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267B1 - 카메라장치 및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장치 및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267B1
KR100907267B1 KR1020070029641A KR20070029641A KR100907267B1 KR 100907267 B1 KR100907267 B1 KR 100907267B1 KR 1020070029641 A KR1020070029641 A KR 1020070029641A KR 20070029641 A KR20070029641 A KR 20070029641A KR 100907267 B1 KR100907267 B1 KR 10090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cd
support substrate
mounting portion
image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341A (ko
Inventor
다이고 아이바
Original Assignee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7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동일한 촬상소자 홀더 내에,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복수의 촬상소자를 유지해도, 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위치를 렌즈장치로부터의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는, 신규 또한 개량된 카메라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장치(100)는 렌즈장치(200)로부터 입사된 광학상을 수광하는 촬상소자(110A, 110B)와, 촬상소자(110A, 110B)를 지지하는 지지기판(160A, 160B)과, 지지기판(160A, 160B)이 장착되는 장착부(151)를 갖는 홀더(150)를 구비하고, 홀더의 장착부(151) 또는 지지기판(160A, 160B)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홀더(150)에 대한 지지기판(160A, 160B)의 광축방향의 설치위치를 촬상소자(110A, 110B)의 수광면이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하도록 위치결정한다.

Description

카메라장치 및 촬상장치{CAMERA UNIT AND IMAG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에 렌즈장치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제1 CCD 지지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제1 CCD 지지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동 실시형태에 따른 제2 CCD 지지기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실시형태에 따른 제2 CCD 지지기판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촬상장치 100 : 카메라장치
110A : 제1 CCD 110B : 제2 CCD
120 : 커버 글라스 130 : 더미 글라스
140A :제1 스페이서 140B : 제2 스페이서
150 : 홀더 160A : 제1 CCD 지지기판
160B : 제2 CCD 지지기판 200 : 렌즈장치
222 : 제1 렌즈 224 : 제2 렌즈
본 발명은 카메라장치 및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촬상소자를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즈장치로부터 출사된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대해서는, 더미 글라스나 IR 컷 필터, CCD 등의 촬상소자의 표면을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 등의 광학유리 두께의 합계와 굴절율이 같으면, 그 결상위치도 같은 위치로 된다.
또한, CCD 등의 촬상소자나 더미 글라스, 커버 글라스 등의 광학유리는 카메라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 홀더 내에 유지되지만, 같은 촬상소자 홀더 내에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촬상소자를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렌즈장치로부터 출사된 광학상을 수광하는 촬상소자의 수광면의 광축방향의 위치가 어긋나버리므로, 촬상소자의 수광면과 광학상의 결상위치가 합치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종래는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촬상소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각의 촬상소자에 대응해서 형성된 전용 촬상소자 홀더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5-326777호 공보
그러나,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복수의 촬상소자마다 전용 촬상소자 홀더를 제작하면, 틀 가격 등의 비용이 많이 발생하여 고비용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동일한 촬상소자 홀더 내에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복수의 촬상소자를 유지해도, 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위치를 렌즈장치로부터의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는, 신규 또한 개량된 카메라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떤 관점에 의하면, 렌즈장치로부터 입사된 광학상을 수광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를 지지하는 지지기판과, 지지기판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는 홀더를 구비하는 카메라장치가 제공된다. 