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619B1 - 연합용 분할 다이스 - Google Patents

연합용 분할 다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619B1
KR100904619B1 KR1020090023789A KR20090023789A KR100904619B1 KR 100904619 B1 KR100904619 B1 KR 100904619B1 KR 1020090023789 A KR1020090023789 A KR 1020090023789A KR 20090023789 A KR20090023789 A KR 20090023789A KR 100904619 B1 KR100904619 B1 KR 10090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wire
wire rod
divided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무현
박종길
Original Assignee
(주)티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엠씨 filed Critical (주)티엠씨
Priority to KR1020090023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2Filling or coating with impervi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2Stranding-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제조과정에서 케이블의 특성에 따라 구성되는 철선, 도체, 심선, 개재끈, 바인더 등을 연합시키는 장치인 다이스를 별도의 포집수단이 필요없이 각 구성물을 손상없이 연합할 수 있고, 쉽게 작업 교체와 보수를 할 수 있는 연합용 분할 다이스에 관한 것이며, 공급장치에서 원추형으로 선재와 채움재가 모여져 삽입되는 다이스를 두개의 반체로 이루어져 합쳐진 분할다이스로 구성하고, 분할다이스의 전단에 입구가 넓고 출구가 좁은 콘형입구부가 형성되며, 콘형입구부의 후방에 일체로 연합홀이 형성되어 선재와 채움재가 연합되고, 두개의 반체의 맞닿는 면에 각각 결합돌기와 돌기결합홈이 형성되어 맞물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이스, 케이블, 선재, 채움재, 공급장치

