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6027B1 - 패널을 이용한 벽체 - Google Patents

패널을 이용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6027B1
KR100906027B1 KR1020070064302A KR20070064302A KR100906027B1 KR 100906027 B1 KR100906027 B1 KR 100906027B1 KR 1020070064302 A KR1020070064302 A KR 1020070064302A KR 20070064302 A KR20070064302 A KR 20070064302A KR 100906027 B1 KR100906027 B1 KR 10090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getation
pillar
w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321A (ko
Inventor
홍성영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7006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602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을 차례로 적층하여 벽체를 축조함에 있어서, 기둥의 전면이나 상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패널을 적층할 수 있고, 기둥을 이용함으로써 벽체의 강성이 증진되며, 벽체 전면을 통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벽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패널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패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벽체로서, 전면판과,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전면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철근과, 상기 전면판의 양 측면에서 상기 철근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기둥결합 패널이 수직하게 적층되고, 상기 철근이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결합 패널의 전면판 배면과 오목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기둥결합 패널과 일체를 이루는 기둥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가 제공된다.
Figure R1020070064302
기둥결합 패널, 중간 패널, 벽체, 철근

Description

패널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Retaining Wall using Panel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벽체에서 기둥과 결합하는 기둥결합 패널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벽체를 이루는 기둥결합 패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배면 사이도이다.
도 3d 및 도 3e는 각각 콘크리트 타설 전에 도 3a의 기둥결합 패널과 기둥을 이루는 주철근이 배치된 상태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f는 도 2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기둥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각각 도 3a, 도3b 및 도 3d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결합 패널의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배면 사시도 및 콘크리트 타설 전에 도 4a의 기둥결합 패널과 기둥을 이루는 주철근이 배치된 상태의 구 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도 3b, 도 3c 및 도 4b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결합 패널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벽체에서 기둥결합 패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벽체에서 중간 패널과 식생 중간 패널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도 6a 및 도 6b의 기둥결합 패널과, 도 7a 및 도 7b의 중간 패널이나 식생 중간 패널로 이루어진 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도 8a 는 도 2b에서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2b에서 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2b의 D-D선에 따른 식생 중간 패널을 이용한 벽체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9a는 도 3a에 대응되는 도면이고, 도 9b는 도 6a에 대응되는 도면이며, 도 9c는 도 7b에 대응되는 도면이고, 도 9d는 도 3f에 대응되는 도면이며, 도 9e는 도 8a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각각 상기한 도 9a 내지 도 9e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각각 이웃하는 기둥결합 패널과 함께 토사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식생판을 갖는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와 도 11a에 도시된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이 이웃하여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벽체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전면판 전방으로 식생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벽체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12a의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의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과 중간 식생 패널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벽체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둥결합 패널
10a :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
10b :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
13 : 철근
20 : 중간 패널
20a : 식생 중간 패널
본 발명은 패널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패널을 차례로 적층하여 벽체를 축조함에 있어서, 기둥의 전면을 통하여 용이하게 패널을 적층할 수 있고, 기둥을 이용함으로써 벽체의 강성이 증진되며, 벽체 전면 공간을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벽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벽체의 일종으로서 종래의 일반적인 철근 콘크리트 캔틸레버 옹벽(100)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면에 수평한 저판(101)과, 상기 저판(101)과 일체로 이루어져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 벽체(102)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철근 콘크리트 캔틸레버 옹벽(100)은 수직벽체(102)의 전면이 일체로 이루어져 형상이 단순하기 때문에 옹벽(100)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미관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지극히 높아지고 있어, 이러한 옹벽에 있어서도 환경 친화적이고 양호한 미관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및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기둥과 