이 카메라장치는 홀더의 장착부 또는 지지기판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홀더에 대한 지지기판의 광축방향의 설치위치를, 촬상소자의 수광면이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하도록 위치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동일한 촬상소자 홀더 내에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복수의 촬상소자를 유지해도, 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위치를 렌즈장치로부터의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으므로,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복수의 촬상소자마다 전용 촬상소자 홀더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틀 가격 등의 비용도 낮게 억제되어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의 장착부에는 촬상소자의 두께 및/또는 수광면 위치에 따라 다른 복수 종류의 지지기판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지지기판의 위치결정은 홀더의 장착부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를 피하도록 지지기판에 형성된 노치 또는 관통구멍의 조합에 의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홀더의 장착부에는 홀더의 장착부에 형성된 볼록부를 피하도록 형성된 노치 또는 관통구멍을 갖는 제1지지기판과, 이 노치 또는 관통구멍을 갖지 않는 제2지지기판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술한 카메라장치를 구비하는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제1의 실시형태)
우선, 도 1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10)의 구 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1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장치(10)는 카메라장치(100)와, 카메라장치(100)에 착탈 가능한 렌즈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카메라장치(100)는 렌즈장치(200)로부터 출사된 광학상을 수광하는 촬상소자의 일례로서의 제1 CCD(110A) 또는 제2 CCD(110B)와, 제1 CCD(110A) 또는 제2 CCD(110B)의 표면을 보호하는 커버 글라스(120)와, 더미 글라스(130)와, 제1 CCD(110A) 또는 제2 CCD(110B)와 더미 글라스(130) 사이에 배치된 제1 스페이서(140A) 또는 제2 스페이서(140B)와, 제1 CCD(110A) 또는 제2 CCD(110B), 더미 글라스(130) 및 제1 스페이서(140A) 또는 제2 스페이서(140B)를 유지하는 홀더(150)와, 제1 CCD(110A) 또는 제2 CCD(110B)가 설치된 제1 CCD 지지기판(160A) 또는 제2 CCD 지지기판(160B)을 주로 구비한다.
홀더(150) 내에 있어서는 더미 글라스(130), 제1 스페이서(140A)(또는 제2 스페이서(140B)) 및 제1 CCD(110A)(또는 제2 CCD(110B))가 카메라장치(100)의 앞측(렌즈장치(200)측)으로부터 순서대로 광축(P)방향을 따라 늘어서서 배치되어 있다. 또, 더미 글라스(130)는 홀더(150) 내에 있어서, 제1 스페이서(140A)(또는 제2 스페이서(140B))와 홀더(150)의 전단부에 의해 끼워 지지됨으로써 유지 또는 접착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홀더(150) 내에 유지 가능한 CCD 등의 촬상소자로서, 광축(P)방향의 두께가 다른 2종류의 제1 CCD(110A) 및 제2 CCD(110B)를 선택적 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2종류의 제1 CCD(110A), 제2 CCD(110B)에 따라 2종류의 제1 스페이서(140A), 제2 스페이서(140B), 및 2종류의 제1 CCD 지지기판(160A), 제2 CCD 지지기판(160B)이 사용된다. 또, 도 1의 (a)는 광축(P)방향의 두께가 얇은 제1 CCD(110A)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1의 (b)는 광축(P)방향의 두께가 두꺼운 제2 CCD(110B)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CCD(110B)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2 CCD 지지기판(160B)은 볼록부(154(155)) 상에 적재된다.
렌즈장치(200)는 렌즈 경통(210) 내에 복수의, 예를 들면 2장의 광학렌즈(222, 224)가 광축(P)방향으로 늘어서서 배치되어 렌즈 광학계를 구성하고 있다. 이 렌즈장치(200)로부터 출사된 광학상은 제1 CCD(110A)(또는 제2 CCD(110B))에 의해 수광되고, 초점위치(F)에서 결상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초점위치(F)가 제1 CCD(110A)(또는 제2 CCD(110B))의 수광면의 광축(P)방향의 위치와 합치하도록, 제1 CCD(110A)(또는 제2 CCD(110B))의 위치가 위치결정된다.
다음에, 도 2~도 6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장치(100)의 홀더(150)의 상세한 구성 및 제1 CCD(110A)(또는 제2 CCD(110B))의 위치결정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의 (a) 및 도 3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에 의해, 제1 CCD(110A)를 유지하는 경우의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2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에 렌즈장치(200)가 장착된 경우에 있어서의 촬상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3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홀더(15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의 (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CCD 지지기판(160A)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는 렌즈장치(200)의 렌즈 경통(210)의 후단부(카메라장치(100) 측단부)에 장착된다. 홀더(150)는 그 배면측(렌즈장치(200)의 다른 쪽)에 2종류의 제1 CCD 지지기판(160A) 또는 제2 CCD 지지기판(160B)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51)를 갖고 있다. 광축(P)방향의 두께가 작은 제1 CCD(110A)를 유지할 경우, 장착부(151)에는 제1 CCD 지지기판(160A)이 장착된다.