Description

연합용 분할 다이스 { A divided dies of joining into one for line materials }
본 발명은 연합용 분할 다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제조과정에서 케이블의 특성에 따라 구성되는 철선, 도체, 심선, 개재끈, 바인더 등을 연합시키는 장치인 다이스를 별도의 포집수단이 필요없이 각 구성물을 손상없이 연합할 수 있고, 쉽게 작업 교체와 보수를 할 수 있는 연합용 분할 다이스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여러가닥의 선재를 채움재와 같이 연합 다이스에 넣고 잡아 당기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이스(100)를 사용한다.
이러한 다이스(100)는 원통형몸체(101)의 중앙에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합홀(102)이 형성되고, 연합홀(102)에 공급장치(1)로 부터 공급되는 선재와 채움재를 동시에 넣고 끌어당기게 된다.
공급장치(1)에서 공급되는 선재(5)와 채움재(4)는 공급원판에서 연합홀로 모 여서 들어가기 때문에 입홀 각도에 의하여 연합홀(102) 단부와 선재(5)가 마찰되어 작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선재를 절단하고, 다시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과다한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연속작업이 불가능한 치명적이 문제가 있어왔다.
종래에는 선재가 다이스(100)로 들어가는 입구부분에서 포집용 가죽끈(103)으로 선재(5)를 모아서 다이스(100)와 선재(5)의 직접적이고 과다한 마찰이 없게 하였으나, 가죽끈이 파손되는 경우에는 선재 선단 불량으로 손실이 나는 문제가 있고, 불편하였다.
또한 포집용 가죽끈(103)으로 선재를 감아서 포집하기 때문에 풀릴 염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이스의 형상을 개선하여 작업성이 뛰어나게 할 뿐만 아니라, 선재불량시 보수가 간편하게 하며, 별도의 포집용 가죽끈을 사용하지 않고 다이스에 포집시 선재가 다이스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게 하는 연합용 분할 다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연합용 분할 다이스가 설치되는 다이스블럭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재의 공급 각도에 따라 다이스 블럭을 전후이동하여 콘형입구부에 마찰이 많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블의 선재의 채움재를 연합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연합용 다이스에 있어서, 공급장치에서 원추형으로 선재와 채움재가 모여져 삽입되는 다이스를 두개의 반체로 이루어져 합쳐진 분할다이스로 구성하고, 분할다이스의 전단에 입구가 넓고 출구가 좁은 콘형입구부가 형성되며, 콘형입구부의 후방에 일체로 연합홀이 형성되어 선재와 채움재가 연합되고, 두개의 반체의 맞닿는 면에 각각 결합돌기와 돌기결합홈이 형성되어 맞물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분할 다이스는 다이스블록에 고정되고, 다이스블록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해진 분할다이스의 콘형입구부 각도와 공급 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선재의 각도 차이를 줄여 설치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합용 분할 다이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이스가 분할되어 두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므로 선재불량시 몸체를 분할하여 선재을 꺼내거나 보수할 수 있으므로 아주 편리하고 작업성이 뛰어나다.
또한 다이스가 분할되어 있으므로 선재와 채움재를 최초에 삽입할 때 편리하고, 다이스블록에 설치하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분할다이스의 경우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는 콘형 입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포집용 가죽끈이 필요없이 하나의 다이스로 선재의 포집까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대에 다이스블록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콘형입구부의 경사각도를 선재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분할다이스의 입구와의 마찰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1)에서 공급되는 채움재(4)와 선재(5)를 하나의 선으로 연합하는 다이스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두개의 반체(21)(22)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반체(21)(22)의 전단에는 콘형입구부(24)가 형성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할다이스(20) 전방에서 공급장치(1)에서 원추형으로 선재와 채움재가 모여져 삽입되는데, 분할다이스(20)는 두개의 반체(21)(22)로 이루어지고, 두개의 반체(21)(22)가 합쳐져서 분할다이스(20)를 구성한다.
분할다이스(20)의 반체(21)(22) 각각은 전단에 입구가 넓고 출구가 좁은 콘형입구부(24)가 형성되고, 콘형입구부(24)의 후방에 일체로 연합홀(23)이 형성되어 선재(5)와 채움재(4)가 연합되어 연합선(3)이 배출된다.
두개의 반체(21)(22)는 서로 맞닿는 면에 각각 결합돌기(25)와 돌기결합홈(26)이 형성되어 맞물린다. 이는 두개의 반체(21)(22)가 정확한 위치에서 맞닿도록 가이드해주는 역할을 해주고, 결합된 상태에서 맞닿은 면과 같은 방향의 힘에 의해 밀리지 않게 해준다.
이러한 분할다이스(20)는 작업대(2) 위에 설치되는 다이스블록(10)에 고정되는데, 다이스블록(10)은 하단에 슬라이드부(11)가 형성되어 작업대(2)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부(2-1)를 따라 전후 이동하게 구성된다.
다이스블록(10) 하단 중앙에 내경에 나사산이 있는 볼트홀이 형성되고, 작업대(2)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볼트봉(13)이 설치된다. 볼트봉(13)의 단부에는 핸들(14)이 설치되어 핸들(14)을 돌리면 볼트봉(13)이 회전하고, 회전하는 볼트봉(13)에 맞물리는 다이스블록(10)이 가이드부(2-1)를 따라 전후 이동하게 된다.
다이스블록(1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분할 다이스(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다이스블록(10)의 홈 상부에는 고정대(12)가 분할다이스(20)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고정대(12)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사용한다.
따라서 고정대(12)를 개방하고, 분할다이스(20)의 반체(22)를 들어내면 간단하게 보수 할 수 있다.
원추형으로 모이는 선재(5)와 채움재(4)는 콘형입구부(24)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포집되므로 별도의 포집수단이 필요없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연합용 다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연합용 다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연합용 다이스를 절단하여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합용 분할 다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합용 분할 다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연합용 분할 다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합용 분할 다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합용 분할 다이스가 설치된 상태에서 일부 절개되어 도시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공급장치 2 : 작업대
2-1 : 가이드부 3 : 연합선
4 : 채움재 5 : 선재
10 : 다이스블록 11 : 슬라이드부
12 : 고정대 13 : 볼트봉
14 : 핸들 20 : 분할다이스
21, 22 : 반체 23 : 연합홀
24 : 콘형입구부 25 : 결합돌기
26 : 돌기결합홈 100 : 다이스
101 : 원통형몸체 102 : 연합홀
103 : 포집용 가죽끈

Claims (2)

