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811B1 -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811B1
KR100904811B1 KR1020077008339A KR20077008339A KR100904811B1 KR 100904811 B1 KR100904811 B1 KR 100904811B1 KR 1020077008339 A KR1020077008339 A KR 1020077008339A KR 20077008339 A KR20077008339 A KR 20077008339A KR 100904811 B1 KR100904811 B1 KR 10090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age
elevator
plat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8619A (ko
Inventor
마사아키 야마다
하츠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08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8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보수 작업이나 내부 기기류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공간 절약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고정 천장부와, 그 일부가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으로써, 고정 천장부에 인접하는 일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자유로운 가동 천장부와,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맞물림 부와, 고정 천장부의 가동 천장부에 인접하는 일단부에 설치된 지지부를 구비하고, 이 지지부에,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 및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쪽을 통과하여 고정 천장부 측으로부터 가동 천장부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돌출부에 맞물림 부를 맞물리게 하며,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함과 동시에, 돌출부를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를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고, 이 돌출부를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돌출부와 맞물림 부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DEVICE FOR LIGHTING ELEVATOR CA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점검이 필요한 경우나, 이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내부 기기류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은,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 반입한, 발판 사다리 위에 타고 위를 향하면서 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되고, 무리한 자세에서의 장시간의 작업이 강요되고 있었다. 특히, 조명판의 떼어내는 것인 조명 장치의 하부를 개방하는 작업은, 그 순서가 복잡화하고 있어, 곤란한 것으로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에는, 부착 부재와, 이 부착 부재 측에 가압된 볼(ball)에 의해서 조명 커버의 단부를 협지(挾持)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실 내로부터의 조명 커버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보수 작업원의 작업성을 개선시킨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된 윈치(winch)로부터의 체인을 엘리베이터 칸 실 내의 조명 기구에 접속함으로써, 이 조명 기구를 전동(電動) 에 의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2002-21185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개평7-137961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문헌 1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에서는, 판 스프링에 의해서 가압된 볼에 의해서만 조명 커버의 단부가 지지됨과 동시에, 조명 커버를 떼어내는 방향과 판 스프링의 가압력의 방향이 직교하기 때문에, 조명 커버의 중량이 의장(意匠)적인 제약 등에 의해 증가한 경우에는, 그 중량감에 견디지 못하고, 조명 커버를 지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상부에 설치되는 윈치나 조명 기구의 승강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 등의 크기가 큰 장치가 필요하고, 컴팩트 설계의 방해가 됨과 동시에, 승강로 내의 엘리베이터 기기류의 레이 아웃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수 작업이나 내부 기기류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공간 절약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실 내를 비추는 조명체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고정 천장부와, 그 일부가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으로써, 고정 천장부에 인접하는 일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자유로운 가동 천장부와,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맞물림 부와, 고정 천장부의 가동 천장부에 인접하는 일단부에 설치된 지지부와, 지지부에 설치되어,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 및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쪽을 통과하여 고정 천장부 측으로부터 가동 천장부 측으로 돌출하고, 그 일부가 맞물림 부에 맞물려서,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돌출부는,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를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돌출부를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돌출부와 맞물림 부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실 내를 비추는 조명체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고정 천장부와, 그 일부가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으로써, 고정 천장부에 인접하는 일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자유로운 가동 천장부와,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맞물림 부와, 고정 천장부의 가동 천장부에 인접하는 일단부에 설치된 지지부와, 지지부에 설치되어,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 및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쪽을 통과하여 고정 천장부 측으로부터 가동 천장부 측으로 돌출하고, 그 일부가 맞물림 부에 맞물려서,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를 소정의 높이 로 유지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는,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를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돌출부를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돌출부와 맞물림 부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 가능하게 구성된 것에 의해, 보수 작업이나 내부 기기류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공간 절약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실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B 화살표 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C 화살표 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D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E-E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F-F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H-H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동작을 나타내는 도 7 상당도이다.
