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4335A -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 Google Patents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4335A
KR20230144335A KR1020220043468A KR20220043468A KR20230144335A KR 20230144335 A KR20230144335 A KR 20230144335A KR 1020220043468 A KR1020220043468 A KR 1020220043468A KR 20220043468 A KR20220043468 A KR 20220043468A KR 20230144335 A KR20230144335 A KR 20230144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camera
imag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트콘
이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트콘, 이황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트콘
Priority to KR102022004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4335A/ko
Publication of KR20230144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4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서로 다른 용도를 갖는 적어도 2 개의 카메라 모듈들을 구비한다.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모듈들에 대응하여 적어도 3개의 코덱을 구비한다. 제1 코덱은 제1 카메라 모듈의 영상 데이터를 원본 영상으로 저장하도록 변환하고, 제2 코덱은 제2 카메라 모듈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결합하고, 제3 코덱은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화면에 표출하도록 결합한다.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망에 연결되고, 제1 내지 제3 코덱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여 상황실, 관제 센터 등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용도의 영상을 획득 및 통합하여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영상들의 모니터링이 쉽고, 기존의 IP 카메라들 각각이 서로 다른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CCTV 시스템에 비해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ALL-IN-ONE ARTIFICIAL INTELLIGENCE CAMERA APPARATUS AND CCTV SYSTEM WITH ITS}
본 발명은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과 복수 개의 코덱을 구비하고,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용도에 따라 코덱들 각각으로 변환하여 하나의 데이터 패킷으로 통합 생성하고, 이를 상황실, 관제 센터 등으로 전송하는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넓은 대역폭이 소요되는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는 기술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영상 보안 감시 분야에서 범죄를 예방하거나 설치 장소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실이나 상황실 등으로 전송하여 모니터링 및 저장 관리하는 CCTV 시스템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CCTV 시스템은 예를 들어, 산업용, 교육용, 의료용, 교통 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 정보 전달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CCTV 시스템은 대부분이 CCTV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 및 전송하여 설치 장소를 감시하거나 모니터링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기존의 CCTV 시스템은 감시자가 직접 영상을 확인해야만 하기 때문에, 화재, 인명 사고 등의 사건 사고나 위급 상황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실시간으로 확인이 어려워 사후에 녹화된 영상을 증거 자료로 활용하는 등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CCTV 카메라가 이벤트 발생 시, 이를 인식하고,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관제 센터 등으로 이벤트 영상을 전송하는 지능형의 카메라들로 점차 구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정확한 이벤트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고해상도의 이벤트 영상을 전송해야 하고, 이벤트 발생에 따른 객체의 움직임을 실시간 감지해야 하므로, 고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해야만 가능하다.
이를 위해 기존의 CCTV 시스템은 하나의 카메라에 대응하여 하나의 IP 주소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통신망에 연결되고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관제 센터 등으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하고, 동시에 영상 녹화 장치 등에 저장 및 관리한다. 이러한 CCTV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성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점차 IP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 단에서 IP 패킷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상으로 전송하는 IP 카메라 기반의 CCTV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 경우에도 IP 카메라는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망에 연결되고, 관제 센터나 상황실 등에서 IP 카메라와 접속하여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므로 복수 개의 IP 카메라를 이용하는 CCTV 시스템에서, 하나의 IP 카메라에 대해 하나의 IP 주소를 부여받아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짐에 따라 통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는 다양한 목적으로 다양한 장소에 많은 IP 카메라들을 설치 운용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IP 카메라는 이동 통신사와의 계약에 의해 사용 가능한 전용 통신망을 이용하여 관제 센터 등과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용 통신망은 이벤트 영상의 용량이 큼에 따라 데이터 전송량이 증가되므로, 고비용의 통신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방범, 보안 및 감시 등의 다양한 용도에 따라 CCTV 시스템들이 용도별로 각각 구축되거나, 하나의 CCTV 시스템에 서로 다른 용도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복수 개의 IP 카메라들을 구비함에 따라 시스템 구축 비용과 통신 비용이 증가되어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6707호(공고일 2013년 11월 08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0950호(공고일 2018년 12월 20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4631호(공고일 2017년 08월 03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02323호(공고일 2018년 09월 28일)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들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하나의 IP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용도의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들을 