  1. 케이블의 선재의 채움재를 연합하는 장치에 사용하는 연합용 다이스에 있어서,
    공급장치에서 원추형으로 선재와 채움재가 모여져 삽입되는 다이스를 두개의 반체로 이루어져 합쳐진 분할다이스로 구성하고,
    분할다이스의 전단에 입구가 넓고 출구가 좁은 콘형입구부가 형성되며, 콘형입구부의 후방에 일체로 연합홀이 형성되어 선재와 채움재가 연합되고,
    두개의 반체의 맞닿는 면에 각각 결합돌기와 돌기결합홈이 형성되어 맞물리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합용 분할 다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 다이스는 다이스블록에 고정되고, 다이스블록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정해진 분할다이스의 콘형입구부 각도와 공급장치로 부터 공급되는 선재의 각도 차이를 줄여 설치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합용 분할 다이스.
KR1020090023789A 2009-03-20 2009-03-20 연합용 분할 다이스 KR10090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89A KR100904619B1 (ko) 2009-03-20 2009-03-20 연합용 분할 다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789A KR100904619B1 (ko) 2009-03-20 2009-03-20 연합용 분할 다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619B1 true KR100904619B1 (ko) 2009-06-25

Family

ID=4098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789A KR100904619B1 (ko) 2009-03-20 2009-03-20 연합용 분할 다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6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96B1 (ko) 2015-09-18 2017-03-17 주식회사 티엠씨 전력케이블의 중성선 정렬 다이스
CN108735392A (zh) * 2017-04-14 2018-11-02 东莞建玮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线材的填料方法及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946A (ja) * 1991-09-20 1993-04-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被覆線の押出被覆方法
KR19980067330A (ko) * 1997-02-03 1998-10-15 이진영 전선용 도체의 외주 가압장치
JP2004158201A (ja) 2002-11-01 2004-06-03 Fujikura Ltd 転位撚線の製造装置
KR20050101732A (ko) * 2004-04-20 2005-10-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압출에 의한 다수의 연선된 코어의 수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946A (ja) * 1991-09-20 1993-04-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被覆線の押出被覆方法
KR19980067330A (ko) * 1997-02-03 1998-10-15 이진영 전선용 도체의 외주 가압장치
JP2004158201A (ja) 2002-11-01 2004-06-03 Fujikura Ltd 転位撚線の製造装置
KR20050101732A (ko) * 2004-04-20 2005-10-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압출에 의한 다수의 연선된 코어의 수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696B1 (ko) 2015-09-18 2017-03-17 주식회사 티엠씨 전력케이블의 중성선 정렬 다이스
CN108735392A (zh) * 2017-04-14 2018-11-02 东莞建玮电子制品有限公司 一种线材的填料方法及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56400A (zh) 一种木片成形铣削设备
KR100904619B1 (ko) 연합용 분할 다이스
EP2641686A3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with wire electrode cutting mechanism
CN104607483A (zh) 一种全自动拉拔机
CN204046369U (zh) 用于分片定子加工设备中的拨叉机构
CN102163787A (zh) 一种自动快速剥线机
CN106041542A (zh) 一种长度可调节的伸缩式导轨
CN210926589U (zh) 一种线束剥线装置
CN104253514A (zh) 分片定子加工设备
CN105226578A (zh) 一种用于电线电缆的纵向剥皮机
CN108326712A (zh) 自动进给式砂轮切割机
CN204905642U (zh) 同轴线缆剥线机
CN115990770A (zh) 冲床滑块加工用夹持装置及其使用方法
CN210898323U (zh) 一种电缆线剥线装置
KR20140141809A (ko) 스크류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CN102500722A (zh) 晶体切脚装置
CN109624337B (zh) 自动装胶塞机
CN106426368A (zh) 一种塑料管的支撑装置
DE10105568C2 (de) Schlauch mit elektrischen und/oder pneumatischen und/oder hydraulischen Leitungen
CN211516325U (zh) 一种套丝机
CN210937547U (zh) 一种大锥度线切割机床的辅助装置
KR101057794B1 (ko) 나사분배유닛
CN206540473U (zh) 烟花纸巴冲裁入筒机
CN105460696A (zh) 电缆进线装置
CN203973271U (zh) 钻孔切断一体机的送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1