도 10]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동작을 나타내는 도 5 상당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동작을 나타내는 도 8 상당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K부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l3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M-M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N-N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L부 확대도이다.
도 17]도 16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P-P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S-S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동작을 나타내는 도 18 상당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동작을 나타내는 도 12 상당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조명체, 2 조명 커버부, 3 중앙 천장판, 3a 올라가는 부분, 4 우측 천장판, 5 좌측 천장판, 5a 올라가는 부분, 5b 수평 부분, 5c 경사부, 5d 개구부, 5e 차광판, 6 힌지, 7 조명판, 8 맞물림 판, 8a 절개부, 9 보강재, 10 유지구, 11 지지쇠, 11a 바닥부, 11b 올라가는 부분, 11c 돌출부, 11d 긴 구멍, 11e 나사 구멍, 12 고정쇠, 12a 관통 구멍, 13 핀, 14 스프링, 15 볼트, 16 와셔, 17 너트, 18 락 너트, 19 너트, 20 스틸 테이프(steel tape), 21 맞물림 판, 21a 절개부, 22 유지구, 23 지지쇠, 23a 바닥부, 23b 올라가는 부분, 23c 올라가는 부분, 23d 돌출부, 23e 관통 구멍, 23f 관통 구멍, 24 제 1 고정쇠, 24a 관통 구멍, 25 제 2 고정쇠, 25a 나사 구멍, 26 핀, 27 스프링, 28 너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 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실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B 화살표 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있어서, 1은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 실 내를 비추는 형광등 등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조명체, 2는 조명체(1)를 덮도록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의 전체에 걸쳐 그 하면이 엘리베이터 칸 실 천장면을 형성하는 조명 커버부이다.
여기서, 상기 조명 커버부(2)는, 엘리베이터 칸 실의 출입구 측에서 보아 중앙부의 전후에 걸쳐 배치된 중앙 천장판(3)과, 이 중앙 천장판(3)의 양측에 전후에 걸쳐 배치된 우측 천장판(4) 및 좌측 천장판(5)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 천장판(3)은, 화장도장(化粧塗裝)된 강판(鋼板) 또는 알루미늄제의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고,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매달려 고정되어, 조명체(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좌우 양단부에는, 가장자리가 소정 거리 위쪽으로 굽어 형성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후에 걸쳐 올라가는 부분(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고정 천장부는,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상기 중앙 천장판(3)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좌측 천장판(5)은, 중앙 천장판(3)과 마찬가지로 화장도장된 강판 또는 알루미늄제의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고, 엘리베이터 칸 실의 좌측의 측벽에 인 접하는 좌측 단부의 앞쪽 및 뒤쪽이,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축을 가지는 힌지(6)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즉, 이 좌측 천장판(5)의 중앙 천장판(3)에 인접하는 우측 단부는, 힌지(6)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조명 커버부(2)의 일부를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한다. 또,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에는, 그 가장자리가 소정 거리 위쪽으로 굽어 형성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후에 걸쳐 올라가는 부분(5a)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천장판(5)의 이 올라가는 부분(5a)과 중앙 천장판(3)의 한쪽의 올라가는 부분(3a)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폭 G(예를 들면, 2mm)를 가지는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 천장판(5)은, 엘리베이터 칸 실 천장면을 형성하는 부분이, 중앙 천장판(3) 측의 수평 부분(5b)과, 이 수평 부분(5b)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칸 실의 좌측의 측벽으로 향함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경사하는 경사부(5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5c)에는, 그 전체에 걸쳐 대략 4각형 모양을 나타내는 개구부(5d)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5d)를 막도록, 소정의 투광성을 가지는 조명판(7)(예를 들면, 유백(乳白)색의 아크릴판)이 경사부(5c)의 위쪽으로부터 실어 놓여져 고정되어 있다.