패널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함으로써, 전면에서 볼 때 다양한 미감을 연출하면서도 벽체의 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벽체 전면을 통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벽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벽체 배면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절토량을 줄일 수 있어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벽체와, 이러한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패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벽체로서, 전면판과,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전면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철근과, 상기 전면판의 양 측면에서 상기 철근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진 기둥결합 패널이 수직하게 적층되고, 상기 철근이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결합 패널의 전면판 배면과 오목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기둥결합 패널과 일체를 이루는 기둥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걸림돌출부가 형성된 중간 패널로 이루어지는 층이 더 구비되고, 상기 중간 패널은, 기둥결합 패널의 후면에 형성되어 이웃하게 위치하는 기둥 사이에서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쳐져서 상기 이웃하는 기둥 사이의 배면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체에는 벽체 전면의 식생을 위한 식생 중간 패널과, 상기 식생 중간 패널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둥결합 패널이 이웃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된 층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식생 중간 패널은, 전면부와, 상기 전 면부 후방으로 연장되는 격벽판과, 상기 격벽판의 단부를 폐쇄하여 식생을 위한 토사가 채워질 수 있는 토사부를 형성하는 배면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격벽판의 외측면으로는 상기 식생 중간 패널이 기둥결합 패널 사이에서 상기 기둥결합 패널의 측면에 걸쳐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식생 중간 패널과 기둥결합 패널을 포함하는 층에서는 상기 기둥결합 패널이, 수직하게 적층되고,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는 철근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과 상기 기둥결합 패널이 일체를 이루며, 상기 기둥결합 패널 사이에서 상기 식생 중간 패널의 걸림돌출부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기 걸림부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기둥결합 패널 사이에 식생 중간 패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벽체에는 벽체 전면의 식생을 위한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으로 이루어진 층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은, 전면판과,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전면판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매설되는 철근과, 상기 전면판의 양 측면에서 상기 철근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이룬 상태로 상기 걸림부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측면 식생판을 구비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전면판의 후방에는 철근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과 상기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측면 식생판은 이웃하는 식생 기둥결합 패널과 인접 측면 식생판이 서로 마주 접하게 되어, 상기 이웃하는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의 걸림부와 측면 식생판 사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토사가 채워질 수 있는 측면 토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둥결합 패널 중 하나 이상은, 그 전면판 전방으로 전면 토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봄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1)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 전에,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이 수직하게 적층된 후, 상기 패널(10) 배면에 콘크리트(15)가 타설되어 기둥이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의 벽체(1)에서 기둥과 결합하고 있는 기둥결합 패널(10)의 일실시예가 각각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은 전면판(11)과, 상기 전면판(11)의 후방으로 돌출된 철근(13)과, 상기 전면판(11)의 양 측면에서 상기 철근(13)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16)와, 상기 전면판(11)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12)를 구비하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차례로 수직하게 적층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배면에 철근(13)이 돌출된 형태 로 구비되어 있다. 이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배면에는 너트가 매립되고, 단부에 나사산이 가공된 철근(13)이 상기 너트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철근(13)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이 수직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패널(10)에 매설된 철근(13)도 같은 수직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철근(13)이 매설되어 있는 상기 전면판(11)의 배면에 거푸집(도시되지 않음) 등을 설치하여 폐쇄하고, 상기 철근(13)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15)를 타설하여 기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15)는 패널(10) 벽체의 층별로 각각 타설할 수도 있으나, 패널(10)을 모두 적층하고 수직면 상에 위치하는 철근(13)이 매립되도록 전체 벽체(1) 층의 거푸집을 일체로 설치하여 타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에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어, 동바리 등으로 상기 패널(10)을 지지하지 않아도, 상기 패널(10)을 안정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벽체를 이루는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위에 기둥결합 패널(10)을 적층할 수 있으며, 이때, 최하층 기둥결합 패널(10)들은 상기 기초 콘크리트에 일부가 매립되어 안정적으로 벽체(1)의 기초를 이룰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둥결합 패널(10)과 이웃한 기둥결합 패널(10)의 전면판(11)로부터 확장되어 돌출된 걸림부(16)가 서로 맞닿게 되어 전체적으로 벽체(1)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전면판(11)의 형상에 따라 패널식 보강토 옹벽과 같은 미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기둥결합 패널(10)을 수직하게 일렬로 적층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지 아니하며, 층별로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을 서로 엇갈리게 적층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기둥결합 패널(10)이 적층된 후, 도 3d 및 도 3e에서 보듯이, 기둥결합 패널(10)의 배면에 돌출되어 있는 철근(13)을 띠철근으로 하여 주철근(14)과 함께 배치하고,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15)에 매립하여 기둥을 형성한다. 