도 2의 (a) 및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51)의 대략 중앙부에는 더미 글라스(130), 제1 스페이서(140A) 및 제1 CCD(110A)가 유지되는 유지부(152)가 형성된다. 유지부(152)는 개구부(152a)가 형성되어서 더미 글라스(130)가 유지되는 제1 유지부(152b)와, 제1 스페이서(140A)가 유지되는 제2 유지부(152c)로 이루어진다.
또한, 장착부(151)의 내주측에는 2종류의 제1 볼록부(154)와 제2 볼록부(15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154) 및 제2 볼록부(155)는 각각 장착부(151)의 중심에 대해 대략 대칭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볼록부(154, 155)의 형상, 수, 배치 등은 상술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볼록부(154)를 관통하도록 해서, 장착부(151)에 장착된 제2 CCD 지지기판(160B)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156B)와 끼워 맞춰지는 나사구멍(156)이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부(151)에는 제1 CCD 지지기판(160A)을 고정하기 위한 고 정나사(158A)와 끼워 맞춰지는 나사구멍(15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151)에는 제1 CCD 지지기판(160A)의 위치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 핀(159)이 장착부(151)의 중심에 대해 서로 대략 대칭으로 되도록 2개 설치되어 있다. 또, 나사구멍(156, 158)의 위치 및 수, 위치결정 핀(159)의 위치, 형상 및 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2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CCD 지지기판(160A)에는 상술한 2개의 위치결정 핀(159)과 결합하는 결합구멍(162A, 164A)이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고정나사(158A)가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168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CCD 지지기판(160A)에는 제1 CCD 지지기판(160A)을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장착했을 때에,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형성된 제1 볼록부(154)를 피하도록 2개의 노치(166A)가 형성되어 있고, 또 제2 볼록부(155)를 피하도록 2개의 노치(16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의 (b)에 있어서는 제1 CCD 지지기판(160A)과 제1 CCD(110A)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제1 CCD 지지기판(160A)과 제1 CCD(110A)는 반드시 일체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제1 CCD 지지기판(160A)이 제1 CCD(110A)의 광축(P)방향의 두께 및 결상위치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다음에, 도 2의 (a) 및 도 4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제1 CCD 지지기판(160A)을 장착하는 동작 및 장착 후의 상태에 대해 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에 제1 CCD 지지기판(160A)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더미 글라스(130) 및 제1 스페이서(140A)가 유지된 홀더(150)에 제1 CCD 지지기판(160A)을 장착할 경우에는, 도 2의 (a) 및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위치결정 핀(159)과 결합구멍(162A, 164A)을 결합시키고, 홀더(150)의 장착부(151) 내에 있어서의 제1 CCD 지지기판(160A)의 위치를 위치결정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CCD 지지기판(160A)은 제1 볼록부(154)를 피하도록 형성된 노치(166A) 및 제2 볼록부(155)를 피하도록 형성된 노치(167A)를 가지므로, 제1 CCD 지지기판(160A)은 장착부(151) 내의 면(151a) 및 면(151b)(면(151a)과 면(151b)은 광축방향의 위치가 동일)에 접촉해서 제1 CCD(110A)가 유지된다.
다음에, 이 상태에서 관통구멍(168A)을 통해 고정나사(158A)와 나사구멍(158)을 끼워 맞춤으로써 제1 CCD 지지기판(160A)은 장착부(151) 내에서 고정되고,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미 글라스(130), 제1 스페이서(140A) 및 제1 CCD(110A)가 홀더(150) 내에서 유지된다.