또, 5e는 좌측 천장판(5)의 수평 부분(5b)에 세워 설치된 차광판(차광부)이다. 이 차광판(5e)은, 수평 부분(5b) 위쪽에 배치된 한쪽의 조명체(1)로부터 조사된 빛이, 중앙 천장판(3)의 좌측 단부와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한쪽의 조명체(1)의 중앙 천 장판(3) 측을 덮도록, 이 조명체(1)와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차광판(5e)은, 조명체(1)에 대향하는 면에 반사율이 높은 도장 등이 시행되어져 있고, 조명체(1)로부터 중앙 천장판(3) 측에 조사되는 빛을 중앙 천장판(3) 측의 반대로 반사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조명체(1)로부터의 빛은, 중앙 천장판(3)의 좌측 단부와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부터 새는 것은 없이, 좌측 천장판(5)의 위쪽에서 확산되어, 조명판(70)을 지나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 조사된다.
한편, 우측 천장판(4)도, 상기 좌측 천장판(5)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한쪽의 조명체(1)로부터의 빛은, 우측 천장판(4)의 위쪽에서 확산되어, 조명판(7)을 지나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 조사된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가동 천장부는, 상기 좌측 천장판(5)과 상기 우측 천장판(4)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C 화살표 도이며,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일부를 위쪽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D부 확대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E-E 단면도, 도 7은 그 F-F 단면도, 도 8은 그 H-H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있어서,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의 상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후에 걸쳐, 종단면 대략 Z자 모양을 나타내는 맞물림 판(8)(맞물림 부)이, 접착 또는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 맞물림 판(8)은, 중앙 천장판(3) 측의 단부(이하, 「상단부」라고 함)가,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와 소정의 간격을 가져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판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맞물림 판(8)의 상단부는,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의 위쪽에 있어서, 이 우측 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맞물림 판(8)의 상단부에는, 중앙 천장판(3) 측에 개구하는 오목한 모양의 복수(도 4에 있어서는 3개)의 절개부(8a)가, 소정 간격 마다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측 천장판(5)에 인접하는 중앙 천장판(3)의 좌측 단부의 상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후에 걸쳐, 보강재(9)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보강재(9)는, 얇은 판자가 굽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고, 그 상면이 중앙 천장판(3)의 좌측 단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재(9)의 상면에는, 맞물림 판(8)의 상단부에 형성된 각 절개부(8a)에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유지구(10)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지구(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유지구(10)는, 지지쇠(11)(지지부)와, 고정쇠(12)와, 핀(13)과, 스프링(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쇠(11)는, 앞쪽 측면 가장자리 부분과 뒤쪽 측면 가장자리 부분이 위쪽으로 굽어 형성됨으로써, 보강재(9)의 상면에 실어 놓인 바닥부(11a)의 전후에, 올라가는 부분(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 11c는 바닥부(11a)로부터 좌측 천장판(5)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설치된 돌출부이다. 이 돌출부(11c)는, 중앙 천장판(3)의 일단부에 평행에 배치된 판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 고, 중앙 천장판(3)과 좌측 천장판(5)과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쪽을 통과하여, 중앙 천장판(3) 측으로부터 좌측 천장판(5)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선단부에 맞물림 판(8)의 상단부가 실어 놓이도록 돌출부(11c)가 맞물림 판(8)에 아래쪽으로부터 맞물림 하여,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여, 좌측 천장판(5)의 하면과 중앙 천장판(3)의 하면을 일련의 엘리베이터 칸 실 천장면으로서 형성한다.
또, 상기 지지쇠(11)에는, 바닥부(11a)에,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는 2개의 긴 구멍(1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재(9)의 상면에서 선단 나사부가 돌출하도록 보강재(9)에 용접 고정된 볼트(15)가, 각 긴 구멍(11d)에 느슨하게 관통되어 있다. 또한, 16은 각 볼트(15)에 느슨하게 관통되어 지지쇠(11)의 바닥부(11a) 상면에 실어 놓인 와셔, 17은 그 하면이 와셔(16) 상면과 약간의 틈새 G1을 가져 볼트(15)에 나사 맞춤된 너트, 18은 너트(17)의 위쪽으로부터 볼트(15)에 나사 맞춤되어, 너트(17)와 함께 더블 너트 체결된 락 너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지지쇠(11)는, 긴 구멍(11d)의 길이 방향, 즉, 중앙 천장판(3)의 우측 단부에 따라서 소정 거리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고, 그 이동시의 덜컹거림도 최소로 억제되고 있다.
