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531B1 -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 Google Patents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531B1
KR100908531B1 KR1020080000755A KR20080000755A KR100908531B1 KR 100908531 B1 KR100908531 B1 KR 100908531B1 KR 1020080000755 A KR1020080000755 A KR 1020080000755A KR 20080000755 A KR20080000755 A KR 20080000755A KR 100908531 B1 KR100908531 B1 KR 10090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duct
bus
condens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009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덴소풍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소풍성(주) filed Critical 덴소풍성(주)
Priority to KR102008000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531B1/ko
Publication of KR2009007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에 형성된 흡기공과 연통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덕트가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며, 이러한 덕트에 응축기와 응축팬이 함께 지지되는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스의 지붕에 구비되어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공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흡기공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외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응축기와, 상기 덕트에 안착되어 상기 응축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응축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의 응축유닛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며, 응축기 및 응축팬의 장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버스, 에어컨, 케이스, 흡기공, 응축팬, 응축기

Description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A condensing unit of air conditioner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형성된 흡기공과 연통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덕트가 구비되며, 이러한 덕트에 응축기와 응축팬이 함께 지지되는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자동차인 버스의 냉방장치는 지붕에 장착되어 버스의 내부공간을 냉방시키는 것으로, 차량의 지붕을 형성하는 루프패널의 상측에 증발유닛과 응축유닛이 구분되도록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버스의 지붕에 장착되는 버스용 냉방장치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와, 차량내에 설치된 덕트로 저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가 구동되면 상기 응축유닛 내부에 구비되는 휀(Fan)이 작동하면서 응축열을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로 공급되는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해 저온저압으로 감압되어 공급되므로, 상기 증발유닛 내부로 흡인된 공기와 열교환되어 차가운 공기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생성된 차가운 공기는 송풍팬에 의해 상기 덕트로 공급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버스의 실내공간이 쾌적한 상태로 조화된다.
한편, 상기 버스용 냉방장치는 상대적으로 응축유닛이 전방에 위치하고, 증발유닛이 상기 응축유닛의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유닛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의 측면에는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공이 다수개 구비되고, 이러한 흡기공을 통해 상기 응축유닛의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어,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외기의 유입경로인 흡기공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버스의 고속주행시 측면에 형성된 흡기공을 통해 외기가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응축기의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응축기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응축기의 성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버스의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 및 응축팬이 별도의 프레임에 의해 고정되므로 응축기와응축팬을 장착하는데 소요되는 작업공수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의 전면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되는 외기가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구성되는 덕트를 통해 응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안내되도록 하는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기능의 덕트에 상기 응축기가 안착되는 응축기 안착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응축기 안착부의 상측으로 상기 응축팬이 장착되도록 하는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버스의 지붕에 구비되어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공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흡기공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외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상측에 안착되는 응축기와, 상기 덕트에 안착되어 상기 응축기의 상측에 위치하는 응축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버스의 지붕에 구비되어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에 있어서, 상기 버스의 지붕에 장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前面)에 천공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외기가 유입가능하도록 하는 흡기공과,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흡기공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동경로 및 응축기의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덕트 및 상기 응축기의 상측에서 상기 덕트에 의해 지지되는 응축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에는 상기 응축기가 안착되는 응축기 안착부와, 상기 응축팬이 지지되는 응축팬 안착부가 구비되어, 다단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는 상기 응축팬을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응축유닛의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는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각각의 덕트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응축기 지지부는 상기 응축팬 안착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에는 상기 흡기공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응축기의 하측으로 유동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유동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케이스 