하나의 화면에 표출시키기 위한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코덱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의 영상을 용도에 따라 데이터 변환하여 전송하는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하나의 몸체에 서로 다른 용도의 영상을 획득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과 복수 개의 코덱을 구비하는 올인원 형태로 구비되고,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관제 센터, 상황실 등의 관제 시스템으로 용도에 따른 영상을 하나로 통합하여 전송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서로 다른 용도의 영상을 획득 및 통합하여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영상들의 모니터링이 쉽고,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설치 장소의 일정 영역에 대한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 모듈;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설치 장소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원본 영상으로 압축 변환하는 제1 코덱;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스넵 영상을 추출 및 분석하고 이벤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결합하여 압축 변환하는 제2 코덱;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출되도록 통합하여 라이브 영상으로 압축 변환하는 제3 코덱;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망에 연결되는 통신부; 및 하나의 IP 주소를 통해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들 각각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코덱으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 패킷으로 통합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코덱들 각각으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들 각각이 전달될 주소와 전송 순서가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한 원본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에 의한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 그리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들의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가 상기 하나의 화면에 표출되게 통합된 라이브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 및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3 코덱은,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상기 하나의 화면에서 오버레이 영상으로 표출되게 변환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화면으로 표출되게 변환하거나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화면으로 표출되게 변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과 복수 개의 코덱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나 목적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 및 가공하고, 이를 통해 원본 영상을 저장, 관리하도록 하고, 이벤트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하나의 화면에 통합된 영상을 표출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므로, 기존의 IP 카메라들 각각이 서로 다른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CCTV 시스템에 비해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다양한 용도의 영상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하나의 화면에 통합된 영상을 라이브 영상으로 표출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상황 및 이벤트 발생 여부 등을 한눈에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복수 개의 코덱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별도의 가공없이 원본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비하여 사후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인식된 객체의 이벤트 상황에 대한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벤트 정보를 관련 기관에 전파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과 복수 개의 코덱을 이용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방범, 주변 상황 감시, 교통 흐름 모니터링 등의 기타 목적용과, 인공지능 기반의 객체 인식을 통한 단속용, 이벤트용 등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용도를 위한 CCTV 시스템 구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로부터 하나의 IP를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시스템의 영상 표출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하나의 몸체에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는 올인원 형태로 구비되고,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이용하여 관제 센터, 상황실 등의 관제 시스템과 연결되어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복수 개의 코덱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들을 하나로 통합된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여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또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고, 복수 개의 코덱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본 영상, 이벤트 영상 및 통합 라이브 영상으로 각각 압축 변환하고, 이를 하나로 통합된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여 관제 시스템으로 하나의 IP 주소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는 복수 개의 카메라 모듈과 복수 개의 코덱을 이용하여 다양한 용도나 목적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 및 가공하고, 이를 통해 원본 영상을 저장, 관리하도록 하고, 이벤트 발생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하나의 화면에 통합된 영상을 표출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고,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 가능하므로, 기존의 IP 카메라들 각각이 서로 다른 IP 주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CCTV 시스템에 비해 통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로부터 하나의 IP를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그리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CCTV 시스템(2)은 통신망(10)을 통해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올인원 인공지능(AI) 카메라 장치(100)들 각각이 하나의 인터넷 고유 주소 즉, IP 주소를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200)과 연결된다.