또, 대략 L자 모양으로 굽어 형성된 상기 고정쇠(12)는, 보강재(9)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상단부가, 지지쇠(11)의 한쪽의 올라가는 부분(11b)(실시예 1에 있어서는, 뒤쪽의 올라가는 부분(11b))에 소정의 간격을 가져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단부가 보강재(9)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 쇠(11)의 한쪽의 올라가는 부분(11b)에 형성된 나사 구멍(11e)과, 고정쇠(12)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은, 대략 일직선 모양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핀(13)은, 고정쇠(12)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에, 반(反)지지쇠(11) 측으로부터 끼워 통해지고, 그 선단부에 설치된 나사부가, 지지판(11)의 올라가는 부분(11b)에 형성된 나사 구멍(11e)에 나사 맞춤되어 있다. 또, 핀(13)의 선단부에는, 너트(19)가 더욱 나사 맞춤되어, 누락 방지가 도모해지고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14)은, 중공부에 핀(13)이 끼워 통해지고, 고정쇠(12)의 상단부 및 지지쇠(11)의 한쪽의 올라가는 부분(1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쇠(11)는, 스프링(14)에 의해서, 반고정쇠(12) 측에 상시 가압되고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8은, 지지쇠(11)가 스프링(14)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서 가장 반고정쇠(12) 측, 즉, 엘리베이터 칸 실의 앞쪽으로 이동하여, 고정쇠(12)의 상단부 및 지지쇠(11)의 한쪽의 올라가는 부분(11b) 사이가 거리 J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지쇠(11)가 엘리베이터 칸 실의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볼트(15)가 긴 구멍(11d)의 뒤쪽에 배치된다. 또, 지지쇠(11)의 돌출부(11c)의 선단부는, 맞물림 판(8)에 형성된 절개부(8a)보다 소정 거리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쇠(11)의 돌출부(11c) 선단부가, 맞물림 판(8)의 상단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이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된다.
또한, 우측 천장판(4)의 좌측 단부 및 이 우측 천장판(4)에 인접하는 중앙 천장판(3)의 우측 단부도,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유지 구(10)에 의해서, 우측 천장판(4)의 좌측 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점검이나 조명체(1)의 교환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서 우측 천장판(4)나 좌측 천장판(5)를 개방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동작을 나타내는 도 7 상당도, 도 10은 그 도 5 상당도, 도 11은 그 도 8 상당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은,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 반입된 발판 사다리 등에 올라,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아래쪽에서부터, 중앙 천장판(3)과 좌측 천장판(5)과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폭 G의 틈새에, 예를 들면, 스틸 테이프(steel tape)(20)를 아래쪽에서부터 삽입한다. 또한, 이 스틸 테이프(20)는, 그 두께가 폭 G보다 얇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 모양 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틸 테이프(2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쇠(11)의 돌출부(11c)를, 스프링(1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일측(실시예 1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칸 실의 뒤쪽)에 이동시킨다. 스틸 테이프(20)에 의해서 지지쇠(11)의 돌출부(11c)를 맞물림 판(8)의 절개부(8a)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지지쇠(11)의 돌출부(11c)와 맞물림 판(8)의 상단부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도 10은 지지판(11)의 돌출부(11c)와 맞물림 판(8)의 상단부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후,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은,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조명체(1)의 교환이나 보수 작업 등을 실시한다.