또한, 제1 CCD 지지기판(160A)의 위치결정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형성된 제1 볼록부(154) 및 제2 볼록부(155)와, 이 제1 볼록부(154) 및 제2 볼록부(155)를 피하도록 제1 CCD 지지기판(160A)에 형성된 노치(166A, 167A)의 조합에 의해 행해지지만, 이러한 볼록부와 노치의 조합에 한정되 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위치결정은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형성된 볼록부와, 이 볼록부를 피하도록 제1 CCD 지지기판(160A)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조합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또, 볼록부는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홀더(150)의 장착부(151) 또는 제1 CCD 지지기판(160A)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홀더(150)에 대한 제1 CCD 지지기판(160A)의 광축(P)방향의 설치위치를 제1 CCD(110A)의 수광면이 렌즈장치(200)로부터의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하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이면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2의 (b) 및 도 5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에 의해 제2 CCD(110B)를 유지하는 경우의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2의 (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에 렌즈장치(200)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촬상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의 (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2 CCD 지지기판(160B)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는 렌즈장치(200)의 렌즈 경통(210)의 후단부(카메라장치(100) 측단부)에 장착된다. 홀더(150)는 그 배면측(렌즈장치(200)의 다른 쪽)에 2종류의 제1 CCD 지지기판(160A) 또는 제2 CCD 지지기판(160B)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51)를 갖고 있다. 제2 CCD(110B)를 유지할 경우, 장착부(151)에는 제2 CCD 지지기판(160B)이 장착된다.
도 2의 (b) 및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151)의 대략 중앙 부에는 더미 글라스(130), 제2 스페이서(140B) 및 제2 CCD(110B)가 유지되는 유지부(152)가 형성된다. 유지부(152)는 개구부(152a)가 형성되어서 더미 글라스(130)가 유지되는 제1 유지부(152b)와, 제2 스페이서(140B)가 유지되는 제2 유지부(152c)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볼록부(154), 제2 볼록부(155), 나사구멍(156, 158), 및 위치결정 핀(159) 등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상술했으므로 생략한다.
또한, 도 2의 (a) 및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CCD 지지기판(160B)에는 상술한 2개의 위치결정 핀(159)과 결합하는 결합구멍(162B, 164B)이 형성되어 있고, 또, 제2 CCD 지지기판(160B)에는 상기 고정나사(156B)가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166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CCD 지지기판(160B)에는 상술한 제1 CCD 지지기판(160A)의 경우와 달리, 제2 CCD 지지기판(160B)을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장착했을 때에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형성된 제1 볼록부(154) 및 제2 볼록부(155)를 피하는 노치나 관통구멍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3의 (b)에 있어서는 CCD 지지기판(160B)과 CCD(110B)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단, CCD 지지기판(160B)과 CCD(110B)는 반드시 일체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CCD 지지기판(160B)이 CCD(110B)의 광축(P)방향의 두께나 및 결상위치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다음에, 도 2의 (b) 및 도 6에 기초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의 장착부(151)에 제2 CCD 지지기판(160B)을 장착하는 동작 및 장착 후의 상태에 대해 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홀더(150)에 제2 CCD 지지기판(160B)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며, (b)는 단면도이다.
더미 글라스(130) 및 제2 스페이서(140B)가 유지된 홀더(150)에 제2 CCD 지지기판(160B)을 장착할 경우에는, 도 2의 (b) 및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위치결정 핀(159)과 결합구멍(162B, 164B)을 결합시켜, 홀더(150)의 장착부(151) 내에 있어서의 제2 CCD 지지기판(160B)의 위치를 위치결정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CCD 지지기판(160B)은, 제1 볼록부(154) 및 제2 볼록부(155)를 피하도록 형성된 노치나 관통구멍을 갖지 않기 때문에, 제2 CCD 지지기판(160B)은 장착부(151) 내의 제1 볼록부(154)의 표면 및 제2 볼록부(155)의 표면(제1 볼록부(154)의 표면과 제2 볼록부(155)의 표면은 광축방향의 위치가 동일)에 접촉해서 제2 CCD(110B)가 유지된다.
