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597A -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597A
KR20110139597A KR1020100059766A KR20100059766A KR20110139597A KR 20110139597 A KR20110139597 A KR 20110139597A KR 1020100059766 A KR1020100059766 A KR 1020100059766A KR 20100059766 A KR20100059766 A KR 20100059766A KR 20110139597 A KR20110139597 A KR 2011013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ring
lens
lens assembly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597A/ko
Publication of KR2011013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5/00Plastic article or earthenware shaping or treating: apparatus
    • Y10S425/243Extrusion or injection molding

Landscapes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렌즈어셈블리는,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배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및 외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내측과 나사결합 되는 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본 발명은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 등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하우징, 이미지 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다. 렌즈가 피사체의 광이미지를 수광받으며, 수광된 광 이미지가 이미지 센서로 조사하게 되고, 이미지 센서는 조사된 광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됨으로써 사진 촬영을 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와 배럴이 결합되기 위해, 배럴의 내부에 렌즈가 삽입되고 렌즈의 외측에 링이 삽입되며,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링을 본드로 고정시키게 된다.
카메라 모듈의 기능의 다양화 및 성능의 상승은 물론,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작단가를 줄이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내면 반사의 차단 및 설계수치의 안정성은 카메라 모듈의 품질성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면 반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배럴의 설계수치가 안정적일 수 있는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배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및 외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내측과 나사결합 되는 링을 포함하는 렌즈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는 렌즈 어셈블리;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배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및 외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내측과 나사결합 되는 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는 복수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럴 및 상기 링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은 스틸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드를 사용하지 않아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고 본드를 도포하고 경화시키기 위한 공정이 삭제되어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으며 공정시간이 절감되어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링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은 링의 면적을 넓혀 내면 반사를 차단하므로 렌즈어셈블리의 품질이 상승될 수 있고, 배럴 몸체의 두께가 증가하여 배럴의 설계수치가 안정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렌즈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어셈블리(11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렌즈어셈블리(1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렌즈어셈블리(110), 배럴(115), 렌즈(111) 및 제1 나사산(210)이 도시되어 있다.
배럴(115)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으며, 배럴(115)의 내측에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배럴(115)의 수용부에는 렌즈(111)가 삽입될 수 있다. 배럴(115)은 내측에 수용된 렌즈(111)를 잡아주는 홀더 기능을 할 수 있다.
렌즈(111)는 촬영되는 이미지를 수광하여 이미지 센서(도 3참조: 131)로 입사시킨다. 렌즈(111)는 형상, 개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렌즈(111)는 복수개일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111) 각각의 중심이 일치될 수 있다. 렌즈(111)는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을 맺게 하는 구성으로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로 조합될 수 있고, 복수의 렌즈(111) 사이에는 스페이서(113)가 구비되어 렌즈(111)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배럴(115)에 삽입되는 렌즈(11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링(200)이 구비된다. 링(220)은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스틸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링(200)의 외면에는 배럴(115)에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산(210)이 형성된다. 배럴(115)에는 제1 나사산(210)이 결합되는 나사홈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는 민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링(200)은 배럴(115)의 내측에 결합 시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은 민무늬의 배럴(115) 내측을 긁으면서 배럴(115)의 내측에 나사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링(200)은 렌즈(111)의 흔들림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나사결합된 링(200)이 배럴(115)의 외측으로 빠지지 않고 견고할 수 있다.
링(200)은 본드와 같은 다른 구성에 의해 결합될 필요없이 링(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0)이 배럴(115)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본드를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공정이 삭제되므로 공정이 단순화되고, 본드를 경화시키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자재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드가 새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불량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링(200)의 제1 나사산(210)은 링(200)의 면적을 넓히므로 배럴(115)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빛의 반사를 차단하여 렌즈 어셈블리(110)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드가 형성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본드 형성공간은 배럴(115)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본드 형성공간이 배럴(115)의 몸체로 형성됨으로써, 배럴(115) 몸체의 두께가 상승될 수 있으므로, 배럴(115) 사출의 설계수치가 안정적으로 나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렌즈어셈블리(110)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 하우징(125), 렌즈어셈블리(110), 렌즈(111), 배럴(115)이 도시되어 있다.
렌즈어셈블리(110)는 배럴(115)과 렌즈(111)를 포함한다.
배럴(115)은 수용부가 형성된다. 배럴(115)의 수용부에는 렌즈(111)가 삽입된다. 렌즈(111)는 복수개일 수 있다. 이러한 렌즈어셈블리(110)에서 렌즈(111)가 배럴(1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럴(115)의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링(도 1참조: 200)이 구비된다. 링(200)은 배럴(115)에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산(210)이 형성된다.
배럴(115)의 외측에는 오토 포커싱을 위해 액츄에이터(121)가 구비될 수 있고, 액츄에이터(121)의 외측에는 렌즈(111) 및 액츄에이터(121)를 보호하도록 하우징(125)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하우징(125)의 내측에 액츄에이터(121)가 결합될 수 있고, 액츄에이터(121)의 내측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렌즈(111) 및 배럴(115)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25)의 중심부에는 렌즈어셈블리(110)가 장착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하우징(125)의 내주면에는 나사홈(미도시)이 형성되고, 배럴(115)의 외주면에는 나사홈에 결합되는 제2 나사산(116)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원통형의 플라스틱 사출물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121)는 렌즈(111)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이 맞도록 오토 포커싱 할 수 있다.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은 렌즈(111)의 위치 정보와 이미지 센서(131)의 화상 정보를 가지고 최적의 이미지 포커싱 지점을 찾고 렌즈(111)를 그 지점에 위치시키는 기능이다.
하우징(125)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131)와 패키징된 인쇄회로기판(135)이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25)과 인쇄회로기판(135)은 에폭시 등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설치 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25)의 하부 내측인 이미지 센서(131)의 상부에는 IR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5)은 전기적인 패턴과 다수의 전극이 구비되며, 이미지센서(13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 처리한다.
이미지 센서(131)는 복수의 픽셀들(pixels)이 집적된 구조물일 수 있다. 픽셀 각각은 일종의 광검출기로서 입사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즉, 렌즈(111)를 통해 입사된 이미지를 이미지 센서(131)가 전기적 데이터로 변환시켜 변환된 데이터가 이미지 처리부(미도시)에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35)의 하부에는 이미지 처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는 이미지 센서(131)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를 저장, 편집, 전송, 복원 및 삭제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카메라 모듈
110: 렌즈어셈블리
111: 렌즈
115: 배럴
125: 하우징
200: 링