또, 조명체(1)의 교환 후, 보수 작업원은, 상기와 반대의 순서에 의해, 좌측 천장판(5)을 닫을 수 있다. 즉, 보수 작업원은, 먼저,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를 힌지(6)를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좌측 천장판(5)의 하면을 중앙 천장판(3)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로 맞춤과 동시에, 좌측 천장판(5)과 중앙 천장판(3)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스틸 테이프(20)를 삽입하여, 이 스틸 테이프(20)에 의해서 지지쇠(11)의 돌출부(11c)를, 맞물림 판(8)의 절개부(8a)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지지쇠(11)의 돌출부(11c)를 맞물림 판(8)의 상단부의 아래쪽에 배치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순서 및 동작에 의해서 우측 천장판(4)의 개폐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은, 좌측 천장판(5) 및 우측 천장판(4)의 개폐를, 엘리베이터 칸 실 내로부터의 스틸 테이프(20)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실시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점검이나 내부 기기류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중앙 천장판(3)의 양측에 형성된 틈새의 폭이 작기 때문에 의장성에도 우수함과 동시에, 우측 천장판(4)이나 좌측 천장판(5)의 중량이 증가한 경우에서도, 지지쇠(11)와 맞물림 판(8)에 의해서 확실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 및 우측 천장판(4)의 좌측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쇠(11)의 돌출부(11c), 및, 이 돌출부(11c)에 맞물리는 맞물림 판(8)의 상단부 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판 모양 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돌출부(11c)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돌출부(11c)와 맞물림 판(8)의 상단부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연직 방향의 두께를 억제하여, 공간 절약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로 내의 각종 기기류의 레이아웃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1과 같이, 중앙 천장판(3)의 양측에 가동 천장부로 이루어지는 우측 천장판(4)과 좌측 천장판(5)을 설치하여, 중앙 천장판(3) 근처에 조명체(1)를 배치함으로써, 우측 천장판(4)이나 좌측 천장판(5)의 개폐 동작과, 조명체(1)의 교환 작업을 한 곳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 더욱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K부 확대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M-M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N-N 단면도, 도 16은 도 12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L부 확대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P-P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S-S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에 있어서, 맞물림 판(21)(맞물림 부)은, 실시예 1에 있어 서의 맞물림 판(8)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판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그 상단부가,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의 위쪽에 있어서, 이 우측 단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맞물림 판(21)의 상단부에는, 중앙 천장판(3) 측에 개구 하는 폭 Q의 오목한 모양의 복수(도 12에 있어서는 5개)의 절개부(21a)가, 소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 좌측 천장판(5)에 인접하는 중앙 천장판(3)의 좌측 단부의 상면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보강재(9)가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재(9)의 상면에는, 하나의 유지구(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구(22)는, 지지쇠(23)(지지부)와, 제 1 고정쇠(24)와, 제 2 고정쇠(25)와, 핀(26)과, 스프링(2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쇠(23)는, 중앙 천장판(3)의 좌측 단부에 걸쳐 설치되고, 앞쪽 가장자리 부분과 뒤쪽 가장자리 부분이 위쪽으로 굽어 형성됨으로써, 보강재(9)의 상면에 실어 놓인 바닥부(23a)의 전후에, 올라가는 부분(2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쇠(23)는, 보강재(9)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 실의 전후 방향에 길이 방향을 가지고 있고, 중앙 천장판(3)의 전후에 걸쳐 설치된 보강재(9)보다 소정 거리 짧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23c는, 보강을 위해서 바닥부(23a)의 우측 가장자리가 위쪽으로 굽어 형성된 올라가는 부분, 23d는 바닥부(23a)로부터 좌측 천장판(5) 측에 향해 돌출하여 설치된 폭 R(< Q)의 복수(도 12에 있어서는 5개)의 돌출부이다. 각 돌출부(23d)는, 중앙 천장판(3)의 일단부에 평행하게 배치된 판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고, 중앙 천장판(3)과 좌측 천장판(5)과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쪽을 통과하여, 중앙 천장판(3) 측으로부터 좌측 천장판(5) 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리고, 그 선단부에 맞물림 판(21)의 상단부가 실어 놓이도록 돌출부(23d)가 맞물림 판(21)에 아래쪽에서부터 맞물림 하여,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를 소정의 높이 로 유지하며, 좌측 천장판(5)의 하면과 중앙 천장판(3)의 하면을 일련의 엘리베이터 칸 실 천장면으로서 형성한다.