전면(前面)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되는 외기가 덕트를 통해 응축기로 안내되므로 응축기의 냉각이 보다 원활해 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응축기가 원활하게 냉각됨으로 인하여 응축효율이 상승하게 되며, 이와 같이 응축효율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버스용 냉방장치의 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응축기와 응축팬이 별도의 프레임 없이 상기 덕트에 의해 지지되므로 조립공정이 간소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이 적용된 버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을 이용하는 냉방시스템에서는, 냉방장치(10)가 버스(1)의 지붕 상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장착되는 냉방장치(10)에서는 버스(1)의 후측에 구비되는 엔진실 내부의 압축기(20)를 통해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를 상기 냉방장치(10)의 전측에 구비되는 응축유닛(100)으로 공급하여 상기 응축유닛(100) 내부에 구비되는 응축기(200)에서 응축과정을 통해 액상냉매로 변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변환된 액상냉매는 팽창밸브(미도시)를 통해 감압 되어 저온 저압의 액상냉매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액상냉매는 상기 응축유닛(100) 후측에 구비되는 증발유닛(30)으로 이송되어, 외기 또는 버스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 됨으로써 냉기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냉기는 상기 증발유닛(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미도시)을 통해 다시 버스(1) 내부로 토출되어 내부공간을 쾌적하게 조화시키게 되며, 상기와 같이 버스(1)의 내부공간을 냉방시키기 위하여 열교환 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20)로 이송되어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순환싸이클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 2 의 A-A'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100)은 대략 돔 형상의 케이스(1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이러한 케이스(120) 내부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응축기(200)와, 상기 응축기(200)를 지지하는 덕트(300) 및 상기 덕트(300)에 장착되는 응축팬(400) 등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20)에는 외기가 케이스(12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흡기공(122)이 천공 형성된다.
즉,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20)의 전면(前面) 및 측면(側面)에 다수개의 흡기공(122)이 형성되어, 외기가 케이스(120) 내측으로 전면(前面)에 형성된 흡기공(122)과 측면(側面)에 형성된 흡기공(122)을 통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덕트(300)는 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 FRP)으로 형성되는 사출구조물로, 상기 응축팬(4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다수의 단(段)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300)는 상기 응축팬(400) 방향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段)의 돌출 정도가 커지도록 성형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단(段)에 상기 응축기(200)와 응축팬(400)이 장착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다수의 단(段) 중에서 제일 하측에 위치하는 단(段)은 상기 응축기(200)가 안착되는 응축기 안착부(320)를 형성하고, 상기 응축기 안착부(320)의 상측에 위치하는 단(段)은 상기 응축팬(400)이 안착되는 응축팬 지지부(340)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덕트(300)에 상기 응축기(200)와 상기 응축팬(400)이 장착되면 상기 응축기(200)가 상기 응축팬(40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덕트(300)에는 상기 케이스(120)에 형성된 흡기 공(122)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응축기(200)의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300)의 측면에 천공 형성되는 공기유동공(360)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공기유동공(360)은 상기 응축기 안착부(3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천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20)에 형성된 흡기공(122)을 통해 케이스(120) 내부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덕트(300)의 공기유동공(360)을 통해 덕트(30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외기는 상기 덕트(300)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응축기(20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동된 외기는 상기 응축팬(40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응축기(200)를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팬(400)은 상기와 같이 응축기(200)의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를 상기 케이스(1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강제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덕트(300)에 안착되어 상기 케이스(120)의 상면 중앙에 일렬로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기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기가 적용된 버스(1)에서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20)의 전면(前面)과 측면(側面)에 모두 흡기공(122)이 천공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덕트(300) 내부로 상기 케이스(120)의 전면(前面) 및 측면(側面)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외기는 상기 덕트(300)를 따라 이 동하게 된다.
상기 덕트(300)는 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 FRP)으로 다단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와 같은 단차부에 각각 응축기(200)와 응축팬(400)의 장착공간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덕트(300)를 따라 이동하는 외기는 상기 덕트(300)에 형성된 공기유동공(360)을 통해 상기 덕트(300)에 안착된 응축기(200)의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이동된 외기가 상기 응축기(200)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덕트(300)의 공기유동공(360)이 상기 응축기(200)의 하측에 형성되어 외기가 상기 응축기(200)의 하측으로 원활하게 공급되고, 이와 같이 공급된 외기를 상기 응축기(200)의 상측에서 상기 덕트(300)에 안착 된 응축팬(400)이 상기 케이스(1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응축기(200)의 냉각이 보다 잘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이 적용된 버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의 상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 2 의 A-A'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응축유닛 120..... 케이스
122..... 흡기공 200..... 응축기
300..... 덕트 320..... 응축기 안착부
340..... 응축팬 안착부 360..... 공기유동공
400..... 응축팬

Claims (7)