통신망(10)은 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망 등의 전용 통신망으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올인원 인공지능(AI) 카메라 장치(100)들 각각과 관제 시스템(200) 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는 하나의 인터넷 고유 주소를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200)과 연결된다. 올인원 인공지능(AI) 카메라 장치(100)는 하나의 몸체에 서로 다른 용도를 위한 영상을 각각 획득하는 적어도 2개의 카메라 모듈(110, 120)들을 구비하고, 하나의 인터넷 고유 주소 즉, IP 주소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10, 120)들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는 카메라 모듈(110, 120)들에 대응하여 적어도 3개의 코덱(130 ~ 150)들을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10, 120)들 각각의 영상을 용도에 맞게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여 하나의 IP 주소를 통해 관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이 때, 코덱(130 ~ 150)들 각각은 원본 영상을 저장하거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영상과 데이터 즉,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또한 설치 장소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통합된 하나의 영상을 생성한다. 이에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는 코덱(130 ~ 150)들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여 관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는 복수 개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다기능의 CCTV 시스템(2)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 제1 내지 제3 코덱(130 ~ 150), 통신부(17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70)는 통신망(10)을 통해 관제 시스템(200)과 연결된다. 통신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아서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200)과 상호 데이터 통신을 처리한다.
제1 카메라 모듈(110)은 예컨대, 설치 장소에 대한 방범, 주변 상황 감시, 교통 흐름 모니터링 등의 기타 목적용으로 사용된다. 즉, 제1 카메라 모듈(110)은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통해 설치 장소의 방범 및 감시를 위한 상황을 모니터링하도록 구비한다. 제1 카메라 모듈(110)은 설치 장소에 대한 일정 영역을 촬영 범위로 하여 설치 장소의 전체 영역에 대한 영상을 획득한다. 이러한 제1 카메라 모듈(110)은 관제 시스템(200)에서 별도의 가공없이 원본 영상을 저장하도록 구비하여 사후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예컨대, 인공지능 기반의 객체를 인식하는 지능형의 카메라로 구비되어 목적에 따른 단속용, 이벤트용 등으로 사용된다.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줌(zoom) 기능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주차 단속, 교통 위반 통제 등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객체를 인식한다. 즉,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이벤트 발생된 객체가 차량인 경우, 예를 들어, 차량 종류 판별, 차량 댓수 카운팅, 차량 번호판 등을 인식하거나, 이벤트 발생된 객체가 사람인 경우, 예를 들어, 사람, 상하의 색상, 가방 착용 여부 등을 분석 및 인식하여 범법자나 실종자 등을 추적하는데 활용하거나, 이벤트 상황에 따른 사람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이벤트 발생에 따른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제2 카메라 모듈(120)은 이벤트 발생에 따른 영상을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로 생성하여 데이터의 용량을 줄여서 관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들 각각은 제어부(160)의 제어를 받아서 설치 장소의 영상과 이벤트 발생에 따른 영상을 각각 획득한다.
제1 코덱(130)은 제1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아서 설치 장소의 일정 영역에 대한 전체 영상을 원본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가공없이 압축 변환한다.
제2 코덱(140)은 제2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아서 설치 장소의 특정 위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에 따른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의 이벤트 상황에 대한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추출 및 생성하고,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결합하여 압축 변환한다.
제3 코덱(150)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들을 입력받아서 설치 장소에 대한 상황을 하나의 화면에 표출되도록 통합하여 라이브 영상으로 압축 변환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코덱(130 ~ 150)들 각각은 제어부(160)와 독립적인 하드웨어 코덱으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코덱 프로그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예를 들어, 컨트롤러, 프로세서, 프로그램어블 로직 컨트롤러(PLC),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등으로 구비되어,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 제1 내지 제3 코덱(130 ~ 150) 그리고 통신부(170)들 각각의 기능이 상호 유기적으로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설치 장소에 대한 영상을 각각 획득하도록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원본 영상,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 그리고 하나의 화면으로 통합된 라이브 영상 각각으로 압축 변환하도록 제1 내지 제3 코덱(130 ~ 150)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2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3 코덱(130 ~ 150)들 각각으로부터 원본 영상,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 그리고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하나의 데이터 패킷(180)으로 통합하여 생성한다.
