ID를 부여하며,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멀티채널 등록부(161)를 통해 메모리(140)에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에 대해 프록시 릴레이를 지원하는 과정에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 및 각 개별 IP카메라(200)에 부여한 채널ID를 사용하여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를 형성하여 IP패킷화 한 다음 해당 IP패킷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가 제2 통신부(130)를 통해 접속 시 사용자 권한을 인증하여 사용자 권한에 따른 사용자별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추출하여 이를 제2 통신부(130)를 통해 전달한다. 또는 사용자별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 중 실제 동작 여부 확인을 위해 IP카메라(200)와 제1 통신부(120)를 통해 동작 확인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IP카메라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제1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선택된 IP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의 패킷을 수신 받는다. 상기 수신 받은 영상 데이터 패킷에서 IP카메라(200)의 IP주소 등으로 패킷을 구별하여 멀티채널 생성부(162)가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의 IP주소 등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며, 각 개별 IP카메라별로 부여받은 채널ID를 멀티채널 데이터의 패킷에 부가하여, 새롭게 형성된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 패킷을 제2 통신부(13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이용하여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시스템을 구성하면,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IP카메라, 상기 IP카메라를 추가함에 따라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에 대해 프록시 릴레이를 지원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로부터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IP카메라를 등록하는 것은,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는 물론이고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도 가능하며, 상기 IP카메라의 IP주소,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동작과 이를 이용한 감시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감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추가하고자하는 IP카메라(200)와 관련된 IP주소, 해상도, 위치, 채널ID, 인코딩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IP카메라 등록 테이블에 멀티채널 정보로써 등록한다(S100).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추가하고자 하는 자체 카메라(100) 및 개별 IP카메라(200)의 네트워크 관련 정보인 IP주소와 카메라 영상이 제공할 수 있는 영상품질과 관련되는 해상도를 획득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추가하고자 하는 IP카메라의 위치정보를 등록하고, IP카메라를 구분하기 위해 채널ID를 부여한다.
각 개별 IP카메라(200)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와 동일한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P카메라(210)뿐만 아니라, 다른 서브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P카메라(220, 230)일 수 있다. 한편, IP카메라(200)의 IP주소는 고정된(fixed) IP 또는 동적(dynamic) IP일 수도 있다.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동영상 데이터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접속하게 되며,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사용자 승인을 수행하고 사용자 권한을 확인한다(S200). 이때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 확인 등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거치고 사용자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사용자 권한이 확인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 가능한 IP카메라(채널) 목록을 전송한다(S300).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IP카메라의 범위를 달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권한에 따른 상기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메모리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한다. 한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상기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 중 실제 동작 여부를 확인하여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IP카메라의 IP주소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와 접속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와 상기 개별 IP카메라의 IP주소를 공유하지 아니한다.
상기 인증을 받은 사용자가 상기 제공 가능한 IP카메라 목록을 수신한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를 통해서 자신이 획득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선택하고 그 정보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에 송신하게 되면,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는 상기 선택된 IP카메라 목록에 대한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400). 이때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상기 선택된 IP카메라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영상 데이터 패킷을 수신 받도록 한다.
상기 선택된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외부 네트워크로 프록시 릴레이를 지원하는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를 형성한다(S500).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상기 수신 받은 영상 데이터 패킷에서 IP카메라(200)의 IP주소 등의 패킷을 구별한 후, 개별 IP카메라(200)의 IP주소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의 IP주소 등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며, IP카메라별로 부여받은 채널ID를 멀티채널 데이터의 패킷에 부가하여 멀티채널 데이터를 형성한다(S500).