또, 대략 L자 모양으로 굽어 형성된 상기 제 1 고정쇠(24) 및 제 2 고정쇠(25)는, 보강재(9)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각 상단부가, 지지쇠(23)를 사이에 끼워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그 하단부가 보강재(9)의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또한, 지지쇠(23)의 앞쪽에 배치된 제 1 고정쇠(24)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24a)과, 제 1 고정쇠(24)의 상단부에 대향하는 지지쇠(23)의 올라가는 부분(23b)에 형성된 관통 구멍(23e)과, 지지쇠(23)의 뒤쪽에 배치된 제 2 고정쇠(25)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 구멍(25a)과, 제 2 고정쇠(25)의 상단부에 대향하는 지지쇠(23)의 올라가는 부분(23b)에 형성된 관통 구멍(23f)은, 대략 일직선 모양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핀(26)은, 제 1 고정쇠(24)에 형성된 관통 구멍(24a)에, 반지지쇠(23) 측으로부터 삽입하여 통해지고, 지지쇠(23)의 각 올라가는 부분(23b)에 형성된 관통 구멍 23e 및 23f를 지나, 그 선단부에 설치된 나사부가, 제 2 고정쇠(25)에 형성된 나사 구멍(25a)에 나사 맞춤되어 있다. 또, 핀(26)의 선단부에는, 너트(28)가 더욱 나사 맞춤되어 누락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27)은, 중공부에 핀(26)이 끼워 통해지고, 제 2 고정쇠(25)의 상단부 및 지지쇠(23)의 뒤쪽의 올라가는 부분(23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지지쇠(23)는, 스 프링(27)에 의해서, 반(反)제 1 고정쇠(24) 측으로 상시 가압되고 있다.
여기서, 도 12 내지 18은, 지지쇠(23)가 스프링(27)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서 가장 반(反) 제 2 고정쇠(25) 측, 즉, 엘리베이터 칸 실의 앞쪽으로 이동하여, 제 2 고정쇠(25)의 상단부 및 지지쇠(23)의 뒤쪽의 올라가는 부분(23b) 사이가 거리 T가 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지쇠(23)가 핀(26)의 축 방향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실의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제 1 고정쇠(24)의 상단부와 지지쇠(23)의 앞쪽의 올라가는 부분(23b)이 접촉한다. 또, 지지쇠(23)의 각 돌출부(23d)의 선단부는, 맞물림 판(21)에 형성된 각 절개부(21a)보다 소정 거리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쇠(23)의 각 돌출부(23d) 선단부가, 맞물림 판(21)의 상단부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이 상단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된다.
또한, 우측 천장판(4)의 좌측 단부 및 이 우측 천장판(4)에 인접하는 중앙 천장판(3)의 우측 단부도,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지쇠(23)의 각 돌출부(23d)에 의해서, 우측 천장판(4)의 좌측 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고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점검이나 조명체(1)의 교환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서부터 우측 천장판(4)이나 좌측 천장판(5)을 개방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동작을 나타내는 도 18 상당도, 도 20은 그 도 12 상당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은,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 반입된 발판 사다리 등에 올라,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아래쪽에서부터, 중앙 천장판(3)과 좌측 천장판(5)과의 인접하는 단부 사이에 형성된 폭 G의 틈새에, 예를 들면, 스틸 테이프(20)를 아래쪽에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스틸 테이프(20)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쇠(23)의 하나의 돌출부(23d)를, 스프링(2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각 돌출부(23d)는 지지쇠(23)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돌출부(23d)를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른 돌출부(23d)도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틸 테이프(20)에 의해서 지지쇠(23)의 돌출부(23d)를 맞물림 판(21)의 절개부(21a)의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지지쇠(23)의 각 돌출부(23d)와 맞물림 판(21)의 상단부와의 맞물림 상태가 일제히 해제되고,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가 아래쪽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그 후,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은, 좌측 천장판(5)의 우측 단부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조명체(1)의 교환이나 보수 작업 등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하면, 스틸 테이프(20)에 의해서 지지쇠(23)의 하나의 돌출부(23d)를 엘리베이터 칸 실의 뒤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쇠(23) 전체가 이동하여, 모든 돌출부(23d)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수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 실 내에서 실시하는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켜, 보수 작업원에 걸리는 부담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외는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에 의하면, 스틸 테이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 실 내로부터 용이하게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하부를 개방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보수 작업이나 내부 기기류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지지쇠의 돌출부와 맞물림 판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배치된 판 모양 부재로 구성하고, 돌출부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지지부의 돌출부와 맞물림 판의 상단부와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의 공간 절약화에도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 내를 비추는 조명체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고정 천장부와,