이 때, 데이터 패킷(1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182)와 데이터(184)로 구성되며, 헤더(182)는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 각각으로부터 전달될 주소와 순서를 포함한다. 즉, 헤더(182)에는 제1 내지 제3 코덱(130 ~ 150)들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들 각각이 전달될 주소들 즉, 각각의 소스 주소(S1 ~ S3)와 대상 주소(D1 ~ D3), 데이터 전송 순서가 포함된다. 또 데이터(184)는 데이터 전송 순서에 따라 해당 데이터(DATA1 ~ DATA3)가 포함된다. 즉, 데이터(184)에는 제1 카메라 모듈(110)에 의한 동영상 데이터(DATA1), 제2 카메라 모듈(120)에 의한 스넵 이미지와 메타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DATA2), 그리고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들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표출되게 통합된 라이브 영상 데이터(DATA3)를 포함하여 생성된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180)은 하나의 IP 주소를 통해 통신망(10)에 연결되어 관제 시스템(200)의 스위치(210)의 TCP 계층부에서 원래 파일로 재조립하여 제1 카메라 모듈(110)의 동영상, 제2 카메라 모듈(120)의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 그리고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들의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각각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들을 해당 기능의 서버나 장치(220 ~ 260)로 전달된다.
제어부(160)는 생성된 데이터 패킷(180)을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그리고 관제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CCTV 시스템(2)의 관제 센터, 상황실 등에 구비되고, 통신망(10)을 통하여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들 각각과 연결된다. 관제 시스템(200)은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 패킷(180)을 재조립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나의 화면에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표출하고, 원본 영상을 저장 및 관리한다. 또 관제 시스템(200)은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이벤트 정보(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 장소, 위치, 시간, 이벤트 객체, 이벤트 내역 등)를 추출하고, 이벤트와의 관련 기관(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 경찰서 등)으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또 관제 시스템(200)은 저장된 영상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통해 원하는 영상을 예를 들어, 장소별, 일자별, 시간별, 이벤트별 등으로 다양한 방식이나 형태로 검색, 추출 및 확인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제 시스템(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10), 모니터링 서버(220), 영상 녹화 장치(230), 영상 분석 서버(240), 검색 서버(250) 및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60)를 포함한다.
스위치(21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 스위칭 허브 등으로 구비되고, 통신망(10)을 통하여 복수 개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들 각각으로부터 데이터 패킷(180)을 전송받는다. 스위치(210)는 전송된 데이터 패킷(180)을 재조립하여 용도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모니터링 서버(220), 영상 녹화 장치(230), 영상 분석 서버(240) 및 검색 서버(250) 각각으로 제공한다.
모니터링 서버(220)는 스위치(210)로부터 전송된 제1 카메라 모듈(110)의 영상과 제2 카메라 모듈(120)의 영상이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260)로 출력하여 하나의 화면에 표출시킨다. 이 때, 모니터링 서버(220)는 관제 센터나 상황실 등의 운영에 적합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260)에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표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60)는 복수 개의 화면을 출력하는 대형 멀티비젼 모니터 등으로 구비되고, 각각의 화면에 대응하여 하나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의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표출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26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된 라이브 영상 즉,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들로부터 획득된 영상(262, 264)을 하나의 화면에 오버레이 영상(260a)으로 표출하거나, 두개의 영상(262a, 264a)이 좌우 방향의 화면(260b) 또는 두개의 영상(262b, 264b)이 상하 방향의 화면(260c)으로 배열되게 표출한다.