다음에, 이 상태로 관통구멍(166B)을 통해서 고정나사(156B)와 나사구멍(156)을 끼워 맞춤으로써, 제2 CCD 지지기판(160B)은 장착부(151) 내에서 고정되고,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미 글라스(130), 제2 스페이서(140B) 및 제2 CCD(110B)가 홀더(150) 내에서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축(P)방향의 두께 및 결상위치가 다른 2종류의 제1 CCD(110A), 제2 CCD(110B)에 대응해서 형성된 제1 CCD 지지기판(160A), 제2 CCD 지지기판(160B)을 홀더(150)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하고, 홀더(150) 및 2종류의 기판(160A, 160B)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동일한 홀더(150) 내에 광축(P)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2종류의 CCD(110A, 110B)를 유지해도, CCD(110A, 110B)의 수광면의 위치를 렌즈장치(200)로부터의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더(150)의 장착부(151) 내에 제1 볼록부(154) 및 제2 볼록부(155)를 형성함과 아울러, 제1 CCD 지지기판(160A)에는 이 2종류의 볼록부(154, 155)를 피하도록 형성된 노치(166A, 167A)를 형성하고, 제2 CCD 지지기판(160B)에는 이러한 노치를 형성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광축(P)방향의 두께 및 결상위치가 다른 2종류의 제1 CCD(110A), 제2 CCD(110B)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 경우라도 CCD(110A, 110B)의 수광면의 위치를 렌즈장치(200)로부터의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다.
(제2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10)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다음에 도 7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2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촬상장치(20)는 스페이서(140)의 형상을 연구함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140)에 단차부(142)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제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달리, 광축(P)방향의 두께가 다른 2종류의 제1 CCD(110A), 제2 CCD(110B)를 사용한 경우라도 동일한 스페이서(14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광축(P)방향의 두께가 작은 제1 CCD(110A)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미 글라스(130)를 스페이서(140)의 단차부(142) 이외의 면에 접촉시키고, 광축(P)방향의 두께가 큰 제2 CCD(110B)를 사용할 경우에는 더미 글라스(130)를 스페이서(140)의 단차부(142)에 접촉시킴으로써, 광축(P)방향의 두께가 다른 2종류의 제1 CCD(110A), 제2 CCD(110B)를 사용한 경우라도, 동일한 스페이서(140)를 사용해서 CCD(110A, 110B)의 수광면의 위치를 렌즈장치(200)로부터의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14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당업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생각할 수 있는 것은 명확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 글라스(120)와 더미 글라스(130)의 두께가 같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커버 글라스(120)와 더미 글라스(130)의 두께의 합계가 같으면,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촬상소자를 사용했을 때에 커버 글라스(120)와 더미 글라스(130) 개개의 두께가 달라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홀더(150)는 광축(P)방향의 두께가 다른 2종류의 CCD(110A, 110B)에 따라 형성된 2종류의 CCD 지지기판(160A, 160B)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홀더에 장착할 수 있는 지지기판은 2종류에는 한정되지 않고, 3종류이상의 지지기판을 선택적으로 장 착할 수 있게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촬상소자 홀더 내에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복수의 촬상소자를 유지해도, 촬상소자의 수광면의 위치를 렌즈장치로부터의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광축방향의 두께나 결상위치가 다른 복수의 촬상소자마다 전용 촬상소자 홀더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틀 가격 등의 비용도 낮게 억제되어서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렌즈장치로부터 입사된 광학상을 수광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를 지지하는 지지기판;및
    상기 지지기판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의 장착부 또는 상기 지지기판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지지기판의 광축방향의 설치위치를, 상기 촬상소자의 수광면이 상기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하도록 위치결정하며,
    상기 홀더의 장착부에는, 상기 촬상소자의 두께 또는 수광면 위치에 따라 다른 복수 종류의 상기 지지기판을, 상기 촬상소자의 수광면이 상기 광학상의 결상위치에 합치하도록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은 상기 홀더의 장착부에 형성된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를 피하도록 상기 지지기판에 형성된 노치 또는 관통구멍의 조합에 의해 행해지며,
    상기 홀더의 장착부에는 상기 홀더의 장착부에 형성된 볼록부를 피하도록 형성된 노치 또는 관통구멍을 갖는 제1지지기판과, 상기 노치 또는 상기 관통구멍을 갖지 않는 제2지지기판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장치.