도 3f는 도 2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 기둥결합 패널(10)의 배면에 콘크리트(15)를 타설하여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5)가 타설되어 형성된 기둥 사이에는 토사(30)가 채워진다. 이처럼, 철근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는 경우, 벽체(1)의 배면 공간 확보에 유리하며, 경사지에 벽체(1)를 설치할 때, 절토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벽체(1)의 적용 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기둥 형성에 있어서, 주철근(14) 대신에, 기둥 결합패널(10)의 배면 공간에 빔 등이 수직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철근(13, 14)과 콘크리트(15)로 이루어진 구성 대신에 다른 균등한 기둥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4a 내지 도 4c,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결합 패널(10)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c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기둥결합 패널(10)의 철근(13)과 주철근(14)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기둥결 합 패널(10)에 구비된 철근(13)은 돌출된 단부가 서로 이어진 형태로 설치된다. 즉, U자형 스터럽(13)의 양 단부가 전면판(11)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데, 이렇게 철근(13)의 돌출된 단부가 이어져 있는 경우, 도 4c에서 볼 수 있듯이 주철근(14)의 위치를 고정시켜, 기둥의 형상 및 피복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주철근(14)이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이 적층되기 전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철근(13)을 주철근(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을 자립시켜 적층하고,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철근(13) 사이에 주철근(14)을 설치하여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d에는 각각 도 3b, 도 3c 및 도 4b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둥결합 패널(10)의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의 기둥결합 패널(10)에서 철근(13)이 전면판(11)의 후방으로 돌출된 것은 도 3a의 기둥결합 패널(10)과 같으나, 전면판(11) 내의 단부가 서로 이어져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U자형 스터럽(13)의 중간부가 전면판(11)에 매립되어 형성되고, 양 단부가 전면판(11) 후방으로 돌출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철근(13)이 전면판(11)로부터 인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b의 기둥결합 패널(10)에서는 도 5a의 실시예와 같이 전면판(11)에 매립된 부분의 철근(13)이 일체로 이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전면판(11) 후방으로 돌출된 철근(13)의 단부도 서로 이어져 있어, 전체적으로 폐합된 구조를 갖는다. 도 5c의 기둥결합 패널(10)은 도 3a 및 도 5a의 실시예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기둥결합 패 널(10)은 전면판(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격벽판(17) 구비하고, 상기 격벽판(17)의 단부면에서 격벽판(17)의 후방으로 철근(13)이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격벽판(17)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적층 시, 기둥결합 패널(10)의 자립이 더욱 용이하므로 적층 작업이 간편해진다. 한편, 상기 철근(13)은 상기 격벽판(17)의 단부면에서 격벽판(17)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철근(13)의 일단은 상기 전면판(11)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도 5a에서와 같이 전면판(11)에 U자형 스터럽(13)의 중간부가 매립된 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d의 기둥결합 패널(10)은 도 5c의 기둥결합 패널(10)과 같으나, 전면판(11)의 후방으로 돌출된 철근(13)의 단부가 도 4b및 도 5b와 같이 이어져 폐쇄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6a 및 도 6b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벽체(1)에서 기둥결합 패널(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은 앞서 설명한 기둥결합 패널(10)에 비해 짧은 걸림부(16)를 갖는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양측면은 짧은 걸림부(16)를 구비할 수도 있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결합 패널(10)의 일측면에는 확장되어 길게 형성된 걸림부(16)를 구비하고, 타측면에는 짧은 걸림부(16)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벽체(1)를 이루는 중간 패널(20)과 식생 중간 패널(20a)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중간 패널(20)은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전면 판(11)과 연장되는 면을 이루게 되는 전면부(21)와, 상기 전면부(2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전면판(11) 걸림부(16)에 걸쳐지는 걸림돌출부(22)로 구성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1)는 벽체(1) 전면에서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생 중간 패널(20a)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은 전면부(21)와, 상기 전면부(21) 후방으로 연장되는 격벽판(23)과, 상기 격벽판(23)의 단부를 폐쇄하여 식생을 위한 토사가 채워질 수 있는 토사부(25)를 형성하는 배면판(24)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격벽판(23)의 외측면으로는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이 기둥결합 패널(10) 사이에서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측면에 형성된 걸림부(16)에 걸쳐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각각 