Claims (9)

  1.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배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및
    외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내측과 나사결합 되는 링을 포함하는 렌즈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및 상기 링은 플라스틱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스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어셈블리.
  5. 중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공에 삽입되는 렌즈 어셈블리;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렌즈 어셈블리는,
    내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배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및
    외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내측과 나사결합 되는 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홈에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및 상기 링은 플라스틱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스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00059766A 2010-06-23 2010-06-23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KR20110139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66A KR20110139597A (ko) 2010-06-23 2010-06-23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766A KR20110139597A (ko) 2010-06-23 2010-06-23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597A true KR20110139597A (ko) 2011-12-29

Family

ID=4550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766A KR20110139597A (ko) 2010-06-23 2010-06-23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5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733A (ko) 2015-08-10 2017-0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8733A (ko) 2015-08-10 2017-02-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2126C (zh) 镜头模组及相机模组
US8289409B2 (en) Compact camera module with lens array
KR101349589B1 (ko) 카메라 모듈
US9507128B2 (en)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0819142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該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718480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7199344A (ja) レンズ装置
CN101614931A (zh) 遮光片、镜片组及包括该镜片组的镜头模组
CN111474665A (zh) 光学镜头、应用该光学镜头的镜头模组及电子装置
JP200911617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撮像機器
US7688532B1 (en) Lens system
US7417805B2 (en) Camera device
US7663817B1 (en) Optical system with plano convex lens
KR20130076287A (ko) 카메라 모듈
US8243185B2 (en) Lens,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KR20110008808A (ko) 렌즈 조립체 및 카메라 모듈
US8120695B2 (en) Camera module having a lens barrel holder including a protrusion inserted in a recess in a sidewall of the lens barrel and providing good coaxiality
US20200041747A1 (en) Lens module
JP200907163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7041141A (ja) レンズ保持構造体、レンズ位置調整方法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10139597A (ko) 렌즈어셈블리 및 카메라 모듈
CN101430410B (zh) 镜片及镜头模组
KR20140023551A (ko) 카메라 모듈
JP6295613B2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KR20120079551A (ko) 초점 무조정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