상기 개별 IP카메라(200)로부터 수신된 패킷에는 각 IP카메라(200)의 IP주소 등이 포함되어 있는 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해당 IP카메라의 IP주소 대신에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IP주소로 대체함으로써 영상 데이터에 대해 프록시 릴레이를 수행하며(S600), 해당 영상 데이터가 어느 IP카메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채널ID를 부가하여 멀티채널 패킷을 생성한다(S500).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상기 멀티채널 데이터 패킷을 릴레이한다(S600). 이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IP카메라(채널)에 대해서 영상감시를 수행한다(S700).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새롭게 형성된 멀티채널 영상 데이터를 패킷의 형태로 네트워크(400)를 통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에 전송한다.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가 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고려하여 IP카메라들의 영상품질(해상도, 프레임레이트, 전송속도, 압축률 등)을 제어할 수 있다. IP카메라들의 영상품질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대상 IP카메라에게 영상품질을 제어하는 명령을 전송하여 대상 IP카메라의 영상품질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100)는 형성된 멀티채널 데이터 패킷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IP카메라별로 움직임 리코딩, 이벤트 리코딩, 스케줄 리코딩, 타임랩스 리코딩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리코딩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특히, 네트워크상에서 전송 장애가 발생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0)나 사용자 단말기(50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어려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장치에 구비된 스토리지에 각 IP카메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네트워크 상태가 정상으로 복구된 다음에 재전송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따르면,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IP카메라의 영상 데이터를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된 IP카메라에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를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등록시키기만 하면 물리적 공간상에서 떨어져 있는 IP카메라에 대해서도 멀티채널을 구성하여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각 IP카메라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 인해서 각 IP카메라의 추가 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멀티채널 등록정보의 갱신만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추가된 IP카메라 목록을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IP카메라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장치나 클라이언트 단말장치가 가능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고려하여 IP카메라의 영상품질을 제어하고, IP카메라의 동영상이 지연되는 경우 해당 IP카메라 영상을 저장하였다가 재전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카메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200, 210, 220, 230 : IP카메라
300 : 클라이언트 단말기 400 : 네트워크
500 : 사용자 단말기 110 : 카메라 영상처리부
120 : 제 1 통신부 130 : 제 2 통신부
140 : 메모리 150 : 데이터베이스(DB)
160 : 멀티채널 프록시 릴레이 170 : 저장부
161 : 멀티채널 등록부 162 : 멀티채널 생성부
163 : 프록시 릴레이부 164 : IP카메라 제어부
165 : 웹서버

Claims (2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등록하는 멀티채널 등록부;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와 상기 등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포함하여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멀티채널 생성부; 및
    멀티채널을 구성한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와 상기 등록한 IP 카메라에서 생성된 영상, 음향,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릴레이하는 프록시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에서 등록하는 IP카메라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로 접속된 IP카메라,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생성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멀티채널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서 생성된 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IP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는,
    상기 IP카메라의 IP주소,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에 등록된 조건,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된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IP카메라를 제어하는 IP카메라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멀티채널 등록부를 통해서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상기 IP카메라의 목록과 각 IP카메라의 감시조건을 설정하며,
    상기 목록과 감시조건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 생성부를 통해서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감시조건은,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 대한 감시 데이터의 품질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매체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HDD, SSD, CDROM 또는 US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
    상기 IP카메라를 추가하여 등록함에 따라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멀티채널 영상, 음향,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를 대해 프록시 릴레이를 지원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외부 네트워크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로부터 멀티채널 감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등록하는 상기 IP카메라는,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로 접속된 IP카메라,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IP카메라의 IP주소,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시스템.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멀티채널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서 생성된 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IP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채널로 등록된 조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된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IP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접속하기 위한 웹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시스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상기 IP카메라의 목록과 각 IP카메라의 감시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목록과 감시조건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 대한 감시 데이터의 품질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시스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매체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HDD, SSD, CDROM 또는 US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시스템.
  16.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카메라를 추가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등록한 IP카메라를 기반으로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구성된 멀티채널의 영상, 음향,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감시 데이터에 대해 프록시 릴레이를 지원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에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를 제어하거나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로부터 상기 멀티채널의 감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등록하는 상기 IP카메라는,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의 서브 네트워크로 접속된 IP카메라,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IP카메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IP카메라의 IP주소, 상기 감시 데이터의 처리 조건,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IP카메라 관련 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서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미리 설정된 멀티채널 설정조건에 기반하여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서 생성된 감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IP 패킷을 구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채널로 등록된 조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공된 조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해당 IP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방법.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에 IP주소나 URL을 통해서 접속할 수 있고,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상기 감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저장매체는, SD(Secure Digital) 메모리 카드, HDD, SSD, CDROM 또는 US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방법.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는, 사용자 권한에 따라 제공 가능한 상기 IP카메라의 목록과 각 IP카메라의 감시조건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목록과 감시조건에 따라 상기 멀티채널을 구성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등록된 IP카메라에 대한 감시 데이터의 품질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채널 프록시 기반 감시 방법.