영상 녹화 장치(230)는 예를 들어,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 DVR), 네트워크 영상 녹화기(Network Video Recorder : NVR) 등으로 구비되고, 스위치(210)로부터 전송된 원본 영상을 저장, 관리한다. 영상 녹화 장치(230)는 저장된 영상을 영상 분석 서버(240)와 검색 서버(250) 각각으로 분석 및 검색 가능하게 제공한다. 이 때, 영상 녹화 장치(230)는 저장된 영상을 통해 사후에 증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목적에 따른 원본 상태의 영상으로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영상 분석 서버(240)는 스위치(210)로부터 전송된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영상 녹화 장치(230)에 저장된 영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벤트 발생에 따른 객체 예를 들어, 차량, 차량 번호, 사람 등을 인식한다. 영상 분석 서버(240)는 인식된 객체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관련 기관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검색 서버(250)는 영상 녹화 장치(230)에 저장된 영상을 검색하여 원하는 영상, 이벤트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영상 분석 서버(240)와 검색 서버(250) 각각은 이벤트 발생에 따른 메타 데이터를 활용하여 영상을 분석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60)를 통해 이벤트 발생 리스트, 이벤트 단속, 이벤트 확인, 상황 모니터링, 검색 등의 용도에 따라 활용하는 대시 보드 등의 형태로 화면을 표출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제 시스템(200)은 서로 다른 장소에 설치된 복수 개의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들 각각으로부터 다양한 용도의 영상들이 통합된 데이터 패킷(180)을 하나의 IP 주소를 통해 전송받아서 모니터링 화면에 통합 표출하고, 이를 통해 동시에 설치 장소에 대한 상황 모니터링과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CTV 시스템의 영상 표출 수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와 관제 시스템(200)이 포함된 CCTV 시스템(2)의 구성에 의해 처리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CCTV 시스템(2)은 단계 S300에서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가 하나의 IP 주소로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들을 제어하고, 단계 S310에서 제1 카메라 모듈(110)로 설치 장소에 대한 전체 영상 즉, 제1 영상을 획득하고, 제2 카메라 모듈(120)로 설치 장소에서의 이벤트 영상 즉, 제2 영상을 획득한다.
단계 S320에서 제1 및 제2 영상을 제1 내지 제3 코덱(130 ~ 150)들 각각으로 용도에 따른 영상들로 압축 변환한다. 이 때, 제1 코덱(130)은 제1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아서 설치 장소의 일정 영역에 대한 전체 영상을 원본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가공없이 압축 변환하고, 제2 코덱(140)은 제2 카메라 모듈(120)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입력받아서 설치 장소의 특정 위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에 따른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의 이벤트 상황에 대한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추출 및 생성하고, 생성된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결합하여 압축 변환한다. 그리고 제3 코덱(150)은 제1 및 제2 카메라 모듈(110, 120)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영상들을 입력받아서 설치 장소에 대한 상황을 하나의 화면에 표출되도록 통합하여 라이브 영상으로 압축 변환한다.
단계 S330에서 제1 내지 제3 코덱(130 ~ 150)들 각각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 패킷(180)으로 통합하여 생성하고, 이를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관제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 단계 S340에서 관제 시스템(200)은 스위치를 통해 데이터 패킷(180)을 받아서 재조립하여 용도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관련 서버(220, 240, 250)와 장치(230, 260)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350에서 관제 시스템(200)은 복수의 설치 장소에 대해 실시간 모니터링하도록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100)들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의 화면에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표출하고, 원본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 상황을 인식하며, 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 CCTV 시스템
100 :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110, 120 : 카메라 모듈
130 ~ 150 : 코덱
160 : 제어부
170 : 통신부
180 : 데이터 패킷
200 : 관제 시스템
210 : 스위치
220 : 모니터링 서버
230 : 영상 녹화 장치
240 : 영상 분석 서버
250 : 검색 서버
260 :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3)

  1.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에 있어서:
    설치 장소의 일정 영역에 대한 제1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 모듈;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객체를 인식하여 상기 설치 장소에서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 모듈;
    상기 제1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제1 영상 데이터를 원본 영상으로 압축 변환하는 제1 코덱;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제2 영상 데이터로부터 이벤트 발생에 따른 스넵 영상을 추출 및 분석하고 이벤트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여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를 결합하여 압축 변환하는 제2 코덱;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들 각각으로부터 획득된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에 대응하는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출되도록 통합하여 라이브 영상으로 압축 변환하는 제3 코덱;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통신망에 연결되는 통신부; 및