  1. 외관을 형성하는 돔 형상의 케이스(120)와;
    상기 케이스(120)의 전면(前面) 및 측면(側面)에 각각 형성되어, 외기가 케이스(12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다수의 흡기공(122)과;
    상기 케이스(120) 내부의 중앙부에 일렬로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응축팬(400)과;
    상기 응축팬(4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기공(122)과 연통되어 외기의 이동경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응축팬(400)과 응축기(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덕트(300)와;
    상기 덕트(300)에 안착되며, 상기 응축팬(400)의 하측에 설치되는 응축기(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덕트(300)는,
    유리섬유보강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 FRP)으로 형성되는 사출구조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단(段)을 가지는 '
    Figure 112009019782910-pat00004
    ' 및 '
    Figure 112009019782910-pat00005
    '형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다수의 단(段) 중에서 제일 하측에 위치하는 단(段)은 상기 응축기(200)가 안착되는 응축기 안착부(320)를 형성하며, 상기 응축기 안착부(320)의 인접 상측에 위치하는 단(段)은 상기 응축팬(400)이 안착되는 응축팬 지지부(340)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300)의 좌우 측면에는, 상기 케이스(120)에 형성된 흡기공(122)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응축기(200)의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기유동공(360)이 각각 천공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동공(360)은, 상기 응축기 안착부(320)의 하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00755A 2008-01-03 2008-01-03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KR10090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55A KR100908531B1 (ko) 2008-01-03 2008-01-03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755A KR100908531B1 (ko) 2008-01-03 2008-01-03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09A KR20090075009A (ko) 2009-07-08
KR100908531B1 true KR100908531B1 (ko) 2009-07-20

Family

ID=4133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755A KR100908531B1 (ko) 2008-01-03 2008-01-03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721B1 (ko) * 2010-10-26 2013-03-07 갑을오토텍(주) 버스용 공조장치
KR101454715B1 (ko) * 2012-11-19 2014-10-28 갑을오토텍(주) 지붕형 에어컨 케이스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지붕형 에어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1119A (ja) 1985-03-15 1986-09-19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屋上装着型冷房装置
JPS62221913A (ja) 1986-02-17 1987-09-30 Hitachi Ltd 車両用ヒ−トポンプ空調装置
KR19980019801U (ko) * 1996-10-07 1998-07-15 이진환 천정 장착형 버스에어컨의 응축기 케이스 조립구조.
KR20070087996A (ko) * 2006-02-24 2007-08-29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버스용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내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1119A (ja) 1985-03-15 1986-09-19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屋上装着型冷房装置
JPS62221913A (ja) 1986-02-17 1987-09-30 Hitachi Ltd 車両用ヒ−トポンプ空調装置
KR19980019801U (ko) * 1996-10-07 1998-07-15 이진환 천정 장착형 버스에어컨의 응축기 케이스 조립구조.
KR20070087996A (ko) * 2006-02-24 2007-08-29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버스용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내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009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14542B (zh) 车用空调系统
CN107635803B (zh) 顶部安装式空气调节系统的冷凝器单元
US7950245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10591170B2 (en) Air conditioner
JP2018100808A (ja) 冷蔵庫
KR100908531B1 (ko)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CN108592482B (zh) 一种单蒸发器三温室的酒柜或冰箱
CN106500437A (zh) 冰箱的风道系统和具有其的冰箱
US20070214826A1 (en) Refrigerator
CN107953740B (zh) 空调单元
KR20160091227A (ko) 냉난방 모듈
KR100534299B1 (ko) 버스용 에어콘 설치구조
US11971179B2 (en) Air conditioner
US8534091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20030008610A1 (en)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
KR100921039B1 (ko) 버스용 냉방장치의 응축유닛
JP462486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72936B1 (ko) 냉난방 모듈,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7635804B (zh) 制冷制热模块
JP2007112271A (ja) 蓄冷パック及び蓄冷式冷房ユニット
KR100931078B1 (ko) 버스용 냉방장치
CN219346926U (zh) 用于冰箱的制冷模块和冰箱
CN219446675U (zh) 车载空调模块以及汽车
JP2002267319A (ja) 冷蔵庫
KR20190030346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