    그 일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 실 상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 천장부에 인접하는 일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 자유로운 가동 천장부와,
    상기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맞물림 부와,
    상기 고정 천장부의 상기 가동 천장부에 인접하는 일단부에 설치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 및 상기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 위쪽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 천장부 측로부터 상기 가동 천장부 측으로 돌출하고, 그 일부가 상기 맞물림 부에 맞물림 하여, 상기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하는 돌출부와
    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를 따라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를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와 상기 맞물림 부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 및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틈새에 아래쪽에서부터 삽입된 판 모양 부재에 의해서 돌출부를 일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와 맞물림 부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조명체는, 가동 천장부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조명체와 상기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와의 사이에,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 및 상기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부터 상기 조명체의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돌출부는,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에 걸쳐 설치된 1개의 지지부에 복수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돌출부는 고정 천장부의 일단부에, 또, 상기 돌출부에 맞물리는 맞물림 부의 일부는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에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판 모양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맞물림 부가 상기 돌출부에 실어 놓이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 천장부의 일단부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6.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가동 천장부는, 고정 천장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KR1020077008339A 2007-04-12 2005-11-1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KR10090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8339A KR100904811B1 (ko) 2007-04-12 2005-11-1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8339A KR100904811B1 (ko) 2007-04-12 2005-11-1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619A KR20070088619A (ko) 2007-08-29
KR100904811B1 true KR100904811B1 (ko) 2009-06-25

Family

ID=3861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339A KR100904811B1 (ko) 2007-04-12 2005-11-18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8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023B1 (ko) * 2012-08-13 2017-02-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실 천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063U (ko) * 1977-09-12 1979-04-05
JP2001316061A (ja) * 2000-05-10 2001-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の天井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9063U (ko) * 1977-09-12 1979-04-05
JP2001316061A (ja) * 2000-05-10 2001-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の天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619A (ko) 200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838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照明装置
KR100904811B1 (ko)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조명 장치
JP5578895B2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照明装置
JP2007084178A (ja) エレベータの乗場固定用ストッパー及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乗場扉固定装置
KR20100101411A (ko)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1929289B1 (ko) 엘이디앳지조명패키지 보호구조
JP5523151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装置
JP5311663B2 (ja) エレベータ照明装置
CN100418870C (zh) 具有集成控制器的电梯轿厢框架
JP5066838B2 (ja) エレベータかご照明装置
JP2010064891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照明装置
KR101098856B1 (ko) 안내 게시장치
JP5377107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
CN211545609U (zh) 电梯装置
JP2765463B2 (ja) エレベーターかごの天井照明装置
JP2008007216A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天井
JP4627453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用天井照明装置
CN112399957B (zh) 电梯的顶棚装置和电梯的轿厢
KR101237029B1 (ko) 원터치 방식의 커버 체결구를 구비한 자동차 도장 검사용 등기구
CN217269602U (zh) 一种钢网检测设备前门自动升降机构
JP5174387B2 (ja) 乗客コンベア
JP2005338531A (ja) 大型表示装置
JP7500503B2 (ja) 保護カバー
KR101781163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구동부 장착장치
JP2006193294A (ja) 乗客コンベアの欄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