도 6a 및 도 6b의 기둥결합 패널(10)과, 도 7a 및 도 7b의 중간 패널(20)이나 식생 중간 패널(20a)로 이루어진 벽체(1)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기둥결합 패널(10)과 식생 중간 패널(20a)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도 2b에서 선 B-B에 따른 벽체(1)의 단면도인 도 8a에 도시된 것처럼, 기둥결합 패널(10)이 수직하게 적층되고,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사이에서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의 걸림돌출부(22)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걸림부(16)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사이에 식생 중간 패널(20a)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기둥결합 패널(10)의 설치 및 적층, 식생 중간 패널(20a)의 설치 및 적층을 반복하면서,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의 배면으로는 토사(30)를 성토한다. 한편,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과 기둥결합 패 널(10)을 설치함에 있어서, 1개 층 전부에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과 기둥결합 패널(10)을 설치할 수도 있지만, 한 층의 일부에만 식생 중간 패널(20a)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 6b에 도시된 기둥결합 패널(10)을 이용하여 도 8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일측 걸림부(16)에만 식생 중간 패널(20a)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c에는 도 2b의 C-C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식생 중간 패널(20a) 대신에 걸림돌출부(22)가 형성된 중간 패널(20)을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사이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d는 도 2b의 D-D선에 따른 벽체(1)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로,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기둥결합 패널(10)이 적층된 층의 중간에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과 기둥결합 패널(10)로 이루어진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의 전면부(21)는 기둥결합 패널(10)의 걸림부(16)보다 돌출되어 있으므로, 식생 중간 패널(20a)의 토사부(25)는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볼 때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토사부(25)에 식물을 식재하여 성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d에서는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이 1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d에서 부재번호 26은 토사부(25)의 하부를 폐쇄하여 토사(31)의 유출을 방지하는 바닥부재(26)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식생 중간 패널(20a)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벽체(1)의 전면을 녹화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인 벽체(1)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실시예에서는 벽체(1)의 전면이 유연한 곡선이 되도록 구성되 어 있으나, 그 외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9a는 도 3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기둥결합 패널(10)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6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기둥결합 패널(10)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c는 도 7b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식생 중간 패널(20a)의 변형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d는 도 3f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9a에 도시된 기둥결합 패널(10)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9e는 도 8a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기둥결합 패널(10)과 식생 중간 패널(20a)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위 실시예는 벽체(1)의 전면이 유선형이 아니라 각진 형태가 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0e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 상기한 도 9a 내지 도 9e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 역시 벽체(1)의 전면 형상이 변형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서는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기둥결합 패널(10)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은, 이웃하는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과의 사이에 식물을 식재 할 수 있는 측면 토사부(33)가 형성되는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에는 이웃하는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과 함께 측면 토사부(33)를 형성할 수 있도록 식생판(32) 을 갖는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b에는 도 11a에 도시된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이 이웃하여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벽체(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은, 상기 걸림부(16)와의 사이에 간격을 이룬 상태로 상기 걸림부(16)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측면 식생판(32)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측면 식생판(32)은 이웃하는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의 측면 식생판(32)과 마주 접하게 되어, 상기 이웃하는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의 걸림부(16)와 측면 식생판(32) 사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토사(31)가 채워질 수 있는 측면 토사부(3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의 측면 토사부(33) 위에, 앞서 설명한 기둥결합 패널(10)의 걸림부(16) 부분이 적층되면, 상기 토사부(33) 위쪽으로는 빈 공간이 존재하게 되어 토사부(33)에 식재된 식물이 위쪽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은 벽체(1)의 한 층 전체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벽체(1)의 한 층에서 일부에만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의 일측면에는 식생판(32)이 생략된다.