  7. 삭제
KR1020070029641A 2006-03-28 2007-03-27 카메라장치 및 촬상장치 KR100907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87898A JP4714619B2 (ja) 2006-03-28 2006-03-28 カメラ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JP-P-2006-00087898 200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341A KR20070097341A (ko) 2007-10-04
KR100907267B1 true KR100907267B1 (ko) 2009-07-13

Family

ID=3823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641A KR100907267B1 (ko) 2006-03-28 2007-03-27 카메라장치 및 촬상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61243B2 (ko)
EP (1) EP1841208A1 (ko)
JP (1) JP4714619B2 (ko)
KR (1) KR100907267B1 (ko)
CN (1) CN101046598B (ko)
TW (1) TW20073668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32167B (zh) * 2011-10-04 2014-04-01 Medimaging Integrated Solution Inc 主機、光學鏡頭模組以及其組成之數位診斷系統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57741A1 (en) 1995-05-31 2003-10-29 Sony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JP3498775B2 (ja) * 1995-05-31 2004-02-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US5861654A (en) * 1995-11-28 1999-01-19 Eastman Kodak Company Image sensor assembly
JP3250462B2 (ja) * 1996-07-29 2002-01-28 新治 美▲さき▼ ビューカメラを用いた撮影設備及びそれに用いるビューカメラ用ccdバックのアダプター
US6628339B1 (en) * 1999-06-14 2003-09-30 Eastman Kodak Company Image sensor mount for a digital camera
JP2001245217A (ja) * 2000-03-02 2001-09-07 Olympus Optical Co Ltd 小型撮像モジュール
JP2002330321A (ja) * 2001-05-01 2002-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5284147A (ja) * 2004-03-30 2005-10-13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5326777A (ja) 2004-05-17 2005-11-24 Fujinon Corp レンズ鏡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66887A (ja) 2007-10-11
US7961243B2 (en) 2011-06-14
CN101046598B (zh) 2011-03-16
TW200736689A (en) 2007-10-01
KR20070097341A (ko) 2007-10-04
JP4714619B2 (ja) 2011-06-29
TWI359964B (ko) 2012-03-11
EP1841208A1 (en) 2007-10-03
US20070229701A1 (en) 2007-10-04
CN101046598A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3250B2 (ja) 撮像装置
JPH0937119A (ja)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及び光学付属品
US20190384137A1 (en) Liquid len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CN111045175B (zh) 使用金属固定环的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KR20090100661A (ko) 무한 결상 광학계 및 무한 결상 광학계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제작 방법.
EP1840639B1 (en) Image pickup apparatus
KR100907267B1 (ko) 카메라장치 및 촬상장치
US8243185B2 (en) Lens,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JP2012118404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102349228B1 (ko) 카메라 모듈
JP2013013017A (ja) 撮像装置
JP6009826B2 (ja) レンズ装置
JP5621615B2 (ja) 撮像装置
CN112492131A (zh) 摄像头模组及终端
JP2020086232A (ja) 撮像装置
US20230060740A1 (en) Camera module, imag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5026358B2 (ja) 撮像素子支持機構
JP2007180939A (ja) 透光体を選択的に配置する電気機器
KR101089883B1 (ko) 렌즈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JP2007295140A (ja) 撮像装置
JP2012242632A (ja) 撮像ユニット
CN116360186A (zh) 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设备
JP2008070781A (ja) レンズ鏡筒、光学機器
JP2010039403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KR20110139597A (ko)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