KR1020170031951A 2017-03-14 2017-03-14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90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51A KR101902323B1 (ko) 2017-03-14 2017-03-14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951A KR101902323B1 (ko) 2017-03-14 2017-03-14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68A KR20180104968A (ko) 2018-09-27
KR101902323B1 true KR101902323B1 (ko) 2018-09-28

Family

ID=6371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951A KR101902323B1 (ko) 2017-03-14 2017-03-14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3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465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위트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및 그의 영상 표출 방법
KR20230144335A (ko) 2022-04-07 2023-10-16 주식회사 위트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KR20240043221A (ko) 2022-09-26 2024-04-03 주식회사 이안플래닛 후불 결제 방식이 적용된 IoT 스마트 밴딩머신 및 이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40043220A (ko) 2022-09-26 2024-04-03 주식회사 이안플래닛 의료진과의 원격 상담이 가능한 IoT 스마트 밴딩머신 및 이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9703A1 (ko) * 2019-09-11 2021-03-18 (주)씨프로 클라이언트 카메라가 서버 카메라를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251777B1 (ko) * 2020-09-11 2021-05-13 주식회사 세연테크 프록시 기능을 지원하는 지능형 영상 감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6600005B (zh) * 2023-04-27 2024-03-29 北京中科通量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无感接入监控设备的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023B1 (ko) * 2004-11-24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통신 방법
WO2012011449A1 (ja) * 2010-07-20 2012-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キシサーバ、中継方法、通信システム、中継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205427B1 (ko) * 2012-05-03 2012-11-27 주식회사 윈포넷 라우터 일체형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023B1 (ko) * 2004-11-24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데이터 통신 방법
WO2012011449A1 (ja) * 2010-07-20 2012-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キシサーバ、中継方法、通信システム、中継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205427B1 (ko) * 2012-05-03 2012-11-27 주식회사 윈포넷 라우터 일체형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2465A (ko)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위트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및 그의 영상 표출 방법
KR20230144335A (ko) 2022-04-07 2023-10-16 주식회사 위트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KR20240043221A (ko) 2022-09-26 2024-04-03 주식회사 이안플래닛 후불 결제 방식이 적용된 IoT 스마트 밴딩머신 및 이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KR20240043220A (ko) 2022-09-26 2024-04-03 주식회사 이안플래닛 의료진과의 원격 상담이 가능한 IoT 스마트 밴딩머신 및 이를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968A (ko)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323B1 (ko)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US8711197B2 (en) Surveill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mesh network
US7450638B2 (en) Power-line communication based surveillance system
US20100097473A1 (en) Device for connecting video cameras to networks and clients
EP2498493A1 (en) Video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60167B1 (ko) 다채널 영상 분배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KR101205427B1 (ko) 라우터 일체형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US20130198829A1 (en) System to retrieve and distribute images in real time
KR101904050B1 (ko) 프록시 a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961258B1 (ko) 다채널 네트워크 카메라 감시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KR10173833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이용한 cctv 보안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07181143A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2007325109A (ja) 配信サーバ、ネットワークカメラ、配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11229B1 (ko) 사용자 요청에 의한 cctv 카메라의 선택적 원격 제어, 동적 그룹화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85254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サーバ及び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336636B1 (ko) Ip 카메라와 아날로그 동축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 및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에서 실행되는 자동 ip 어드레스 할당 방법
KR101392126B1 (ko) 디브이알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451115B1 (ko)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영상감시장치
KR1007570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모바일 서버 장치와, 이를 적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원격 감시 방법
JP2006238017A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制御装置
KR10104568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관리 장치와 그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457473B1 (ko) 건물 종합 관리 시스템
KR101667288B1 (ko) 댁내에서의 cctv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178889B1 (ko) 무선랜 통신기능을 구비한 감시장치, 셋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4062B1 (ko) 인터넷 및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ip 카메라 접속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