도 12a 및 도 12b에는 기둥결합 패널(10) 자체에 전면 식생부(19)를 형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a에는 기둥결합 패널(10)의 전면판(11)에 전면 식생부(19)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b)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b에는 도 12a에 도시된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b)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벽체(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b)은 전면에 식생부(19)가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식생부(19)에 토사(31)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여 벽체(1)의 전면을 녹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a에는 전면 식생부(19)가 구비된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b)의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b에는 도 13a에 도시된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b) 사이에 식생 중간 패널(20a)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체적으로 토사부(33)를 갖는 경우, 벽체(1)의 배면에 성토되는 토사(30)가 식물의 식생에 적합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식물을 식생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결합 패널을 적층하여 벽체를 축조하게 되므로, 패널식 보강토 옹벽과 동일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어 미관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벽체의 전면에서 볼 때, 패널의 전면판의 줄눈이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할 수 있어 벽체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패널식 보강토 옹벽과 동일한 미감을 연출하면서도, 벽체 배면에 그리드를 사용함으로 인한 패널식 보강토 옹벽에서의 문제점 인 배면 공간의 제약, 절·성토량의 증가, 시공의 복잡함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패널식 보강토 옹벽과는 달리 그리드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벽체의 배면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되고, 배면측 공간 확보를 위한 절· 성토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시공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패널에 오목부를 구비하여 패널 적층 시 자립이 가능하여, 동바리를 세울 필요가 없게 되므로 간소한 방법으로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전면판 후방에 격벽판이 형성된 경우, 패널 적층 시 자립이 더욱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벽체 전면을 통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벽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철근이나 빔을 지중에 근입시킨 구조에서는 벽체의 배면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되며, 경사지에도 벽체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고, 특히, 경사지에 벽체를 설치할 때, 절토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패널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벽체(1)로서,
    전면판(11)과,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전면판(11)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철근(13)과, 상기 전면판(11)의 양 측면에서 상기 철근(13)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16)와, 상기 전면판(11)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해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12)로 이루어진 기둥결합 패널(10)이 수직하게 적층되고, 상기 철근(13)이 매립되도록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전면판(11) 배면과 오목부(12)에 콘크리트(15)가 타설되어 상기 기둥결합 패널(10)과 일체를 이루는 기둥이 형성되며;
    패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면에 걸림돌출부(22)가 형성된 중간 패널(20)이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층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중간 패널(20)은, 기둥결합 패널(10)의 후면에 형성되어 이웃하게 위치하는 기둥 사이에서 상기 걸림돌출부(22)가 후방으로부터 전면을 향하여 상기 걸림부(16)에 걸쳐져서 상기 이웃하는 기둥 사이의 배면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벽체(1) 전면의 식생을 위한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로 이루어진 층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은, 전면판(11)과,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전면판(1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매설되는 철근(13)과, 상기 전면판(11)의 양 측면에서 상기 철근(13)의 양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외측에 형성된 걸림부(16)와, 상기 걸림부(16)와의 사이에 간격을 이룬 상태로 상기 걸림부(16)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측면 식생판(32)을 구비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전면판(11)의 후방에는 철근(13)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15)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과 상기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이 일체를 이루며;