    하나의 IP 주소를 통해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들 각각을 제어하고,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코덱으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들을 하나의 데이터 패킷으로 통합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하나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코덱들 각각으로부터 변환된 데이터들 각각이 전달될 주소와 전송 순서가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의 데이터에 상기 제1 카메라 모듈에 의한 원본 영상 데이터, 상기 제2 카메라 모듈에 의한 스넵 영상과 메타 데이터가 결합된 데이터, 그리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카메라 모듈들의 제1 및 제2 영상 데이터가 상기 하나의 화면에 표출되게 통합된 라이브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생성 및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코덱은,
    통합된 라이브 영상을 상기 하나의 화면에서 오버레이 영상으로 표출되게 변환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화면으로 표출되게 변환하거나 또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화면으로 표출되게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KR1020220043468A 2022-04-07 2022-04-07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KR20230144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468A KR20230144335A (ko) 2022-04-07 2022-04-07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3468A KR20230144335A (ko) 2022-04-07 2022-04-07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4335A true KR20230144335A (ko) 2023-10-16

Family

ID=88506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468A KR20230144335A (ko) 2022-04-07 2022-04-07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433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07B1 (ko) 2012-05-09 2013-11-08 박찬덕 방범 및 차량번호인식 일체형 카메라 시스템
KR101764631B1 (ko) 2017-04-06 2017-08-03 블랙썬 주식회사 올인원 영상감시 카메라시스템
KR101902323B1 (ko) 2017-03-14 2018-09-28 주식회사 세연테크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930950B1 (ko) 2018-08-27 2018-12-20 주식회사 세오 네트워크 스위치 기반의 ip 카메라 실시간 암호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707B1 (ko) 2012-05-09 2013-11-08 박찬덕 방범 및 차량번호인식 일체형 카메라 시스템
KR101902323B1 (ko) 2017-03-14 2018-09-28 주식회사 세연테크 멀티채널 프록시 i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764631B1 (ko) 2017-04-06 2017-08-03 블랙썬 주식회사 올인원 영상감시 카메라시스템
KR101930950B1 (ko) 2018-08-27 2018-12-20 주식회사 세오 네트워크 스위치 기반의 ip 카메라 실시간 암호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5748A1 (en) Automated camera response in a surveillance architecture
KR101671783B1 (ko) 통합경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0266B1 (ko) 카메라간 협업을 이용한 영상 감시 카메라 및 방법
US76335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calable multi-camera distributed video processing and visualization surveillance system
EP2283472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surveillance
KR101133924B1 (ko) 행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능동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720029B (zh) 网络智能视频监控方法及系统
US20070268367A1 (en) Video Surveillance With Satellite Communication Access
KR101016530B1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CN203192192U (zh) 基于物联网技术的校园安防系统
CN103021146A (zh) 报警终端
KR101005568B1 (ko) 지능형 방범 시스템
CN108345829A (zh) 远程监控街面巡逻现场的装置
KR101291000B1 (ko) 고해상도 카메라 기반의 지역분산형 통합관제시스템
WO2022121196A1 (zh) 一种可伸缩视觉计算系统
KR101422205B1 (ko) 다목적 cctv 카메라 시스템과 그의 활용방법
KR20230144335A (ko)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KR20030042528A (ko) 원격지 백업기능을 갖는 디브이알 시스템
KR20230112465A (ko) 올인원 인공지능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는 cctv 시스템 및 그의 영상 표출 방법
WO2013094405A1 (ja) 監視システム
KR101934534B1 (ko) 카메라의 동작 상태 판단이 가능한 ip 감시 카메라
KR101714130B1 (ko) 실시간 사건 사고 동영상 촬영 시스템
KR101036459B1 (ko) 도시 통합 관제시스템
KR101383583B1 (ko) 사건 현장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 원격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원격 감시 구현 방법
KR101870900B1 (ko) 다목적 감시 이원화 시스템의 통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