    상기 측면 식생판(32)은 이웃하는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과 인접 측면 식생판(32)이 서로 마주 접하게 되어, 상기 이웃하는 측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a)의 걸림부(16)와 측면 식생판(32) 사이에 식물이 식생할 수 있도록 토사(31)가 채워질 수 있는 측면 토사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1)에는 벽체 전면의 식생을 위한 식생 중간 패널(20a)과,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둥결합 패널(10)이 이웃하여 순차적으로 배치된 층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은, 전면부(21)와, 상기 전면부(21) 후방으로 연장되는 격벽판(23)과, 상기 격벽판(23)의 단부를 폐쇄하여 식생을 위한 토사가 채워질 수 있는 토사부(25)를 형성하는 배면판(24)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격벽판(23)의 외측면으로는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이 기둥결합 패널(10) 사이에서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의 측면에 걸쳐져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으며,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과 기둥결합 패널(10)을 포함하는 층에서는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이, 수직하게 적층되고, 상기 전면판(11)의 후방에는 철근(13)이 매립되도록 콘크리트(15)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기둥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둥과 상기 기둥결합 패널(10)이 일체를 이루며,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사이에서 상기 식생 중간 패널(20a)의 걸림돌출부(22)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기 걸림부(16)에 걸쳐짐으로써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사이에 식생 중간 패널(20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결합 패널(10) 중 하나 이상은, 그 전면판(11) 전방으로 전면 토사부(19)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식생 기둥결합 패널(1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KR1020070064302A 2007-06-28 2007-06-28 패널을 이용한 벽체 KR10090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302A KR100906027B1 (ko) 2007-06-28 2007-06-28 패널을 이용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302A KR100906027B1 (ko) 2007-06-28 2007-06-28 패널을 이용한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21A KR20090000321A (ko) 2009-01-07
KR100906027B1 true KR100906027B1 (ko) 2009-07-02

Family

ID=4048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302A KR100906027B1 (ko) 2007-06-28 2007-06-28 패널을 이용한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60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967A (ja) * 1993-03-31 1994-10-11 Yoshiji Fukazawa 積みブロックとその施工方法
JPH09119142A (ja) * 1995-10-25 1997-05-06 Takeshige Shimonohara 擁壁形成方法
KR200396205Y1 (ko) * 2005-06-24 2005-09-21 대영산업(주) 친환경 식생블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7967A (ja) * 1993-03-31 1994-10-11 Yoshiji Fukazawa 積みブロックとその施工方法
JPH09119142A (ja) * 1995-10-25 1997-05-06 Takeshige Shimonohara 擁壁形成方法
KR200396205Y1 (ko) * 2005-06-24 2005-09-21 대영산업(주) 친환경 식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321A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5289B2 (en) Self-connecting, reinforced retaining wall and masonry units therefor
KR101407968B1 (ko) 횡방향 결속 구조 및 횡방향 선형가변 구조의 옹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및 수로옹벽 시공방법
KR10140508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460948B1 (ko) 철망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0763443B1 (ko) 식생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06027B1 (ko) 패널을 이용한 벽체
KR101179442B1 (ko) 1방향 장선슬래브용 pc슬래브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101287739B1 (ko) 널말뚝식 복합 모듈러 교대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783678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95328B1 (ko) 패널을 이용한 성토부 옹벽 구조 및 성토부 옹벽 시공방법
KR100448438B1 (ko) 옹벽용 강재틀 및 이를 형성하는 형강부재
KR100768484B1 (ko) ㄷ자 블록과 i자 블록을 이용한 블록 옹벽
KR100827783B1 (ko) 블록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827782B1 (ko) ㅂ자 형상의 중공 연통 블록을 이용한 벽체
KR102226508B1 (ko) 내진 연속벽의 시공방법 및 이에 따라 시공된 내진 연속벽
JP3611967B2 (ja) 法面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736269B1 (ko) 수직 방향의 연속 통공이 형성되는 근입식 블록 옹벽 및 그시공방법
KR20090000320A (ko) 패널을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39826B1 (ko) 판형 각재를 이용한 보강토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KR101204308B1 (ko) 통나무 돌바구니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6418523B2 (ja) 断熱型枠を用いた基礎構造及び耐圧版式土間基礎の形成方法
KR101539400B1 (ko) 태양광 패널이 설치된 방음기능 개비온
KR102558157B1 (ko) 높이가 다른 블럭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